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372B1 -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372B1
KR102229372B1 KR1020200125220A KR20200125220A KR102229372B1 KR 102229372 B1 KR102229372 B1 KR 102229372B1 KR 1020200125220 A KR1020200125220 A KR 1020200125220A KR 20200125220 A KR20200125220 A KR 20200125220A KR 102229372 B1 KR102229372 B1 KR 102229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protrusion
infectious diseas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모던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모던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5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면을 관통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본체 및 본체의 전면에 다수 형성되며, 본체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가시 돌기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 돌기가 다기능판에 형성되어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등의 유해 야생 동물들의 접근을 차단함과 아울러 유해 야생 동물이 다기능판의 위 또는 땅을 파고 다기능판의 아래를 통해 다기능판을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망의 종류의 관계없이 기존에 설치된 펜스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시공 또는 철거의 편의성 및 타공 위치의 활용으로 시공시 응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경제성이 높고 재해 예방에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Multi function panel for eradication harmful animal and prevention infectious disease in domestic animal and construction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 및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해동물들의 접근을 차단하여 가축전염병의 예방 및 확산을 방지함과 아울러 다기능판의 위 또는 아래를 통해 다기능판을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 밭 및 과수원 등의 경작지에 야생 동물이 침범하여 농작물이나 과실 등을 먹어치우거나 경작지를 훼손하여 농가에 피해를 주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축사 주변으로 접근하는 야생 동물들에 의해 구제역이나 돼지열병 등과 같은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가 공기와 함께 축사 내부로 유입되어 가축이 감염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경작물의 피해를 입히거나 가축에 전염병을 옮기는 유해 야생 동물로는 멧돼지와 고라니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경작물의 피해를 입히거나 가축에 전염병을 옮기는 멧돼지와 고라니와 같은 유해 야생 동물들에 대해 여러 방법으로 예방 활동과 야생 동물 퇴치 활동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해 야생 동물로 인한 가축과 경작지를 보호하고 경작물의 피해를 줄이고자 야생 동물들이 빈번히 출몰하는 지역의 주변에 울타리를 설치하여 야생 동물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였으나, 멧돼지와 같은 경우에는 울타리 아래로 땅을 파고 들어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유해 야생 동물들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외곽을 철제빔으로 울타리를 설치하고, 그 바닥은 땅을 파지 못하도록 콘크리트로 처리하는 방법이 있지만,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울타리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울타리에 접촉한 동물들에게 전기적인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야생 동물의 퇴치를 도모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야생 동물이 아닌 사람이 전류가 흐르는 울타리에 노출되는 경우 심한 부상을 당할 수 있고, 특히 야생 동물이 울타리에 접촉하지 않고 땅을 파고 들어오는 등의 침범에는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9524호(2018년 09월 18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가시 돌기가 다기능판에 형성되어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등의 유해 야생 동물들의 접근을 차단함과 아울러 유해 야생 동물이 다기능판의 위 또는 땅을 파고 다기능판의 아래를 통해 다기능판을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으로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면을 관통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다수 형성되며, 본체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가시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가시 돌기가 본체의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로 절곡지도록 본체에는 가시 돌기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의해 상기 가시 돌기가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로 절곡되면, 절개부의 내측에는 가시 돌기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절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향 연장되며, 본체의 폭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상부 가시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하단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며, 본체의 폭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하부 가시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후면 일측 테두리에는, 본체의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돌부가 형성되고, 본체의 타측 테두리에는,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수평 슬릿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부의 끝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슬릿홀에서 연결돌부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수평 슬릿홀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턱의 지름 보다 더 큰 지름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부가 다른 본체에 형성된 수평 슬릿홀의 관통홀을 통과한 다음, 연결돌부가 수평 슬릿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 2개의 본체 간의 대응하는 테두리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슬릿홀의 중앙에서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 슬릿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 슬릿홀을 따라 상기 연결돌부가 하향 슬라이딩 이동되면, 2개의 본체가 상하로 