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404B1 - 야생동물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포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5404B1 KR102165404B1 KR1020190160419A KR20190160419A KR102165404B1 KR 102165404 B1 KR102165404 B1 KR 102165404B1 KR 1020190160419 A KR1020190160419 A KR 1020190160419A KR 20190160419 A KR20190160419 A KR 20190160419A KR 102165404 B1 KR102165404 B1 KR 1021654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safety pin
- frame
- closing door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01M23/20—Box traps with dropping doors or sl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양단으로 개구된 포획틀; 상기 포획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획틀의 내부 양단을 개폐하는 제1·2개폐문; 상기 제1·2개폐문에 각각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상승된 제1·2개폐문을 고정하는 제1·2안전핀; 상기 야생동물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게 일단이 포획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안전핀에 고정되는 인계선; 상기 제1개폐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2안전핀에 고정되는 연동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입로의 반대편이 보이도록 포획틀을 통로형태로 제작하여 야생동물이 경계심을 풀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유도할 수 있어 포획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진입로의 반대편이 보이도록 포획틀을 통로형태로 제작하여 야생동물이 경계심을 풀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유도할 수 있어 포획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야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내부가 연통된 통로로 되어 있어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기 때문에 야생동물의 경계심을 낮출 수 있고, 야생동물을 손쉽게 포획할 수 있는 야생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농가에서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야생동물들이 마을 한복판까지 출몰하여 농작물을 비롯해 비닐하우스를 파괴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인명피해를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야생동물들은 먹이를 구하기 위하여 주택가의 하수구나 쓰레기장 등 먹이가 있는 곳에 출몰하여 각종 전염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야생동물들이 증가함에 따라 농가에서는 총기를 이용해 야생동물들을 사냥하고 있지만, 총기사용은 소음이나 안전상에 큰 문제가 있고, 덫을 이용해 동물의 발목을 잡는 방법과 이동통로에 설치된 철사 올가미를 이용하여 포획하는 방법 등은 동물에 치명적인 상처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야생동물을 상처 없이 산채로 잡기 위한 포획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획장치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26592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야생동물이 포획상자 내로 들어와 발판을 누르면 개폐문이 회전하면서 출입구를 닫아 야생동물을 포획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포획상자의 내부에 발판이 형성되고, 타단이 발판과 와이어로 연결된 상태에서 포획상자의 상부에 시소형태로 작동바아가 결합되고, 작동바아의 일단에는 개폐문의 하부가 삽입되어 열린상태로 고정되는 걸림쇠가 형성되어, 야생동물이 발판을 누르면 걸림쇠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개폐문이 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출입구를 막게 된다.
그리고 개폐문의 일측 또는 타측 프레임과 개폐문이 맞닿는 포획상자의 일측 또는 타측 프레임에 걸림링이 동시에 끼워져 개폐문이 출입구를 막게 되면 걸림링이 개폐문과 포획상자에 걸려 개폐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획장치는 포획상자 내로 들어온 야생동물이 발판을 눌렀을 경우에만 개폐문이 닫히기 때문에 야생동물이 먹이를 물고 나가는 경우에는 포획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내부가 연통된 통로로 되어 있어 야생동물의 경계심을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어 손쉽게 포획할 수 있는 야생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하려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양단으로 개구된 포획틀;
상기 포획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획틀의 내부 양단을 개폐하는 제1·2개폐문;
상기 제1·2개폐문에 각각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상승된 개폐문을 고정하는 제1·2안전핀;
상기 야생동물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게 일단이 포획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안전핀에 고정되는 인계선;
상기 제1개폐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2안전핀에 고정되는 연동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포획틀을 따라 이동하는 야생동물에 의해 인계선이 당겨지면서 제1개폐문으로부터 제1안전핀이 뽑히고, 제1안전핀이 제거된 제1개폐문은 하강하여 포획틀의 내부 일단을 폐쇄하며, 제1개폐문의 하강시 연동선이 함께 이동되면서 제2개폐문으로부터 제2안전핀을 뽑으며, 제2안전핀이 제거된 제2개폐문은 하강하여 포획틀의 내부 타단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입로의 반대편이 보이도록 포획틀을 통로형태로 제작하여 야생동물이 경계심을 풀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유도할 수 있어 포획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야생동물이 통과하는 과정에 인계선을 매개로 제1안전핀이 뽑히면서 제1개폐문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포획틀의 일단을 폐쇄하고, 제1개폐문의 낙하시 연동선을 매개로 제2안전핀이 뽑히면서 제2개폐문이 낙하되어 포획틀의 타단을 폐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야생동물의 퇴로를 손쉽게 차단할 수 있어 