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7490A -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 Google Patents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7490A
KR20210147490A KR1020200064818A KR20200064818A KR20210147490A KR 20210147490 A KR20210147490 A KR 20210147490A KR 1020200064818 A KR1020200064818 A KR 1020200064818A KR 20200064818 A KR20200064818 A KR 20200064818A KR 20210147490 A KR20210147490 A KR 20210147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apture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241B1 (ko
Inventor
강민재
Original Assignee
강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재 filed Critical 강민재
Priority to KR1020200064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4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긴 6면체로 되어 내부에 포획실이 형성되고, 전후벽과 상면과 바닥이 금속제망으로 되며, 좌우측에 제1,제2개방부를 만들어 제1,제2출입문이 배치되어 개방부의 출입문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유해동물이 들어가면 출입문이 닫혀서 스스로의 힘으로는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되고, 포획실 바닥에 유해동물 유인용 먹이를 놓아 유해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 포획실에 들어오면 세로 작동간이 회전하여 개방부에 장치한 문을 닫아, 유해 야생동물을 포획실내에 가둘 수 있게 한 포획틀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제1출입문은 틀체 일측제1개방부에 제1출입문이 수납되는 제1출입문 장치홈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제1출입문을 장치홈 바닥에서 상면으로 들면 회전하면서 들어올려져 개방되고, 유해동물이 포획실에 들어가면 상면에서 바닥으로 회전하면서 장치홈내에 복귀되어 출입문이 닫힐 수 있게 구성하고, 제2출입문은 제2개방부 양측면에 각각 위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문지지대를 설치하여 출입문이 문지지대에 힌지연결되어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야생동물이 외부에서 내부로 문을 밀고 포획실로 들어가면 제2출입문이 열리고, 제2출입문을 통과하는 순간 제2출입문이 닫히게 구성하고, 제1,제2출입문은 문틀내에 문틀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경사지지대를 설치하여, 경사지지대 사이에 경사구멍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유해동물이 내부에서 문을 밀면 경사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경사구멍으로 주둥이가 끼여 경사지지대 따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스스로가 문을 밀치지 못하게 하고, 먹이장치대 쪽에 작동막대가 부착된 세로작동봉을 장치하여 작동막대를 밀면 세로작동봉이 회전하여 제1출입문의 빗장봉이 열리게 장치함으로써, 포획실에 들어온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포획틀과 같은 6면체의 망체로 되어 입구측 바닥에 바퀴가 부착되고, 입구측의 개방부에 개폐문이 부착되어 포획틀에 연결시킬 수 있는 이동용 포획틀을 갖추어서 포획틀에서 포획한 동물을 이동형 포획틀에 이적시킬 수 있고, 이동형 포획틀에 견인구를 갖추어서 포획틀에서 포획한 동물을 처리장소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이다.

Description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Harmful Wildlife Capture Frame}
본 발명은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긴 6면체로 되어 내부에 포획실이 형성되고, 전후벽과 상면과 바닥이 금속제망으로 되며, 좌우측에 제1,제2개방부를 만들어 제1,제2출입문이 배치되어 개방부의 출입문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유해동물이 들어가면 출입문이 닫혀서 스스로의 힘으로는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되고, 포획실 바닥에 유해동물 유인용 먹이를 놓아 유해동물이 먹이를 먹기 위해 포획실에 들어오면 세로 작동간이 회전하여 개방부에 장치한 문을 닫아, 유해 야생동물을 포획실내에 가둘 수 있게 한 포획틀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제1출입문은 틀체 일측제1개방부에 제1출입문이 수납되는 제1출입문 장치홈을 수직으로 형성하여, 제1출입문을 장치홈 바닥에서 상면으로 들면 회전하면서 들어올려져 개방되고, 유해동물이 포획실에 들어가면 상면에서 바닥으로 회전하면서 장치홈내에 복귀되어 출입문이 닫힐 수 있게 