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544B1 -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 Google Patents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544B1
KR101787544B1 KR1020160136691A KR20160136691A KR101787544B1 KR 101787544 B1 KR101787544 B1 KR 101787544B1 KR 1020160136691 A KR1020160136691 A KR 1020160136691A KR 20160136691 A KR20160136691 A KR 20160136691A KR 101787544 B1 KR101787544 B1 KR 101787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ladle
fixing
fixed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오
Original Assignee
박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오 filed Critical 박명오
Priority to KR102016013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544B1/ko
Priority to PCT/KR2017/000028 priority patent/WO2018074668A1/ko
Priority to CN201780003309.8A priority patent/CN10834957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63B27/0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통발들이 연결된 로프의 인양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되는 통발 탈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 표면의 지줏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프로부터 통발 연결구들을 분리하기 위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줏대 일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부의 내벽에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된 구성을 가지며, 이와 같이 다수의 통발들이 연결된 메인로프의 인양 방향으로 통발 탈락장치의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되므로 파도나 너울 등의 조업 환경 변화에 따른 로프의 인양 방향 변경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메인로프의 요동 내지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FISH TRAP SEPARATING UNIT AND FISH TRAP PULLING-UP MACHI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발의 인양 및 탈락 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의 인양 위치 또는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한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발과 같은 어로작업을 함에 있어서, 선박의 외벽은 로프와 통발의 인양 과정에 중대한 장애 요소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상에서 로프의 인양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통발 인양기의 한 형태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76313호(2002.05.09)의 고안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용신안의 구성을 보면, 어선의 난간에 수직으로 고정되게 설치된 지주(2)와, 이 지주에 부착되어 메인로프(3)의 인양을 안내하는 수평 안내 롤러(4)(4')(4'') 및 경사 안내 롤러(5)와, 본체를 구성하는 지주(2)의 상부에 설치된 한 쌍의 탈락 롤러(6)로 이루어져 한 쌍의 탈락 롤러(6) 사이로 메인로프(3)를 인양하면서 통발(100)을 탈락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고안에서 메인로프가 통과하는 한 쌍의 탈락 롤러는 인양기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해상의 파도나 너울 등으로 인해 조업 환경이 악화될 경우 로프가 상하로 심하게 요동하거나 로프의 인양 방향 또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로프가 안내 롤러들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2013년 12월 9일에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라는 명칭으로 특허출원 제2013-0152552호를 출원하여 특허 제1427242호로 등록을 받은 바 있으며, 이러한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는 이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통발 연결구'로 지칭하며 도 2를 통해 하나의 예시적인 형태로 도시하고 있다.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이하 '통발 연결구' 라 함)의 구성을 보면, 통발 연결구는 인양기에 의해 인양되는 동안 소정의 탈락수단에서의 슬리이브 부재(600)의 걸림에 의해 상대적으로 체결부재(500)의 헤드부(510) 및 상부 로드(530)가 슬리이브 부재(600)로부터 상승하게 되고, 그로 인해 체결홈(514)이 슬리이브 부재(600)의 상부로 노출되어짐으로써 메인 로프 또는 보조 로프로부터 상기 통발 연결구가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슬리이브 부재(600)는 탈락수단에서의 걸림에 의해 받게 되는 힘과 이 과정에서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감당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둔턱부(610)가 표면 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제공되며, 이 둔턱부(610)로부터 상부로 가면서 하부가 넓고 상부가 점점 좁아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경사진 구조를 갖추어 슬리이브 부재(600)가 인양기의 탈락수단에 안전하게 걸림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발된 것으로, 다수의 통발들이 연결된 메인로프의 인양 방향으로 통발 탈락장치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함으로써 파도나 너울 등 조업 환경 변화에 따른 로프의 인양 방향 변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다수의 통발들이 연결된 로프의 인양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선박 표면의 지줏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프로부터 통발 연결구들을 분리하기 위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줏대 일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부의 내벽에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된 통발 탈락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지줏대 표면의 고정수단과 볼트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요부에 삽입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의 끝단은 나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요부의 바닥을 통과한 후 너트로 체결 고정된다. 