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159B1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동물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159B1
KR102132159B1 KR1020180098455A KR20180098455A KR102132159B1 KR 102132159 B1 KR102132159 B1 KR 102132159B1 KR 1020180098455 A KR1020180098455 A KR 1020180098455A KR 20180098455 A KR20180098455 A KR 20180098455A KR 102132159 B1 KR102132159 B1 KR 102132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harmful
trapping
lifting memb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2629A (ko
Inventor
고유길
Original Assignee
고동현
고유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동현, 고유길 filed Critical 고동현
Priority to KR102018009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1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악 등지에 설치하여 먹이에 의해 유인된 유해 동물을 승강부재 및 그물부재를 하강시켜 포획하기 위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부피 및 중량이 큰 구조물 형태의 포획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산악지형에서 휴대나 이동이 매우 힘들며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비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에 상부가 고정된 그물부재와, 상기 그물부재의 하측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에서 하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된 복수의 승강끈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홀딩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유인된 유해 동물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로 구성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 하측에 삽입관을 횡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를 고정시킨 복수 개의 지주가 연결끈으로 고정되며, 상기 그물부재의 하부 일측에는 포획된 유해 동물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포획부가 구비되고, 상기 포획부 내에는 포획된 유해 동물이 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산악 지형에 심어져 있는 나무 등을 이용하여 설치 장소에서 조립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며, 제조비가 저렴하게 된다.