구성하고, 제2출입문은 제2개방부 양측면에 각각 위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문지지대를 설치하여 출입문이 문지지대에 힌지연결되어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야생동물이 외부에서 내부로 문을 밀고 포획실로 들어가면 제2출입문이 열리고, 제2출입문을 통과하는 순간 제2출입문이 닫히게 구성하고, 제1,제2출입문은 문틀내에 문틀을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경사지지대를 설치하여, 경사지지대 사이에 경사구멍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유해동물이 내부에서 문을 밀면 경사지지대 사이에 형성된 경사구멍으로 주둥이가 끼여 경사지지대 따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스스로가 문을 밀치지 못하게 하고, 먹이장치대 쪽에 작동막대가 부착된 세로작동봉을 장치하여 작동막대를 밀면 세로작동봉이 회전하여 제1출입문의 빗장봉이 열리게 장치함으로써, 포획실에 들어온 동물을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포획틀과 같은 6면체의 망체로 되어 입구측 바닥에 바퀴가 부착되고, 입구측의 개방부에 개폐문이 부착되어 포획틀에 연결시킬 수 있는 이동용 포획틀을 갖추어서 포획틀에서 포획한 동물을 이동형 포획틀에 이적시킬 수 있고, 이동형 포획틀에 견인구를 갖추어서 포획틀에서 포획한 동물을 처리장소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종래의 포획틀은 6면체로 되고, 외벽이 망으로 된 포획틀 내부로 들어가는 출입구에 바닥에서 상면으로 열리는 개폐문을 설치하여, 개폐문을 들어올려서 개폐문 하단과 개방부 사이에 걸림봉을 장치하고, 걸림봉의 일단을 발판과 와이어로 연결하여 발판을 밟으면, 걸림봉이 당겨져서 개폐문의 장진 상태가 풀려 출입문이 하강하여 출입구를 차폐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포획틀안에는 한마리의 동물이 들어가면 같이 온 동물을 포획할 수 없는 불편이 있었고, 포획된 동물을 포획틀내에서 사살해야 하므로, 사살 혈흔이 포획틀에 남게 되어 후각이 예민한 유해 야성동물들이 다음부터 그 포획틀에 들어오지 않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883556호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6면체로 되어 내부에 포획실(101)이 형성되고, 전방벽과 후방벽 그리고 바닥과 상면이 금속망으로 되며, 좌우측에 제1개방부(105)와, 제2개방부(107)를 만들어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에 각각 제1출입문(200)과, 제2출입문(300)이 장치되는 포획틀(100)이 개시된다.
상기에서 제1개방부(105)에는 바닥에서 후측벽을 지나 상면에 이르는 3면이 개방된 제1출입문장치홈(106)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제1출입문(200)이 장치된다.
제1출입문(200)은 4각형틀체(201) 내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다수의 경사지지간(202)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경사지지간 사이에 경사구멍(203)이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모서리에 연결구멍(204)이 형성된 연결돌편(205)이 형성되며, 연결돌편 반대측 외주에 손잡이(206)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고정돌편(207)이 부착되어 고정돌편의 지지축에 걸고리(208)가 장치된다.
제1출입문(200)이 장치되는 제1출입문장치홈(106)에는 상단모서리에 지지돌편(108)이 형성되어 회전축(109)이 삽통되므로, 제1출입문이 제1출입문장치홈에 투입하고, 제1출입문의 상측모서리에 부착된 연결돌편(205)을 지지돌편(108)에 결합하여 연결공으로 연결축(109)을 삽통하면 연결축이 회전축 작용을 하므로, 제1출입문을 바닥에서 상면으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고, 제1출입문의 문틀에는 고정돌편(212)이 형성되어 고정구멍(213)과 안전핀삽입구멍(214)이 형성된다.
상기 포획틀의 제1개방부 반대측에는 제2개방부(107)가 형성되어 제2출입문(300)이 장치된다.
제2출입문(300)은 두짝으로 이루어져 제2개방부에 장치되며, 제2개방부(107)에는 전후벽 양측에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향해 일정각도 경사지는 문지지대(110)(111)가 부착되어, 제2출입문(300)의 양측 문짝(301)(302)이 경첩에 의거 경사지게 부착되고, 제2출입문의 양측 문짝이 접촉하는 제2개방부 상단에는 외측에 상측지지판(112)이 배치되어, 제2출입문의 양측 문짝(301)(302) 상단부에 부착된 돌출봉(301a)(302a)과, 상측지지판(112)의 돌출봉(113)(114) 사이에 코일스프링(115)이 장치되고, 제2출입문의 하단이 접촉하는 제2개방부에는 제2출입문의 하단이 접촉하는 외측에 하측지지판(116)이 장치되어 제2출입문이 제2개방부에서 경사지게 설치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열리도록 된다.
제2출입문(300)의 양측 문짝(301)(302)에는 4각형 문틀 사이에 대각선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지지대(303)가 나란히 배치되어 경사지지대 사이에 경사구멍(304)이 형성된다.
