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662A -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662A
KR20230097662A KR1020210187383A KR20210187383A KR20230097662A KR 20230097662 A KR20230097662 A KR 20230097662A KR 1020210187383 A KR1020210187383 A KR 1020210187383A KR 20210187383 A KR20210187383 A KR 20210187383A KR 20230097662 A KR20230097662 A KR 20230097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longitudinal direction
net
width direc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남수
김민상
박상혁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21018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662A/ko
Publication of KR2023009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1/00Float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망되는 유자망을 펼치면서 당길 수 있고 유자망에 걸린 어획물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은 양망되는 선체의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견인되는 유자망을 주기적으로 타격하여 유자망에 걸린 어획물들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조업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은 부하 발생 시, 토크리미터에 의해 당김구동모터의 동력전달이 차단되어 무리하게 유자망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자망 및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은 어획물이 분리된 유자망이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므로 자동으로 정리될 수 있어 조업 효율 향상 및 어망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Automatic system for separating fish in offshore fishery}
본 발명은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망되는 유자망을 펼치면서 당길 수 있고 유자망에 걸린 어획물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해자망어업은 유자망 또는 고정자망을 사용하여 수산동물을 포획하는 어업으로서, 상기 유자망(流刺網)은 어구를 고정시키지 않고 조류를 따라 흘러가게 함으로써 고기가 가지고 있는 주류성(走流性)과의 관계에서 유영성 어족이 그물코(망목,網目)에 꽂히도록 해서 잡는 어법이다.
대부분의 유자망은 표층에 부설하는 뜬 흘림걸그물류이나 참조기 유자망(이하 '자망'이라 통칭함.)은 저층에 부설하는 바닥 흘림걸그물류이다.
자망의 그물감(망지,網地)은 일반적으로 모노망(경심망)으로 된 것으로, 망목은 50mm~53mm이고 1폭의 길이는 23~25m이며 높이는 8~10m로서 300~500폭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편망(編網)의 구조와 방법은 지역이나 어선규모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자망 어구를 이용한 어법은 매년 8월 중순경에 초출어하며 1항차당 출어기간을 약 15일 간격으로하여 연간 14항차~18항차정도 출어하고 있으며 항차당 10~13명이 승선하여 조업하게 된다. 자망 어구의 투망은 일출 2시간 전 수심에 따라 부표줄을 조정하여 선미에서 바람을 받으며 조류의 방향과 거의 일치하도록 신속히 전진하면서 투망작업(소요시간 약60~90분)을 완료하고 배걸이줄을 연결하여 표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투망을 완료하고 대기하였다가 일정시간 후 양망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양망작업시 그물코에 꽂힌 채로 끌어올려진 어획물(참조기, 고등어, 갈치 등)을 선원들이 그물코 한 코 한 코에서 일일이 떼어내야 함으로써 탈망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탈망작업의 문제점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기관실 측면에 설치된 사이드 드럼과 선수부 전방 갑판상에 설치된 양망기(물레)에 의해 선상으로 끌어올려지는 어망은 그물감과 함께 부표와 부표줄, 뜸과 뜸줄 및 발돌과 발줄 등의 부재와 그물코에 꽂힌 참조기 등의 어획물이 동시에 인양되어 갑판 중앙부에 마련된 그물장으로 적재된다.
