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159B1 -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159B1
KR100435159B1 KR10-2002-0012743A KR20020012743A KR100435159B1 KR 100435159 B1 KR100435159 B1 KR 100435159B1 KR 20020012743 A KR20020012743 A KR 20020012743A KR 100435159 B1 KR100435159 B1 KR 10043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rope
fishing equipment
separation
separating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462A (ko
Inventor
박명오
Original Assignee
박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오 filed Critical 박명오
Priority to KR10-2002-0012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1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462A/ko
Priority to JP2002300946A priority patent/JP366351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에 침강시킨 어로장비를 선박으로 인양할 때 메인 로프로부터 어로장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메인 로프의 견인을 안내하는 안내 풀리와, 안내 풀리의 전방하측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메인 로프가 그 사이로 통과할 때 어로장비 체결분리기를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하는 한 쌍의 분리용 롤러와, 분리용 롤러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어 메인 로프가 한 쌍의 분리용 롤러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롤러를 가지는 어로장비 분리부; 및 선박의 갑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며 중간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신축가능한 수직 기둥과, 수직 기둥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신축가능한 수평 기둥과, 수평 기둥으로부터 연장하며 어로장비 분리부와 연결되는 지지 기둥과, 수직 기둥을 수직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Fishing Implements}
본 발명은 해저에 침강시킨 어로장비를 선박으로 인양할 때 메인 로프로부터 어로장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하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특허 제10-0311902호에 개시된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장어, 꽃게, 낙지 등의 어류를 잡는 어로 작업은 통발, 단지, 어망 등의 어로장비를 적게는 수천에서 많게는 수만 개씩 긴 로프(후술하는 연결 로프와의 구별을 위해 이하 메인 로프로 칭함)에 일정한 간격으로 매달아 일정한 시간 동안 해저에 침강시킨 다음 인양기를 이용하여 메인 로프 및 메인 로프에 연결된 어로장비를 선박 위로 감아들여서 인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인양기에 의해 선박으로 인양된 어로장비는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된 다음 작업자에 의해 내부에 포획된 어류가 꺼내어지게 된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메인 로프로부터 어로장비를 분리하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어업 규모의 대형화 등에 힘입어 메인 로프로부터 어로장비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장치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대한민국특허 제10-0285578호 및 제10-0311902호에서 각각 어로장비 체결분리기와 이 어로장비 체결분리기를 연결 로프로부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대한민국특허 제10-0311902호의 자동분리장치는 선체 내에 설치되는 본체와, 메인 로프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어로장비가 결합된 체결분리기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메인 로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력가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해저에 침강시킨 어로장비를 인양할 때 당시의 상황에 따라 메인 로프가 상하좌우로 몹시 흔들리고 또한 그 장력이 변하더라도 메인 로프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체결분리기를 분리수단의 개구부로 정확하게 안내하여 분리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의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작업 조건의 변화에 따라 메인 로프가 상하좌우로 흔들이고 장력이 변하는 것을 장력가변수단에 의해 어느 정도 안정화시킬 수는 있지만 충분하지 못하였다.
또한, 장력 가변 장치에 의해 메인 로프의 견인 방향이 여러 번 변화됨으로써 메인 로프에 연결된 어로장비가 심하게 흔들리고 심할 경우 장력가변수단 등에 부딪혀서 파손될 우려도 있다.