단차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시공방법으로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지주대가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대 설치 단계 및 상기 지주대에 상기 다기능판이 고정되는 다기능판 장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기능판에는 상기 지주대를 감싸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기능판에서 상기 고정부가 다기능판의 후방으로 휘어지도록 다기능판에는 고정부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다기능판의 후방으로 휘어지면, 절개부의 내측에는 고정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절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대 사이에 설치되는 격자형 보호망 및 상기 다기능판의 후면이 상기 격자형 보호망에 접촉한 상태로 다기능판의 후방에서 다기능판의 전방을 향해 진출하여 다기능판을 관통하면서 다기능판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격자형 보호망의 망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망줄이 내측에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태이고 상기 다기능판에 형성된 타공의 지름 보다 큰 지름으로 이루어진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개구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서로 대응하되 상기 타공의 지름 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타공의 내측에 끼워지는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끼움부의 개구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서로 대응하되 타공의 지름 보다 큰 간극이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을 상기 타공에 끼울 때, 타공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간극이 일시적으로 좁아졌다가 타공을 통과하면서 탄성부가 다시 원상태로 복구되면서 고정핀이 타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시 돌기가 다기능판에 형성되어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등의 유해 야생 동물들의 접근을 차단함과 아울러 유해 야생 동물이 다기능판의 위 또는 땅을 파고 다기능판의 아래를 통해 다기능판을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망의 종류의 관계없이 기존에 설치된 펜스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시공 또는 철거의 편의성 및 타공 위치의 활용으로 시공시 응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경제성이 높고 재해 예방에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10)은, 본체(100), 가시 돌기(200), 상부 가시 돌기(300) 및 하부 가시 돌기(4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는, 편평한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지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본체(100)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00)의 형태가 높이 보다 폭이 더 긴 사각의 형태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체(100)는, 스틸(steel) 및 알루미늄(aluminum) 등과 같은 금속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PC(Poly Carbonate)등과 같은 합성수지제일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에는, 본체(100)의 전후면을 관통한 다수의 타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에 형성된 타공(110)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지 않기 때문에 타공(110)을 통해 본체(100)의 안쪽(본체의 후방)에서 본체(100)의 바깥쪽(본체의 전방)의 상황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0)에 형성된 타공(110)을 통해 공기와 같은 유체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 타공(110)에 의해 본체(1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어져 본체(100)가 유체의 저항을 적게 받게 되어 본체(100)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고압으로 흐르는 유체의 압력으로 인해 본체(100)가 쉽게 전도되지 않게 된다.
가시 돌기(200)는, 본체(100)의 전면에 다수 형성되며,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부연하면, 가시 돌기(200)는 본체(100)의 전면에서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체(100)의 전면에서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다수의 가시 돌기(200)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특히 멧돼지나 고라니와 같은 유해 야생 동물들의 본체(100)의 접근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0)에는 가시 돌기(200)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절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본체(100)에서 가시 돌기(200)가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로 절곡지도록 본체(100)에는 가시 돌기(200)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절개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100)에 형성된 절개부(120)에 의해 가시 돌기(200)가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로 절곡되면, 본체(100)에 형성된 절개부(120)의 내측에는 가시 돌기(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절개홀(1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체(100)에 형성된 타공(110)과 같이 가시 돌기(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절개홀(130)이 본체(100)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부 가시 돌기(300)는,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향 연장되는데,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부 가시 돌기(300)가 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기 때문에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특히 멧돼지나 고라니와 같은 유해 야생 동물들이 본체(100)를 타고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체(100)의 상단에 상부 가시 돌기(300)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특히 멧돼지나 고라니와 같은 유해 야생 동물들의 본체(100)의 접근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해 야생 동물들이 본체(100)를 타고 넘기 위한 시도를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하부 가시 돌기(400)는, 본체(100)의 하단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부 가시 돌기(400)는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 가시 돌기(400)는 지면에 일정 깊이로 수직으로 박히거나 지면에 끝단이 안착될 수 있다.