이 과정에서 승선한 선원들이 전원 투입되어 뒤엉킨 어망 부재들을 비집고 그물감을 펼쳐가면서 그물코에 꽂힌 어획물을 일일이 떼내야 함으로써 탈망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비함은 물론 선원들의 피로감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더욱이 어선의 규모에 따라 어상자로 많은 양을 어획할 시 선체 내에서 탈망작업이 더욱 어렵고 지체되어 결국에는 어획물을 어망과 함께 그대로 싣고 입항한 후, 부둣가에 어망을 펼쳐놓고 별도의 보조인력을 투입하여 탈망작업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최근 고유가와 선원 인력난으로 출어 경비가 급상승하여 어민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와 같은 탈망작업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어민들의 경제적 손실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양망작업시 참조기 등의 어획물을 효율적으로 탈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0533호 : 유자망 양망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0165호 :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망 작업 시 인양되는 유자망이 선체의 폭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당겨지고, 당겨지는 유자망을 주기적으로 타격하여 유자망에 걸린 어획물들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획물이 분리된 유자망을 펼쳐진 상태로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시켜 정리할 수 있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은 바다 내의 유자망을 선체로 끌어올리는 양망기와;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측에 상호 마주하거나 상기 양망기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유자망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프와 상기 로프에 연결된 어구를 지지하는 복수의 로프지지부를 포함하는 망 펼침유닛과; 상기 망 펼침유닛에서 펼쳐져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자망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타격하여 상기 유자망에 걸린 어획물을 분리시키는 어획물 분리기와; 상기 어획물 분리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망 펼침유닛과 이격되게 배치되며,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측에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자망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클램핑하여 상기 유자망을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망 견인부를 포함하는 망 당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프지지부는 하부가 상기 선체에 고정되고 상하로 연장된 롤러지주와, 상기 롤러지주에서 상기 선체의 폭 중심측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고정되며 펼침하부롤러가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롤러지지프레임과, 펼침상부롤러가 상기 펼침하부롤러의 수직상방에서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펼침하부롤러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틸팅가능하게 상기 고정바에 장착되는 상부롤러지지프레임과, 상기 펼침상부롤러가 상기 펼침하부롤러의 수직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되거나 상기 하부롤러지지프레임에 대해 틸팅된 상기 상부롤러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펼침상부롤러와 상기 펼침하부롤러는 상하로 이격된 사이로 상기 유자망의 망체만 통과되게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게 배치 시 상기 로프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로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획물 분리기는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길이연장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승 시 상방에 위치한 상기 유자망을 타격하는 복수의 타격바와; 각 상기 타격바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여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승강 슬라이더와, 상하로 연장되어 관통하는 상기 승강슬라이더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바와, 하나의 상기 타격바가 상승 시 다른 하나의 상기 타격바는 하강되게 복수의 상기 타격바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 구동부를 포함하는 타격구동유닛과;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선체의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승강슬라이더들을 지지하는 타격지지 지주를 포함하는 타격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망 당김유닛에 의해 당겨진 상기 유자망의 길이방향 단부의 폭 방향 양측을 각각 파지한 상태로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왕복이동되는 복수의 왕복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망 정리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은 양망되는 선체의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견인되는 유자망을 주기적으로 타격하여 유자망에 걸린 어획물들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조업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은 부하 발생 시, 토크리미터에 의해 당김구동모터의 동력전달이 차단되어 무리하게 유자망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자망 및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은 어획물이 분리된 유자망이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므로 자동으로 정리될 수 있어 조업 효율 향상 및 어망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이 장착된 선박에 대한 일부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의 로프지지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로프지지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의 어획물 자동분리기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어획물 자동분리기에 대한 일부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어획물 자동분리기에 대한 일부 절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의 망 당김유닛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의 망 정리유닛에 대한 일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망 정리유닛에 대한 일부 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망 당김유닛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7)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7)은 바다 내의 유자망(3)을 선체(2)로 끌어올리는 양망기(8)와; 선체(2)의 폭 방향 양측에 상호 마주하거나 양망기(8)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유자망(3)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프(5)와 상기 로프(5)에 연결된 어구(6)를 지지하는 복수의 로프지지부(11)를 포함하는 망 펼침유닛(10)과; 망 펼침유닛(10)에서 펼쳐져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유자망(3)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타격하여 유자망(3)에 걸린 어획물(미도시)을 분리시키는 어획물 분리기(60)와; 어획물 분리기(60)를 사이에 두고 망 펼침유닛(10)과 이격되게 배치되며, 선체(2)의 폭 방향 양측에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유자망(3)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클램핑하여 유자망(3)을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망 견인부(151)를 포함하는 망 당김유닛(150)과; 망 당김유닛(100)에 의해 당겨진 유자망(3)의 길이방향 단부의 폭 방향 양측을 클램핑한 상태로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망 정리유닛(200)을 구비한다.
