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241B1 - 야생동물 포획틀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포획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241B1
KR102463241B1 KR1020200082403A KR20200082403A KR102463241B1 KR 102463241 B1 KR102463241 B1 KR 102463241B1 KR 1020200082403 A KR1020200082403 A KR 1020200082403A KR 20200082403 A KR20200082403 A KR 20200082403A KR 102463241 B1 KR102463241 B1 KR 102463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closing
right open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4492A (ko
Inventor
안기운
Original Assignee
한빛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사회적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한빛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0008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24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 포획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멧돼지 등 인간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 있는 포획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 개의 바(bar)로 구성된 프레임에 바닥면과 개구된 면을 제외한 면에 체결된 철망을 체결하고 좌우로 개폐되는 좌우개폐도어, 상기 좌우개폐도어(210)가 열리면 자동으로 좌우개폐도어를 닫아주는 닫힘부재를 포함하는 좌우개폐도어부로 구성된다. 좌우개폐도어부 외측에 밀착하여 좌우개폐도어가 충격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밀리는 ㄱ서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를 포함한다.
한편으로는 상하로 개폐되도록 도어가 힌지 체결되고, 도어가 닫혔을 때 프레임부 내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상하개폐도어부와 도어차단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설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우개폐도어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하개폐도어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2개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 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야생동물 포획틀{Wild animal capture frame}
본 발명은 야생동물 포획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멧돼지 등 인간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 있는 포획틀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의 주거지 확장, 공장 건설, 레저시설 건설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산의 간벌작업 등 다양한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서식지를 잃은 멧돼지를 위시한 다른 야생동물들이 살아갈 공간이 없고 특히 산 속에 먹이가 없다보니 먹이를 찾아 민가로 내려 오는 일이 점점 잦아지고 있다.
여러 야생동물 중 특히 멧돼지는 원래 자기를 해치지 않는 이상 사람을 공격하지 않고 피하며 청각이나 후각이 발달해서 사람의 인기척을 느끼면 전방 100~200m에서도 알아차리고 도망을 가던 야생동물이었다. 하지만 서식지를 인간에게 빼앗긴 멧돼지들이 간혹 농촌마을과 도심까지 출몰하여 농작물은 물론 인명피해까지 내고 있어 사람들은 이제 그들에게 위협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멧돼지 등의 유해 야생동물의 개체 수를 조절하고자 야생동물을 포획하되 가급적이면 상처를 입히지 않고 포획 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선등록특허 제2090426호 등 멧돼지 포획틀에 관한 발명이 있으나, 해당 발명은 멧돼지가 포획된 후 포획틀 내부에서 탈출하기 위하여 출입문 등에 충격을 가하는 행동을 하는 경우 포획틀이 손상되어 멧돼지가 다시 탈출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 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0426호
삭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멧돼지 등의 유해 야생동물을 부상 없이 포획하며,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이 포획틀 안에 포획된 후 탈출하기 위하여 포획틀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손상되지 않는 견고한 야생동물 포획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수 개의 바(bar)로 구성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면과 개구된 면을 제외한 면에 체결된 철망(13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0) ;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된 면의 양쪽 프레임(110) 수직 바에 2개의 도어가 힌지 체결되고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좌우로 개폐되는 좌우개폐도어(210), 상기 좌우개폐도어(210)가 열리면 자동으로 좌우개폐도어(210)를 닫아주는 닫힘부재(230)를 포함하는 좌우개폐도어부(200) ;