부연하면, 하부 가시 돌기(400)가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특히 멧돼지와 같은 유해 야생 동물이 본체(100)가 설치된 지면 아래를 파고 본체(100)의 반대쪽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체(100)의 하단에 하부 가시 돌기(400)가 형성되어 있어서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특히 멧돼지와 같은 유해 야생 동물의 본체(100)의 접근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특히 멧돼지와 같은 유해 야생 동물들이 본체(100)가 설치된 지면 아래를 파고 본체(100)의 반대쪽으로 넘어오기 위한 시도를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2개 이상의 본체(100)를 서로 연결하여 본체(100)의 폭 방향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후면 일측 테두리에는, 본체(100)의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돌부(1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돌부(140)의 끝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4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수평 슬릿홀(150)에서 연결돌부(140) 몸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타측 테두리에는, 본체(10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수평 슬릿홀(150)이 형성된다. 이때, 수평 슬릿홀(150)의 일측 끝단에는, 걸림턱(141)이 형성된 연결돌부(140)의 끝단의 지름 보다 더 큰 지름의 관통홀(151)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본체(100)의 후면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연결돌부(140)가 다른 본체(100)의 타측 테두리에 형성된 수평 슬릿홀(150)의 관통홀(151)을 통과한 다음, 연결돌부(140)가 수평 슬릿홀(150)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 슬릿홀(1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 2개의 본체(100) 간의 대응하는 테두리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돌부(140)의 끝단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턱(141)에 의해 연결돌부(140)가 수평 슬릿홀(15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는 수평 슬릿홀(150)의 간극이 걸림턱(141)의 지름 보다 더 작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한편, 수평 슬릿홀(150)의 중앙에서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 슬릿홀(16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00)에 형성된 연결돌부(140)가 다른 본체(100)에 형성된 수평 슬릿홀(150)에 형성된 수직 슬릿홀(160)을 따라 하향 슬라이딩 이동되면, 2개의 본체(100)가 상하로 단차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평한 지면이 아닌 상하로 단차된 지면에 2개의 본체(100)가 수직으로 안착된 상태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 수평 슬릿홀(150)에 형성된 수직 슬릿홀(160)에 의해 2개의 본체(100)가 상하로 단차된 상태로 연결되어 2개의 본체(100)가 지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시 돌기(200)는, 본체(100)의 전면에 후단이 일체로 고정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단이 본체의 전방을 향해 돌출연장된 못(nail) 또는 볼트 등 일 수 있다.
부연하면, 가시 돌기(200)는, 본체(100)의 전면에 다수 형성되며,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가시 돌기(200)는 본체(100)의 전면에서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체(100)의 전면에서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연장된 다수의 가시 돌기(200)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서류, 파충류 및 포유류, 특히 멧돼지나 고라니와 같은 유해 야생 동물들의 본체(100)의 접근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0)에는 가시 돌기(200)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절개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본체(100)에서 가시 돌기(200)가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로 절곡지도록 본체(100)에는 가시 돌기(200)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절개부(1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100)에 형성된 절개부(120)에 의해 가시 돌기(200)가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로 절곡되면, 본체(100)에 형성된 절개부(120)의 내측에는 가시 돌기(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절개홀(1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본체(100)에 형성된 타공(110)과 같이 가시 돌기(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절개홀(130)이 본체(100)의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시공방법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지주대가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대 설치 단계 및 지주대에 다기능판이 고정되는 다기능판 장착 단계를 포함한다.
부연하면, 지주대(1a)는, 다수가 서로 이격하여 하단이 지면에 박히거나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다기능판(10)은 지주대(1a)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다기능판(10)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하였기 때문에 다기능판(1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다기능판(10)이 지주대(1a)에 고정되도록 다기능판(10)에는 수직 지주대(1a)를 감싸는 고정부(11)가 형성된다.
부연하면, 다기능판(10)에서 고정부(11)가 다기능판(10)의 후방으로 휘어지도록 다기능판(10)에는 고정부(11)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절개부(120)가 형성된다.
즉, 절개부(120)에 의해 고정부(11)가 다기능판(10)의 후방으로 휘어지면, 절개부(120)의 내측에는 고정부(1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절개홀(1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지주대(1a)는, 한 쌍이 서로 이격하여 하단이 지면에 박히거나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이때, 지주대(1a)의 외측면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지면에 안착되어 지주대(1a)가 전도되지 않도록 경사진 상태로 지주대(1a)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1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격자형 보호망(2)은, 수직의 망줄(2a)과 수평의 망줄(2a)이 직교하여 서로 교차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지며, 지주대(1a) 사이에 설치된다. 여기서, 다기능판(10)은, 격자형 보호망(2)에 고정된다.