포획틀(100)의 포획실(101) 중앙에는 바닥에 먹이장치대(400)가 배치되고, 포획실(101) 상면에는 장치판(500)이 부착되어 장치판에서 포획실(101)로 수직되게 축관(501)이 형성되어 축관에 세로작동봉(502) 상단이 끼워지고, 포획실에 위치하는 세로작동봉(502) 외주에는 측방으로 일정간격에 수개의 지지관(503)이 형성되어 작동막대(504) 내측단이 끼워진다.
세로작동봉 상단은 축관(501)을 통해 장치판(500) 상면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에 세로작동봉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토퍼(505)의 연결관(505a)이 끼워져 고정볼트(506)로 체결되어 일체로 되고, 스토퍼의 돌출단에는 상향걸림부(505b)가 형성된다.
장치판(500) 상면에는 스토퍼(505)와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게 일단에 연결공(507a)이 형성되어 장치판의 상면 회전축(500a)에 끼워져 회전하고, 연결공 반대측이 돌출단(507b)이 스토퍼의 상면을 지나가는 수평작동간(507)이 설치되어 스토퍼와 대면하는 내면 일측에 하향걸림편(508)이 형성되고, 수평작동간(507)의 중간부에는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스프링지지봉(509)이 장착되어 스프링지지봉의 돌출단에 형성된 수나사부(509a)가 장치판 상면에 고정된 지지돌편(511)의 안내공(512)을 통과하여 돌출된 수나사부에 이탈방지너트(509b)가 나사조립되어 수평작동간의 회전각을 제한하고, 장치판(500)의 지지돌편(511)에서 스프링지지봉(509)으로 코일스프링(513)이 장치되어 수평작동간(507)에 탄력이 충진된다.
수평작동간(507)의 스프링지지봉과 하향걸림턱 사이에는 지지돌기(515)가 형성되어 빗장봉(516)의 일측 연결공(516a)이 연결되고, 빗장봉(516)의 타측 돌출단(516b)은 틀체의 제1개방부 상면에 부착한 안내횡공(517)을 관통하여 제1출입문에 부착된 고정돌편(212)의 고정구멍(213)에 착탈되게 되며, 고정돌편(212)의 고정구멍(213) 옆에는 안전핀삽입구멍(214)을 천공하여, 안전핀(215)을 삽탈할 수 있게 한 구성되고, 포획틀(100)의 제1,제2개방부가 있는 전후벽에는 연결관(117)이 형성되어 체결구(118)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틀과 같이 직육면체로 되어 내부에 포획실(701)이 있고, 전방벽(702)과 후방벽(703)과, 그리고 바닥(704)과 우측벽(705)이 금속망으로 되며, 일측개방부(706)에 개폐문수장실(707)이 형성되어 개폐문(708)이 장치되고, 개폐용 문에 잠금장치(709)가 구비되고, 바닥 일측끝에 바퀴(710)가 부착되며, 전방벽과 후방벽에는 포획틀(100)의 연결관(117)과 같은 높이에 연결관(711)이 부착되어 포획틀(100)과, 체결구(118)로 체결되고, 개방부(706) 반대측인 우측벽(705)에 견인고리(800)가 부착되어 이동장치(900) 후미에 연결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이동용 포획틀(700)이 갖추어지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포획틀(100)의 제1개방부(105)에 장치된 제1출입문(200)을 제1출입문장치홈(106)에서 상방으로 회전시켜 제1개방부 상측으로 옮겨 제1개방부를 개방하고, 제1출입문을 제1개방부 틀체에 안전핀으로 지지시켜 고정하고, 제1개방부를 통해 포획실(101)에 들어가서 먹이장치대(400)에 먹이를 놓고 밖으로 나와서 세로작동봉(502)을 회전시켜서 세로작동봉의 작동막대(504)가 포획실의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 사이에 직각방향으로 놓이게 한 다음, 수평작동간(507)의 돌출단(507b)을 제1개방부 쪽으로 회전시켜, 하항걸림턱(508)이 스토퍼의 상향걸림부(505b) 내측에 걸림되게 하면, 빗장봉(516)의 돌출단이 제1출입문(200)의 고정돌편(212)에 형성된 고정구멍(213)에 결합하므로, 안전핀을 제거하여도 제1출입문이 상향된 상태를 유지하여 제1개방부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장진상태가 되고, 수평작동간(507)의 코일스프링은 수축된 상태가 되어 탄력이 장진된다.