포획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1·2개폐문이 하강하여 포획틀 내로 인입될 경우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딩걸쇠가 스프링에 의해 돌출되어 일단부가 제1·2개폐문의 상면에 배치됨에 따라 제1·2개폐문은 슬라이딩걸쇠에 걸려 재상승이 불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포획된 야생동물의 탈출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에서 안전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민감도를 설명하기 위한 변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에서 안전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민감도를 설명하기 위한 변형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폐쇄된 상태와 개방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에서 안전장치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포획틀(10)과 제1·2개폐문(20,20'), 제1·2안전핀(30,30'), 인계선(40) 및 연동선(4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내부가 연통된 통로로 되어 있어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기 때문에 야생동물의 경계심을 낮출 수 있고, 야생동물을 손쉽게 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안전장치(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포획틀(10)은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양단으로 개구된 통로형상의 금속재질의 부재로, 프레임(11)과 망(12), 가이드바(13), 안전핀가이드부(14) 및 도르래(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1)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며 내부가 양단과 둘레면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11)의 개구된 둘레면에는 금속재질의 망(12)이 통상의 방법(예:용접 등)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의 양단부 상면에는 제1·2개폐문(20,20')이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삽탈홈(11a)이 마련되는데, 이 삽탈홈(11a)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제1·2개폐문(20,20')을 안내하는 가이드바(13)가 관통되게 끼워져 통상의 방법(예:용접, 볼팅 등)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3)의 상단은 프레임(11)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삽탈홈(11a)을 관통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제1·2개폐문(20,20')을 프레임(11)의 상면까지 상승시키더라도 가이드바(13)가 쓰러지지 않게 지지해주며, 이에 따라 제1·2개폐문(20,20')에 제1·2안전핀(30,30')을 끼우는 작업이 보다 더 수월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의 일단부 상면에는 제2안전핀(30')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안전핀가이드부(14)가 통상의 방법(예:용접, 볼팅 등)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의 내부에는 인계선(40)의 일단이 설치되며 인계선(40)을 가이드하는 링(도 3 참조) 및 도르래(15)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2개폐문(20,20')은 창살을 갖춘 금속재질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포획틀(10)의 가이드바(1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획틀(10)의 내부 양단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2개폐문(20,20')에는 제1·2안전핀(30,30')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착공(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1개폐문(20)과 제2개폐문(20')에는 장착공(21)이 형성되는데, 제1개폐문(20)의 장착공(21)에는 제1안전핀(30)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고, 제2개폐문(20')의 장차공(21)에는 안전핀가이드부(14)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안전핀(30')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제1·2개폐문(20,20')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2안전핀(30,30')은 제1·2개폐문(20,20')의 장착공(21)에 각각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상승된 제1·2개폐문(20,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안전핀(30)은 양단에 링이 마련되며, 제1개폐문(20)을 향해 돌출되어 제1개폐문(20)의 장착공(2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돌부(예:단봉)를 갖춘‘ㅗ’형상의 부재로, 포획틀(10)의 타단부 상면에 배치되되, 일단에 마련된 링에는 포획틀(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축(볼트:B)에 끼워져 이를 매개로 횡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마련된 링에는 인계선(40)의 일단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안전핀(30)의 타단에 마련된 링에는 인계선(40)과 더불어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60)의 일단이 설치되며, 여기서 탄성체(60)는 제1안전핀(30)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안전핀(30')은 아이볼트와 같이 일단에 링이 마련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안전핀가이드부(14)에 관통되게 끼워지고, 관통되어 돌출된 부분이 제2개폐문(20)의 장착공(2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제2안전핀(30')의 링에는 연동선(40')의 일단이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계선(40)과 연동선(40')은 소정의 굵기를 갖는 와이어, 로프, 밧줄 등과 같은 부재이다.
상기 인계선(40)의 야생동물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게 포획틀(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인계선(40)의 일단은 포획틀(10)의 내부에 마련된 한 쌍의 링(도 3 참조)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이 나머지 링(도 3 참조)을 관통하여 도르래(15)를 경유해 제1안전핀(30)을 구성하는 링(도 3 참조)에 고정된다.
