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68Y1 -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68Y1
KR200490268Y1 KR2020190000400U KR20190000400U KR200490268Y1 KR 200490268 Y1 KR200490268 Y1 KR 200490268Y1 KR 2020190000400 U KR2020190000400 U KR 2020190000400U KR 20190000400 U KR20190000400 U KR 20190000400U KR 200490268 Y1 KR200490268 Y1 KR 200490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mold
ground
animal
anchor
p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하
Original Assignee
김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하 filed Critical 김달하
Priority to KR2020190000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포획하고자 하는 동물의 사이즈보다는 큰 면적을 갖는 외형 틀; 상기 외형 틀의 내측에서 동물의 신체보다는 작은 사이즈의 공간을 복수 개로 형성되도록 구획하는 내부 살; 및 상기 외형 틀을 지반에 고정되게 하는 앙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형 틀보다 작은 사이즈로서 지면을 일정 깊이로 파낸 구덩이의 상단부 주면을 따라 앙카에 의해 고정 설치되게 함으로써 내부 살들 사이로 동물의 앞다리가 빠지는 순간 몸통은 내부 살들 사이에 걸쳐지도록 하되 앞다리는 구덩이의 바닥으로부터 항상 이격되게 함으로써 포획된 동물을 보다 쉽고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Trap for capture hamful wild animal}
본 고안은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생동물이 자주 이동하는 이동로에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유해 야생동물을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생에서 서식하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은 산속이나 들판에서의 먹이활동이 원활하지 않을 때에 인근 농가의 밭에서 경작 중인 농작물을 무단 섭취하면서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와 같이 야생 동물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포획하기 위하여 대부분은 총기를 사용하거나 덫이나 포획 틀 또는 전기목책을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총기사용은 사용허가된 사람에 의해서만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나 안전 문제가 있어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이며, 올무와 같은 덫은 동물이 자주 출몰 또는 이동하는 통로에 설치하여 동물의 신체 일부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는 하나 총기 사용시와 마찬가지로 동물에게는 매우 치명적인 상처를 주게 되는 폐단이 있다.
이러한 폐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작중인 밭작물 주변에 전기목책을 설치하여 접근을 막거나 또는 포획 틀을 설치하기도 하지만 과중한 설치 비용의 부담과 유지 관리의 불편함이 있어 적용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등록실용신안 제0426592호(명칭: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와 등록특허 제1049146호(명칭:동물 포획장치) 및 등록특허 제1625188호(명칭: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는 종래에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포획 틀의 사례들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에서는 통상 육각면체형의 틀을 지상에 설치하여 출입문을 제외한 면을 위장을 시키거나 상면만 지표면과 나란하도록 지하에 매설되도록 하여 상면을 위장시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에 의한 야생동물의 포획은 일단 포획 틀이 지상에 설치되는 경우 노출되는 부위가 너무 많아 위장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아질 뿐만 아니라 아무리 위장을 하더라도 틀 안으로 동물을 유인하기 쉽지 않은 한계가 있다.
또한, 포획 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포획 틀의 높이만큼 땅을 파야만 하므로 설치가 쉽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무엇보다도 포획 틀이 동물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는 사이즈로서 제작을 해야만 하므로 제작비의 부담이 크므로 농가에서 개인적으로 부담하여 포획 틀을 제작 설치하기에는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426592호(2006.09.07) 문헌 2 등록특허 제1049146호(2011.07.07) 문헌 3 등록특허 제1625188호(2016.05.23)
이에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폐단과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제작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렴한 제작을 통한 경제적 부담이 적은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동물의 발 길이보다는 높은 높이로서 땅을 파기만 하면 되므로 땅파기의 수고를 절감하여 보다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포획하고자 하는 동물의 사이즈보다는 큰 면적을 갖는 외형 틀; 상기 외형 틀의 내측에서 동물의 신체보다는 작은 사이즈의 공간을 복수 개로 형성되도록 구획하는 내부 살; 및 상기 외형 틀을 지반에 고정되게 하는 앙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특징이다.
상기 외형 틀은 사각 또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봉 또는 파이프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내부 살은 격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외형 틀을 축소시킨 형상의 메인 바와 상기 메인 바를 상기 외형 틀과 중앙에서 복수 개의 연결 바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앙카는 상단부가 상기 외형 틀의 저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일체로 고정되어 일정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평면 구조로만 형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제작 비용을 최소화하여 저렴하게 설치 및 사용할 수가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포획하고자 하는 동물의 다리보다 높게 땅을 파기만 하면 되므로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가 있어 보다 많은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은 포획하는 동물의 앞발만 빠지게 하여 내부 살과 지면에 걸려지는 목과 뒷발에 의해서만 지지되게 함으로써 포획 동물에는 아무런 상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포획할 수가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를 예시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외형 틀과 내부 살의 연결 구조를 예시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앙카 하단을 예시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앙카 상단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설치를 위하여 지반에 구덩이를 형성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설치 예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를 예시한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크게 외형 틀(10)과 내부 살(20) 및 앙카(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외형 틀(10)은 외측을 형성하는 폐회로의 프레임이다.