가이드롤러와 걸림부재는 하나의 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는 로프를 통과시키고 상기 통발 연결구는 걸림되도록 상호 이격된 나란한 한 쌍의 바 형상의 롤러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재의 각 롤러 하부에는 통발 인양시 상기 통발 연결구의 충돌력과 튕김을 완화하기 위해 소정의 충격흡수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의 통발 탈락장치와, 통발의 양승 및 회수를 위한 일정 형상의 통발 회수장치, 그리고 상기 통발 회수장치 및 통발 탈락장치를 배에 설치하기 위한 지줏대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통발들이 연결된 메인로프의 인양 방향으로 통발 탈락장치의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되므로 파도나 너울 등의 조업 환경 변화에 따른 로프의 인양 방향 변경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메인로프의 요동 내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는 종래의 통발 인양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과 같은 통발 인양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발 탈락장치의 설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통발 탈락장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조립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조립 구성을 갖는 연결부재의 작동과 그에 따른 통발 탈락장치의 회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통발 탈락장치에 의한 통발 연결구의 탈락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통발 탈락장치를 갖는 통발 인양기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통발 인양기를 보관하기 위해 부피를 줄이는 과정을 a∼d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통발 인양기에 구비된 받침판 어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8의 통발 인양기를 이용한 통발 인양과정을 a∼c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연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는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발 탈락장치의 설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통발 탈락장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조립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통발 탈락장치는 선박의 선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통발의 회수를 위한 통발 회수장치와 함께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통발 탈락장치는 다수의 통발(T; 도 7 참조)들이 연결된 메인로프(2)를 인양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로프(2)를 안내하게 되는 가이드롤러(210)와 이 가이드롤러의 하방 또는 전방 위치에서 통발 연결구(H; 도 7 참조)의 진행 차단 및 분리를 제공하는 걸림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이드롤러(210)와 걸림부재(220)는 하나의 하우징(230)에 일체로 조립되어서 제공된다. 또한, 통발 탈락장치(200)는 선박의 난간 위로 일정한 높이를 갖고 갑판이나 난간 상에 고정되는 지줏대(3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줏대(300)는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봉(310)과 이 수직봉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선박 외부의 바다 쪽으로 연장된 수평봉(320)으로 구성된다. 수직봉(310)은 선박의 갑판 또는 난간(1) 상면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하부 구조(311)를 가지며, 수평봉(320)에는 소정의 고정수단(321)이 구비되어 본 발명의 통발 탈락장치(200)를 착탈 방식 또는 볼트체결 방식에 의해 수평봉(320)에 설치할 수 있다.
걸림부재(220)는 나란히 배열된 한 쌍의 바(bar)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면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로프는 통과시키고 통발 연결구는 걸림되어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열되는 한 쌍의 롤러들로 구성된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통발 탈락장치를 지줏대(30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40)의 구성이 도시된다. 