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952A - 멧돼지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멧돼지 포획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6952A KR20220126952A KR1020210031305A KR20210031305A KR20220126952A KR 20220126952 A KR20220126952 A KR 20220126952A KR 1020210031305 A KR1020210031305 A KR 1020210031305A KR 20210031305 A KR20210031305 A KR 20210031305A KR 20220126952 A KR20220126952 A KR 202201269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frame
- front door
- net
- rear door
- wild bo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멧돼지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멧돼지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바 형태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전방 도어 프레임;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한 쌍의 바 형태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후방 도어 프레임;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과 후방 도어 프레임의 이격된 공간의 측면 및 도어 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연속하여 설치되는 그물;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을 가로지르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에 위치하는 그물의 하단부위가 고정된 슬라이딩바; 상기 슬라이딩바를 상측으로 견인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견인부;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바 형태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전방 도어 프레임;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한 쌍의 바 형태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후방 도어 프레임;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과 후방 도어 프레임의 이격된 공간의 측면 및 도어 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연속하여 설치되는 그물;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을 가로지르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에 위치하는 그물의 하단부위가 고정된 슬라이딩바; 상기 슬라이딩바를 상측으로 견인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견인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멧돼지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이동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멧돼지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가들에게 피해를 주는 유해 야생동물인 멧돼지를 포획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망체로 된 포획틀을 멧돼지 출몰지역에 설치하여 포획틀 내부로 멧돼지를 유인하며, 멧돼지가 포획틀 내부로 진입한 경우에 도어를 닫아서 포획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10-2017-0025161호(멧돼지 포획장치), 공개특허 제10-2018-0077706호(멧돼지 포획장치), 등록특허 제10-2090426호(멧돼지 포획틀)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금속재로 된 육면체 프레임을 철망으로 둘러서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고, 내부와 외부로 드나들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멧돼지를 먹이 등에 의해 포획장치의 내부로 유인한 다음 도어를 닫아서 가둠으로써 포획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들에 의한 포획장치는, 철재로 된 프레임과 철망이 용접에 의해 미리 공장에서 제조되므로, 매우 무거워서 멧돼지가 출몰하거나 이동하는 경로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로 하게 된다.
예를 들면, 멧돼지가 자주 출몰하는 곳에 미리 제조된 무거운 포획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을 동원하여야 하고, 산 중턱, 골짜기 등의 크레인이 진입하지 못하는 곳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멧돼지가 이동하는 경사진 경로에도 설치하기가 매우 어려워서 설치장소에 큰 제약이 따르며, 아울러 무거운 포획장치를 이동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7-0025161호
(멧돼지 포획장치)
2. 공개특허 제10-2018-0077706호
(멧돼지 포획장치)
3. 등록특허 제10-2090426호
(멧돼지 포획틀)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멧돼지가 출몰하거나 이동하는 경로 상에 손쉽게 이동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운 멧돼지 포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멧돼지 포획장치는,
한 쌍의 바 형태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전방 도어 프레임;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한 쌍의 바 형태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후방 도어 프레임;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과 후방 도어 프레임의 이격된 공간의 측면 및 도어 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연속하여 설치되는 그물;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을 가로지르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에 위치하는 그물의 하단부위가 고정된 슬라이딩바;
상기 슬라이딩바를 상측으로 견인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견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의 하단부위를 가로지르면서 고정되어 설치된 막음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에는 관통된 로프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로프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로프가 나무에 묶여서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을 나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과 후방 도어 프레임의 이격된 공간의 측면에 설치된 그물에는 외측방향으로 통발 형태로 연장된 포획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포획부의 입구부위에는 포획부 쪽으로만 열리는 역지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포획부는 그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포획장치는, 도어를 구성하는 바와, 상기 바를 연결하는 그물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매우 가벼워 인력에 의해서도 이동이 수월하며, 또한 멧돼지가 출몰하는 산 비탈, 계곡 등에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공간의 제약을 갖지 않아 매우 효율적으로 멧돼지를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멧돼지 포획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후방도어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도.
도3은 도어프레임이 로프에 의해 나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4는 슬라이딩바가 상측으로 견인되어 후방도어부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도.
도5는 막음바가 도어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
도6은 포획부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7은 견인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블럭도.
도2는 후방도어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도.
도3은 도어프레임이 로프에 의해 나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4는 슬라이딩바가 상측으로 견인되어 후방도어부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도.