이때, 유해동물이 포획실에 장치된 먹이에 유인되어 제1개방부로 들어와서 먹이장치대(400) 쪽으로 진행하면, 진행로에 있는 작동막대(504)를 밀고 들어가게 되므로, 세로작동봉(502)이 회전하게 되고, 스토퍼(505)가 회전하여 돌출단에 있는 상향걸림부(505b)가 수평작동간(507)의 하향걸림턱(508)에서 벗어나 코일스프링(513)의 복귀력으로 수평작동간(507)이 외향회전하므로 빗장봉(516)을 당기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제1출입문(200)의 고정구멍(213)에서 빗장봉이 이탈하여 제1출입문의 제동이 풀려 제1출입문은 연결축(109)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출입문장치홈(106)으로 순식간에 내려와 제1개방부를 막아 버리게 된다.
따라서 포획실에 들어간 유해동물은 포획실에 갇히게 된다.
이때, 같이 온 동물이 있으며 포획실에 갇혀 있는 동물을 보면서 먹이에 유혹되어 포획틀의 주위를 맴돌게 되고, 전후벽과 좌우벽을 밀어보게 되는데, 이때 제2개방부에 장치된 제2출입문(30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두짝으로 문이 만들어져 있어서 하단부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밀면, 안쪽으로 열리게 되므로, 외부의 동물이 포획실에 들어갈 수 있게 되며, 먹이부분까지 오면 제2출입문의 중량 때문에 제2출입문이 스스로 닫히게 되어 포획실내에는 또 다른 동물이 들어와 갇히게 되고, 제2출입문을 밖으로 열수 없게 되는데, 그 이유는 제2출입문이 경사져 있고, 상하측 개방부에는 상하측에 제2출입문의 상하단에 받쳐진 지지판(112)(116)이 있어서 안에서는 아무리 밀어도 문이 열리지 않게 된다.
또, 제1,제2출입문에는 문틀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지대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경사구멍이 있어 주둥이를 구멍으로 넣어 밀게 되면, 대각선방향으로 설치한 경사지지대에 의거 경사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경사구멍에 끼이게 되어 목이 비틀리게 되므로 스스로가 문에서 떨어지게 되며 문에 접근하지 않고 포획실에 머물게 된다.
이때, 이동형 포획틀(700)을 포획틀(100)의 제1개방부에 결합하여 연결관을 서로 체결하여 일체화시킨 다음, 포획실의 제1개폐문과 이동용 포획틀의 개폐문을 열어 포획틀내의 동물을 이동용 포획틀로 이동시키고, 이동용 포획실의 개폐문을 닫고 연결장치를 해제하여 이동용 포획틀을 견인하면 포획틀에서 먼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동된 장소에서 허가 받은 포수에게 연락하여 처리를 할 수 있게 되므로, 포획틀(100)의 포획실(101) 내에는 유해 야생동물이 싫어하는 흔적을 만들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포획틀을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무리지어 다니는 멧돼지와 같은 유해 동물을 단체로 포획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제2출입문이 상당한 중량을 가지게 되므로 제1출입문을 장진하기 위해 그 장치홈에서 들어올리게 되면, 회전축(109)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향이동이 되므로 작은힘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들어올려진 제1출입문은 제1개방부틀체 상단에서 빗장에 걸어 장치하기 때문에 장진하기가 용이하다.
또, 세로작동봉(502)에 끼워지는 작동막대(504)는 세로작동봉의 지지관(503)에 약간 헐겁게 끼워 설치하고, 나무막대를 사용하므로, 야생동물이 거부감 없이 접근하여 밀칠 수 있고, 작동막대가 작동하면서 빗장이 풀려 제1출입문이 하강하면 그 충격으로 작동막대가 지지관(503)에서 이탈하여 바닥에 떨어지므로 야생동물들이 포획실안에서 움직일 때, 장애가 되지 않으며 포획실안에 갇혀진 동물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그 상태를 보고 포획실 외부에 있는 동물들이 달아나지 않고 포획실을 배회하게 되며, 제2출입문을 밀고 포획실로 들어올 수 있게 되므로 포획률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획틀 사시도
도 2는 제1개방부와 제1출입문 예시도
도 3은 제1개방부의 제1출입문이 장진된 예시도
도 4는 도3의 가-가'선단면도
도 5는 빗장고정구멍과 안전핀 삽입구멍 부분 사시도
도 6은 제1출입문 정면 예시도
도 7은 제2출입문 예시도
도 8(a)는 빗장봉 장치부 분해 사시도
도 8(b)는 수평작동간이 장진된 평면도
도 8(c)는 수평작동간의 장진이 해제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개방부로 동물이 들어가는 작동상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개방부로 동물이 들어가는 작동상태 예시도
도 11은 이동형 포획틀 사시도
도 12는 견인고리 사시도
도 13은 포획틀과 이동형 포획틀을 결합하는 예시도
도 14는 이동형 포획틀에 포획한 동물을 이동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14에 그 형상과 구조가 예시된다.