상기 포획틀(10)의 내부에 배치된 인계선(40)은 야생동물이 이동하는 경로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야생동물의 걸림을 감지할 수 있는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연동선(40')은 일단이 제1개폐문(20)의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안전핀(30')의 링(도 3 참조)에 고정된다.
일 예로, 야생동물이 포획틀(1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 인계선(40)에 걸리게 되면 인계선(40)이 당겨지고, 인계선(40)의 당김에 의해 인계선(40)과 연결된 제1안전핀(30)이 당겨지면서 제1개폐문(20)으로부터 이탈되며, 이에 따라 제1개폐문(2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포획틀(10)의 내부 일단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제1개폐문(20)에 의해 제1개폐문(20)에 일단이 고정된 연동선(40')이 강하게 당겨지게 되고, 연동선(40')이 당겨짐에 따라 연동선(40')과 연결된 제2안전핀(30')이 당겨지면서 제2개폐문(20')으로부터 이탈되며, 이에 따라 제2개폐문(2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포획틀(10)의 내부 타단을 폐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포획틀(10)의 상면 양단부에는 하강된 제1·2개폐문(20,20')이 재 상승되는 것을 제한하는 안전장치(50)가 더 보강된다.
상기 안전장치(50)는 일반적으로 문을 잠그기 위한 시건장치(施鍵裝置:잠금장치)로 본체(51)와 슬라이딩걸쇠(52) 및 스프링(53)으로 구성되어 제1·2개폐문(20,20')의 승강을 제한한다.
상기 본체(51)는 일단이 막히고 타단이 개방된 통 형상의 부재로, 내부에는 슬라이딩걸쇠(52)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슬라이딩홀(51a)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51)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홀(51a)과 상호 연통되며, 슬라이딩걸쇠(52)의 손잡이(52a)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부(51b)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홀(51a)의 양단에는 본체(51)의 둘레면을 따라 연장되어 슬라이딩걸쇠(52)의 손잡이(52a)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전진유지부(51c)와 후퇴유지부(51d)가 일체로 형성되며, 여기서 전진유지부(51c)에는 슬라이딩걸쇠(52)의 손잡이(52a)가 수용되어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후퇴유지부(51d)에는 슬라이딩걸쇠(52)의 손잡이(52a)가 수용되어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걸쇠(52)는 본체(51)의 슬라이딩홀(51a)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제1·2개폐문(20,20')이 상승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걸쇠(52)의 외면에는 가이드부(51b)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전진유지부(51c) 또는 후퇴유지부(51d)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손잡이(52a)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53)은 코일스프링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51)에 내설되어 슬라이딩걸쇠(52)를 일방향 즉, 제1·2개폐문(20,20')을 향해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슬라이딩걸쇠(52)의 손잡이(52a)를 이용해 후퇴시킨 다음 손잡이(52a)를 후퇴유지부(51d)에 걸어준다. 이때 본체(51)에 내설된 스프링(53)은 후퇴하는 슬라이딩걸쇠(52)에 의해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개폐문(20,20')을 상승시켜 준 다음, 상승된 제1·2개폐문(20,20')을 제1·2안전핀(30,30')으로 각각 고정하고, 제1·2개폐문(20,20')이 고정되면 후퇴유지부(51d)로부터 슬라이딩걸쇠(52)의 손잡이(52a)를 이탈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52a)가 후퇴유지부(51d)로부터 이탈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걸쇠(52)가 밀리면서 슬라이딩걸쇠(52)의 선단부는 제1·2개폐문(20,20')의 일면에 맞대어진 상태로 제1·2개폐문(20,20')의 일면을 밀고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개폐문(20,20')으로부터 제1·2안전핀(30,30')이 이탈되면, 제1·2개폐문(20,20')은 하강하여 포획틀(10)의 내부로 인입되며, 이때 슬라이딩걸쇠(52)는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밀려나와 제1·2개폐문(20,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걸쇠(52)의 일단부가 제1·2개폐문(20,20')의 상면에 배치됨에 따라 제1·2개폐문(20,20')은 슬라이딩걸쇠(52)에 걸려 재상승이 불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포획된 야생동물의 탈출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개폐문(20,20')이 하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걸쇠(52)의 일단부가 제1·2개폐문(20,20')의 상면에 배치되도록 하면 차량으로 운반하는 과정에 제1·2개폐문(20,20')이 상하로 이동하면서 충격과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면이다.
먼저, 야생동물(예:멧돼지)의 출몰이 예상되는 지점에 본 발명에 따른 포획장치를 배치한다.
