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667A - 통발 자동 탈락장치 - Google Patents

통발 자동 탈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667A
KR19990034667A KR1019970056323A KR19970056323A KR19990034667A KR 19990034667 A KR19990034667 A KR 19990034667A KR 1019970056323 A KR1019970056323 A KR 1019970056323A KR 19970056323 A KR19970056323 A KR 19970056323A KR 19990034667 A KR19990034667 A KR 19990034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automatic
plug
roll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0598B1 (ko
Inventor
김용문
Original Assignee
김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문 filed Critical 김용문
Priority to KR1019970056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59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어통발, 게통발, 문어통발, 스프링통발과 같은 각종 통발에 적용 할 수 있는 통발 자동 탈락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줄에 매달려 있는 통발을 인양, 수거함에 있어서, 인위적 수동작업에 의하지 않고 연속 자동으로 안양, 수거할 수 있도록 자동화하여 빠른시간내에 수확량을 높일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어선에 고정하는 포스트(1)를 실린더(4)에 의해 회동될수 있게하고 포스트 상단에 힌지식으로 연결한 아암(3)을 실린더(3)에 의해 상하 유동 되게 구성한 지지수단(10)과; 아암(2)의 선단에 착설되어 원줄(5)에 매달린 통발을 함체 내부의 로울러부를 경유시키는 중에 자동으로 분리 되게하는 자동탈락기(20)와; 원줄(5)에 일정간격으로 묶여진 가시선(6) 끝단부에 고정하여, 통발접속 용으로 사용되는 플러그(30)와; 상기간 플러그(30)가 접속 될 수 있도록 통발(7)의 머리부에 접속기구를 구비한 협지장치(40)로 이루어지는 통발 자동 탈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발 자동 탈락장치
본 발명은 장어통발, 게통발, 문어통발, 스프링통발과 같은 각종 통발에 적용 할 수 있는 통발 자동 탈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줄에 매달려 있는 통발을 인양, 수거함에 있어서, 인위적 수동작업에 의하지 않고 연속 자동으로 안양, 수거할 수 있도록 자동화하여 빠른시간내에 수확량을 높일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인양되는 원줄에서 통발을 연속 자동으로 분리, 탈락 시킬 수 있는 통발 자동 탈락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반적으로 통발을 이용한 어류포획 방법은 긴 원줄(로우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통발을 매달아 해저에 침수시켰다가 일정시간후에 원줄을 인양하면서 통발을 하나씩 분리탈락시키고, 통발속에 포획된 어류를 꺼낸후 다시 원줄에 통발을 매달아 침수 시키는 작업을 행하고 있다.
종래에는 도 10, 도 11에서와 같이 어선의 전동 로울러로 원줄(A)을 감아주면서 안내로울러(B)앞에서 작업인이 통발가지선(C)의 매듭단부(D)를 앞당겨서 풀어 줌에 의해 통발(E)을 원줄에서 탈락시키는 수동분리 작업을 행하고 있으며, 통발가지선(C)이 탈락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수동레버(F)를 조작하여 전동기의 속도를 감속 시켰다가 다시 가속시키는 조작을 반복하고 있다.
또한 탈락된 통발속에서 포획물을 꺼낸후에는 다시 원줄에 다수의 통발가지선을 매듭지게 묶어서 침수시키는 작업을 행하고 있다.
