KR200409274Y1 -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 - Google Patents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274Y1
KR200409274Y1 KR2020050026777U KR20050026777U KR200409274Y1 KR 200409274 Y1 KR200409274 Y1 KR 200409274Y1 KR 2020050026777 U KR2020050026777 U KR 2020050026777U KR 20050026777 U KR20050026777 U KR 20050026777U KR 200409274 Y1 KR200409274 Y1 KR 200409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support
security
cable network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7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기
Original Assignee
(주)폼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폼가드 filed Critical (주)폼가드
Priority to KR20200500267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2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274Y1/ko
Priority to US11/379,639 priority patent/US2007006317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4Connections for attaching additional wire to frames, posts or railings

Abstract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안 펜스용 써포트는,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을 구획하는 펜스와, 상기 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망을 구비하는 보안 펜스에 설치되는 써포트에 있어서, 상기 펜스의 직립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펜스에 고정되는 제1 부분, 상기 케이블망에서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케이블망에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써포트, 보안 펜스, 펜스, 케이블망, 보안

Description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SUPPORT FOR HOLDING CABLE NET AND SECURITY FENCE THEREOF}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펜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펜스에 적용된 써포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펜스의 써포트가 지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펜스의 지주 및 써포트를 간결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써포트의 각 부분별 중심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펜스 위로 가시 철선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펜스에 가시 철선이 설치된 경우에,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펜스를 간결하게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케이블망을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펜스의 모습을 간결하게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안 펜스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안 펜스의 모습을 간결하게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안 펜스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보안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보안 펜스에서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보안 펜스에서, 광케이블은 지그재그와 같은 패턴을 이루면서 펜스에 설치된다. 이 광케이블은 사람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와 모양으로 이루어진 패턴을 구비하고 있어서, 침입자가 이 광케이블을 제거하지 않고는 펜스를 넘어 침입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침입자는 보안 펜스에 설치된 광케이블을 절단하거나 변형시켜야지만 통과하기에 충분한 구멍을 광케이블에 만들 수 있다. 이 같은 광케이블의 변형이나 절단은 광케이블에 흐르는 빛을 방해 또는 간섭해서 경보를 울리게 한다.
도 1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보안 펜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서, 광케이블(301)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펜스(303)에 설치된다. 그리고, 다수의 클립(305)이 광케이블(301)을 지그재그 패턴으로 고정하고 있다.
이 같이 광케이블을 구비한 종래의 보안 펜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침입자가 보안 펜스에 기대어 사다리를 놓으면, 침입자는 이 사다리를 이용해 경보를 울리지 않으면서 보안 펜스를 넘을 수가 있다. 다시 말해서, 침입자는 자신이 통과할 만한 큰 구멍을 만들기 위해서 펜스에 변형을 가하거나, 케이블을 절단할 필요가 없다.