본 발명은 도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6면체로 되어 내부에 포획실(101)이 형성되고, 전방벽과 후방벽 그리고 바닥과 상면이 금속망으로 되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되고, 좌우측에 제1개방부(105)와, 제2개방부(107)를 만들어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에 각각 제1출입문(200)과, 제2출입문(300)이 장치되는 포획틀(100)을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1개방부(105)에는 바닥에서 후측벽을 지나 상면에 이르는 3면이 개방되고, 전방벽쪽이 막힌 제1출입문장치홈(106)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제1출입문(200)이 장치된다.
제1출입문(200)은 도2에 도시한바와 같이 4각형틀체(201) 내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다수의 경사지지간(202)이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경사지지간 사이에 경사구멍(203)이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모서리에 연결구멍(204)이 형성된 연결돌편(205)이 형성되며, 연결돌편 반대측 외주에 손잡이(206)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고정돌편(207)이 부착되어 고정돌편의 지지축에 걸고리(208)가 장치되고, 걸고리(208)는 제1출입문이 닫힐 때, 제1개방부쪽 틀체에 형성된 고정돌기(105a)에 결합된다.
제1출입문(200)이 장치되는 제1출입문장치홈(106)에는 상단부 모서리 외주에 형성된 지지돌편(108)이 형성되어 회전축(109)이 삽통되므로 제1출입문장치홈에 제1출입문을 장치하고, 제1출입문의 상측모서리에 부착된 연결돌편(205)을 지지돌편에 결합하고, 회전축(109)을 끼우면 연결축(109)이 회전축 작용을 하므로, 제1출입문을 바닥에서 상면으로 회전시켜 개폐시킬 수 있게 되고, 제1출입문의 문틀에는 일측에 고정돌편(212)이 형성되어 고정구멍(213)과 안전핀삽입구멍(214)이 형성된다.
상기 포획틀의 제1개방부 반대측에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어 제2출입문(300)이 장치된다.
제2출입문(300)은 도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문짝(301)(302)으로 이루어져 제2개방부에 장치되며, 제2출입문을 설치하기 위해 제2개방부(107)에는 전후벽 양측에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향해 일정각도 경사지는 문지지대(110)(111)를 부착하여 제2출입문(300)의 양측 문짝(301)(302)이 경사지게 부착되게 되고, 제2출입문의 양측 문짝이 접촉하는 제2개방부 상단외측에는 상측지지판(112)이 배치되어, 제2출입문의 양측 문짝(301)(302)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봉(301a)(302a)과, 상측지지판(112)의 돌출봉(113)(114) 사이에 코일스프링(115)을 장치하여 복귀력을 충전시키고, 제2출입문의 하단이 접촉하는 제2개방부 바닥에는 제2출입문의 하단이 접촉하는 외측면에 하측지지판(116)이 장치되어 제2출입문이 제2개방부 외측에서 내측으로 열리도록 장치된다.
제2출입문(300)의 양측 문짝(301)(302)에는 4각형 문틀 사이에 대각선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지지대(303)가 나란히 배치되어 경사지지대 사이에 경사구멍(304)이 형성된다.
포획틀(100)의 포획실(101) 중앙에는 바닥에 먹이장치대(400)가 배치되고, 포획실(101) 상면에는 도8(a)(b)(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장치판(500)이 부착되어 장치판에서 포획실(101)로 수직되게 축관(501)이 형성되어 축관에 세로작동봉(502) 상단이 끼워지고, 포획실에 위치하는 세로작동봉(502) 외주에는 일정위치에서 측방으로 일정간격에 수개의 지지관(503)이 형성되어 작동막대(504) 내측단이 다소 느슨하게 끼워진다.
세로작동봉 상단은 축관(501)을 통해 장치판(500) 상면으로 돌출되어 돌출단에 세로작동봉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토퍼(505)의 연결관(505a)이 끼워져 고정볼트(506)로 체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스토퍼의 돌출단에는 상향걸림부(505b)가 형성된다.