Description

유해 동물 포획장치{Trap apparatus for hamful animuls}
본 발명은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악 지역에서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고 작동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유해 동물을 확실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산이나 숲에 서식하는 멧돼지 등 동물의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숲에서 서식하는 멸종 위기종 동물 등의 포유류 동물들은 산림과 농가가 재배한 농산물에 피해를 주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심 주변의 산에서 주거지로 내려오는 멧돼지 등에 의한 인명이나 시설물 등의 피해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야생 유해 동물들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포획하기 위하여 총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총기 사용은 소음은 물론이고 또 다른 인명에 대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점에 비추어서 올가미나 덫을 이용해 동물을 포획하는 방법은 사람에게도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유해 동물은 물론 보호 동물도 포획하여 상처를 입히거나 살상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1842060호에는 내부공간이 노출토록 적어도 3개의 다리를 구비하여 지면의 일정높이에서 지지되는 내부틀과, 상기 내부틀의 외측에 구비되어 내부틀을 중심으로 승,하강토록 설치되면서 하향시 내부공간을 차단하는 외부틀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틀에 형성된 가이드 로울러가 외부틀에 구비된 슬롯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틀이 경사방향으로 하강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동물포획을 위한 낙하 포획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내부틀의 하부 내측으로 동물이 유입되면 외부틀이 내부틀의 외측에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내부로 유입된 동물을 포획하게 되는데, 이는 경사진 산악으로 장치를 운반하거나 이동하는 것이 어려워 설치 장소의 제약이 있으며,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비가 많이 소요되고, 장치 내에서 갇힌 동물을 포획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하며, 설치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가 저렴하며, 장치 내에 갇혀진 동물을 포획하기 용이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는, 일정 높이에 상부가 고정된 그물부재와, 상기 그물부재의 하측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에서 하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된 복수의 승강끈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홀딩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유인된 유해 동물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로 구성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 하측에 삽입관을 횡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를 고정시킨 복수 개의 지주가 연결끈으로 고정되며, 상기 그물부재의 하부 일측에는 포획된 유해 동물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포획부가 구비되고, 상기 포획부 내에는 포획된 유해 동물이 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악 지형에 심어져 있는 나무 등을 이용하여 설치 장소에서 조립 설치하는 매우 편리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고, 제조비가 저렴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서 그물부재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서 승강부재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의 일부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상측에 일정 높이의 그물부재(10)가 구비되고, 상기 그물부재(10)의 하부 외측에는 승강부재(20)가 고정되어 진다.
상기 그물부재(10)는 상,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은 복수 개의 고정끈(11)에 의해 적정의 높이에 고정되는데, 이는 설치 위치 주변에 심어져 있는 나무 등의 기둥(1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물부재(1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바닥에 밀착되어 포획된 유해 동물(A)이 하측으로 통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바닥부(1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물부재(10)의 하부 일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포획된 유해 동물(A)을 외부로 유도하거나 포획하기 위한 포획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포획부(14) 내에는 포획된 유해 동물(A)이 상기 그물부재(10) 내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고,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일부를 개방시킨 역류방지부(15)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획부(14)의 끝단에는 묶거나 묶음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묶음끈(1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그물부재(10)의 하측에는 승강부재(20)가 고정되는데, 이 승강부재(20)는 상승된 상태에서 하부의 일정 구역 내에 유해 동물(A)이 유입되면 별도의 조작에 의해 하강하여 유래 동물(A)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여 포획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지주(21)와, 상기 지주(21)의 상,하측에 고정된 삽입부(22)(23), 그리고 상기 삽입부(22)(23)에 양단이 삽입되는 연결관(24)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지주(21)는 연결끈(25)의 묶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다.
상기 지주(21)의 하단은 삽입부(23)가 일정 높이를 두고 고정됨으로써 지면에 일부분이 박히도록 선단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2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승강끈(27)이 고정되고, 이 승강끈(27)의 상단은 설치 위치 주변의 나무 등의 기둥(28)에 고정된 로울러(29)에 감겨져 일정 위치에 모여 고정된다.
상기 로울러(29)는 그물부재(10)의 상단에 연결된 고정끈(11)이 고정된 기둥(12)과 같은 나무의 기둥(28)에 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끈(11)과 다른 나무의 기둥(28)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그 높이는 상기 승강부재(20)의 하단이 지면으로부터 약 2M 이상 거리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재(20)는 금속재, 바람직하게는 철이나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재(20)를 상승시킨 다수의 승강끈(27)을 한곳에 모아서 미도시한 별도의 홀딩부재(30)를 이용하여 일시에 홀딩 상태를 해제시켜 하강하도록 하거나, 각각의 승강끈(27)을 각각의 홀딩부재(30)로 해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승강부재(20)의 외측 주변에는 감시 카메라(31)를 설치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모니터로 유해 동물(A)의 유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홀딩부재(30)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감시 카메라(31)에서 보내지는 영상을 보면서 유해 동물(A)을 포획하는 경우에는 유해 동물만을 식별하여 선택적으로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20)의 주변에는 감사 카메라(31)를 설치하여 이로부터 보내지는 영상을 감시하면서 홀딩부재(30)에 고정된 승강끈(27)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승강부재(20) 및 그물부재(10)의 하강에 의해 유해 동물(A)을 포획하거나, 미도시한 동작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일정 구역 내에 움직이는 동물이 접근하면 상기 홀딩부재(30)를 작동시켜 승강끈(27)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유해 동물(A)을 포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부재(20)의 하측에는 유해 동물(A)을 유인하기 위한 먹이(B)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유해 동물 포획장치는 그물부재(10)와 지주(21), 삽입관(24) 등으로 분리된 승강부재(20)를 설치할 위치로 운반한다.
이때, 상기 그물부재(10) 및 승강부재(20)는 분리된 상태로 운반이 가능하게 되어 운반 및 이동이 편리하게 된다.
이렇게 운반한 그물부재(10) 및 승강부재(20)는 그 지형에 맞게 설치를 하게 되는데, 나무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적정의 위치에 설치한다.
즉, 주위의 나무를 이용하여 그물부재(10)의 고정끈(11)은 기둥(12)의 적정 위치에 고정설치하고, 상기 그물부재(10)의 하측에는 승강부재(20)를 조립하여 고정한다.
상기 승강부재(20)는 지주(21)의 삽입부(22)(23)에 삽입관(24)을 각각 조립하면서 그물부재(10)의 하부 크기와 대략 유사한 크기로 조립하고, 연결끈(25)을 각 지주(21)에 묶어서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결합하고, 조립된 승강부재(20)는 상기 그물부재(10)의 하부에 고정하고, 상기 승강부재(20)에 고정된 복수 개의 승강끈(27)은 나무를 이용한 기둥(28)의 적정의 위치에 고정된 로울러(29)에 감아서 상기 승강부재(20)가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높이로 조정하고, 이 승강끈(27)들은 한 곳에 위치한 홀딩부재(30)에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승강부재(20)의 일측으로 포획부(14)를 인출한 후 그 선단의 묶음끈(16)은 묶어 준다.
상기 승강끈(27)들은 승강부재(20)가 일정 높이로 위치되도록 조정하여 한곳에 집결하여 홀딩부재(30)에 고정하거나 각각의 승강끈(27)들을 각각의 홀딩부재(30)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장치의 설치가 완료되면 별도의 장소에서 감시 카메라(31)로부터 보내지는 영상을 보면서 승강부재(20)의 하측에 위치된 먹이(B)에 의해 유해 동물(A)이 유인되면 상기 홀딩부재(30)를 조작하여 승강끈(27)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된 승강부재(20)가 하강하여 바닥에 낙하하면 그 내부의 유해 동물(A)은 갇힌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승강부재(20) 및 그물부재(10)의 하강에 따라 그 내부에 갇힌 유해 동물(A)들이 움직이다가 승강부재(20)를 넘게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물부재(10)에 의해 갇힌 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부재(20) 및 그물부재(10) 내에 갇힌 유해 동물(A)은 포획부(14)를 통하여 유도한 후 묶음끈(16)을 풀어주면 외부로 유도하여 포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에는 상기 포획부(14)의 내부에 역류방지부(15)가 구비되어 유해 동물(A)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포획된 유해 동물(A)을 외부로 유도하여 포획한 후에는 다시 승강끈(27)을 당겨서 상기 승강부재(20) 및 그물부재(10)를 상승시킨 후 홀딩부재(30)에 고정시키면 이후에 유해 동물(A)의 포획이 가능하게 된다.
10: 그물부재 14: 포획부
20: 승강부재 21: 지주
22,23: 삽입부 24: 삽입관
27: 승강끈 30: 홀딩부재
31: 감시 카메라