양망기(8)는 선수의 선체(2)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되어, 바다에 투망된 유자망(3)을 양망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양망드럼(9)과, 양망드럼(9)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럼지지프레임(8a)과, 드럼지지프레임(8a)에 장착되어 양망드럼(9)을 회전시키는 드럼구동모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양망기(8)는 유자망(3)을 양망할 수 있으면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망기(8)는 선수 측에 장착된 하나의 로프지지부(11)와 선체(2)의 폭 방향으로 마주한다.
복수의 로프지지부(11) 중, 하나는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양망기(8)와 마주하면, 나머지 한 쌍은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선체(2)의 폭 방향 양측에 장착된다.
한편, 유자망(3)은 펼쳐졌을 때 일정한 폭으로 길이연장되는 망 본체(4)와, 망 본체(4)의 폭 방향 양측에 망 본체(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프(5)와, 로프(5)에 일정간격으로 연결되거나 설치되는 뜸돌이나 발돌과 같은 부속구를 포함하는 어구(6)를 포함한다.
양망기(8)에 양망된 유자망(3)은 폭 방향 일측의 하나의 로프(5)가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양망기(8)와 마주하는 로프지지부(11) 측으로 이동되고, 폭 방향 타측의 나머지 하나의 로프(5)가 유자망(3)에 대해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로프지지부(11) 측으로 이동되면서 망본체(4)의 폭이 선체(2)의 폭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선미 측으로 이동된다.
로프지지부(11)는 하부가 선체(2)의 갑판에 고정되고 상하로 연장된 롤러지주(12)와; 롤러지주(12)의 상부에서 선체(2)의 폭 방향 중심측을 향하도록 롤러지주(12)에 대해 돌출되는 고정바(14)와; 고정바(14)에 고정되며 펼침하부롤러(26)를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롤러지지프레임(20)과; 펼침상부롤러(33)가 펼침하부롤러(26)의 수직상방에서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펼침상부롤러(33)가 펼침하부롤러(26)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틸팅가능하게 고정바(14)에 장착되는 상부롤러지지프레임(27)과; 펼침상부롤러(33)가 펼침하부롤러(26)의 수직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되거나 하부롤러지지프레임(20)에 대해 틸팅된 상부롤러지지프레임(27)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수단(35)을 구비한다.
고정바(14)는 롤러지주(12)의 상부에 선체(2)의 폭 방향으로 관통장착되는 지주관통부(15)와, 일측이 선체(2)의 폭 방향 중심측을 향하는 지주관통부(15)의 단부에서 지주관통부(15)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절곡부(16)와, 일측이 제1절곡부(16)의 타측과 연결되며 선체(2)의 폭 방향 중심측으로 연장된 제2절곡부(17)와, 제2절곡부(17)의 타단에서 제1절곡부(16)에 나란하도록 연장되어 상부롤러지지프레임(25)과 하부롤러지지프레임(20)의 일측을 관통하는 프레임결합부(18)를 구비한다.
하부롤러지지프레임(20)은 일측이 선체(2)의 갑판에 나란하도록 형성되며 중심측에 제1롤러지지축(25)이 관통결합되는 판상의 제1축결합부(22)와, 선체(2)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제1축결합부(22)의 타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제1수직부(23)를 포함하는 제1롤러지지본체부(21)와; 제1롤러지지본체부(21)의 타측 상단에 연결되며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이 관통되어 고정바(14)의 프레임결합부(18)가 관통결합되는 제1힌지결합부(24)를 구비한다.
제1롤러지지축(25)은 하부가 제1축결합부(22)에 고정되고, 제1축결합부(22)의 상방으로 결이연장된다.
펼침하부롤러(26)는 중심측으로 관통되는 제1롤러지지축(25)에 대해 회전가능하며, 제1축결합부(22)에서 상방으로 멀어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상부롤러지지프레임(27)은 제2롤러지지본체(28)와, 제2힌지결합부(31)를 구비한다.