종래의 통발 분리 방법은 작업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인위적 수작업에 의존 하므로 통발의 분리작업 및 부착작업에 많은 시간소모와 노력이 필요하고, 뱃머리에 작업인이 서서 가지선의 매듭을 풀어주는 작업이 매우 난해한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더구나 파도가 심할때는 숙달된 전문작업인 이라도 매우 위험하고 보통 4~5인의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인건비 지출이 과다하면서도 모든과정이 수동식이기 때문에 작업능률과 수확량은 저조한 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동식 방법을 탈피해서 통발의 인양, 분리 작업이 연속자동화 되어야 하며,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인양되는 통발을 원줄에서 연속자동으로 분리, 탈락시키는 장치를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원줄 안내부의 사시도
도 4는 원줄 안내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통발 접속부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통발이 요철로울러에 도달하기 직전의 상태도
도 7은 통발이 요철로울러에 부딪침과 동시에 플러그가 분리된 상태도
도 8은 요철로울러 사이에 플러그가 통과하는 상태의 평면 예시도
도 9는 요동 완충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수동식 통발 인양구조도
도 11은 종래 수작업으로 통발을 탈락시키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스트 2 : 아암
5 : 원줄 6 : 가지선
7 : 통발 10 : 지지수단
20 : 자동탈락기 24 : X형로울러
25 : 안내로울러 26 : 요철로울러
27 : 평로울러 28 : 중계로울러
29 : 완충판 30 : 플러그
31 : 다리 32 : 닛플
40 : 협지장치 41 : 접속관
43 : 소켓 45 : 보울
본 발명은 어선의 전방중앙에 고정되는 포스트(1)의 아암(2)을 실린더(3)에 의해 상하 유동가능하게 힌지식으로 연결하고, 하부의 또다른 실린더(4)에 의해서 포스트(1)가 제자리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한 지지수단(10)과; 아암(2)의 선단에 착설되어 원줄(5)에 매달린 통발을 자동으로 분리 시키는 자동탈락기(20)와; 원줄(5)에 일정간격으로 묶여진 가시선(6) 끝단부에 결속한 플리그(30)와; 상기간 플러그(30)가 접속 될 수 있도록 통발(7)의 머리부에 설치한 협지장치(40)와; 자동탈락기(20)에서 낙하되는 통발을 수거함(H)으로 이송하는 콤베어장치(50)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지지수단(10)은 그 아암(2)의 선단에 착설된 자동탈락기(20)를 견고하게 고정, 유지하는 작용과, 필요에 따라 자동탈락기(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작용, 그리고 비사용시에는 포스트(1)를 회전시켜 기기를 어선의 중앙에 안치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러한 작용은 각각의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이다.
자동탈락기(20)는 하나의 함체(21)내에 원줄을 유도하는 다수의 안내로울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견인되는 원줄이 전면의 유입구로 유입된후 상단의 유출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들 안내로울러에 의해 안내를 받도록 구성한 것이다.
유입구에는 견인되는 원줄(5)이 좌우 유동각도를 폭넓게 수용할 수 있도록 X형 로울러(24)를 설치하고, 그 뒷쪽에는 장고형 안내로울러(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한쌍의 요철로울러(26)는 일정한 거리를 갖도록 설치된 공회전 로울러이며 그 상부에는 반대 방향으로 설치된 또다른 한쌍의 원줄 이탈방지용 평로울러(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출구에는 중계로울러(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함체(21)의 유입구 하단에는 견인되는 통발의 유동을 억제 하는데 사용되는 고무재질의 완충판(29)이 V형으로 착설되어 있고, 측판에는 내부로 유입된 통발을 중앙부로 안내하는 내향 유도용 탄성편(22)이 착설되며, 후면판에는 완충재로된 확인창(23)을 설치하고, 저면부에는 탈락되는 통발을 콘베이어로 유도하는 안내판(S)을 설치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플러그(30)는 통발(7)의 머리부에 접속되는 연결구로서 몸체 사방에 다리(31)를 갖고 있으며, 하부 중앙에는 닛플(32)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의 체결공(33)에 가지선(6)이 결속되는 것이다.
또한 플러그(30)가 접속되는 통발 상단의 협지장치(40)는, 접속관(41) 외면에 탄성체(42)로 받쳐진 소켓(43)을 상하 유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접속관(41)에 형성된 다수의 외향 테이퍼 구멍(44)에 각각 보울(45)을 끼워 소켓 내면의 경사면(46)에 접속되게 하므로서, 소켓(43)이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지면 보울(45)이 외부쪽으로 밀려나오는 반면에, 소켓(43)이 상승하면 보울(45)이 경사면(46)에 밀려져서 구멍내측으로 밀려들어 가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접속관(42)에 플러그의 닛플(32)이 끼워지면 사방의 보울(45)이 닛플(32)의 돌출턱에 걸려져서 일체로 결속되게 하고, 소켓(43)이 하강되면 그 즉시 보울(45)이 밀려 나가면서 닛플(32)을 놓아주므로 플러그(30)와 통발(7)이 분리 되는 것이다.
상기한 분리작업은 한쌍의 요철로울러(26)에 의해서 작동으로 이루어지며, 양쪽 요철로울러의 벌림간격(W)을 플러그(30)는 통과할 수 있게 형성한 반면에 통발의 소켓(43)은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하므로써, 상승하는 중에 소켓이 양쪽 요철로울러에 눌려짐과 동시에 플러그(30)가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통발의 협지장치(40)를 소켓(43)과 보울(45)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기재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집게형 협지 장치를 통발상단에 착설 하거나, 또다른 탄성 협지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플러그를 협착 하는 수단과 풀어주는 수단을 가진 구조이면 본 발명과 작용 및 효과가 동일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어장에 떠있는 원줄(5)의 끝단을 끌어올려서 도 4와 같이 자동탈락기(20)의 X형로울러(24), 안내로울러(25), 요철로울러(25), 평로울러(27), 중계로울러(28)를 거쳐서 어선의 전동으로 로울러에 감아 준 후, 포스트(1)의 방향과 아암(2)의 높낮이를 각각의 실린더로 조절하고, 클리치를 조작하여 전동 로울러를 가동시키면 원줄(5)이 감겨지기 시작한다.