연결부재(240)는 가이드롤러(210)와 걸림부재(220)를 수용하는 하우징(230)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지줏대(300)의 수평봉(320)에 설치된 상기 고정수단(321)과 밀착결합되는 고정부(241)와, 상기 고정부(241)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하우징(230)의 상면과 일체로 이루어진 회전부(242)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241)는 상기 고정수단(321)과 맞닿아 볼트 등의 요소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241a)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회전부(242)에 삽입되는 고정축(24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축(241b)의 끝단은 나사부(241c)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부(242)의 내부를 통과한 후 너트(241d)에 의해 상기 회전부(242)의 적어도 일부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242)는 상기 고정축(241b)의 축부가 삽입되어 회전 자유롭게 유지되는 일정 직경의 요부(242a)를 가지며, 상기 요부(242a)의 내벽을 따라서는 상기 고정축(241b)의 축부와 밀착되어 회전 자유로운 상태를 제공하는 베어링(242b)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부(242a)의 바닥에는 상기 나사부(241c)가 통과하는 나사홀(24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홀(242c)을 통해 상기 고정축(241b)의 끝단이 회전부(242)에 고정된다. 도면에 따르면, 회전부(242)는 고정축(241b)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기 위해 상기 요부(242a)가 상기 고정축(241b)의 축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고정축(241b)의 축부는 회전부(242)의 요부(242a)보다 다소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의 조립 구성을 갖는 연결부재의 작동과 그에 따른 통발 탈락장치의 회전 상태를 보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발 탈락장치와 선박 표면의 지줏대(300)를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는 연결부재(240)는 도 6b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줏대(300)의 고정수단(321)에 결합된 고정부(241), 바람직하게는 고정축(241b)을 중심으로 회전부(242)가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회전부(242)의 하단이 하우징(230)의 상면과 일체로 된 본 발명의 통발 탈락장치는 메인로프(2)의 인양 방향(예를 들면, 해상에서 로프가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통발 탈락장치는 걸림부재(220)를 구성하는 각 롤러들의 하부에는 메인로프(2)를 따라 인양되는 통발 연결구(H)의 충돌력과 튕김을 완화하기 위하여 일종의 충격흡수판(250)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충격흡수판(250)은 예를 들어 고무판과 같이 일정한 탄성을 갖는 소재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통발 탈락장치는 가이드롤러(210)를 통과한 메인로프(2)를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의 뒷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후방 롤러(26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통발 탈락장치에 의한 통발 연결구의 탈락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통발 연결구(H)는 메인로프(2)에 직접 연결되거나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유지된 가짓줄(2a)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통발 연결구(H)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발(T)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메인로프(2)를 인양할 경우, 로프들(2,2a)은 통발 탈락장치의 걸림부재(220)의 각 롤러들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반면, 통발 연결구(H)는 상기 걸림부재(220)에 의해 걸림상태로 되어, 이때 발생하는 인장 응력에 의해 통발 연결구(H)가 로프(2 또는 2a)로부터 탈락되고, 따라서 각각의 통발(T)들이 메인로프(2)로부터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통발 탈락장치를 갖는 통발 인양기의 구성과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통발 인양기는 통발의 양승과 회수를 위한 통발 회수장치(100)와 통발 탈락장치(200), 그리고 이 통발 회수장치와 통발 탈락장치를 배에 설치하기 위한 지줏대(300)를 포함한다.
지줏대(300)는 선박의 난간(1) 위로 일정한 높이를 갖고 갑판이나 난간에 고정되는 것으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봉(310)과 이 수직봉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선박 외부로, 바람직하게는 바다쪽으로 연장된 수평봉(320)으로 구성된다. 수직봉(310)은 선박의 갑판 또는 난간(1) 상면에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는 하부 구조(311)를 가지고, 수평봉(320)에는 걸림고리(미도시)나 소정의 고정수단(321)이 구비되어 통발 탈락장치(200)를 거치 방식 또는 볼트체결 방식에 의해 수평봉(320)에 설치할 수 있다.
통발 탈락장치(200)는 메인로프(2)를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210)와 이 롤러로의 진입 전 부분에 통발 상부의 탈착 연결구(H)에 대하여 걸림 또는 진행 차단을 제공하는 걸림부재(220)를 포함한다. 걸림부재(220)는 한 쌍의 바(bar)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응된 상태로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를 배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이 걸림부재(220)와 가이드 롤러(210)는 하나의 케이스(230)에 일체로 조립되어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30)의 상부에는 걸림고리(미도시)나 소정의 고정수단(231)이 구비되어 거치 방식 또는 볼트체결 방식으로 지줏대(300)의 수평봉(320)에 대하여 설치할 수 있다.
선박에서의 통발 회수장치(100)의 설치는 용접 방식(131,용접부)이나 일정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지줏대(300)의 수직봉(310) 표면에 고정한다. 통발 회수장치(100)는 전후 방향이 개방되고 측방향이 차폐된 형태의 본체 프레임(110)과, 이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고 본체 프레임의 양 측단, 바람직하게는 바다쪽을 향하는 전방측 양 끝단에 설치된 기둥(130)들을 축으로 하여 본체 프레임(110)에 대하여 수평·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20)을 갖는다.