한편, 침입자의 무게는 사다리를 오르는 동안 지면으로 전달된다. 사다리는 펜스에 예각으로 기대어져 있기 때문에, 침입자의 무게 중 작은 부분만이 광케이블에 전달될 뿐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보안 펜스를 누르고 있는 무게는 경보를 울리게 할 정도로 광케이블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때문에, 침입자는 사다리를 올라 펜스 반대편의 보안 구역으로 침입할 수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침입자가 보안 펜스에 사다리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 침범할 수 없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광케이블을 지지하는 써포트에 사다리와 같은 도구를 기대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태풍, 허리케인과 같이 악천후의 기상 조건에도 케이블망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고정하는데 있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안 펜스용 써포트는,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을 구획하는 펜스와, 상기 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망을 구비하는 보안 펜스에 설치되는 써포트에 있어서, 상기 펜스의 직립 방향 인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펜스에 고정되는 제1 부분, 상기 케이블망에서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케이블망에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써포트에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의 연장선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써포트에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곡선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써포트에서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3 부분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써포트에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파이프 또는 봉 형상, 원형 또는 사각형의 횡단면,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안 펜스는,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을 구획하는 펜스, 상기 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망 및 상기 펜스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써포트는, 상기 펜스의 직립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펜스에 고정되는 제1 부분, 상기 케이블망에서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케이블망에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 방향과는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 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보안 펜스에서 상기 펜스는 망과 상기 망을 지지하는 지주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망은 광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써포트의 제3 부분은 상기 펜스 위에서 상기 보안 구역을 향해 하향(下向)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펜스는 벽돌, 시멘트와 같은 블록체로 형성되는 담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에 상기 케이블망은 상기 펜스 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써포트 중 제3 부분의 끝은 상기 담장의 직립 방향 축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보안 펜스는 상기 펜스 위로 설치되는 Y자형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나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설치되는 가시 철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써포트 중 제3 부분은 상기 펜스의 직립 방향 축을 가로질러 상기 비보안 구역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안 펜스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 보안 펜스(10)는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을 구획하는 펜스(20)와, 펜스(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케이블망(30)을 포함한다. 그리고, 펜스(20) 에는 케이블망(30)을 지지하는 써포트(24)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펜스(20)는 지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주들(26)과, 상기 지주들(26)에 지지되면서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을 구획하는 망(28)을 포함한다.
먼저, 지주(26)는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데,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망(28)은 바람직하게 지그 재그 패턴을 이루고 있는 철망 또는 광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고, 지주(2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을 구획해서 침입자가 보안 구역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구성되는 펜스(20)의 지주(26) 상단에는 써포트(24)가 설치되어서 케이블망(30)을 펜스(20) 위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케이블망(30)은 광케이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써포트(24)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써포트(24)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써포트(24)가 지주(26)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지주 및 써포트를 직선으로 표시한 것이고, 도 5는 써포트의 각 부분별 중심축을 보여준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써포트(24)는 제1 부분(241), 제2 부분(242) 및 제3 부분(243)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제1 부분(241)은 지주(26)에 결합되고, 제2 부분(242) 및 제3 부분(243)은 케이블망(30)에서 떨어진 상태로 이 케이블망(30)을 펜스(20) 위로 위치시키게 된다.
제1 부분(241)은 지주(26)에 결합될 수 있게 제1 방향(또는, 지주의 직립 방 향)(S1)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곧게 형성된다.
이와 비교해서, 제2 부분(242)은 케이블망(30)을 펜스(20) 위로 위치시키면서도 케이블망(30)과 떨어질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2 부분(242)은 지주(26)에서 보안 구역을 향해 연장되며, 또한 지주(26)의 끝보다 더 높은 위치로 형성될 수 있게 지주(26)의 제1 방향에 대해서 사선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S2)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된다.
이때, 제1 부분(241)과 제2 부분(242)의 중심축이 만나서 이루는 각도(θ)는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부분(242)이 지주(26)에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바람직한 각도(θ)가 둔각 범위에서 결정된다(도 4 참조).
그리고, 제3 부분(243)은 사다리를 써포트(24)에 기대지 못하게 하면서, 케이블망(30)을 펜스(20) 위의 높이(h)로 위치시킨다.
바람직하게, 제3 부분(243)은 제2 부분(242)에서 비보안 구역을 향해 연장되며, 또한 케이블망(30)이 펜스(20) 위의 높이(h)로 위치할 수 있게, 제2 부분(242)의 제2 방향과 엇갈리는 제3 방향(S3)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3 방향(S3)은 제1 부분(241)의 제1 방향(S1)과도 교차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부분(241), 제2 부분(242) 및 제3 부분(243)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제3 부분(243)은 펜스(20) 위에서 보안 구역을 향해 점진적으로 하향(下向)하고 있기 때문에, 침입자가 써포트(24)에 사다리를 기대는 경우 고정되지 못하고, 제3 부분(243)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사다리를 써포트(24) 에 기대지 못하도록 한다.