한편, 다기능판(10)이 격자형 보호망(2)의 전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다기능판(10)의 후면이 격자형 보호망(2)에 접촉한 상태로 다기능판(10)의 후방에서 다기능판(10)의 전방을 향해 진출하여 다기능판(10)을 관통하면서 다기능판(10)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면, 고정핀(20)은, 걸림부(21)와 끼움부(22)와 탄성부(23)로 구성될 수 있다.
걸림부(21)는, 격자형 보호망(2)의 망줄(2a)을 감싸는 형태로 망줄(2a)이 내측에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태이고 다기능판(10)에 형성된 타공(110)의 지름 보다 큰 지름으로 이루어진다.
즉, 걸림부(210)는 다기능판(10)의 후면에서 다기능판(10)에 형성된 타공(110)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끼움부(22)는, 걸림부(21)의 개구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서로 대응하되 다기능판(10)에 형성된 타공(110)의 지름 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타공(110)의 내측에 끼워진다.
즉, 끼움부(22)의 간극이 다기능판(10)에 형성된 타공(110)의 지름 보다 작기 때문에 타공(110)을 통과하여 타공(110)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탄성부(23)는, 끼움부(22)의 개구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서로 대응하되 다기능판(10)에 형성된 타공(110)의 지름 보다 큰 간극이 형성된다.
즉, 고정핀(20)의 걸림부(21) 내측에 격자형 보호망(2)의 망줄(2a)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핀(20)을 다기능판(10)의 후방에서 다기능판(10)의 전방을 향해 진출하여 다기능판(10)의 타공(110)에 끼울 때, 타공(110)에 의해 탄성부(23)의 간극이 일시적으로 좁아졌다가 타공(110)을 통과하면서 탄성부(23)가 다시 원상태로 복구되면서 고정핀(20)이 타공(110)에서 빠지지 않게 체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a: 지주대 1b: 보조 지지대
2: 보호망 2a: 망줄
10: 다기능판 11: 고정부
20: 고정핀 21: 걸림부
22: 끼움부 23: 탄성부
100: 본체 110: 타공
120: 절개부 130: 절개홀
140: 연결돌부 141: 걸림턱
150: 수평 슬릿홀 151: 관통홀
160: 수직 슬릿홀 200: 가시 돌기
300: 상부 가시 돌기 400: 하부 가시 돌기

Claims (11)

  1. 수직으로 세워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면을 관통한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다수 형성되며, 본체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진 가시 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후면 일측 테두리에는, 본체의 후방을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된 연결돌부가 형성되고, 본체의 타측 테두리에는,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수평 슬릿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부의 끝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슬릿홀에서 연결돌부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수평 슬릿홀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턱의 지름 보다 더 큰 지름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부가 다른 본체에 형성된 수평 슬릿홀의 관통홀을 통과한 다음, 연결돌부가 수평 슬릿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 2개의 본체 간의 대응하는 테두리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상기 가시 돌기가 본체의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로 절곡지도록 본체에는 가시 돌기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의해 상기 가시 돌기가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해 일정 각도로 절곡되면, 절개부의 내측에는 가시 돌기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절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향 연장되며, 본체의 폭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상부 가시 돌기;
    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 테두리에서 하향 연장되며, 본체의 폭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하부 가시 돌기;
    를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슬릿홀의 중앙에서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되는 수직 슬릿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수직 슬릿홀을 따라 상기 연결돌부가 하향 슬라이딩 이동되면, 2개의 본체가 상하로 단차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7. 제1항의 다기능판의 시공방법으로서,
    a)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지주대가 지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대 설치 단계; 및
    b) 상기 지주대에 상기 다기능판이 고정되는 다기능판 장착 단계;
    를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판에는 상기 지주대를 감싸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기능판에서 상기 고정부가 다기능판의 후방으로 휘어지도록 다기능판에는 고정부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가 상기 다기능판의 후방으로 휘어지면, 절개부의 내측에는 고정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절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 사이에 설치되는 격자형 보호망; 및
    상기 다기능판의 후면이 상기 격자형 보호망에 접촉한 상태로 다기능판의 후방에서 다기능판의 전방을 향해 진출하여 다기능판을 관통하면서 다기능판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핀;
    을 더 포함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격자형 보호망의 망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망줄이 내측에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태이고 상기 다기능판에 형성된 타공의 지름 보다 큰 지름으로 이루어진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개구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서로 대응하되 상기 타공의 지름 보다 작은 간극이 형성되어 타공의 내측에 끼워지는 끼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끼움부의 개구부 양측에서 연장되어 서로 대응하되 타공의 지름 보다 큰 간극이 형성된 탄성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을 상기 타공에 끼울 때, 타공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간극이 일시적으로 좁아졌다가 타공을 통과하면서 탄성부가 다시 원상태로 복구되면서 고정핀이 타공에서 빠지지 않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의 시공방법.