본체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의 연결부분은 힌지결합수단(14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힌지결합수단(140)을 중심으로 한 상부 프레임(120)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축 회전을 고정시키기 위해 힌지결합수단(140)에는 끼움핀이나 볼트 등을 꽂아 본체 프레임(110) 또는 양측 기둥(130)에 대하여 상부 프레임(12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8에서 미설명된 부호 "111'은 본체 프레임(110)의 "바닥부" 이며, 이 바닥부(111)는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통발 회수장치(100)가 지줏대(300)의 수직봉(310) 표면에 고정되는 선상에서의 사용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20)은 본체 프레임(1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부 프레임(120)은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통발 탈락장치(200)에 의해 탈락된 통발(T)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120) 상부에 일정한 형태의 구조물(이하 ‘울타리’라 지칭함)을 구비할 수 있다.
통발 회수장치(100)가 지줏대의 수직봉(310)에서 분리되는 보관 상태에서 상부 프레임(120)은 본체 프레임(11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 프레임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에 본체 프레임(110)의 높이 방향으로 세워진다. 상부 프레임(120)이 본체 프레임(110)의 전방측에 높이 방향으로 세워질 때, 통발 회수장치(100)의 전체 부피를 줄이기 위해 울타리는 상부 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접어져서 프레임 내부에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프레임(120)이 본체 프레임(1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될 때, 울타리는 탈락된 통발(T)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부 프레임(120)의 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상부의 출구가 대체로 좁게 모아진 각뿔대의 형태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단면이 4각형 구조인 상부 프레임(120)의 경우 그에 대응하여 울타리도 사각뿔대의 형태를 갖춤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울타리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 방향들에 각각 방호벽(121)을 구비하고, 그 측방향 중 적어도 일측에 방호벽들의 기립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물론, 울타리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부 프레임(120)의 각 방향에 사다리꼴 형상의 선회가능한 방호벽(121)들을 갖는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울타리는 통발 회수장치(100)의 보관 시 방호벽들이 상부 프레임(120)의 내측방향으로 접어져서 내부에 수용되고, 통발 회수장치의 사용 시 상부 프레임의 상방향으로 세워져 방호벽끼리 소정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방호벽(121)과 지지수단은 상부 프레임(120)의 상단에 내측 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며, 지지수단은 상호 대응하는 방호벽(121)들의 사이를 지지하기 위해 각각의 방호벽들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는 가로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호벽(121)들의 상단 일측의 대응 단부에 가로대(122)와 수평으로 연통되는 끼움대(123; 도 9b 참조)를 각각 배치하고, 가로대(122)는 상부 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선회가능하게 연장된 레버(이하‘연장레버’라 함;124)의 끝단에 상기 끼움대(123)들과 대응하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로대(122)와 끼움대(123)를 통과하는 연결봉(125; 도 9b 참조)이 끼워짐으로써 상부 프레임 상부에 통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울타리를 형성하게 된다. 반대로, 통발 회수장치의 보관 시에는, 도 9a 내지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122)와 끼움대(123)에 끼워진 연결봉(125)을 제거함으로써 방호벽(121)들과 지지수단의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각각의 방호벽(121)과 지지수단은 상부 프레임(120)의 내측방향으로 선회하여 접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울타리가 해체된 상태로 상부 프레임(120)을 본체 프레임(11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켜 통발 회수장치(100)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본체 프레임(110)의 전방측에 높이 방향으로 세워 보관하게 된다.