제2롤러지지본체(28)는 회동된 위치에 따라, 제1축결합부(22)에 나란하거나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축결합부(29)와, 선체(2)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는 제2축결합부(29)의 일측에서 제2축결합부(29)에 직교하게 하방으로연장되는 제2수직부(30)를 포함한다.
제2힌지결합부(31)는 제2수직부(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1힌지결합부(24)와 동심을 이루며 내부로 고정바(14)의 프레임결합부(18)가 상대회동가능하게 관통한다.
제2롤러지지축(32)은 상부가 제2축결합부(29)에 소정길이 승강가능하게 관통되고, 제2축결합부(29)의 하방으로 결이연장된다.
제2롤러지지축(32)는 제2축결합부(29)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에는 파지가능한 손잡이부(34)가 마련된다.
펼침상부롤러(33)는 중심측으로 관통되는 제2롤러지지축(3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축결합부(29)에서 하방으로 멀어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원통형태로 형성된다.
펼침상부롤러(33)와 펼침하부롤러(26)는 제2축결합부(29)가 제1축결합부(22)에 나란하게 상부롤러지지프레임(27)이 회동되어 제1롤러지지축과 제2롤러지지축이 상하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 시, 유자망(3)의 망 본체(5)만 통과되게 로프(5)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로 상호 이격된다.
고정수단(35)은 프레임결합부(18)가 관통되는 하부롤러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서 롤러지주(12) 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되는 복수의 제1핀관통편(36)과, 프레임결합부(18)가 관통되는 상부롤러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서 롤러지주(12)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제1핀관통편(36)과 마주하는 복수의 제2핀관통편(40)과,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핀관통편(36,40)을 관통하는 회동제한핀(43)을 구비한다.
복수의 제1핀관통편(36)은 회동제한핀(43)이 관통가능한 제1핀관통공(37)과, 제1핀관통공(37)에 대해 하방에 형성되되 제1핀관통공(37) 보다 롤러지주(12)에 대해 멀리 이격되는 제2핀관통공(38)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2핀관통편(40)은 회동제한핀(43)이 관통가능한 제3핀관통공(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부롤러지지프레임(27)과 함께 회동된 위치에 따라, 제1핀관통공(37)과 동심을 이루거나 제2핀관통공(38)과 동심을 이룬다.
그리고, 고정수단(35)은 제3핀관통공(41)이 관통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복수의 제2핀관통편(40)의 각 외주면에서 제3핀관통공(41)으로 진입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회동제한핀(43)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가압하는 복수의 볼플랜지(47)를 구비한다.
회동제한핀(43)은 복수의 제1핀관통편(36)과 복수의 제2핀관통편(40)을 관통하는 핀본체부(44)와, 핀본체부(44)의 길이방향 단부에 연결되며 내측이 관통된 고리형상의 고리부(46)를 구비한다.
핀본체부(44)는 제3핀관통공(41)을 관통하는 각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인입되어, 제2핀관통편(40)에 나사결합되어 제3핀관통공(41) 내로 진입된 볼플랜지(47)의 일측이 수용되는 복수의 이탈방지홈(45)이 형성된다.
회동제한핀(43)은 분실방지를 위하여, 고리부(46)가 롤러지주(12)에서 연장되며 유연한 소재로 된 와이어(w)에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획물 분리기(60)는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길이연장되고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승 시 상방에 위치한 유자망(3)의 망 본체(5)을 타격하는 제1 및 제2타격바(61,62)와; 제1 및 제2타격바(61,62)를 승강시키기 위한 타격구동유닛(65)과; 제1 및 제2타격바(61,62)의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된 타격구동유닛(65)을 지지하는 타격지지프레임(120)을 구비한다.