원줄이 감겨짐에 의해서 어선이 당김방향으로 이동 하면서 원줄을 계속 감아 주게되며, 원줄에 매달린 통발이 자동탈락기(20) 내부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때 원줄에 매달린 통발은 심하게 흔들리면서 당겨지므로 자동탈락기(20)로 유입되기 직전에 완충판(29)에 의해서 유동이 완화됨과 동시에 중심쪽으로 유도되는 상태로 유입되며, 내측에서 완충재료로 탄성편(22)로 확인창(23) 내면에 부딪치면서 요동이 억제되는 상태로 한쌍의 요철로울러(26)를 따라 수직 상승하게 된다.
한쌍의 요철로울러(26)는, 원줄 및 가지선은 물론 플러그(30)가 통과할 수 있는 벌림간격(W)을 갖고 있으므로 도 6 및 도 7과 같이 플러그(30)가 상승, 통과할 수 있지만, 통발의 소켓(43)은 통과 하지 못하고 부딪치는 순간 하향 가압력을 받게 되며, 소켓이 밀려 내려감에 의해서 보울(45)에 대한 내향 가압력이 해소되어 외측으로 밀려나가고, 그 즉시 닛플(32)의 협착력도 해소되므로 플러그(30)는 원줄을 따라서 상승, 견인되고 통발은 낙하되어 안내판(S)을 통해서 콘베이어로 떨어진후 수거함(H)으로 수거처리 되는 것이다.
이러한 통발의 분리, 탈락 작용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며, 원줄에 매달려 있는 다수의 통발들이 연속 자동으로 탈락 되는 것이다.
또한 탈락 수거된 통발속에 포획된 내용물을 꺼낸후 다시 원줄을 풀어 주면서 각각의 가지선에 통발을 연결 하여야 하는 바, 이때는 프러그(30)를 통발의 접속관(41)에 밀어끼움식으로 간단히 연결, 접속시켜 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부에 X형로울러(24)를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서 당겨지는 원줄이 일직선 위치를 벗어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려 지더라도 원줄의 이탈 우려없이 넓은 인양 각도를 수용 할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포스트(1)와 아암(2)을 각각의 실린더로 회동, 절첩할 수 있게 하므로서 작업시와 작업후의 위치 변동 및 보관처리를 간편히 할수 있다.
또한 함체에는 전후측면에 요동 억제 수단을 착설하므로서, 비, 바람 또는 높은 파도에 의해 인양되는 원줄 및 통발이 심하게 흔들려도 이들 탄성편에 의해 요동이 차츰 완화되는 상태로 유입되어, 분리위치에서는 요동없이 수직 상승될 수 있고 요철로울러에 정확히 접촉되는 분리작동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의 다리는 요철로울러에 도달하였을때 홈선에 끼워지면서 좌우로 미끄러지거나, 위치 이동됨이 없이 해당 요홈을 따라서 수직 상승 하므로, 통발 분리 작용을 실패없는 정확성을 기할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원줄에 매달린 다수의 통발을 연속 자동으로 탈락시켜 수확하게 하므로서, 종래의 인위적 수작업에서 야기되던 인건비의 과다지출을 줄이고 작업인의 안전사고율도 줄일 수 있으며, 통발의 수거와 부착에 소요되는 시간 소모와 노력을 줄이면서도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어선에 고정하는 포스트(1)를 실린더(4)에 의해 회동될수 있게하고, 포스트 상단에 힌지식으로 연결한 아암(3)을 실린더(3)에 의해 상하 유동 되게 구성한 지지수단(10)과;
    아암(2)의 선단에 착설되어 원줄(5)에 매달린 통발을 함체 내부의 로울러부를 경유시키는 중에 자동으로 분리 되게하는 자동탈락기(20)와;
    원줄(5)에 일정간격으로 묶여진 가시선(6) 끝단부에 고정하여, 통발접속 용으로 사용되는 플러그(30)와;
    상기간 플러그(30)가 접속 될 수 있도록 통발(7)의 머리부에 접속기구를 구비한 협지장치(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통발 자동 탈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동탈락기(20)는 함체의 유입구에 X형로울러(24)를 설치하고, 그 뒷쪽에 설치한 안내로울러(26), 상방에 한쌍의 요철로울러(26)를 설치하며, 그 상부에는 원줄 이탈방지용 평로울러(27)와 중계로울러(28)를 설치하여 원줄 경유로를 구성하고, 함체(21)의 전면하단에 V형의 완충판(29)을, 측면에는 내향 유도용 탄성편(22)을, 후면에는 완충용 확인창(23)을, 지면에는 통발 낙하유도용 안내판(S)을 설치하여서 된 통발 자동 탈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플러그(30)는 몸체사방에 다리(31)를 형성하고, 하부중앙에는 닛플(32)을 형성하며, 상단에는 가지선이 결속되는 체결공(3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통발 자동 탈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통발의 협지장치(40)는 접속관(4) 외면에 탄성체(42)로 받쳐진 소켓(43)을 상하유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접속관에 형성도 다수의 외향테이퍼구멍(44)에 각각 보울(45)을 끼워 소켓내면의 경사면(46)에 받쳐지게 구성한 통발 자동 탈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한쌍의 요철로울러(26)는 그 벌린간격(W)을 플러그(30)는 통과할 수 있고 소켓(45)은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한 통발 자동 탈락장치.