상기 프레임(110) 수직 바에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1밀림방지바(251), 상기 제1밀림방지바(251)의 일정지점에서 시작되어 좌우개폐도어(210)가 맞닿은 지점까지 연장되는 제2밀림방지바(252), 상기 제2밀림방지바(252)의 단부에서 좌우개폐도어(210)의 외측면과 근접하여 상기 제1밀림방지바(251)의 좌우 단부에 체결되는 제3밀림방지바(253)를 구비하는 밀림방지부(25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개폐도어(210)의 단부는 예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우개폐도어(210)가 닫혔을 때 세로 방향의 면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개폐도어부(200)는 상기 좌우개폐도어(210)가 닫혔을 때 상기 좌우개폐도어(210)의 하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땅파기방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구성으로는 다수 개의 바(bar)로 구성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면과 개구된 면을 제외한 면에 체결된 철망(13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0) ;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된 면의 양쪽 프레임(110) 수직 바에 상하로 개폐되도록 도어가 힌지 체결되고, 도어가 닫혔을 때 프레임부(100) 내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상하개폐도어부(300) ;
상기 프레임부(100)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개폐도어(310)가 프레임부(100) 바깥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밀림방지돌기(320)와 상기 상하개폐도어(310)가 닫힌상태에서 상기 상하개폐도어(310)의 하단부와 나란하게 프레임(110) 내측으로 구비되는 제2땅파기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하개폐도어부(300)는 상기 상하개폐도어(310) 하단의 일측에 구비되는 거치돌기(311), 상기 거치돌기(311)를 거치하여 상하개폐도어(310)를 열림상태로 유지하는 도어거치부재(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거치부재(340)는 상하개폐도어(310)의 반대쪽으로 당기면 상기 거치돌기(311)를 거치하는 부분이 열려 상기 거치돌기(311)를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거치부재(340)에 체결되고 도어거치부재(340)가 설치된 면의 반대편 프레임(110) 또는 철망(130에 걸 수 있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도어차단와이어(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이 포획틀 안으로 들어오기는 용이하나, 밖으로 나갈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야생동물 중 멧돼지는 큰 개체는 몸무게가 280kg에 달하고 갇혔을 때 빠져나가기 위하여 출입문을 코를 이용하여 강하게 충격하거나 땅을 파헤쳐 빠져나가고자 하는 습성이 있는바, 야생동물 포획틀에 갇인 멧돼지가 출입문을 강하게 충격하더라도 손상되지 않고 땅을 파헤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멧돼지등의 야생동물이 빠져나갈 수 없도록 한다.
도1은 좌우개폐도어부와 상하개폐도어부가 같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좌우개폐도어부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좌우개폐도어부가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좌우개폐도어부의 밀림방지부 및 좌우개폐도어의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좌우개폐도어부와 상하개폐도어부가 같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상하개폐도어부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상하개폐도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좌우개폐도어부와 상하개폐도어부가 같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좌우개폐도어부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좌우개폐도어부가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좌우개폐도어부의 밀림방지부 및 좌우개폐도어의 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좌우개폐도어부와 상하개폐도어부가 같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상하개폐도어부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는 상하개폐도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유해 야생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것이지만 가장 대표적으로 위험한 야생동물이 멧돼지이므로 이하에서는 멧돼지를 포획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포획틀은 프레임부(100)와 좌우개폐도어부(200), 상하개폐도어부(30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야생동물포획틀은 프레임부(100)와 좌우개폐도어부(200) 및 밀림방지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프레임부(100)와 상하개폐도어부(300)로만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프레임부(100)와 좌우개폐도어부(200), 밀림방지부(250), 상하개폐도어부(300)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부(100)는 본 발명의 뼈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프레임(110)은 야생동물포획틀 전체를 유지하는 뼈대를 구성하며 강도유지를 위하여 철재의 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면과 좌우개폐도어부(200)가 형성되는 면 또는 상하개폐도어부(300)가 형성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는 철망(130)을 체결하여 본 발명 내부에 들어온 야생동물이 빠져나갈 수 없도록 한다. 프레임부(100)의 바닥면의 일정 위치에는 야생동물을 유인하기 위하여 미끼를 놓아두는 미끼틀(140)이 설치될 수 있다.