타격구동유닛(65)은 제1타격바(61)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되어 상호 마주하며 상하로 승강가능한 복수의 제1 승강슬라이더(66)와, 제2타격바(62)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되어 상호 마주하며 상하로 승강가능한 복수의 제2 승강슬라이더(67)와,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하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관통하는 제1승강슬라이더(66)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1가이드바(70)와,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하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관통하는 제2승강슬라이더(67)의 승강을 가이드하며 복수의 제1가이드바(70)와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되는 복수의 제2가이드바(71)와, 제1타격바(61)가 승강 시 제2타격바(62)가 제1타격바(61)의 승강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승강되게 제1 및 타격바(61,62)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 구동부(8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승강슬라이더(66,67)는 제1 또는 제2가이드바(70,71)가 상하로 관통하는 슬라이더 본체(68)와, 선체(2)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슬라이더본체(68)의 일면에 하부가 결합되고 슬라이더본체(68)보다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제1 또는 제2타격바(61, 62)의 일단이나 타단이 연결되는 바지지플레이트(69)를 각각 구비한다.
한편, 타격지지프레임(120)은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선체(2)의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선체(2)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승강슬라이더(66)들과, 선체(2)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승강슬라이더(67)들을 각각 지지하는 타격지지 지주(121)와; 타격지지지주(121)들이 하부를 연결하도록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프레임(131)을 구비한다.
타격지지 지주(121)는 제1 및 제2타격바(61,62)의 길이방향 양측에 연결되는 타격구동유닛(65)을 지지하도록 (2)선체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승강기둥(122)과, 선체(2) 갑판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승강기둥(122)의 하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고정기둥(126)과, 고정기둥(126)과 함께 고정기둥(126)에 수용된 승강기둥(122)의 하부를 관통하여 승강기둥(122)의 높이를 고정하는 기둥 높이고정핀(130)을 구비한다.
고정기둥(126)은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하로 연장된 승강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선체(2)의 폭 방향을 향하는 양측부 상측에 승강홈과 연통되게 선체(2)의 폭 방향으로 동일선상으로 관통되어 승강기둥(122)의 높이조절공(124)과 연통가능한 복수의 제4핀 관통공(127)이 형성된다.
승강기둥(122)은 상하로 연장된 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선체(2)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며 상하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공(124)이 형성되는 기둥본체(123)와, 선체(2)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기둥본체(123)의 제1 및 제2측면들과 선체(2)의 폭 방향 중심측을 향하며 상기 제1 및 제2측면에 직교하는 기둥본체(123)의 제3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선체(2)의 폭 방향 중심측을 향하는 일면이 기둥본체(123)의 폭보다 길게 연장되어 기둥본체(123)에 대해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각각 돌출되며 기둥본체(123)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브라켓 결합 플랜지(125)를 구비한다.
타격구동유닛(65)은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브라켓 결합 플랜지(125)의 선체(2)의 폭 방향을 향하는 각 일면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바(7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제1지지브라켓(73)과,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브라켓 결합 플랜지(125)의 상기 일면에 결합되되 제1지지브라켓(73)과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장착되며 제2가이드바(71)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제2지지브라켓(75)을 더 구비한다.
타격구동유닛(65)은 제1 및 제2가이드바(70,71)의 하부와, 슬라이더 구동부(80) 및 후술되는 승강레벨링부(110)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복수의 커버(119)를 구비한다. 커버(119)는 선체(2)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직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공간이 하방으로 전체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회동되는 제1 및 제2회동암(84,85)와 제1 및 제2링크(87.89)와, 승강된 제1 및 제2승강슬라이더(66,67)에 간섭되지 않도록 타격지지 지주(121)를 향하는 상단 일측이 부분적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커버(119)는 타격구동모터(103)가 관통되게 선체(2)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일측부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구동력전달바(113)가 관통되게 선체(2)의 폭 방향 일측부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구동부(80)는 복수의 회동지지프레임(81)과, 복수의 제1 및 제2회동암(84,85)과, 복수의 회동지지축(93)과, 복수의 제1 및 제2링크(87,89)와, 복수의 회동지지축(93)과, 복수의 제1종동축(96)과, 복수의 제1 및 제2회동바(91,92)와, 제1 및 제2링크연결축(94,95)과, 복수의 회동구동부(100)를 구비한다.