더욱이, 써포트(24)의 제2 부분(242) 및 제3 부분(243)은 펜스(20) 넘어 보안 구역을 향하고, 케이블망(30)은 제1 방향(S1)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써포트(24)와 케이블망(30) 사이는 빈공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침입자는 써포트(24)에 사다리를 기대기 위해서 반드시 케이블망(30)을 변형시켜야 하므로, 이러한 케이블망(30)의 변형은 경보를 울리게 해서 침입자의 무단 침입을 근본적으로 차단시킨다.
상술한 바처럼 형성되는 써포트(24)의 제1 부분(241), 제2 부분(242) 및 제3 부분(243)은 파이프 또는 봉을 사용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제1 부분(241)과 제2 부분(242), 제2 부분(242)과 제3 부분(243)은 곡선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부분(241), 제2 부분(242) 및 제3 부분(243)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횡단면을 갖게 형성될 수도 있고,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2 부분(242)의 길이(d1)는 제3 부분(243)의 길이(d2)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펜스(20)와 가깝게 위치하는 써포트(24)의 제2 부분(242)이 케이블망(30)을 펜스(20) 위로 연장하는 제3 부분(243)보다 짧으면, 써포트(24) 중 제2 부분(242) 및 제3 부분(243)의 하중은 제1 부분(241)으로 모아져 견고하게 지주(26)에 고정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써포트(24)는 지주(26)의 단부(261)에 제2 부분(242) 및 제3 부분(243)이 보안 구역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도 3에서 써포 트(24)의 제1 부분(241)은 클립(28)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용접, 볼트 결합과 같은 것에 의해서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펜스(20) 위로는 가시 철선(43)이 더욱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펜스(20) 위로 가시 철선(43)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 경우에, 지주(26)의 단부에는 Y자형 지지부재들(41)이 설치되고, Y자형 지지부재들(41)에 가시 철선들(43)이 설치된다. 상기 Y자형 지지부재들(41)은 지주(26)에 볼트 결합 또는 클립으로 설치될 수 있고, 가시 철선(43) 역시 Y자형 지지부재들(41)에 볼트 또는 클립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가시 철선들(43)은 나선 형상을 이루면서 Y자형 지지부재들(41)에 길게 설치되거나, Y자형 지지부재들(41)에 선 형상을 이루면서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가시 철선들(41)이 선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처럼, 펜스(20) 위로 가시 철선(43)이 설치되는 경우에, 써포트(24) 중 제3 부분(243)의 끝은 지주(26)의 직립 방향 축(O)보다 비보안 구역으로 위치한다(도 7참조).
다음으로, 케이블망(30)은 도 8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처럼, 케이블(12)이 클립(14)으로 고정되어 지그재그 패턴을 이루고 있다.
케이블망(30)은 써포트(24)의 단부에 클립, 볼트 결합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되며, 펜스(20)의 전면, 즉 비보안 구역을 향해 위치한다.
또한, 이 케이블망(30)은 펜스(20) 위의 높이(h)로 형성되면서 지면에까지 연장된다. 이때, 이 케이블망(3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써포트(24)와 케이블망 (30) 사이는 빈 공간을 이루게 된다(도 9 참조).
펜스(20) 위로 가시 철선들(43)이 설치되는 경우에 써포트(24)의 제3 부분(243)은 비보안 구역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망(30)은 가시 철선들(43)에 걸리지 않으면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담장으로 형성되는 보안 펜스(100)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1은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의 경계를 따라 담장(101)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보안 구역을 구획하고 있으며, 그 위로 써포트(240)가 설치된다. 여기서, 담장(101)은 벽돌, 시멘트와 같은 블록체를 쌓아 올리거나, 그 자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 써포트(24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써포트(240) 중 제3 부분(240c)의 끝은 담장(101)의 직립 방향 축(O)과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또한, 케이블망(300)은 써포트(240)의 끝에 설치된 상태에서 아래로 연장되는데, 이때 케이블망(300)은 담장(101) 바로 위에 위치하는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보안 펜스는 담장(101)이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을 따라 설치된 상태에서, 담장(101) 위로 케이블망(300)이 설치된 구조를 이룬다. 이때, 써포트(240)는 담장(101) 위에서 보안 구역을 향하게 고정되어서 써포트(240)와 케이블망(300) 사이는 빈공간을 이룬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침입자는 써포트(240)에 직접 사다리를 기댈 수 없고, 또한 써포트(240)와 케이블망(30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망(300)에도 직접 사다리를 기댈 수 없다.