통발 회수장치(100)의 사용 시 상부 프레임(120)은 본체 프레임(11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놓여진 상태로 소정의 보조연결수단(1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연결수단(150)은 이를 본체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의 각 후단에 마련된 연결고리(119)(129)들에 걸어 연결함으로써 본체 프레임(110)의 전방측 끝단에 마련된 기둥(130)들과 상부 프레임(120)의 대응 측면들을 연결하는 힌지결합수단(140)을 보조하여 상부 프레임(120)의 축 회전에 의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통발 회수장치(100)의 보관 시에는 보조연결수단(150)을 연결고리(119)(129)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리하고 힌지결합수단(140)에서의 상부 프레임(120)의 체결·고정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부 프레임을 본체 프레임(11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통발 회수장치(100)는 사용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놓여지는 상부 프레임(120)을 지지하기 위해 힌지결합수단(140) 및 보조연결수단(150)의 지지력과 더불어 본체 프레임(110)의 전방측 일 단부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상부 프레임(120)의 전방측 끝단을 연결·지지하는 지지봉(B5)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봉(B5)은 통발 인양시 구동되는 메인로프(2)를 유도하기 위해 회전가능한 롤러형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통발 회수장치(100)의 보관 시 상부 프레임(1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착탈가능한 연결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프레임(110)의 전방측 타 단부, 바람직하게는 지지봉(B5)의 맞은편 위치에는 통발(T) 인양시 이리저리 요동되는 메인로프(2)를 유도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110)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제1 롤러(B1)가 구비되고, 또 이 제1 롤러(B1)와 수직으로 본체 프레임(110)의 전방으로 연장된 상부 프레임(120)의 측 단부 및 전방 단부에는 메인로프(2)를 유도하기 위해 제2 롤러(B2)와 제4 롤러(B4)가 구비되고, 제2 롤러(B2)와 제4 롤러(B4)의 사잇각 부분에도 메인로프(2)를 유도하기 위한 제3 롤러(B3)가 구비된다.
통발 회수장치(100)는 메인로프(2)를 따라서 이동하는 보조로프(3)로부터 통발 탈락장치(200)에 의해 탈락되는 통발(T)들을 회수하기 위해, 본체 프레임(110)의 전방 끝단과 상부 프레임(120)의 전방 끝단 사이에 일정한 형태의 받침판(161)(162)들의 배열 구성인 받침판 어레이(16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판 어레이(160)를 구성하는 각각의 받침판(161)(162)들은 일정한 형상의 틀체(161-2)(162-2)와 이들 틀체의 적어도 일 부분(a)에 볼트(b)·너트(c) 결합으로 체결된 고무판(161-1)(162-1)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양된 통발(T)들이 메인로프(2)를 따라 통과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통발 탈락장치(200)에 의해 탈락된 통발(T)들이 바다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힌지스프링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탄지된 구조로 통발 회수장치(100)의 전방측 개방 단부에 상,하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프레임(110)의 끝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의 받침판(162)이 구비되고, 이들 받침판(162)과 대응하는 받침판(161)들이 상부 프레임(120)의 전방 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구성들과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발 인양기의 작동과 그에 따른 통발 인양작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통발 인양기의 작동에 의한 통발의 인양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먼저 로프 권취기 모터(미도시)의 구동함에 따라 바닷속에 투입된 메인로프(2)가 인양되고, 이 메인로프가 인양됨에 따라 메인로프(2)에 일정 간격으로 매듭진 보조로프(3)에 매달린 통발(T)들이 해저로부터 선상으로 끌어올려진다.
이때, 메인로프(2)는 통발 탈락장치(200)의 가이드 롤러(210)에 거치된 상태로 이를 통과하여 선상의 로프 권취기(미도시)에 감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메인로프(2)는 통발 회수장치(100)의 각 방향에 설치된 롤러(B1,B2…B5)들에 의해 유도된 상태로 상부에 위치된 통발 탈락장치(200)의 가이드 롤러(210)를 통과하게 된다. 메인로프(2)가 인양될 때 따라서 올라오게 되는 통발(T)들은 메인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각 보조로프(3)에 탈착 연결구(H)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통발(T)들은 먼저 통발 회수장치(100)의 전방부에 위치된 복수의 받침반(161,162)들 사이를 통과하며 통발 회수장치(100)의 내부로 진입하고, 또 계속 끌어올려져 로프(2)가 통발 탈락장치(200)의 가이드 롤러(210)를 통과하게 되는 단계에서 탈착 연결구(H)가 걸림부재(220)에 의해 벗겨져 로프(3)로부터 탈락된다. 이때 로프(2)의 이동속도와 탈착 연결구(H)의 장력 등으로 인해 통발(T)은 심하게 튈 수 있는데, 이 경우 통발 회수장치(100)의 상부 프레임(120)에 설치된 울타리에 의해 통발(T)이 선외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의 울타리에 의해 선외 이탈이 차단된 통발(T)은 받침판(161,162)들의 경사면 위로 떨어지고, 받침판 어레이(160)의 경사도에 의해 아래로 미끄러지면서 본체 프레임(110)의 출구측 개방부로 나오게 되어 작업자들은 간단히 통발을 집어 선상에 적재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구성으로부터 통발 인양기는 탈착 연결구의 파손없이 쉽고 원활한 통발 분리가 가능하고, 선체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경우에도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매우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위에서 설명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그 일부를 예시한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다수의 통발들이 연결된 로프의 인양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구성되는 통발 탈락장치로서,