Claims (3)

  1. 일정 높이에 상부가 고정된 그물부재와,
    상기 그물부재의 하측에 고정되어 일정 높이에서 하강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에 연결된 복수의 승강끈을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홀딩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유인된 유해 동물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로 구성된 유해 동물 포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 하측에 삽입관을 횡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를 고정시킨 복수 개의 지주가 연결끈으로 고정되며, 상기 그물부재의 하부 일측에는 포획된 유해 동물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포획부가 구비되고, 상기 포획부 내에는 포획된 유해 동물이 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동물 포획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98455A 2018-08-23 2018-08-23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102132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55A KR102132159B1 (ko) 2018-08-23 2018-08-23 유해 동물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455A KR102132159B1 (ko) 2018-08-23 2018-08-23 유해 동물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29A KR20200022629A (ko) 2020-03-04
KR102132159B1 true KR102132159B1 (ko) 2020-07-09

Family

ID=69783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455A KR102132159B1 (ko) 2018-08-23 2018-08-23 유해 동물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817B1 (ko) * 2022-05-19 2023-07-10 미소에이스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조류접근 제어시스템
KR102537072B1 (ko) * 2022-11-24 2023-05-30 주식회사 광진기업 유기 및 유해 동물 가변형 스마트 포획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247A (ja) 2007-11-06 2009-05-28 Cic:Kk 有害動物捕獲器
JP3163272U (ja) 2010-07-23 2010-10-07 兵庫県 捕獲ネットの落下装置
JP3171225U (ja) 2011-08-08 2011-10-20 小浜ヤンマー株式会社 動物捕獲装置
JP2018019616A (ja) * 2016-08-02 2018-02-08 紀孝 菊地 動物捕獲装置及び動物捕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2060B1 (ko) * 2016-07-15 2018-03-26 이성민 동물포획을 위한 낙하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2247A (ja) 2007-11-06 2009-05-28 Cic:Kk 有害動物捕獲器
JP3163272U (ja) 2010-07-23 2010-10-07 兵庫県 捕獲ネットの落下装置
JP3171225U (ja) 2011-08-08 2011-10-20 小浜ヤンマー株式会社 動物捕獲装置
JP2018019616A (ja) * 2016-08-02 2018-02-08 紀孝 菊地 動物捕獲装置及び動物捕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29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1727B2 (en) Humane animal trap
KR101071875B1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KR102132159B1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US10154663B2 (en) Indoor live bird capture system
US20110308137A1 (en) Wall-Less Trap Systems and Methods
JP5113821B2 (ja) 鹿の捕獲装置とその使用方法
US20190364874A1 (en) Drop-Style Trap Door for Trapping Animals
KR20100115337A (ko) 동물의 포획장치
JP4505542B1 (ja) 鱗翅目昆虫防除器
KR20200065235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101939909B1 (ko) 유해동물 포획기구
JP6399392B2 (ja) 取付座付括り罠
JP3179233U (ja) 野生動物捕獲檻
KR200490268Y1 (ko) 유해 야생동물 포획장치
JP2005168488A (ja) 捕虫装置
JP6200028B1 (ja) 罠用殺処分装置
KR102165404B1 (ko) 야생동물 포획장치
KR102052609B1 (ko) 조립식 포획틀
JP2012005449A (ja) 獣捕獲罠
KR20220126952A (ko) 멧돼지 포획장치
US20220408688A1 (en) Hog Trap with Anti-climb and Anti-dig Bars
KR20230107068A (ko) 야생동물 포획 기능을 갖는 울타리
JPH0711589Y2 (ja) 野生動物捕獲柵
KR20210035428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JP3240591U (ja) 動物捕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