KR1019970056323A 1997-10-30 1997-10-30 통발 자동 탈락장치 KR10024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323A KR100240598B1 (ko) 1997-10-30 1997-10-30 통발 자동 탈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323A KR100240598B1 (ko) 1997-10-30 1997-10-30 통발 자동 탈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667A true KR19990034667A (ko) 1999-05-15
KR100240598B1 KR100240598B1 (ko) 2000-01-15

Family

ID=1952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323A KR100240598B1 (ko) 1997-10-30 1997-10-30 통발 자동 탈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5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902B1 (ko) * 1999-05-15 2001-10-17 박명오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CN108669013A (zh) * 2018-06-28 2018-10-19 唐山多玛乐园旅游文化有限公司 一种防逃脱瓮鱼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141Y1 (ko) * 2002-03-07 2002-08-13 조영주 통발자동탈락기의 설치구조
KR100435159B1 (ko) * 2002-03-09 2004-06-16 박명오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101772168B1 (ko) * 2015-07-02 2017-08-29 박명오 통발 회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080Y1 (ko) * 1997-04-07 1999-10-01 조영주 통발연결 및 분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902B1 (ko) * 1999-05-15 2001-10-17 박명오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CN108669013A (zh) * 2018-06-28 2018-10-19 唐山多玛乐园旅游文化有限公司 一种防逃脱瓮鱼装置
CN108669013B (zh) * 2018-06-28 2023-09-12 唐山多玛乐园旅游文化有限公司 一种防逃脱瓮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0598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10881T2 (de) Verfahren zum auffangen eines starrflügelflugzeuges ohne landebahn
CN108848887B (zh) 一种免拖伤的海带采收船
JP5113821B2 (ja) 鹿の捕獲装置とその使用方法
JPH0755011B2 (ja) 自動開閉凧取器
KR19990034667A (ko) 통발 자동 탈락장치
US2634539A (en) Device for retrieving spinners or the like
CN209073278U (zh) 一种捕捉鳗鱼用鱼笼
CN109616943B (zh) 一种基于无人机的双滑轮滑车
KR101314771B1 (ko) 통발 인양기
CA1333765C (en) Head restraint for a livestock squeeze chute
WO2018074668A1 (ko)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JP2018130051A (ja) 動物捕獲装置
CA1200693A (en) Fish line hauling system with hook orientation means
US4244613A (en) Fuse holder extractor and replacer tool
KR20220126952A (ko) 멧돼지 포획장치
KR100401810B1 (ko) 통발양승안내장치
KR20000019438U (ko) 통발자동탈락기의 세팅장치
US4359835A (en) Apparatus for detaching fishes from fish-hooks on a fishing line
US3710498A (en) Purse ring stripper and stripping method
US3626625A (en) Means and method for stripping purse rings on a pursing line being hauled in
US3481065A (en) Purse ring stripper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311902B1 (ko)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200263089Y1 (ko) 통발의 고리줄 탈착장치
KR200302085Y1 (ko) 낙지포획용 낚시 줄 연승장치의 가이드
CN214673932U (zh) 一种用于防坠器远程拆装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