    선박 표면의 지줏대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 및 상기 로프로부터 통발 연결구들을 분리하기 위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줏대 일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요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부의 내벽에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줏대 표면의 고정수단과 볼트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요부에 끼워지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탈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끝단이 나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끝단이 상기 요부의 바닥을 통과한 후 너트로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탈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걸림부재는 하나의 하우징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탈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로프를 통과시키고 상기 통발 연결구는 걸림되도록 상호 이격된 나란한 한 쌍의 바 형상의 롤러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탈락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의 각 롤러 하부에는 통발 인양시 상기 통발 연결구의 충돌력과 튕김을 완화하기 위해 소정의 충격흡수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 탈락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발 탈락장치와, 통발의 양승 및 회수를 위한 일정 형상의 통발 회수장치, 그리고 상기 통발 회수장치 및 통발 탈락장치를 배에 설치하기 위한 지줏대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1020160136691A 2016-10-20 2016-10-20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101787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91A KR101787544B1 (ko) 2016-10-20 2016-10-20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PCT/KR2017/000028 WO2018074668A1 (ko) 2016-10-20 2017-01-02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CN201780003309.8A CN108349579B (zh) 2016-10-20 2017-01-02 鱼笼脱落装置及包括其的鱼笼打捞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691A KR101787544B1 (ko) 2016-10-20 2016-10-20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544B1 true KR101787544B1 (ko) 2017-10-20

Family

ID=6029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691A KR101787544B1 (ko) 2016-10-20 2016-10-20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7246A (zh) * 2021-06-29 2021-09-21 刘国印 一种水利工程用生态环境控制装置
KR102318908B1 (ko) 2021-02-10 2021-10-27 유금범 장어통발용 로프 정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08B1 (ko) 2021-02-10 2021-10-27 유금범 장어통발용 로프 정리장치
CN113417246A (zh) * 2021-06-29 2021-09-21 刘国印 一种水利工程用生态环境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5311B1 (fr) Echafaudage hydraulique
EP1616782B1 (en) Self-retracting lockable step-assembly for boats
KR101787544B1 (ko)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101169362B1 (ko) 주낙용 투승장치
CN108349579B (zh) 鱼笼脱落装置及包括其的鱼笼打捞机
KR20180078382A (ko) 통발 탈락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101772168B1 (ko) 통발 회수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통발 인양기
KR101427242B1 (ko) 어로장비 체결분리장치
KR101314771B1 (ko) 통발 인양기
RU2303353C1 (ru) Погруж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морепродуктов (варианты)
US8876429B2 (en) Locking devices for boat lifts
CN112282402B (zh) 一种预制装配式建筑可折叠整体式抛网及安装方法
KR20230097662A (ko)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KR100910543B1 (ko) 건축공사용 휘장망 설치장치
CN209293395U (zh) 建筑施工用附着式安全作业防护平台
KR100435159B1 (ko)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KR200490622Y1 (ko) 선박용 이동식 대빗
KR102382396B1 (ko) 통발 탈락장치의 개선구조와 이를 이용한 로프 인양방법
KR101239928B1 (ko) 주낙용 양승장치
KR200279236Y1 (ko)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JP6418607B2 (ja) 墜落防止装置
JP6197836B2 (ja) 移動式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スタンション
CN217260154U (zh) 一种布料转运装置
DE1002589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nehmen und Aussetzen eines Beiboots
WO2017158528A1 (en) System for coiling up a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