외형 틀(10)은 포획하는 동물들의 하중에 충분히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외형 틀(10)은 도 1에서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게 할 수도 있지만 다각형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며, 도 2에서와 같이 원형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다만, 외형 틀(10)은 포획하고자 하는 동물보다는 큰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외형 틀(10)은 가로 2 내지 2.5m, 세로 1 내지 1.5m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외형 틀(10)은 안쪽으로 복수의 내부 살(20)들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복수의 내부 살(20)들에 의해서 외형 틀(10)의 안쪽으로는 포획동물들의 다리만 빠질 수 있는 사이즈로서 복수의 공간들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포획하고자 하는 동물이 멧돼지인 경우 복수의 공간 각각은 가로 40 내지 60cm, 세로 10 내지 25cm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에서 내부 살(20)은 외형 틀(10)의 안쪽에서 도 1에서와 같이 격자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도 2에서와 같이 외형 틀(10)이 다각형 또는 원형인 경우 이들 외형 틀(10)을 축소시킨 형상인 메인 바(21)가 외형 틀(10)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하면서 외형 틀(10)과 메인 바(21) 및 외형 틀(10)로부터 메인 바(21)의 중앙에 이르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연결 바(22)에 의해 연결하되, 대략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이때의 연결 바(22)는 메인 바(21) 또는 중앙에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가 있다.
외형 틀(10)과 내부 살(20)은 단면이 원형인 봉이나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 3에서와 같이 유해 야생동물의 발바닥보다 좁은 폭인 수직의 판재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특히, 유해 야생동물의 발바닥보다 좁은 폭인 수직의 판재로 형성되되, 상단면은 상향 만곡지게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외형 틀(10)의 내부 살(20)들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은 포획하고자 하는 동물의 몸통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공간을 통해 하부로 절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외형 틀(10)과 내부 살(20)은 동일 평면 상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외형 틀(10)의 복수의 위치에서 앙카(30)에 의해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앙카(30)는 외형 틀(10)을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이다.
앙카(30)는 외형 틀(10)과 분리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외형 틀(10)의 하단면에 상단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으로 복수의 위치에서 형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외형 틀(10)과 내부 살(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포획 틀은 복수의 앙카(30)들에 의해서 지면에 고정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앙카(30)는 하단부가 지면으로 쉽게 박힐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첨단(31)을 이루도록 하되 박힌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첨단 부위의 상단이 앙카(30)의 상부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앙카(30)가 외형 틀(10)과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앙카(30)의 상단이 상부로부터 외형 틀(10)의 상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앙카(30)의 상단부 일측에 외형 틀(10)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ㄱ"자 형태의 걸림부(33)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형 틀(10)에 분리형으로 설치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설치와 그에 따른 포획방법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포획장치인 외형 틀(10)의 사이즈보다는 작은 면적으로 일정 깊이로서 지반을 판다.
땅을 파는 깊이는 포획할 동물의 다리 길이보다만 깊게 형성하면 되며, 따라서 포획하고자 하는 동물에 따라 각각 깊이를 달리할 수가 있다.
즉, 출몰하는 동물이 멧돼지인 경우 멧돼지의 다리는 통상 50cm를 넘지 못하므로 구덩이(H)의 깊이는 50cm 이하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일정 깊이로 형성한 구덩이(H) 상단의 지면에는 본 고안의 포획장치가 안착되도록 하되 포획장치의 상단부는 지면과 나란하도록 안치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포획장치는 상단이 지면과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동물들이 이동 시 이물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도록 하며, 포획장치의 상부에는 나뭇가지와 나뭇잎을 이용하여 위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포획장치는 도 7에서와 같이 외형 틀(10)에 일체로 형성된 앙카(3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면서 앙카(30) 상부의 외형 틀(10)을 해머 등과 같은 중량물로서 충격을 가하여 앙카(30)들이 지반에 완전히 매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앙카(30)가 외형 틀(10)과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우선 외형 틀(10)을 지표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안착시킨 후 임의의 위치에서 외형 틀(10)의 상부 일부를 상단부가 커버하도록 하면서 복수의 앙카(30)가 지반에 매립되도록 하여 고정한다.