장치판(500) 상면에는 스토퍼(505)와 직각방향으로 놓여지도록 일단에 연결공(507a)이 형성되어 장치판의 상면 회전축(500a)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하고, 연결공 반대측에 돌출단(507b)이 스토퍼의 상면을 지나가는 수평작동간(507)이 설치되어 스토퍼와 대면하는 내면 일측에 하향걸림편(508)이 형성되어 스토퍼의 상향걸림부와 걸림되거나 해제된다.
수평작동간(507)의 중간부에는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스프링지지봉(509)이 장착되어 스프링지지봉의 돌출단에 형성된 수나사부(509a)가 장치판 상면에 고정된 지지돌편(511)의 안내공(512)을 통과하여 돌출단 수나사부에 이탈방지너트(509b)가 나사조립되어 수평작동간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되고, 장치판의 지지돌편에서 수평작동간(507)의 스프링지지봉으로 코일스프링(513)이 장치되어 수평작동간에 탄력을 충진하게 된다.
수평작동간(507)의 스프링지지봉과 하향걸림턱 사이에는 지지돌기(515)가 형성되어 빗장봉(516)의 외측 연결공(516a)이 연결되고, 연결공 반대측 돌출단(516b)은 제1개방부 틀체 상면에 부착한 안내횡공(517)을 관통하여 제1출입문에 부착된 고정돌편(212)의 고정구멍(213)에 착탈되게 구성된다.
고정돌편(212)의 고정구멍(213) 옆에는 안전핀삽입구멍(214)을 천공하여, 안전핀(215)을 삽탈할 수 있게 되고, 포획틀(100)의 제1,제2개방부가 있는 전후벽에는 연결관(117)이 형성되어 체결구(118)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틀과 같이 직육면체로 되어 내부에 포획실(701)이 있고, 전방벽(702)과 후방벽(703)과, 그리고 바닥(704)과 우측벽(705)이 금속망으로 되며, 일측개방부(706)에 개폐문 수장실(707)이 형성되어 개폐문(708)이 장치되고, 개폐문에 잠금장치(709)가 구비되고, 바닥 일측끝에 바퀴(710)가 부착되며, 전방벽과 후방벽에는 포획틀(100)의 연결관(117)과 같은 높이에 연결관(711)이 부착되어 포획틀(100)에 체결구(118)로 체결 결합할 수 있고, 개방부 반대측 우측벽에 견인고리(800)가 부착되어 이동장치(900) 후미에 연결하여 견인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는 이동용 포획틀(700)이 갖추어지는 구성이다.
100 : 포획틀 101 : 포획실
105 : 제1개방부 107 : 제2개방부
106 : 제1출입문장치홈 108 : 지지돌편
109 : 연결축 110,111 : 문지지대
112 : 상측지지판 113,114 : 돌출봉
115 : 코일스프링 116 : 하측지지판
117 : 연결관 200 : 제1출입문
201 : 4각형틀체 202 : 경사지지간
203 : 경사구멍 204 : 연결구멍
205 : 연결돌편 206 : 손잡이
207 : 고정돌편 208 : 걸고리
212 : 고정돌편 213 : 고정구멍
214 : 안전핀삽입구멍 215 : 안전핀
300 : 제2출입문 301,302 : 양측 문짝
301a,302a : 돌출봉 303 : 경사지지대
304 : 경사구멍 400 : 먹이장치대
500 : 장치판 500a : 회전축
501 : 축관 502 : 세로작동봉
503 : 지지관 504 : 작동막대
505 : 스토퍼 505a : 연결관
505b : 상향걸림부 506 : 고정볼트
507 : 수평작동간 507a : 연결공
507b : 돌출단 508 : 하향걸림편
509 : 스프링지지봉 509a : 수나사부
509b : 이탈방지너트 511 : 지지돌편
512 : 안내공 513 : 코일스프링
515 : 지지돌기 516 : 빗장봉
516a : 연결공 516b : 돌출단
517 : 안내횡공 700 : 포획틀
701 : 포획실 702 : 전방벽
703 : 후방벽 704 : 바닥
705 : 우측벽 706 : 일측개방부
707 : 개폐문수장실 708 : 개폐문
709 : 잠금장치 710 : 바퀴
711 : 연결관 800 : 견인고리
900 : 이동장치

Claims (1)

  1. 좌우방향의 길이가 긴 6면체로 되어 내부에 포획실(101)이 형성되고, 전방벽과 후방벽 그리고 바닥과 상면이 금속망으로 되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되고, 좌우측에 제1개방부(105)와, 제2개방부(107)를 만들어 제1개방부와 제2개방부에 각각 제1출입문(200)과, 제2출입문(300)이 장치되는 포획틀(100)과,
    제1개방부(105)에 배치되어 바닥에서 후측벽을 지나 상면에 이르는 3면이 개방되고, 전방벽쪽이 막힌 제1출입문장치홈(106)과,