본 고안에서, 케이블망은 바람직하게 광케이블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써포트의 단부에는 사다리가 케이블망에 기대어지는 경우 광케이블을 변형시켜 경보를 울리는 경보 발생기(71)가 더욱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써포트는, 보안 구역을 향해 휘어져 있기 때문에 케이블망과 써포트 사이에 빈공간을 이루고 있다. 때문에, 침입자는 써포트에 사다리를 기대고, 보안 펜스를 넘어 보안 구역으로 침입할 수가 없다.
더욱이, 펜스와 가깝게 위치하는 써포트의 제2 부분은 케이블망을 펜스 위로 연장하는 제3 부분보다 짧기 때문에, 써포트의 하중은 제1 부분으로 모아져 견고하게 펜스에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의 써포트는 제3 부분이 펜스 위에서 보안 구역을 향해 하향(下向) 연장되기 때문에, 침입자가 사다리를 기대는 경우 제3 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 사다리를 기댈 수 없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써포트는 케이블망과 떨어져 있기 때문에 강한 비바람이 치더라도 케이블망이 써포트에 걸려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19)

  1.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을 구획하는 펜스와, 상기 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망을 구비하는 보안 펜스에 설치되는 써포트에 있어서,
    상기 펜스의 직립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펜스에 고정되는 제1 부분;
    상기 케이블망에서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케이블망에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
    을 포함하는 보안 펜스용 써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의 중심축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보안 펜스용 써포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인 보안 펜스용 써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는 보안 펜스용 써포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곡선을 이루면서 서로 연결되는 보안 펜스용 써포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3 부분의 길이보다 짧은 보안 펜스용 써포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파이프 또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안 펜스용 써포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보안 펜스용 써포트.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안 펜스용 써포트.
  10. 보안 구역과 비보안 구역을 구획하는 펜스;
    상기 펜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케이블망; 및
    상기 펜스에 고정되어 상기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써포트는,
    상기 펜스의 직립 방향인 제1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펜스에 고정되는 제1 부분;
    상기 케이블망에서 멀어지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케이블망에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
    을 포함하는 보안 펜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는, 망과 상기 망을 지지하는 지주들을 포함하는 보안 펜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망은 광케이블로 이루어지는 보안 펜스.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써포트의 제3 부분은 상기 펜스 위에서 상기 보안 구역을 향해 하향(下向) 연장되는 보안 펜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는 벽돌, 시멘트와 같은 블록체로 형성되는 담장으로 이루어지는 보안 펜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망은 상기 펜스 위로 설치되는 보안 펜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써포트 중 제3 부분의 끝은 상기 담장의 직립 방향 축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보안 펜스.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위로 설치되는 Y자형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나선 형상 또는 선 형상으로 설치되는 가시 철선을 더 포함하는 보안 펜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써포트 중 제3 부분은 상기 펜스의 직립 방향 축을 가로질러 상기 비보안 구역으로 연장되는 보안 펜스.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3 부분의 길이보다 짧은 보안 펜스.