그 다음, 도 4b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안전장치(50)를 구성하는 슬라이딩걸쇠(52)의 손잡이(52a)를 이용해 후퇴시킨 다음, 손잡이(52a)를 후퇴유지부(51d)에 걸어 고정하며, 이때 본체(51)에 내설된 스프링(53)은 후퇴된 슬라이딩걸쇠(52)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포획틀(10)에 인입된 제1개폐문(20)을 가이드바(13)를 따라 상방으로 인출한 다음 제1안전핀(30)을 제1개폐문(20)의 장착공(21)에 끼워넣어 제1개폐문(20)의 승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그 다음 제2개폐문(20')을 인출한 다음 제2안전핀(30')을 안전핀가이드부(14)에 관통되게 삽입한 다음 관통되어 돌출된 부분을 제2개폐문(20')의 장착공(21)에 끼워넣어 제1개폐문(20)의 승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2개폐문(20,20')이 제1·2안전핀(30,30')에 의해 각각 고정되면, 후퇴유지부(51d)로부터 슬라이딩걸쇠(52)의 손잡이(52a)를 이탈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52a)가 후퇴유지부(51d)로부터 이탈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걸쇠(52)가 밀리면서 슬라이딩걸쇠(52)의 선단부는 제1·2개폐문(20,20')의 일면에 맞대어진 상태로 제1·2개폐문(20,20')의 일면을 밀고 있게 되면서 야생동물 포획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야생동물이 포획틀(10)의 내부로 진입하여 통과하는 과정에 인계선(40)에 걸리게 되면, 야생동물에 의해 인계선(40)이 당겨지게 되고, 인계선(40)이 당겨짐에 따라 인계선(40)과 연결된 제1안전핀(30)이 당겨지면서 제1개폐문(20)으로부터 이탈되며, 이에 따라 제1개폐문(2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포획틀(10)의 내부 일단을 신속하게 폐쇄하게 된다.
또한,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제1개폐문(20)에 의해 제1개폐문(20)에 일단이 고정된 연동선(40')이 강하게 당겨지게 되고, 연동선(40')이 당겨짐에 따라 연동선(40')과 연결된 제2안전핀(30')이 당겨지면서 제2개폐문(20')으로부터 이탈되며, 이에 따라 제2개폐문(20')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포획틀(10)의 내부 타단을 폐쇄하여 야생동물을 순식간에 포획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2개폐문(20,20')이 하강하여 포획틀(10)의 내부로 인입되며, 제1·2개폐문(20,20')의 일면을 밀고 있던 슬라이딩걸쇠(52)는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더 밀려나와 제1·2개폐문(20,20')의 상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걸쇠(52)의 일단부가 제1·2개폐문(20,20')의 상면에 배치됨에 따라 제1·2개폐문(20,20')은 슬라이딩걸쇠(52)에 걸려 재상승이 불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포획된 야생동물의 탈출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진입로의 반대편이 보이도록 포획틀(10)을 통로형태로 제작하여 야생동물이 경계심을 풀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게 유도할 수 있어 포획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야생동물이 통과하는 과정에 인계선(40)을 매개로 제1안전핀(30)이 뽑히면서 제1개폐문(20)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포획틀(10)의 일단을 폐쇄하고, 제1개폐문(20)의 낙하시 연동선(40')을 매개로 제2안전핀(30')이 뽑히면서 제2개폐문(20')이 낙하되어 포획틀(10)의 타단을 폐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야생동물의 퇴로를 손쉽게 차단할 수 있어 포획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제1·2개폐문(20,20')이 하강하여 포획틀(10) 내로 인입될 경우 슬라이딩걸쇠(52)가 스프링(53)에 의해 돌출되어 일단부가 제1·2개폐문(20,20')의 상면에 배치됨에 따라 제1·2개폐문(20,20')은 슬라이딩걸쇠(52)에 걸려 재상승이 불가능해지며, 이에 따라 포획된 야생동물의 탈출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장치의 민감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포획틀(10)의 양단부 상면에 제1안전핀(30)이 각각 배치되어 제1·2개폐문(20,20')에 각각 끼워지고, 2개의 인계선(40)을 꼬은 다음 제1안전핀(30)에 각각 설치하여 인계선(40)이 당겨지면 제1·2개폐문(20,20')에 끼워진 제1안전핀(30)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뽑히도록 구성하였다.