도5는 막음바가 도어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
도6은 포획부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7은 견인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블럭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멧돼지 포획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2는 후방도어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도이며, 도3은 도어프레임이 로프에 의해 나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4는 슬라이딩바가 상측으로 견인되어 후방도어부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도이고, 도5는 막음바가 도어프레임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도이며, 도6은 포획부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전방도어부(100), 후방도어부(200), 그물(300), 포획부(400), 견인부(5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 사이의 공간에는 그물(300)이 둘러쳐져서 내부와 외부로 구획지도록 한다.
상기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의 높이는 2~2.5m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그물(300)의 높이도 상기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의 높이에 같거나 유사하게 설치된다.
상기 그물(300)이 벽체를 이루면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방도어부(100)의 일측 상단과 후방도어부(200)의 일측 상단부위를 연결하도록 와이어(601)가 설치되고, 전방도어부(100)의 타측 상단과 후방도어부(200)의 타측 상단부위를 연결하도록 와이어(611)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물(300)의 상단부위가 와이어(601,611)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전방도어부(100)의 일측 하단과 후방도어부(200)의 일측 하단부위를 연결하도록 바닥프레임(600)이 고정되어 설치되고, 전방도어부(100)의 타측 하단과 후방도어부(200)의 타측 하단부위를 연결하도록 바닥프레임(610)이 고정되어 설치되며, 그물(300)의 하단부위가 바닥프레임(600,610)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601,611)는 그 양단부위가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에 묶여서 고정될 수 있고, 바닥프레임(600,610)은 클램프 등의 연결부속품에 의해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후방도어부(200)의 상세 구조를 중심으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도어 프레임(210,220)이 서로 간격을 두고 나란히 입설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 프레임(210,220)의 간격은 멧돼지가 그물(300)로 형성된 공간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간격을 가지게 되며,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 형태로 된 가이드 공(211,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210,220)은 그 자체로 입설되기 어려우므로, 상측과 하측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된 로프삽입공(213,214)(223,224)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도3에서와 같이 로프(R)가 로프삽입공(213,214)(223,224)을 관통한 다음 나무(T)에 묶이게 되어 도어 프레임(210,220)이 나무(T)에 지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입설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도어 프레임(210,220)을 가로지르는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바(230)의 양측이 상기 가이드공(211,221)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딩바(230)의 양단부위는 가이드공(211,221)을 관통하여 외측방향으로 노출되고, 그 노출된 부위에는 견인부(500)의 와이어(540)가 연결된다.
또한, 도어 프레임(210,220)의 상측 외측면 부위에는 풀리(215,225)가 각각 구비되어 와이어(540)가 풀리(215,225)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바(230)에 수직의 견인력이 인가되도록 한다.
즉, 견인부(500)로부터 와이어(540)를 통해 인가되는 견인력이 풀리(215,225)에 의해 슬라이딩바(230)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함으로써 슬라이딩바(230)가 가이드공(211,221)에서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그물(300)의 측방향 연장부위가 도어 프레임(210,220) 사이를 가로질러 연속하여 설치되고, 도어 프레임(210,220) 사이에 위치하는 그물(300)의 하단부위는 상기 슬라이딩바(230)에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딩바(2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도4에서와 같이 도어 프레임(210,220) 사이에 위치하는 그물(300)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여 도어 프레임(210,220) 사이가 개방되는 것이다.
물론, 도5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바(230)가 하강하게 되면, 그물(300)도 함께 하강하여 도어 프레임(210,220) 사이가 폐쇄된다.
전방도어부(100)도 상기에서 설명한 후방도어부(2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의 슬라이딩바(230)를 상측으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500)는 와이어(540)를 당길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지면으로부터 입설된 지지대(510)에 모터로 구성된 동력부(530)과, 동력부(530)의 동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540)를 견인하여 권취하는 권취롤(52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력부(530)에 의해 권취롤(520)을 정회전시키면, 각 와이어(540)가 권취롤(520)에 감기면서 슬라이딩바가 상승하여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가 개방되며, 권취롤(520)이 역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바가 하강하여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가 폐쇄되는 것이다.
도1에서는 그물(300)이 설치된 부위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는 지지대(510)에 권취롤(520)과 동력부(530)로 구성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그물(300)의 측방향, 또는 도어 프레임의 상측에 권취롤(520)과 동력부(530)가 탑재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견인부(500)는 와이어(540)를 감아서 견인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를 가져도 무방하고, 또한 설치위치도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컨트롤러(700)는 동력부(530)를 제어하여 권취롤(520)을 정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540)를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슬라이딩바가 상승하여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가 개방된다.