좌우개폐도어부(200)는 좌우개폐도어(210), 닫힘부재(230), 제1땅파기차단부재(240)로 구성된다
좌우개폐도어(210)는 측면 프레임수직바(120)에 안쪽으로만 열릴 수 있게 힌지 체결된다. 이 때 좌우개폐도어(210)의 한 개 도어의 가로방향 길이는 도어가 체결된 프레임 부위의 가로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함으로써 2개의 도어가 좌우로 맞닿아 닫힘상태가 되었을 때 양 도어가 프레임(110)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이 좌 또는 우측 도어나 양 도어를 같이 밀고 포획틀 안으로 쉽게 들어올 수는 있으나 문이 닫힌 뒤에는 반대방향으로는 도어가 밀리지 않아 야생동물이 빠져나갈 수 없게 한다.
이 때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어의 내측으로 돌출된 좌우개폐도어 단부(220)는 위에서 내려다 볼 때 예각으로 구성되어 양 도어가 서로 닫힘상태일 때 양 도어 단부의 길이방향의 면과 면이 밀착되어 상기 좌우개폐도어(210)에 틈이 없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멧돼지가 코를 이용하여 문틈 사이를 벌려서 문을 열지 못하도록 한다.
좌우개폐도어 단부(220)는 예각으로 형성하는 방법 이외에도 직각인 좌우개폐도어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판을 부착하여 양 도어가 닫힘상태일 때 양 도어 단부의 판의 면과 면이 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틈이 없게 구성할 수도 있다.
좌우개폐도어(210)의 양 도어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는 닫힘부재(230)가 체결된다. 상기 닫힘부재(230)는 프레임(110)과 도어에 연결되며 양 도어가 내측으로 열린 이후 힘을 가하지 않으면 도어를 닫히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양 도어가 닫힘상태로 돌아가게 한다. 상기 닫힘부재(230)는 유압실린더 또는 스프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땅파기차단부재(240) 역시 멧돼지 등의 습성에 대한 대비수단이다. 멧돼지는 포획틀 등에 갇혔을 때 도어를 충격하기도 하지만 코를 이용하여 도어 아랫부분의 땅을 파헤쳐 포획틀을 들어올려 포획틀을 파손하거나 빠져나가기도 한다. 제1땅파기차단부재(240)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프레임(110)의 하단에 설치하되 좌우개폐도어(210)가 닫힌 상태에서 좌우개폐도어(210)의 수직방향과 나란하게 지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멧돼지 등이 도어의 아래쪽을 파헤쳐 포획틀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림방지부(250)는 제1밀림방지바(251), 제2밀림방지바(252), 제3밀림방지바(253)로 구성된다.
멧돼지의 경우 습성상 갇히게 되면 코를 이용하여 문에 충격을 가하며 그 힘은 생각보다 훨씬 강력하다. 밀림방지부(250)는 좌우개폐도어(21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멧돼지가 포획틀에 갇혀 좌우개폐도어(210)에 강력한 충격을 가할 때 좌우개폐도어(210)를 외측에서 지지하여 줌으로써 좌우개폐도어(210)가 외측으로 밀려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밀림방지바(251)는 도2와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수직바(120) 양 쪽에 체결하여 설치하며, 제2밀림방지바(252)는 제1밀림방지바(251)의 일정 위치에서 좌우개폐도어(210)가 닫힘상태일 때 양 도어가 맞닿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이 때 제1밀림방지바(251)와 제2밀림방지바(252)는 직각을 이루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밀림방지바(253)는 2개의 바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체결되되 한 쪽 단부는 제2밀림방지바(252)의 좌우개폐도어(210)쪽 단부에 체결되고 한쪽 단부는 제1밀림방지바(252)의 프레임수직바(120)에 접한 단부에 체결된다. 밀림방지부(250)는 제1밀림방지바(251)와 제3밀림방지바(253)가 체결되어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좌우개폐도어(210)의 중앙지점에 접한 꼭지점에서 마주보는 제1밀림방지바(251)에 제2밀림방지바(252)가 체결되어 삼각형을 저반하는 위치에서 좌우개폐도어(210) 외측에 밀착되어 위치함으로써 멧돼지가 좌우개폐도어(210)에 충격을 가하더라도 밀리지 않도록 외측에서 지지하여 좌우개폐도어(210)의 파손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하개폐도어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하개폐도어부(300)는 상하개폐도어(310), 거치돌기(311), 밀림방지돌기(320), 제2땅파기차단부재(330), 도어거치부재(340), 제1가이드롤러(341a), 제2가이드롤러(341b), 제3가이드롤러(341c), 와이어가이드(342), 도어차단와이어(350)를 포함한다.