KR2020050026777U 2005-09-16 2005-09-16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 KR200409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77U KR200409274Y1 (ko) 2005-09-16 2005-09-16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
US11/379,639 US20070063176A1 (en) 2005-09-16 2006-04-21 Support for supporting cable net, and security fen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77U KR200409274Y1 (ko) 2005-09-16 2005-09-16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274Y1 true KR200409274Y1 (ko) 2006-02-24

Family

ID=3788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777U KR200409274Y1 (ko) 2005-09-16 2005-09-16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063176A1 (ko)
KR (1) KR20040927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657B1 (ko) 2006-04-04 2006-08-08 (주)폼가드 지하매설용 보안펜스
KR100732035B1 (ko) 2007-03-14 2007-06-25 (주)폼가드 월담감지장치
KR101784504B1 (ko) 2016-02-26 2017-10-11 주식회사 에스원 광망 상단 감지장치
CN114497999A (zh) * 2022-01-14 2022-05-13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面向热稳定性的多材料复合索网设计与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0862A1 (en) * 2007-08-23 2009-02-26 Cruce Vann K Security fence spike
TW200925370A (en) * 2007-10-26 2009-06-16 John Clement Preston Safety barriers
CN102352704A (zh) * 2011-10-21 2012-02-15 张家港固耐特围栏系统有限公司 围栏网片
CN103526989A (zh) * 2013-10-31 2014-01-22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 铁丝网以及围墙
CN106297117A (zh) * 2016-08-11 2017-01-04 上海珑登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光电围栏
CN109138595B (zh) * 2018-11-06 2020-09-01 陈荪灿 一种定向运动的高精度定位电子围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943A (en) * 1897-09-14 Fence
US4155083A (en) * 1976-02-19 1979-05-15 N. V. Bekaert S. A. Composite wire and fence made therefrom useful for security purposes
US4097025A (en) * 1976-07-19 1978-06-27 Electronic Surveillance Fence Security, Inc. Electronic fence surveillance apparatus
CH643077A5 (it) * 1979-08-07 1984-05-15 Ci Ka Ra Srl Rete di recinzione anti-effrazione,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sua fabbricazione.
IT1145924B (it) * 1981-08-19 1986-11-12 Ci Ka Ra Spa Rete di recinzione anti effrazione
US4525701A (en) * 1982-03-16 1985-06-25 Leih Michael P Security alarm arrangement
IT1186851B (it) * 1985-03-27 1987-12-16 Ci Ka Ra Spa Rete di recinzione anti effrazione
GB9421719D0 (en) * 1994-10-27 1994-12-14 Gallagher Security Uk Limited Electric security pane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657B1 (ko) 2006-04-04 2006-08-08 (주)폼가드 지하매설용 보안펜스
KR100732035B1 (ko) 2007-03-14 2007-06-25 (주)폼가드 월담감지장치
KR101784504B1 (ko) 2016-02-26 2017-10-11 주식회사 에스원 광망 상단 감지장치
CN114497999A (zh) * 2022-01-14 2022-05-13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面向热稳定性的多材料复合索网设计与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63176A1 (en)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274Y1 (ko)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
US7325787B1 (en) Barrier
US4676485A (en) Intrusion warning wire fence
JPH0674678B2 (ja) セキユリテイフエンス
US20080283810A1 (en) Tamper-resistant fencing
JP5636136B1 (ja) 防護柵
KR20040097014A (ko) 메쉬휀스용 연결밴드
KR102262865B1 (ko) 동물 차단구조가 설치된 철망 울타리
KR20200000197U (ko) 경사지 지주 설치용 체결밴드
JP3197875U (ja) フェンス
JP3185599U (ja) 鳥類飛来侵入防止装置
JP3874769B2 (ja) 落石防護ネット構造及びその工法
KR102229372B1 (ko)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
JP3986401B2 (ja) 敷地侵入防止用フエンス
JP3818443B2 (ja) 忍び返し付きフェンス
KR102662613B1 (ko) 낙석방지시설의 와이어 로프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낙석방지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JPH0712412Y2 (ja) 高速道路用防獣フェンス構造体
KR102260885B1 (ko) 조립식 가림막 휀스
JP2018139523A (ja) 動物侵入防止柵、及び、設置方法
JP4889991B2 (ja) フェンス用格子金網
JP3079473B2 (ja) ガードフェンス
KR101663151B1 (ko) 울타리 및 그 설치 방법
KR20220084767A (ko) 로드킬 방지용 펜스
JP2006087379A (ja) 防獣ネット
KR200241132Y1 (ko) 낙서방지용 앵커볼트와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앵커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