멧돼지는 의심이 많은 동물이므로,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를 모두 개방하여야만 의심을 풀고 그물(300)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그몰(300)의 내부로 멧돼지가 진입하면, 견인부(500) 또는 주변부위에 설치된 움직임센서(710)가 멧돼지를 감지하게 되고, 컨트롤러(700)는 이에 따라 견인부(500)에 설치되거나 또는 그물(300)의 내부를 촬영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550)를 구동시키며, 그 촬영된 영상을 통신부(720)를 통해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원격지의 관리자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를 통해 영상을 확인한 다음 멧돼지가 그물(300)의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도어 차단 명령을 컨트롤러(700)로 전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컨트롤러(700)는 동력부(530)를 역회전시켜 슬라이딩바를 하강시킴으로써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가 폐쇄되도록 하여 그물(300)의 내측에 멧돼지가 갇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5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바(230)가 경사지게 하강하여 지면과 수평으로 밀착되지 않거나 또는 돌이나 나무뿌리 등에 의해 슬라이딩바(230)와 지면 사이에 조그마한 공간이라도 발생하면, 멧돼지가 그 공간으로 코를 집어넣어 슬라이딩바((230)를 상승시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2 및 도5에서와 같이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210,220)의 하단부위를 가로지르면서 막음바(240)가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막음바(240)의 양측은 클램프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도어 프레임(210,220)의 내측 하단부위에 고정됨으로써 도3에서와 같이 슬라이딩바(230)가 하강하였을 때 슬라이딩바(230)와 지면 사이의 공간부위를 막음바(240)가 막게 되어 슬라이딩바(230)와 지면 사이의 공간부위로 멧돼지가 코를 집어 넣을 수 없도록 한다.
즉, 막음바(240)는 지면과 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슬라이딩바(230)와 지면 사이의 공간이 멧돼지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탈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그물(300)의 측부로는 포획부(4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포획부(400)는 그물(300)의 내부에 갇힌 멧돼지를 포획부(400)로 유도하여 수용함으로써 손쉽게 포확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6에서와 같이 그물(300)에는 원형의 지지프레임(420)이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어서 멧돼지가 진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지지프레임(420)의 내측으로는 그물(300)에 의해 막히지 않고 비어 있게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420)으로부터 그물(300)의 외측방향으로 통발 형태로 연장된 포획그물(410)이 연결된다.
상기 포획그물(410)은 멧돼지 한마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며, 포획그물(410)의 입구부위에는 포획그물(410) 쪽으로만 열리는 역지도어(430)가 지지프레임(420)에 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역지도어(43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포획그물(410)의 입구부위는 지지프레임(42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포획그물(410)의 입구부위가 지지프레임(420)에 줄로 감겨서 연결됨으로써 줄을 풀어서 포획그물(410)을 분리시키거나, 또는 다양한 수단들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그물(300) 내부로 수용된 멧돼지가 전방도어부(100)와 후방도어부(200)가 닫히게 되면, 포획부(400)가 출구인 것으로 착각한 멧돼지가 탈출을 위하여 역지도어(430)를 밀어서 개방시킨 다음 포획그물(41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역지도어(430)가 자중에 의해 닫히면서 포획그물(410)의 내부에 갇히게 된다.
그러므로, 지지프레임(420)으로부터 포획그물(410)을 분리하여 입구부위를 로프로 묶게 되면, 손쉽게 멧돼지를 포획할 수 있게 된다.