복수의 앙카(30)들을 이용하여 외형 틀(10)을 지표면에 대해 나란하게 고정되게 한 후 외형 틀(10)과 내부 살(20)들의 상부를 나뭇가지와 나뭇잎을 덮어 자연스럽게 위장되도록 한다.
나뭇가지 대신 단순히 그물을 내부 살(20)들의 상부에 펼친 후 나뭇잎을 덮어 위치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포획장치를 위장하여 설치되도록 하면 야생동물들은 포획장치의 설치 부위에 대해 거의 이물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지나게 된다.
이때 야생동물의 앞다리 모두가 내부 살(20)들 사이의 공간으로 빠지거나 앞다리 중 하나의 다리만 빠지게 되더라도 무게 중심이 지반에 형성한 구덩이(H)에 빠진 다리쪽으로 편중되면서 다른 다리도 자연스럽게 동시에 구덩이(H)에 빠지게 된다.
일단 앞다리 모두가 내부 살(20)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구덩이(H)에 빠지게 되더라도 동물 몸통은 내부 살(20)들 사이에 걸쳐지게 되므로 동물의 앞다리가 구덩이(H)의 바닥에 결코 닿을 수가 없다.
따라서 포획되는 동물은 앞다리가 내부 살(20) 사이의 공간에 빠져 허우적대기만 할 뿐 앞다리를 더 이상 내부 살(20)들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향 이탈되게 할 수가 없으며, 앞다리를 내부 살(20)들에 걸쳐지게 할 수도 없다.
즉, 동물의 앞다리가 내부 살(20) 사이에 빠지는 순간 동물은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빠진 다리를 뺄 수가 없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획되면 안심하고 동물 구호단체나 소방서에 연락하여 포획된 동물을 처리하도록 하면 되므로 직접 동물을 처리하거나 위험한 행위를 굳이 하지 않아도 동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단순히 하나의 면으로만 형성하게 되므로 제작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입체적으로 제작하는 포획장치에 비해 제작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가 있다.
그러므로 제작만큼 쉽고 저렴하게 구입할 수가 있어 보다 많은 갯수를 구입해서 보다 많은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본 고안의 포획장치보다 작은 사이즈로 지반에 구덩이(H)를 파면서 구덩이(H)의 깊이는 50cm 이하로 형성하기만 하면 본 고안의 포획장치를 쉽게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자 한 사람에 의해서도 충분히 설치가 가능한 편리함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포획장치는 평면의 판형으로 형성되므로 제작 후 적재가 용이하므로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가 있으며, 운반이나 운송을 더욱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외형 틀 20 : 내부 살
21 : 메인 바 22 : 연결 바
30 : 앙카 33 : 걸림부
H : 구덩이

Claims (5)

  1. 포획하고자 하는 동물의 사이즈보다는 큰 사이즈를 갖고,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하나의 면으로만 형성되는 외형 틀(10);
    상기 외형 틀(10)의 내측에서 동물의 신체보다는 작은 사이즈의 공간을 복수 개로 형성되도록 구획하여 포획동물들의 다리만 빠질 수 있도록 하는 내부 살(20); 및
    상기 외형 틀(10)을 지반에 고정되게 하도록 외형 틀(10)의 하단면에 복수의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외형 틀(10)의 하단면에 그 상단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외형 틀(10)의 하단면에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앙카(3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형틀(10)은
    단면이 사각 또는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봉 또는 파이프로 이루어지거나, 유해 야생동물의 발바닥 보다 좁은 폭인 수직의 판재로 형성되거나, 유해 야생동물의 발바닥 보다 좁은 폭이되, 상단면이 상향 만곡지는 수직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살(20)은
    상기 외형 틀(10)의 중심부에 외형 틀(10)을 축소시킨 형태로 형성되는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의 메인바(21)와, 상기 메인 바(21)를 상기 외형 틀(10)과 중앙에서 복수 개의 연결 바(22)에 의해 방사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형상이며,
    상기 외형 틀(10)의 사이즈보다 작은 면적으로 일정 깊이의 지반을 파되, 포획할 동물의 다리 길이보다만 깊게 형성되도록 일정 깊이로 땅을 파고, 일정 깊이로 형성한 구덩이(H) 상단의 지면에 외형 틀(10)을 안착시키되, 상단부가 지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지면과 나란하도록 안치되게 설치하며, 외형 틀(10)의 복수의 위치에서 앙카(30)로 외형 틀(10)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지면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외형 틀(10)의 내부 살(20)들 사이의 공간에 야생동물의 앞다리 모두 또는 앞다리 중 하나의 다리만 빠질 경우, 야생동물의 무게 중심이 지반에 형성한 구덩이(H)에 빠진 다리쪽으로 편중되면서 다른 다리들도 구덩이(H)에 빠지게 됨과 동시에 앞다리가 내부 살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구덩이에 빠지게 되더라도 야생동물의 몸통이 내부 살들 사이에 걸쳐지므로 동물의 앞다리가 구덩이(H)의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 있으며,
    상기 앙카(30)는