    제1출입문장치홈에 수납되어 개폐되고, 4각형틀제(201) 내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다수의 경사지지간(202)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경사지지간 사이에 경사구멍(203)이 형성되고, 상단부 일측모서리에 연결구멍(204)이 형성된 연결돌편(205)이 형성되며, 연결돌편 반대측 외주에 손잡이(206)가 형성되고, 상단부에 고정돌편(207)이 부착되어 고정돌편의 지지축에 걸고리(208)가 장치되어 걸고리는 제1출입문이 닫힐 때, 제1개방부쪽 틀체에 형성된 고정돌기(105a)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며, 연결돌편(205)이 제1출입문장치홈(106)의 지지돌편(108)에 연결축(109)으로 연결되어 제1개방부 바닥에서 상면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고, 문틀 일측에 고정돌편(212)이 형성되어 고정구멍(213)과 안전핀삽입구멍(214)이 형성되는 제1출입문(200)과,
    제2개방부(107) 전후벽 양측에 배치되어 상단부에서 내측으로 향해 일정각도 경사지는 문지지대(110)(111)와,
    두개의 문짝(301)(302)이 한조가 되어 문지지대에 경첩으로 부착되며, 양측 문짝이 접촉하는 제2개방부 상단외측에는 상측지지판(112)이 배치되어 양측 문짝(301)(302)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봉(301a)(302a)과, 상측지지판(112)의 돌출봉(113)(114) 사이에 코일스프링(115)을 장치하여 복귀력을 충진시키고, 양측 문짝의 하단이 접촉하는 외측면에 하측지지판(116)이 장치되어 제2개방부 외측에서 내측으로 열리도록 장치되며,
    양측 문짝(301)(302)에는 4각 문틀 사이에 대각선방향으로 경사지게 경사지지대(303)가 나란히 배치되어 경사지지대 사이에 경사구멍(304)이 형성된 제2출입문(300)과,
    포획실(101) 중앙부 바닥에 배치되는 먹이장치대(400)와,
    포획실(101) 상면에 부착되는 장치판(500)과,
    장치판에서 포획실(101)로 수직되게 형성된 축관(501)에 상단이 끼워져 하단이 포획실에 배치되고, 하측외주에는 측방으로 일정간격에 지지관(503)이 형성되어 작동막대(504) 내측단이 끼워지는 세로작동봉(502)과,
    장치판(500)의 축관(501)에 끼워져 장치판 상면으로 돌출되는 세로작동봉의 돌출단에 연결관(505a)이 끼워져 고정볼트(506)로 체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돌출단에는 상향걸림부(505b)가 형성되는 스토퍼(505)와,
    장치판 상면에서 스토퍼(505)와 직각방향으로 놓여지고, 일단에 연결공(507a)이 형성되어 장치판의 상면 회전축(500)에 끼워져 제자리 회전하고, 연결공 반대측이 스토퍼의 상면을 지나고, 돌출단(507b) 저면 내측방에 하향걸림편(508)이 형성되어 스토퍼의 상향걸림부와 걸림되거나 해제는 수평작동간(507)과,
    수평작동간(507)의 중간부에는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돌출단에 형성된 수나사부(509a)가 장치판 상면에 고정된 지지돌편(511)의 안내공(512)을 통과하여 돌출단 수나사부에 이탈방지너트(509b)가 나사조립되어 수평작동간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프링지지봉(509)과,
    장치판의 지지돌편에서 수평작동간(507)의 스프링지지봉 사이에 장치되어 수평작동간에 탄력을 충진하는 코일스프링(513)과,
    수평작동간(507)의 지지돌기(515)에 외측 연결공(516a)이 연결되고, 반대측 돌출단(516b)에는 제1개방부 틀체 상면에 부착한 안내횡공(517)을 관통하여 제1출입문에 부착된 고정돌편(212)의 고정구멍(213)에 착탈되는 빗장봉(516)과,
    고정돌편(212)의 고정구멍 옆에 형성한 안전핀삽입구멍(214)에 착탈되는 안전핀(215)과,
    포획틀(100)의 제1,제2개방부측 전후벽에 부착되는 체결구(118)가 구비된 연결관(117)과,
    포획틀과 같이 직육면체로 되어 내부에 포획실(701)이 있고, 전방벽(702)과 후방벽(703)과, 그리고 바닥(704)과 우측벽(705)이 금속망으로 되며, 일측개방부(706)에 개폐문 수장실(707)이 형성되어 개폐문(708)이 장치되고, 개폐용 문에 잠금장치(709)가 구비되고, 바닥 일측끝에 바퀴(710)가 부착되며, 전방벽과 후방벽에 포획틀(100)의 연결관(117)과 같은 높이에 연결관(711)이 부착되어 포획틀(100)에 체결구(118)로 결합할 수 있고, 우측벽에 견인고리(800)가 부착되어 이동장치(900) 후미에 연결하여 견인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이동용 포획틀(700)로 이루어지는 유해 야생 동물 포획틀.