[실험 예]
본 실험에 목적은 도 5b 및 도 6과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인계선(40)에 어느 정도의 힘(야생동물이 걸렸을 때를 가정)이 가해져야 제1안전핀(30)이 개폐문으로부터 뽑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작동민감도를 비교해 보고자 함에 있다.
(측정조건)
- 인장측정장비: 일본 오바사의 봉형텐션게이지(OBA50000)
- 측정방법: 포획틀 내에 배치된 인계선에 걸어서 당김
- 측정단위: Kg
먼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계선(40)이 제1안전핀(30)에만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장측정장비를 통해 수회에 걸쳐 실험(인계선에 걸어서 당김)해 본 결과, 평균 4Kg정도에 인장력이 인계선(40)에 가해져야 제1안전핀(30)이 제1개폐문(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야생동물 포획장치는 2개의 인계선(40)이 제1안전핀(30)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장측정장비를 통해 수회에 걸쳐 실험(인계선에 걸어서 당김)해 본 결과, 평균 8kg정도에 인장력이 인계선(40)에 가해져야 제1·2개폐문(20,20')에 끼워진 제1안전핀(30)이 모두 이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측정결과와 같이 야생동물이 인계선(40)에 걸렸을 때, 인계선(40) 하나로 제1·2개폐문(20,20')이 모두 닫힐 수 있게 제1안전핀(30)을 뽑도록 구성하는 것보다는, 인계선(40)과 연결된 제1안전핀(30)에 의해 제1개폐문(20)이 닫히도록 하면서 닫히는 제1개폐문(20)에 의해 제2개폐문(20')이 연쇄반응하여 닫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원활한 작동의 실현과 작동민감도 및 효율성을 고려해 보았을 때 보다 더 유리하다는 것을 간단한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포획틀 13: 가이드바 15: 도르래
20,20': 제1·2개폐문 21: 장착공 30,30': 제1·2안전핀
40: 인계선 40': 연동선 50: 안전장치
51: 본체 52: 슬라이딩걸쇠 53: 스프링
20,20': 제1·2개폐문 21: 장착공 30,30': 제1·2안전핀
40: 인계선 40': 연동선 50: 안전장치
51: 본체 52: 슬라이딩걸쇠 53: 스프링
Claims (3)
- 내부가 양단과 둘레면으로 개구된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며 양단부 상면에 삽탈홈이 마련된 프레임과, 프레임의 개구된 둘레면에 설치되는 금속재질의 망과, 일단부가 삽탈홈에 끼워지고 타단부가 삽탈홈을 관통해 상방으로 돌출되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가이드바와, 프레임의 일단부 상면에 설치되는 안전핀가이드부로 구성된 포획틀;
상기 가이드바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획틀의 내부 양단을 개폐하며 하단부에 장착공이 일체로 형성된 제1·2개폐문;
상기 프레임의 타단부 상면에 배치되고, 프레임의 타단부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축에 일단부가 설치되어 축을 중심으로 횡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개폐문의 장착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상승된 제1개폐문을 고정하는 제1안전핀;
상기 안전핀가이드부를 관통해 제2개폐문의 장착공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상승된 제2개폐문을 고정하는 제2안전핀;
상기 포획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안전핀에 고정되는 인계선;
상기 제1개폐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2안전핀에 고정되는 연동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포획틀을 따라 이동하는 야생동물에 의해 인계선이 당겨지면서 제1개폐문으로부터 제1안전핀이 뽑히고, 제1안전핀이 제거된 제1개폐문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포획틀의 내부 일단을 폐쇄하며, 제1개폐문의 하강시 연동선이 함께 이동되면서 제2개폐문으로부터 제2안전핀을 뽑으며, 제2안전핀이 제거된 제2개폐문은 하강하여 포획틀의 내부 타단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틀의 상면에는 하강된 제1·2개폐문이 상승되는 것을 각각 제한하는 안전장치가 더 보강 구비되고;
상기 안전장치는,
내부가 일단으로 개구된 슬라이딩홀을 갖추고서 상기 포획틀의 양단부 상면에 각각 설치되되, 외면에는 슬라이딩홀과 상호 연통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가이드부의 양단에는 슬라이딩홀과 연통되는 전진유지부와 후퇴유지부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갖추고서 슬라이딩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제1·2개폐문이 상승되는 것을 제한하는 슬라이딩걸쇠와,
상기 본체에 내설되어 슬라이딩걸쇠를 제1·2개폐문을 향해 미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0419A KR102165404B1 (ko) | 2019-12-05 | 2019-12-05 | 야생동물 포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0419A KR102165404B1 (ko) | 2019-12-05 | 2019-12-05 | 야생동물 포획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65404B1 true KR102165404B1 (ko) | 2020-10-15 |