즉, 공간이 넓은 그물(300) 내부에서 멧돼지를 포획하는 것이 아니라, 포획그물(410)로 유도한 후 입구부위를 묶어서 폐쇄시킴으로써 안전하고 손쉽게 멧돼지를 포획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슬라이딩바(23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에, 의도하지 않게 슬라이딩바(230)가 하강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210,220)에는 슬라이딩바(2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핀체결공(212,2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바(230)를 상승시킨 다음 핀체결공(212,222)에 핀을 삽입함으로써 슬라이딩바(230)가 핀에 걸리도록 하여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방도어부
200 : 후방도어부
210,220 : 도어프레임
211,221 : 가이드공
212,222 : 핀체결공
213,214,223,224 : 로프삽입공
215,225 : 풀리
230 : 슬라이딩바
240 : 막음바
300 : 그물
400 : 포획부
410 : 포획그물
420 : 지지프레임
430 : 역지도어
500 : 견인부
600,610 : 바닥프레임
601,611 : 고정와이어
700 : 컨트롤러
710 : 움직임센서
720 : 통신부
200 : 후방도어부
210,220 : 도어프레임
211,221 : 가이드공
212,222 : 핀체결공
213,214,223,224 : 로프삽입공
215,225 : 풀리
230 : 슬라이딩바
240 : 막음바
300 : 그물
400 : 포획부
410 : 포획그물
420 : 지지프레임
430 : 역지도어
500 : 견인부
600,610 : 바닥프레임
601,611 : 고정와이어
700 : 컨트롤러
710 : 움직임센서
720 : 통신부
Claims (4)
- 한 쌍의 바 형태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전방 도어 프레임;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한 쌍의 바 형태로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입설되는 후방 도어 프레임;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과 후방 도어 프레임의 이격된 공간의 측면 및 도어 프레임 사이를 가로질러 연속하여 설치되는 그물;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을 가로지르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에 위치하는 그물의 하단부위가 고정된 슬라이딩바;
상기 슬라이딩바를 상측으로 견인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견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멧돼지 포획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의 하단부위를 가로지르면서 고정되어 설치된 막음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멧돼지 포획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에는 관통된 로프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로프 삽입공을 통해 삽입된 로프가 나무에 묶여서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 또는 후방 도어 프레임을 나무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멧돼지 포획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도어 프레임과 후방 도어 프레임의 이격된 공간의 측면에 설치된 그물에는 외측방향으로 통발 형태로 연장된 포획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포획부의 입구부위에는 포획부 쪽으로만 열리는 역지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포획부는 그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멧돼지 포획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305A KR20220126952A (ko) | 2021-03-10 | 2021-03-10 | 멧돼지 포획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1305A KR20220126952A (ko) | 2021-03-10 | 2021-03-10 | 멧돼지 포획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6952A true KR20220126952A (ko) | 2022-09-19 |
Family
ID=8346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1305A KR20220126952A (ko) | 2021-03-10 | 2021-03-10 | 멧돼지 포획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2695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7072B1 (ko) | 2022-11-24 | 2023-05-30 | 주식회사 광진기업 | 유기 및 유해 동물 가변형 스마트 포획시스템 |
-
2021
- 2021-03-10 KR KR1020210031305A patent/KR20220126952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7072B1 (ko) | 2022-11-24 | 2023-05-30 | 주식회사 광진기업 | 유기 및 유해 동물 가변형 스마트 포획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1875B1 (ko) | 동물 포획장의 개폐문 개폐장치 | |
KR101049146B1 (ko) | 동물 포획장치 | |
US8661726B2 (en) | Humane animal trap | |
KR101275434B1 (ko) | 어망 조립체 및 어망을 이용한 어류 포획 방법 | |
KR20220126952A (ko) | 멧돼지 포획장치 | |
US8887435B2 (en) | Wall-less trap systems and methods | |
JP5113821B2 (ja) | 鹿の捕獲装置とその使用方法 | |
JP6055980B1 (ja) | 害獣捕獲装置 | |
US5966862A (en) | Bird catching apparatus | |
KR101625188B1 (ko) | 야생동물 연속 포획장치 | |
KR102132159B1 (ko)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
JP2002272351A (ja) | 動物捕獲装置 | |
JP6490120B2 (ja) | 動物捕獲装置 | |
KR102429274B1 (ko) | 조류 포획용 안전 트랩 | |
JP3179233U (ja) | 野生動物捕獲檻 | |
KR101071871B1 (ko) | 동물 포획트랩의 개폐문 개폐장치 | |
KR102168760B1 (ko) |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 |
JP3050966U (ja) | 野生動物捕獲器 | |
KR20200065235A (ko) | 유해 동물 포획장치 | |
CN106259283A (zh) | 一种连续捕鼠装置 | |
GB2270455A (en) | Apparatus for catching wild animals | |
CA3095108A1 (en) | Fencing device for installing and/or removing a fence | |
KR102622253B1 (ko) | 조류 포획장치 | |
KR19990034667A (ko) | 통발 자동 탈락장치 | |
JP6815553B1 (ja) | 捕獲罠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