상하개폐도어(310)는 프레임수직바(120)의 상단에 수평으로 힌지체결되고 프레임수직바(12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하여 상하개폐도어(310)가 닫힘상태일 때 상하개폐도어(310)의 단부가 포획틀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지면과 닿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를 외부에서 내측으로 밀면 상향되어 열려 멧돼지가 쉽게 들어갈 수 있다.
상하개폐도어(310)의 단부에는 거치돌기(3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치돌기(311)는 상하개폐도어(310)를 위로 들어올려 후술하는 도어거치부재(340)에 거치하여 상하개폐도어(310)를 프레임(110) 상부로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밀림방지돌기(320)는 프레임(110) 하단 지면에 맞닿은 부위에 설치하되 상하개폐도어(310)가 닫힘상태일 때 상하개폐도어(310)의 단부의 외측면에 밀접하게 설치된다. 밀림방지돌기(320)는 포획틀 내부에 포획된 멧돼지 등의 야생동물이 상하개폐도어(310)를 충격할 때 외측으로 밀리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하개폐도어(310) 자체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충격을 가하여도 밖으로 밀리지 않지만 밀림방지걸돌기(320)에 의하여 한층 더 견고하게 상하개폐도어(310)를 지지하여 준다.
제2땅파기차단부재(330)는 하부프레임(110)에 체결되는 바로서 상하개폐도어(310)가 담힘상태일 때 상하개폐도어(310)의 단부의 수평방향과 밀접하게 야생동물 포획틀 내측으로 설치된다. 포획틀 내부에 포획된 멧돼지는 습성상 상하개폐도어(310)의 바닥면을 코를 이용하여 파헤친다. 이 경우 바닥면과 상하개폐도어(310) 사이에 틈이 생기면 멧돼지가 상하개폐도어(310)를 상부로 들어 올려 포획틀 밖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으므로 멧돼지가 땅을 파지 못하게 한다.
도어거치부재(340)는 프레임(110) 상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도5의 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리모양의 돌기가 프레임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돌기에 있는 관통홀에 후술하는 도어차단와이어(350)에 체결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어거치부재(340)에 상기 상하개폐도어(310)에 체결된 거치돌기(311)를 거치함으로써 상하개폐도어(310)는 열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도어차단와이어(350)를 상하개폐도어(310) 반대방향으로 당기면 도어거치부재(340)가 열리면서 거치돌기(311)가 도어거치부재(340)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하여 상하개폐도어(310)가 닫힘상태로 갈 수 있게 한다.
가이드롤러(341)는 도어거치부재(340)와 근접한 프레임(110) 외부 및 도어차단와이어(250)가 지나가는 통로에 부착되는 롤러로서 도어차단와이어(350)가 꺾이는 부분에 주로 설치되며 도어차단와이어의 이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꺽어지는 부분의 중간에 추가 설치 할 수 있다.