복수의 회동지지프레임(81)은 상호 마주하는 타격지지 지주(121)의 각 일측부에 각각 일측이 고정되어 제1가이드바(70)와 제2가이드바(71) 사이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내부공간을 갖는다.
복수의 제1회동암(84)은 제1타격바(61)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된 각 제1승강슬라이더(66)의 하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복수의 제2회동암(85)은 제2타격바(62)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된 각 제2승강슬라이더(67)의 하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지지프레임(81)을 사이에 두고 제1타격바(61)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의 각 제1회동암(84)과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다.
복수의 회동지지축(93)은 각 회동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한다.
복수의 제1링크(87)는 제1타격바(61)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제1회동암(84)의 타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지지축(93)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공(88)이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제2링크(89)는 제2타격바(62)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하는 제2회동암(85)의 타측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지지축(93)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공(90)이 각각 형성된다.
제1 및 제2회동바(91,92)는 제1 또는 제2타격바(61,62)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인접한 회동지지프레임(81)을 사이에 두고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제1종동축(96)을 중심으로 상호 멀어지게 연장된다.
제1 및 제2회동바(91,92)는 일단이 제1종동축(96) 회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제1종동축(96)에 장착되고, 타단이 제1 또는 제2가이드공(88,90)을 따라 이동되거나 상하 회동가능하게 제1 또는 제2링크(87,88)에 각각 연결된다.
복수의 제1종동축(96)은 제1 또는 제2타격바(61,62)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인접한 회동지지프레임(81)에서 회동지지축(93)과 제1 및 제2가이드바(70,71) 사이에 위치되게 각 회동지지프레임(81)을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며 길이방향 양측이 회동지지프레임(81)에 대해 돌출된다.
복수의 제1회동바(91)는 일측이 제1종동축(96)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1종동축(96)에 멀어지게 연장된 타측이 제1링크(87)의 제1가이드공(88)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제1링크연결축(95)은 제1가이드공(88)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1가이드공(88)을 관통하며, 제1회동바(91)의 일단에 결합된다.
복수의 제2회동바(92)는 일측이 제1종동축(96)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1종동축(96)에 멀어지게 연장된 타측이 제2링크(89)의 제2가이드공(90)을 향하며 제1종동축(96)을 중심으로 제1회동바(91)에 대해 멀어지게 연장되어 제1회동바(91)와 나란하다.
제2링크연결축(95)은 제2가이드공(90)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제2가이드공(90)을 관통하며, 제2회동바(92)의 일단에 결합된다.
복수의 회동구동부(100)는 각 제1종동축(96)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각 회동지지프레임(81)의 내부공간(82)에 수용되며 제1종동축(96)과 함께 회전되게 중심측으로 제1종동축(96)이 관통결합되는 제1종동기어(101)와, 제1구동축(104)이 제1종동축(96)과 나란하게 회동지지프레임(81)을 관통하도록 회동지지프레임(81)에 장착되는 타격구동모터(103)와, 제1구동축(104)에 결합되는 타격구동기어(106)와, 타격구동기어(106)와 제1종동기어(101) 사이에 위치되게 회동지지프레임(81)을 관통하는 제2종동축(108)과, 제2종동축(108)이 중심측으로 관통결합되어 양측으로 타격구동기어(106)와 제1종동기어(101)와 치합되는 제2종동기어(109)를 각각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종동축(96)과 제1종동기어(101)가 회전 되면서 제1종동축(96)을 중심으로 상호 멀어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회동바(91,92)가 회동되는데, 제1 및 제2회동바(91,92)의 회동된 위치에 따라 제1링크(87)와 제2링크(89)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링크(87)와 제2링크(89)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1회동암(84)에 연결된 제1승강슬라이더(66)가 승강하게되고, 제2회동암(85)에 연결된 제2승강슬라이더(67)는 제1승강슬라이더(66)의 승강반향에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그리고, 타격구동유닛(65)은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회동지지프레임(81)에 각각 결합된 타격구동모터(103)의 제1구동축(104)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제1베벨기어(111)와, 선체(2)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양측이 상호 마주하는 회동지지프레임(81)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력 전달바(113)와, 구동력전달바(13)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제1베벨기어(111)들과 각각 치합되는 복수의 제2베벨기어(115)를 포함하는 승강레벨링부(110);를 더 구비한다.