Family
ID=7288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0419A KR102165404B1 (ko) | 2019-12-05 | 2019-12-05 | 야생동물 포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54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7490A (ko) * | 2020-05-29 | 2021-12-07 | 강민재 |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0759U (ko) | 1989-06-09 | 1991-01-23 | 이덕주 | 양산살대류의 전기도금장치 |
JP3050966U (ja) * | 1998-01-28 | 1998-08-07 | 有限会社川口自動車工業 | 野生動物捕獲器 |
JP2002272351A (ja) * | 2001-03-22 | 2002-09-24 | Takeshi Minami | 動物捕獲装置 |
KR200391481Y1 (ko) | 2005-05-10 | 2005-08-04 | 정영수 | 동물 포획장치 |
KR101049146B1 (ko) | 2008-10-06 | 2011-07-14 | 남경숙 | 동물 포획장치 |
KR101322840B1 (ko) | 2011-02-07 | 2013-10-28 | 박혜은 | 잠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동물 포획 장치 |
JP2013236612A (ja) * | 2012-05-16 | 2013-11-28 | Shozo Mizuguchi | 野生動物捕獲檻 |
JP3218048U (ja) * | 2018-06-22 | 2018-09-20 | 東之呉有限公司 | 動物捕獲装置 |
-
2019
- 2019-12-05 KR KR1020190160419A patent/KR1021654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0759U (ko) | 1989-06-09 | 1991-01-23 | 이덕주 | 양산살대류의 전기도금장치 |
JP3050966U (ja) * | 1998-01-28 | 1998-08-07 | 有限会社川口自動車工業 | 野生動物捕獲器 |
JP2002272351A (ja) * | 2001-03-22 | 2002-09-24 | Takeshi Minami | 動物捕獲装置 |
KR200391481Y1 (ko) | 2005-05-10 | 2005-08-04 | 정영수 | 동물 포획장치 |
KR101049146B1 (ko) | 2008-10-06 | 2011-07-14 | 남경숙 | 동물 포획장치 |
KR101322840B1 (ko) | 2011-02-07 | 2013-10-28 | 박혜은 | 잠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동물 포획 장치 |
JP2013236612A (ja) * | 2012-05-16 | 2013-11-28 | Shozo Mizuguchi | 野生動物捕獲檻 |
JP3218048U (ja) * | 2018-06-22 | 2018-09-20 | 東之呉有限公司 | 動物捕獲装置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3050966 U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7490A (ko) * | 2020-05-29 | 2021-12-07 | 강민재 |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
KR102369241B1 (ko) | 2020-05-29 | 2022-03-02 | 강민재 |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9146B1 (ko) | 동물 포획장치 | |
KR101071875B1 (ko) |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 |
US8661726B2 (en) | Humane animal trap | |
KR102165404B1 (ko) | 야생동물 포획장치 | |
KR200426592Y1 (ko) | 야생동물 포획장치 | |
US20110308137A1 (en) | Wall-Less Trap Systems and Methods | |
US2193937A (en) | Rat trap | |
JP3165054U (ja) | 害獣の処理用檻 | |
US20170000105A1 (en) | Animal cage trap | |
JP2016116505A (ja) | 殺処分用罠装置 | |
JP6055980B1 (ja) | 害獣捕獲装置 | |
JP2007049904A (ja) | 動物捕獲檻 | |
KR102537071B1 (ko) | 야생동물 포획 장치 | |
JP2002272351A (ja) | 動物捕獲装置 | |
JP4362547B1 (ja) | 獣捕獲用箱罠 | |
JP6200028B1 (ja) | 罠用殺処分装置 | |
CA2712033A1 (en) | Advanced powered trigger system "support mechanism" for cage and or corral-type animal traps | |
JP2017063673A (ja) | 害獣類の捕獲兼用処理檻 | |
KR102239929B1 (ko) | 동물 포획장치 | |
JP7560847B2 (ja) | 獣類用檻の連結構造 | |
US1146911A (en) | Fish-trap. | |
CN108935428A (zh) | 一种快速连续捕鼠器 | |
KR20200065235A (ko)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
CN214385762U (zh) | 一种多功能用于持续安全的老鼠捕获装置 | |
JP3200511U (ja) | 動物捕獲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