와이어가이드(342)는 프레임(110) 외부에 설치되어 도어차단와이어(350)가 지나는 길에 설치되어 도어차단와이어(350)가 이탈하지 않고 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도어차단와이어(350)는 도어거치부재(340)에 체결되어 도어거치부재(340)를 개폐할 수 있는 와이어로서 도어거치부재(340)에 체결된 반대쪽 단부에는 걸림부재가 체결된다. 도어차단와이어(350)는 도어거치부재(340)로부터 가이드롤러 및 가이드를 거쳐 미끼틀(140)을 가로질러 도어거치부재(340)가 설치된 프레임(110)의 반대쪽 면에 걸림장치를 걸 수 있다. 도어개폐와이드를 이용하여 상하개폐도어(310)가 열린상태에서 멧돼지가 포획틀 내부에 들어가서 미끼를 먹기 위하여 움직이는 과정에 도어차단와이어(350)를 건드리면 도어차단와이어(350)가 도어거치부재(340)를 당겨 도어거치부재(340)가 열리고 상하개폐도어(310)에 부착된 거치돌기(311)가 도어거치부재(340)에서 이탈함으로써 상하개폐도어(310)가 중력에 의하여 닫힘상태가 되어 멧돼지를 포획하게 된다.
야생동물포획틀은 상기 프레임부(100)와 상기 좌우개폐도어부(200), 밀림방지부(250)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부(100)와 상기 상하개폐도어부(30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프레임(110) 한쪽에는 좌우개폐도어부(200)와 밀림방지부(250)를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는 상하개폐도어부(300)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작동>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야생동물 포획틀 내부의 미끼틀(140)에 멧돼지가 좋아할 만한 미끼를 넣는다, 멧돼지가 미끼를 먹기 위하여 좌우개폐도어부(200)로 접근하여 좌우개폐도어(210) 중 하나 또는 양 도어 등 좌우개폐도어(210)의 일부위를 문이 열려 멧돼지가 들어갈 수 있다. 멧돼지가 야생동물 포획틀 내부로 들거가면 열린 문은 닫힘부재(230)의 작동에 의하여 다시 닫히고 멧돼지는 포획틀안에 갇히게 된다. 이 때 포획틀 안에 갇힌 멧돼지가 탈출하기 위하여 좌우개폐도어(210)를 충격 할 수 있는데 좌우개폐도어(210) 외측에 밀착하여 설치된 밀림방지부(250)에 의하여 좌우개폐도어(210)는 바깥쪽으로 밀리지 않고 도어의 파손 우려도 없게된다. 또한 담힘상태에서 좌우 도어가 길이방향의 면이 밀착되어 틈이 없으므로 코를 이용하여 좌우 도어가 맞닿은 부위를 비비거나 충격하여도 문틈이 벌어지지 않는다. 멧돼지 습성상 도어 아랫부분을 코를 이용하여 파더라도 땅파기방지부재가 있어 땅을 쉽게 팔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포획틀안에 갇힌 멧돼지는 그 습성상 도어 부위를 충격하고 코를 이용하여 문틈을 충격하거나 땅을 파더라도 본 발명 야생동물 포획틀에서 빠져나갈 수 없게된다.
이어서 멧돼지가 상하개폐도어부(300)로 접근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하개폐도어부(300)가 닫힌 상태에서 멧돼지가 미끼틀(140에 있는 미끼를 보고 접근하여 상하개폐도어(310)를 밀면 미는 힘만큼 위로 열리게 되며 멧돼지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멧돼지가 포획틀 안으로 완전히 들어가면 상하개폐도어(310)는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져 닫힘상태가 된다. 문이 닫힌 이후 멧돼지가 상하개폐도어(310)를 충격하더라도 포획틀 내부로 돌출되어 지면에 닿아 있으므로 문이 쉽게 밀리지 않고, 더구나 걸림턱이 있으므로 문은 멧돼지의 충격에도 열리지 않는다. 또한 땅을 파더라도 상하개폐도어(310)의 단부 앞에 땅파기방지부재가 있으므로 땅을 팔 수 없게 되어 멧돼지를 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개폐도어(310)를 열림상태에서 멧돼지를 포획할 수도 있다.