또한, 상기 특허의 경우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된 어로장비가 선박의 갑판 위로 바로 낙하되면서 사방으로 튈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리된 어로장비가 다시 바다로 빠져버리게 되어 어획고에 손실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메인 로프의 견인 방향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작업 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되게 어로장비를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된 어로장비가 바다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의 지지부와 분리부의 결합 부분을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에 있어서 어로장비 분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메인 로프 20 : 어로장비
100 : 지지부 120 : 수직 기둥
130 : 수평 기둥 140 : 지지 기둥
150, 160 : 액츄에이터 200 : 어로장비 분리부
210 : 분리용 롤러 220 : 안내 풀리
230 : 안내 롤러 250 : 완충 롤러
260 : 낌 방지턱 300 : 어로장비 회수부
400 :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
상기의 목적은, 메인 로프의 견인을 안내하는 안내 풀리와, 안내 풀리의 전방하측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메인 로프가 그 사이로 통과할 때 어로장비 체결분리기를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하는 한 쌍의 분리용 롤러와, 분리용 롤러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어 메인 로프가 한 쌍의 분리용 롤러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롤러를 가지는 어로장비 분리부; 및 선박의 갑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며 중간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신축가능한 수직 기둥과, 수직 기둥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신축가능한 수평 기둥과, 수평 기둥으로부터 연장하며 어로장비 분리부와 연결되는 지지 기둥과, 수직 기둥을 수직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지지부의 지지 기둥은 분리부의 메인 로프 견인 방향과 직교하는 한편 분리부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액츄에이터에 의해 분리부와 결합되고, 분리부는 회전 액츄에이터에 대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지지 기둥의 중간 일측과 분리부의 후측부를 연결하는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의 다른 목적은, 분리부에 의해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어로 장비를 갑판의 일측에 구비된 어로장비 수납공간으로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부의 하측으로부터 어로장비 수납공간까지 후측 하방으로 연장하며 대략 U형 단면을 가지는 수평 안내부재와, 분리부로부터 수평 안내부재의 전단으로 낙하하는 어로장비가 바다나 선체의 다른 부분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 안내부재를 가지는 어로장비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안내부재는 사용하지 않을 때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그 중간 일측을 중심으로 후측부가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는 분리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견인되는 메인 로프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메인 로프의 견인 방향이 분리부의 분리용 롤러들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분리부는 분리용 롤러들의 하측에 위치되고 분리용 롤러들의 간격보다는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완충 롤러를 더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분리부는 분리용 롤러들의 상측에 위치되어 분리용 롤러들에 의해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되는 어로장비가 메인 로프의 견인력 등에 의해 분리용 롤러들의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낌 방지턱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는 어로장비(20)를 메인 로프(10)로부터 직접 분리하는 분리부(200)와, 분리부(200)에 의해 메인 로프(10)로부터 분리된 어로장비(20)를 갑판의 어로장비 회수공간으로 안내하는 회수부(300)와, 분리부(200)를 선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100)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100)를 먼저 설명하면, 지지부(100)는 기대(1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기둥(120)과, 수직 기둥(12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수평 기둥(130)과, 수평 기둥(130)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 기둥(1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직 기둥(120)과 수평 기둥(130)은 각각 그 중간 부분에 설치된 액츄에이터(150, 160)에 의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직 기둥(120)과 수평 기둥(130)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150, 160)로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된다.
또한, 기대와 수직 기둥(120) 사이에는 수직 기둥(120)을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160)가 설치된다. 회전 기구(160)는 수직 기둥(120) 하부의 외주면 둘레로 고정된 피동 기어(162)와, 이 피동 기어(162)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164)와, 구동 기어(164)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66)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및 피동 모터(162, 164)는 기대(110)의 상면에 위치되고, 구동 모터(166)는 기대(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한편, 도면 상에서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지지 기둥(140)의 끝단에는 회전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고, 분리부(200)는 이 회전 실린더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분리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실린더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분리부(200)의 후측부와 지지 기둥(140)의 중간 일측 사이에 설치된 액츄에이터(170)의 작용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분리부(200)는, 메인 로프(10)는 통과하는 반면 어로장비(20)가 결합된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22)는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분리용 롤러(210)와, 분리용 롤러들(210)의 후측 상방에 설치되어 인양기(미도시)에 의해 견인되는 메인 로프(10)를 안내하는 안내 풀리(220)와, 분리용 롤러들(210)의 전방 하측에 분리용 롤러들(2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안내 롤러(230)를 가진다.
분리용 롤러들(210)과 안내 풀리(220)는 상술한 지지 기둥(140)의 회전 실린더에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분리부 몸체(240)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 롤러(230)는 몸체(240)의 양측으로부터 전방 하측으로 연장하는 브라켓(2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몸체(240)의 후측으로 연장하는 부분에는 안내 풀리(220)에 의해 안내되는 메인 로프(10)를 보조적으로 안내하는 안내 롤러들(244, 246)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용 롤러(210)의 하측에 한 쌍의 완충 롤러(250)가 설치된다. 완충 롤러(250)는 분리용 롤러(2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분리용 롤러(210)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 완충 롤러(250)는 메인 로프(10)에 의해 분리용롤러(210)의 사이로 안내되는 어로장비(20), 구체적으로는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22)가 분리용 롤러들(210)에 부딪혀서 분리용 롤러들(21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분리용 롤러들(210)이 마모될 경우 분리용 롤러들(210)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서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22)가 메인 로프(10)로부터 제대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완충 롤러(250)를 구비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흔들리면서 분리용 롤러(210)로 안내되는 체결분리장치(22)가 완충 롤러(250)에 먼저 부딪혀서 외력이 어느 정도 저감된 상태로 얌전하게 분리용 롤러들(210)의 사이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물론, 완충 롤러(250)가 마모되더라도 분리용 롤러들(210)의 작동에는 아무 지장이 없다.