    상단부가 상기 외형 틀(10)의 저면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일체로 고정되어 일정 높이로 형성되면서 하단부는 지면으로 쉽게 박힐 수 있도록 첨단(31)을 이루며, 지반에 박힌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첨단 부위의 상단이 앙카(30)의 상부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앙카(30)가 외형 틀(10)의 하단면에 분리형으로 형성될 경우, 앙카(30)의 상단부 일측에 외형 틀(10)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ㄱ"자 형태의 걸림부(33)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외형 틀(10)에 분리형으로 설치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0400U 2019-01-28 2019-01-28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KR200490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00U KR200490268Y1 (ko) 2019-01-28 2019-01-28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00U KR200490268Y1 (ko) 2019-01-28 2019-01-28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68Y1 true KR200490268Y1 (ko) 2019-11-08

Family

ID=68531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00U KR200490268Y1 (ko) 2019-01-28 2019-01-28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988A (ko) 2022-04-04 2023-10-11 이도상 조립식 포획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679Y1 (ko) * 2001-07-20 2001-11-17 박부용 쥐 포획구
JP2004313148A (ja) * 2003-04-14 2004-11-11 Masanori Omoteya 弾性薄板による動物被害対策器具
KR200426592Y1 (ko) 2006-07-04 2006-09-13 배종윤 야생동물 포획장치
KR101049146B1 (ko) 2008-10-06 2011-07-14 남경숙 동물 포획장치
JP2011160732A (ja) * 2010-02-10 2011-08-25 Daikure Co Ltd 動物侵入防止装置
JP2016015914A (ja) * 2014-07-08 2016-02-01 欣吾 西村 人、野生動物の摩擦歩行制御
KR101625188B1 (ko) 2014-04-15 2016-05-27 김종석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JP2016220659A (ja) * 2015-06-04 2016-12-28 クラーク株式会社 カメ捕獲装置及びカメ捕獲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679Y1 (ko) * 2001-07-20 2001-11-17 박부용 쥐 포획구
JP2004313148A (ja) * 2003-04-14 2004-11-11 Masanori Omoteya 弾性薄板による動物被害対策器具
KR200426592Y1 (ko) 2006-07-04 2006-09-13 배종윤 야생동물 포획장치
KR101049146B1 (ko) 2008-10-06 2011-07-14 남경숙 동물 포획장치
JP2011160732A (ja) * 2010-02-10 2011-08-25 Daikure Co Ltd 動物侵入防止装置
KR101625188B1 (ko) 2014-04-15 2016-05-27 김종석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JP2016015914A (ja) * 2014-07-08 2016-02-01 欣吾 西村 人、野生動物の摩擦歩行制御
JP2016220659A (ja) * 2015-06-04 2016-12-28 クラーク株式会社 カメ捕獲装置及びカメ捕獲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988A (ko) 2022-04-04 2023-10-11 이도상 조립식 포획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702B2 (en) Protecto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pairs of multi-pronged elements
KR200490268Y1 (ko)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KR20200022101A (ko) 맷돼지로부터 농작물을 지켜라
US20190364874A1 (en) Drop-Style Trap Door for Trapping Animals
Dietz et al. A walk-in trap for nesting ducks
KR101195068B1 (ko) 모기 유충 살충 박스
KR102132159B1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JP3209697U (ja) 小動物侵入防止構造
JP6604010B2 (ja) 指定管理鳥獣の方向誘導装置
JP3222019U (ja) 獣類侵入防護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052609B1 (ko) 조립식 포획틀
JP2010051300A (ja) 釘竹型獣有害動物撃退具
JP5493094B2 (ja) 害獣捕獲装置
JP6507584B2 (ja) 害獣侵入防止用構造体および害獣侵入防止方法
US116903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guana infestation
GB2437598A (en) Animal escape device
JP2016015914A (ja) 人、野生動物の摩擦歩行制御
JP7010497B2 (ja) 小動物侵入防止構造
JP3241576U (ja) 有刺鉄線付害獣防止柵
KR100470713B1 (ko) 조류 포획 장치
JP7172552B2 (ja) 蹄行性有害獣の方向誘導装置および方法
KR102293534B1 (ko) 분해 포획형 유해동물 포획틀
JP2012223102A (ja) 害獣防護柵
JP7135594B2 (ja) 蹄行性有害獣の方向誘導装置
JP3161355U (ja) 害獣防止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