먼저 상하개폐도어(310)를 위로 밀어올리고 거치돌기(311)를 도어거치부재(340)에 걸쳐놓으면 열림상태가 유지된다. 도어거치부재(340)는 도어차단와이어(350)와 연결되고 도어차단와이어(350)는 도어거치부재(340)가 부착되어 있는 면의 반대쪽 면의 프레임(110) 철망(130)에 걸림부재를 이용하여 걸어둔다. 상하개폐도어(310)가 열린상태에서 멧돼지가 미끼를 보고 안으로 들어가서 미끼를 먹고자 도어개?? 와이어를 건드리면 도어차단와이어(350)는 도어거치부재(340)를 당겨서 도어거치부재(340)가 열림에 따라 거치돌기(311)가 도어거치부재(340)에서 이탈하면 중력에 의하여 상하개폐도어(310)가 내려가면서 문이 닫히게 된다. 이 때 멧돼지가 도어를 충격하거나 땅을 파더라도 탈출 할 수 없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경우와 같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멧돼지를 안전하게 생포할 수 있게 한다.
100 프레임부
110 프레임
120 프레임수직바
130 철망
140 미끼틀
200 좌우개폐도어부
210 좌우개폐도어
220 좌우개폐도어 단부
230 닫힘부재
240 제1땅파기차단부재
250 밀림방지부
251 제1밀림방지바
252 제2밀림방지바
253 제3밀림방지바
300 상하개폐도어부
310 상하개폐도어
311 거치돌기
320 밀림방지돌기
330 제2땅파기차단부재
340 도어거치부재
341 가이드롤러
342 와이어가이드
350 도어차단와이어

Claims (8)

  1. 다수 개의 바(bar)로 구성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면과 개구된 면을 제외한 면에 체결된 철망(13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0) ;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된 면의 프레임 수직 바(120)에 2개의 도어가 힌지 체결되고 내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좌우로 개폐되는 좌우개폐도어(210), 상기 좌우개폐도어(210)가 열리면 자동으로 좌우개폐도어(210)를 닫아주는 닫힘부재(230)를 포함하는 좌우개폐도어부(200) ;
    상기 프레임 수직 바(120)에 가로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1밀림방지바(251), 상기 제1밀림방지바(251)의 일정지점에서 시작되어 담힘상태인 좌우개폐도어(210)가 맞닿은 지점까지 연장되는 제2밀림방지바(252), 2개의 바가 양방향으로 체결되되 한쪽 단부는 상기 제2밀림방지바(252)의 좌우개폐도어쪽 단부에 체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제1밀림방지바(251)의 프레임 수직바(120)측 단부에 체결되는 제3밀림방지바(253)를 구비하는 밀림방지부(250) ;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개폐도어(210)는 닫힘상태일 때 서로 맞닿는 단부의 세로 방향의 면이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틀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좌우개폐도어부(200)는 상기 좌우개폐도어(210)가 닫힘상태일 때의 상기 좌우개폐도어(210)의 하단부 수직 방향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땅파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야생동물 포획틀
  4. 다수 개의 바(bar)로 구성된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의 바닥면과 개구된 면을 제외한 면에 체결된 철망(13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0) ;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된 면의 양쪽 프레임(110) 수직 바에 상하로 개폐되도록 상하개폐도어(310)가 힌지 체결되고, 상기 상하개폐도어(310)가 닫혔을 때 프레임부(100) 내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상하개폐도어부(300) ;
    상기 프레임부(100)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개폐도어(310)가 프레임부(100) 바깥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밀림방지돌기(320)와 상기 상하개폐도어(310)가 닫힌상태에서 상기 상하개폐도어(310)의 하단부와 나란하게 프레임(110) 내측으로 구비되는 제2땅파기방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상하개폐도어부(300)는 상기 상하개폐도어(310) 하단의 일측에 구비되는 거치돌기(311), 프레임(110)에 체결되고 상기 거치돌기(311)를 거치하여 상하개폐도어(310)를 거치 할 수 있는 도어거치부재(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틀
  5. 삭제
  6. 제4항에서,
    상기 도어거치부재(340)는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도어차단와이어(350)와 체결하는 관통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틀
  7. 제6항에서,