KR1020200064818A 2020-05-29 2020-05-29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KR102369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18A KR102369241B1 (ko) 2020-05-29 2020-05-29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18A KR102369241B1 (ko) 2020-05-29 2020-05-29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490A true KR20210147490A (ko) 2021-12-07
KR102369241B1 KR102369241B1 (ko) 2022-03-02

Family

ID=7886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818A KR102369241B1 (ko) 2020-05-29 2020-05-29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4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6445B2 (ja) * 2001-11-16 2004-11-10 有限会社ヒットビジネス 捕獲檻
JP2005087072A (ja) * 2003-09-16 2005-04-07 Kazumasa Nomura 動物捕獲用檻
JP2010268699A (ja) * 2009-05-19 2010-12-02 Nobuo Kubota 獣捕獲用箱罠
KR101322840B1 (ko) * 2011-02-07 2013-10-28 박혜은 잠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동물 포획 장치
JP6359997B2 (ja) * 2015-04-20 2018-07-18 竹森鐵工株式会社 動物捕獲檻
KR101883556B1 (ko) 2016-08-26 2018-08-31 조영식 유해동물 포획틀
KR102165404B1 (ko) * 2019-12-05 2020-10-15 권태용 야생동물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6445B2 (ja) * 2001-11-16 2004-11-10 有限会社ヒットビジネス 捕獲檻
JP2005087072A (ja) * 2003-09-16 2005-04-07 Kazumasa Nomura 動物捕獲用檻
JP2010268699A (ja) * 2009-05-19 2010-12-02 Nobuo Kubota 獣捕獲用箱罠
KR101322840B1 (ko) * 2011-02-07 2013-10-28 박혜은 잠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동물 포획 장치
JP6359997B2 (ja) * 2015-04-20 2018-07-18 竹森鐵工株式会社 動物捕獲檻
KR101883556B1 (ko) 2016-08-26 2018-08-31 조영식 유해동물 포획틀
KR102165404B1 (ko) * 2019-12-05 2020-10-15 권태용 야생동물 포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241B1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146B1 (ko) 동물 포획장치
KR101071875B1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US9303435B2 (en) Gate latch
KR200426592Y1 (ko) 야생동물 포획장치
KR102090426B1 (ko) 멧돼지 포획틀
KR850001794Y1 (ko) 수류(獸類) 포획기
BR112015031498B1 (pt) armadilha para capturar animais, particularmente murídeos
KR20210147490A (ko) 유해 야생동물 포획틀
KR101071876B1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장치
KR102463241B1 (ko) 야생동물 포획틀
KR100703240B1 (ko) 동물 포획장치
US20140259873A1 (en) Humane mousetrap with a novel entrance device
US9545093B2 (en) Animal trap
KR102239929B1 (ko) 동물 포획장치
US1668726A (en) Animal trap
KR200483169Y1 (ko)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KR20100070529A (ko) 동물 포획트랩의 개폐문 개폐장치
KR102392823B1 (ko) 야생동물 포획장치
US4173092A (en) Rat capturing device
AU2017260255A1 (en) Gravity gate latch lockable and unlockable by a padlock from both sides of a gate
KR20180008068A (ko) 동물포획을 위한 낙하 포획장치
KR20020076446A (ko) 쥐덫
CN209268478U (zh) 一种新型捕鼠装置
JPH11289958A (ja) ネズミ取り器
CN215381024U (zh) 一种敞开式去味捕鼠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