또한, 분리용 롤러들(210)의 상측에는 낌 방지턱(260)이 설치된다. 이 낌 방지턱(260)은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22)가 과도한 힘으로 분리용 롤러들(210)의 사이로 들어가서 분리용 롤러들(210)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체결분리장치(22)가 끼지 않는 위치에서 체결분리장치(22)의 일 부분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어로장비 회수부(300)는 분리용 롤러(210)의 하방으로 연장하는 수직 부재(310)와 수직 부재(310)의 하부로부터 후측 하방으로 연장하는 수평 부재(320)를 가진다. 수직 부재(310)는 분리부(200)로부터 분리된 어로장비(20)가 바깥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아래로 가면서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수직 부재(310)는 대략 그물망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부재(320)는 대략 U형 단면을 가지며, 선박 갑판의 소정 위치로 어로장비(20)를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부재(320)는 수직 부재(310)의 후측단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꺾여져 접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수평 부재(320)를 상방으로 접어 올림으로써 갑판 위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수직 부재(310)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될 수도 있다.
한편, 분리부(200)의 전방에는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400)가 설치된다. 이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400)는 분리부(200)의 몸체(240)로부터 연장하는 고정 브라켓(248)에 의해 분리부(2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측 하방으로 연장한다.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400)는 대략 격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측부로부터 전측부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진다.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400)는 견인되는 메인 로프(10)를 분리부(200)의 전방에서부터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메인 로프(10)가 분리용 롤러들(210)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최소화한다. 동시에, 이 유지부(400)는 어로장비가 분리부(200)에 의해 메인 로프(10)로부터 분리될 때 상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의 작용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 로프(10)는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400)에 의해 분리용 롤러들(210)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유지된다. 선박의 진행 방향이 변화되는 등의 외적인 요인으로 메인 로프(10)가 분리용 롤러들(210)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더라도 메인 로프(10)는 그 견인되는 방향이 크게 변화되지는 않는다.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400)를 통과한 메인 로프(10)는 안내 롤러(230)를 거쳐 분리용 롤러들(210)의 사이를 통과한다. 안내 롤러(230)에 의해 메인 로프(10)는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용 롤러들(210)의 사이를 통과하며, 이에 따라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22)는 분리용 롤러들(21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리용 롤러들(210)과 만날 수 있어 연결 로프(12)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완충 롤러들(250)에 의해 분리용 롤러들(210)의 마모는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낌 방지턱(260)에 의해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22)가 분리용 롤러들(210) 사이에 끼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분리용 롤러들(210)을 통과한 메인 로프(10)는 안내 풀리(220)를 거쳐 인양기로 감아들여지고, 메인 로프(10)로부터 분리된 어로장비(20)는 회수부(300)의 수평 부재(320)로 떨어진다. 여기서, 분리용 롤러들(210)에 의해 메인 로프(10)로부터 분리될 때 여러 방향으로 튀는 어로장비(20)는 회수부(300)의 수직 부재(310)에 의해 외부로 튀지 않는다. 수평 부재(320)로 떨어진 어로장비(20)는 수평 부재(320)를 따라 미끄러져 갑판의 어로장비 수납 공간으로 안내된다.