KR1020200125220A 2020-09-25 2020-09-25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9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20A KR102229372B1 (ko) 2020-09-25 2020-09-25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20A KR102229372B1 (ko) 2020-09-25 2020-09-25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372B1 true KR102229372B1 (ko) 2021-03-18

Family

ID=7523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220A KR102229372B1 (ko) 2020-09-25 2020-09-25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3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578A (ja) * 2002-11-14 2004-06-10 Yoshiyuki Hidawa 動物避け具
KR200453654Y1 (ko) * 2008-08-06 2011-05-19 수형산업개발 주식회사 야생동물 보호 울타리
KR20110006791U (ko) * 2009-12-30 2011-07-07 전미정 들짐승 차단막
KR20110085759A (ko) * 2010-01-21 2011-07-27 ㈜송림원 동물접근차단용 펜스결합체
KR20130004161U (ko) * 2011-12-28 2013-07-08 임채호 야생동물 침입 방지용 펜스
KR101899524B1 (ko) 2017-11-21 2018-09-18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2중 지주를 이용한 동물 유도 펜스
JP2020039287A (ja) * 2018-09-10 2020-03-19 弘毅 赤星 鳥獣害防止具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9578A (ja) * 2002-11-14 2004-06-10 Yoshiyuki Hidawa 動物避け具
KR200453654Y1 (ko) * 2008-08-06 2011-05-19 수형산업개발 주식회사 야생동물 보호 울타리
KR20110006791U (ko) * 2009-12-30 2011-07-07 전미정 들짐승 차단막
KR20110085759A (ko) * 2010-01-21 2011-07-27 ㈜송림원 동물접근차단용 펜스결합체
KR20130004161U (ko) * 2011-12-28 2013-07-08 임채호 야생동물 침입 방지용 펜스
KR101899524B1 (ko) 2017-11-21 2018-09-18 뉴그린창신 주식회사 2중 지주를 이용한 동물 유도 펜스
JP2020039287A (ja) * 2018-09-10 2020-03-19 弘毅 赤星 鳥獣害防止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9274Y1 (ko) 케이블망을 지지하는 써포트와 이를 채용한 보안 펜스
KR100611058B1 (ko) 도로의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동물의침입방지장치
KR100664661B1 (ko) 동물보호휀스
KR101569720B1 (ko)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가드 휀스
US11441328B2 (en) Perforated fencing
JPH09138A (ja) 獣害防御具
KR20090050761A (ko) 소형동물 차단재가 구비된 가드레일을 이용한 로드킬방지용 가드펜스
KR102229372B1 (ko) 유해동물 퇴치와 가축전염병 방지용 다기능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70590Y1 (ko) 야생동물 침입 방지용 펜스
KR20090040120A (ko) 로드킬 방지용 가드펜스
KR101364422B1 (ko) 도로사면을 이용한 경사각이 구비된 로드킬 방지 펜스
JP3932118B2 (ja) 有害動物の侵入防止装置
TWI804433B (zh) 圍欄加置寵物護欄的定位裝置(第二案)
KR102262865B1 (ko) 동물 차단구조가 설치된 철망 울타리
KR100638264B1 (ko) 로드킬 방지구
KR101677493B1 (ko) 가드레일용 기능성 보조 펜스
JP3209697U (ja) 小動物侵入防止構造
JP3222019U (ja) 獣類侵入防護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451760B1 (ko)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KR200490268Y1 (ko)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KR101258392B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로드킬 방지용 펜스
KR102338702B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동물침입 방지장치
KR200400432Y1 (ko) 경계용 휀스의 망고정용 프레임
JP3201125U7 (ko)
JP5326082B2 (ja) 害獣侵入防止用フェンス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