    상기 도어거치부재(340)에 체결되고 도어거치부재(340)가 설치된 면의 반대편 프레임(110) 또는 철망(130)에 걸 수 있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도어차단와이어(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포획틀
  8. 삭제
KR1020200082403A 2020-07-03 2020-07-03 야생동물 포획틀 KR102463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403A KR102463241B1 (ko) 2020-07-03 2020-07-03 야생동물 포획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403A KR102463241B1 (ko) 2020-07-03 2020-07-03 야생동물 포획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492A KR20220004492A (ko) 2022-01-11
KR102463241B1 true KR102463241B1 (ko) 2022-11-04

Family

ID=7935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403A KR102463241B1 (ko) 2020-07-03 2020-07-03 야생동물 포획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2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58042A1 (en) * 2020-11-13 2022-06-02 Davis, Tyrone Mr Trapping Assembly
KR20230108860A (ko) 2022-01-12 2023-07-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md 램프 및 dmd 램프의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482B2 (ja) 1992-07-24 2000-02-07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2007028934A (ja) 2005-07-25 2007-02-08 Shigeo Sunaga 動物捕獲檻
US20100115823A1 (en) * 2008-11-10 2010-05-13 Dana Watson Live Animal Trap
US20170112119A1 (en) 2015-10-27 2017-04-27 Raymond Novatney Baited Animal Trap
KR102090426B1 (ko) * 2019-07-22 2020-05-29 장태영 멧돼지 포획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482U (ja) * 1994-08-04 1995-02-14 松浦産業株式会社 獣類捕獲器
KR20180077706A (ko) * 2016-12-29 2018-07-09 김대규 멧돼지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482B2 (ja) 1992-07-24 2000-02-07 サンデン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2007028934A (ja) 2005-07-25 2007-02-08 Shigeo Sunaga 動物捕獲檻
US20100115823A1 (en) * 2008-11-10 2010-05-13 Dana Watson Live Animal Trap
US20170112119A1 (en) 2015-10-27 2017-04-27 Raymond Novatney Baited Animal Trap
KR102090426B1 (ko) * 2019-07-22 2020-05-29 장태영 멧돼지 포획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492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3241B1 (ko) 야생동물 포획틀
KR102090426B1 (ko) 멧돼지 포획틀
US20040200133A1 (en) Rock simulating pest trap
US20120174469A1 (en) Rodent station
KR101589602B1 (ko) 계절별 조건을 고려한 양서류 및 파충류 포획장치
KR20100070533A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KR200426592Y1 (ko) 야생동물 포획장치
KR101625188B1 (ko)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US1913823A (en) Animal trap
KR20100070531A (ko)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장치
JP2011024446A (ja) 箱形罠
KR102330973B1 (ko) 동물 포획 장치
KR102132159B1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102338020B1 (ko) 산돼지 포획틀
US3828460A (en) Rodent trap
KR101842060B1 (ko) 동물포획을 위한 낙하 포획장치
KR101071871B1 (ko) 동물 포획트랩의 개폐문 개폐장치
KR200488175Y1 (ko) 유해 야생동물 포획용 틀
KR20060116506A (ko) 동물 포획장치
KR101551577B1 (ko) 유해동물 포획장치
KR20200102088A (ko) 쥐 포획용 트랩
KR102642628B1 (ko) 뱀 포획틀
KR102205115B1 (ko) 회전형 유해조수 포획장치
KR102537071B1 (ko) 야생동물 포획 장치
KR20020076446A (ko) 쥐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