한편, 선박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거나 기타 여러 가지 여건에 의해 작업 조건이 변화될 때, 지지부(100)의 유압 액츄에이터 또는 회전 실린더 등을 가동시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자세를 변화시킴으로써 작업 조건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세 변화는 수직 기둥(120)의 회전과 신축, 수평 기둥(130)의 신축, 지지 기둥(140)의 회전 실린더와 유압 액츄에이터에 의해 분리부(20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회전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조건의 변화에 맞추어 지지부 및 분리부의 자세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로장비를 안정되게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는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가 구비되는 것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어로장비 회수부가 제공됨으로써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된 어로장비가 다시 바다로 빠지는 것에 의한 어획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상당히 개량됨으로써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어획고도 늘릴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메인 로프의 견인을 안내하는 안내 풀리와, 상기 안내 풀리의 전방하측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메인 로프가 그 사이로 통과할 때 어로장비 체결분리기를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하는 한 쌍의 분리용 롤러와, 상기 분리용 롤러의 전방 하측에 설치되어 메인 로프가 상기 한 쌍의 분리용 롤러 사이를 수직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롤러를 가지는 어로장비 분리부; 및
    선박의 갑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며 중간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신축가능한 수직 기둥과, 상기 수직 기둥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신축가능한 수평 기둥과, 상기 수평 기둥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어로장비 분리부와 연결되는 지지 기둥과, 상기 수직 기둥을 수직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기구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의 지지 기둥은 상기 분리부의 메인 로프 견인 방향과 직교하는 한편 상기 분리부를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분리부와 결합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회전 액츄에이터에 대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기 지지 기둥의 중간 일측과 상기 분리부의 후측부를 연결하는 선형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에 의해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어로 장비를 갑판의 일측에 구비된 어로장비 수납공간으로 회수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부의 하측으로부터 어로장비 수납공간까지 후측 하방으로 연장하며 대략 U형 단면을 가지는 수평 안내부재와, 상기 분리부로부터 상기 수평 안내부재의 전단으로 낙하하는 어로장비가 바다나 선체의 다른 부분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 안내부재를 가지는 어로장비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안내부재는 사용하지 않을 때 공간을 적게 차지하도록 그 중간 일측을 중심으로 후측부가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견인되는 메인 로프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메인 로프의 견인 방향이 상기 분리부의 분리용 롤러들과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메인 로프 방향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용 롤러들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분리용 롤러들의 간격보다는 넓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완충 롤러를 더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용 롤러들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분리용 롤러들에 의해 메인 로프로부터 분리되는 어로장비가 메인 로프의 견인력 등에 의해 분리용 롤러들의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낌 방지턱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10-2002-0012743A 2002-03-09 2002-03-09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100435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743A KR100435159B1 (ko) 2002-03-09 2002-03-09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JP2002300946A JP3663513B2 (ja) 2002-03-09 2002-10-15 漁労装備自動分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2743A KR100435159B1 (ko) 2002-03-09 2002-03-09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988U Division KR200279236Y1 (ko) 2002-03-09 2002-03-09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462A KR20020032462A (ko) 2002-05-03
KR100435159B1 true KR100435159B1 (ko) 2004-06-16

Family

ID=1971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743A KR100435159B1 (ko) 2002-03-09 2002-03-09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63513B2 (ko)
KR (1) KR1004351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011B1 (ko) * 2016-12-29 2021-06-21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102382396B1 (ko) * 2019-06-04 2022-04-04 박명오 통발 탈락장치의 개선구조와 이를 이용한 로프 인양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598B1 (ko) * 1997-10-30 2000-01-15 김용문 통발 자동 탈락장치
KR200228989Y1 (ko) * 1999-03-16 2001-07-03 조영주 통발 자동 분리장치
KR100311902B1 (ko) * 1999-05-15 2001-10-17 박명오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200276313Y1 (ko) * 2002-02-26 2002-05-18 영 민 전 통발 자동 탈락기
KR100401810B1 (ko) * 2001-01-12 2003-10-17 유금범 통발양승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598B1 (ko) * 1997-10-30 2000-01-15 김용문 통발 자동 탈락장치
KR200228989Y1 (ko) * 1999-03-16 2001-07-03 조영주 통발 자동 분리장치
KR100311902B1 (ko) * 1999-05-15 2001-10-17 박명오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100401810B1 (ko) * 2001-01-12 2003-10-17 유금범 통발양승안내장치
KR200276313Y1 (ko) * 2002-02-26 2002-05-18 영 민 전 통발 자동 탈락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59763A (ja) 2003-09-16
KR20020032462A (ko) 2002-05-03
JP3663513B2 (ja)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3811B2 (ja) 撒積貨物船の船艙壁面清掃装置
KR100435159B1 (ko)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200279236Y1 (ko)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CN105073549A (zh) 轮胎保持装置
KR20080005471A (ko)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KR101787544B1 (ko)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CN108349579B (zh) 鱼笼脱落装置及包括其的鱼笼打捞机
KR200408849Y1 (ko) 통발 인양기
KR20120008397A (ko) 로프 정리기
KR101261502B1 (ko) 통발인양장치
JPH09272675A (ja) エレベーター
US4210352A (en) Hoisting apparatus
KR20230097662A (ko)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JP2011103815A (ja) 釣り針及び魚釣り装置
KR102267011B1 (ko)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20170010509A (ko) 로프 정리기
JP4236007B2 (ja) 回転式自動魚釣り機、及び、釣針作動装置。
KR20220002524U (ko) 회전식 자동 조획장치
JP2006149352A (ja) 旋綱の網処理方法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網処理装置
KR100579712B1 (ko) 어망인양장치
KR101239928B1 (ko) 주낙용 양승장치
KR20170010740A (ko) 로프 정리기
KR100401810B1 (ko) 통발양승안내장치
JP7286284B2 (ja) ガイドユニット
KR102648393B1 (ko) 어선용 양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