승강레벨링부(110)는 복수의 타격구동모터(103)의 각 제1구동축(104)이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되도록 구속한다.
그리고, 승강레벨링부(110)는 상부에 구동력 전달바(113)가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며 상하로 연장된 하부가 보강프레임(131) 상에 상하 높이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회전지지부(118)를 더 구비한다.
망 견인부(151)는 선체의 폭 방향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장착되는 베이스프레임(152)과, 베이스프레임(152)의 상단에 장착되며 당김지지프레임(156)과, 제2구동축(162)(도 12 참조)이 선체(2)의 폭 중심측을 향하도록 당김지지프레임(156) 상에 고정 장착되는 제1당김구동모터(161)와, 제3구동축(166)(도 12 참조)이 상기 제2구동축의 상방에서 상기 제2구동축과 나란하도록 상기 당김지지프레임 상에 장착되되 상하로 승강가능한 제2당김구동모터(165)와, 제2구동축(162)과 연결되어 선체(2)의 폭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텐션롤러(171)과, 제3구동축(166)과 연결되어 텐션롤러(171)의 상방에서 텐션롤러(17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텐션롤러(171)과의 사이에 개재된 유자망(3)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텐션롤러(171)과 함께 당길 수 있는 클램핑롤러(174)와, 길이방향 양측이 제1당김구동모터(161)와 제2당김구동모터(165)에 연결되며 텐션롤러(171)와 클램핑롤러(174) 사이로 개재되는 유자망(3)의 일측 또는 타측에 의해 클램핑롤러(174)가 승강 시 길이신축되면서 클램핑롤러(174)를 텐션롤러(174)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77)과, 제1당김구동모터(161)와 제2당김구동모터(165)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며 제2당김구동모터(165) 및 클램프롤러(174)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통로(182)가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181)과, 제1가이드레일(181)를 향하는 제2당김구동모터(165)의 양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가이드통로(182)내로 수용되는 복수의 승강가이드롤러(184)를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152)은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53)과, 복수의 수직프레임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바(154)들과,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연결바(154)들에 양측이 지지되는 베이스판(155)을 구비한다.
당김지지프레임(156)은 선체(2)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되고, 길이방향 양측하단이 복수의 수직프레임(153)의 상단에 결합되되, 선체(2)의 길이 방향에서 어획물분리기(60)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인 수직프레임(153)의 일측으로 편향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157)와; 베이스부(157)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선체(2)의 폭 방향에서 선체(2)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베이스부(157) 일측에 편향되게 위치되는 모터지지부(159)를 구비한다.
모터지지부(159)는 선체(2)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베이스부(157)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방으로 나란한 두 쌍의 수직바(159a)와, 베이스부(157)의 일측에 지지된 한 쌍의 수직바(159a)의 상단이나 베이스부(157)의 타측에 지지된 다른 한 쌍의 수직바(159a)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연장된 복수의 제1수평바(159b)와, 복수의 제1수평바(159b)를 연결하도록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2수평바(159c)를 구비한다.
복수의 제1가이드레일(181), 제1 및 제2당김구동모터(161,165), 복수의 탄성체(177) 및 복수의 승강가이드롤러(184)는 한 쌍의 수직바(159a)와 다른 한 쌍의 수직바(159a) 사이에 위치되며, 텐션롤러(171)와 클램핑롤러(174)는 두 쌍의 수직바(159a)보다 선체(2)의 폭 방향 중심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도 12를 참고하면, 망 당김유닛(150)은 복수의 토크리미터(torque limiter)(18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토크리미터(186)는 제1당김구동모터(161)와 텐션롤러(171) 사이와, 제2당김구동모터(165)와 클램핑롤러(174) 사이에 각각 장착된다.
토크리미터(186)는 부하(負荷)가 설정 이상으로 작용한 경우, 제2구동축(162) 또는 제3구동축(166)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이 미끄러지도록 설계된 일반적인 일방향 클러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토크리미터(186)는 제1당김구동모터(161)의 제2구동축(162) 또는 제2당김구동모터(165)의 제3구동축(166)에 결합되는 구동축결합부(187)와, 텐션롤러(171)의 축(172) 또는 클램핑롤러(174)의 축(175)에 결합되는 롤러축결합부(188)와, 제2구동축(162) 또는 제3구동축(166)의 회전력을 롤러축결합부(188)에 전달하되, 부하 발생 시 롤러축결합부(188)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분이 롤러축결합부(188)에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도록 설계된 클러치부(189)를 각각 구비한다.
구동축결합부(187)는 제2 또는 제3구동축(162,166)에 결합되는 제1부쉬부(187a)와, 텐션롤러(171)의 축(172) 또는 클램핑롤러(174)의 축(175)을 향하는 부쉬부(187a)의 일단에서 외경이 확장된 패드지지부(187b)를 구비한다.
롤러축결합부(188)는 텐션롤러(171)의 축(172) 또는 클램핑롤러(174)의 축(175)에 결합되는 제2부쉬부(188a)와, 제1 또는 제2당김구동모터(161,165)를 향하는 제2부쉬부(188a)의 단부에서 외경이 확장되되 제1 또는 제2당김구동모터(161,165)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경이 확장되는 패드결합부(188b)를 구비한다.
클러치부(189)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제1부쉬부(187a)의 타측 외주면에 고정장착된 스프링지지링(190)과, 제1부쉬부(187a)가 관통되게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패드지지부(187b)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제1 또는 제2당김구동모터(161,165)를 향하는 패드지지부(187b)의 일면에 면접하는 회전력전달패드(191)와, 스프링지지링(190)과 회전력전달패드(191)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력전달패드(191)를 제1부쉬부(187a)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192)와, 제1부쉬부(187a)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력 전달패드(191)와 패드결합부(188b)를 연결하는 연결볼트(19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클러치부(189)는 탄성가압부재(192)에 의해 회전력전달패드(191)가 제1부쉬부(187a)에 밀착되어 있어, 제2 또는 제3구동축(162,166)의 회전력이 회전력전달패드(191)를 통해 롤러축결합부(188)로 전달되어 텐션롤러(171) 또는 클램핑롤러(174)가 회전되게 하고, 텐션롤러(171) 또는 클램핑롤러(174)에 부하가 발생되면 회전력전달패드(191)에 대해 구동축결합부(187)와 제2 또는 제3구동축(162,166)가 상대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다.
망 정리유닛(200)은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선체(2)의 폭 방향 양측에 장착되며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나란한 복수의 레일지지프레임(201)과, 각 레일지지프레임(201)의 상단에서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갑판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제2가이드통로(206)가 각각 형성된 두 쌍의 제2가이드레일(205)과, 각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205) 사이에 위치되며 제2가이드레일(205)을 향하는 양측부에 각각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진퇴가이드롤러(232)가 장착되며 유자망(3)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파지할 수 있는 복수의 왕복이동부재(208)와, 각 왕복이동부재(208)를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진퇴시키기 위한 복수의 왕복이동구동부(240)와, 왕복이동부재(208)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센서유닛(250)를 구비한다.
왕복이동부재(208)는 이동몸체부(209)와, 클램핑부(210)를 구비한다. 이동몸체부(209)는 상호 이격된 어느 하나의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205)이 이격되는 거리에 대응되거나 작은 폭으로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길이연장되며 상면이 제2가이드레일(205)의 상단에 대응되거나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2가이드레일(205)와 마주하는 양측부에 진퇴가이드롤러(232)가 장착된다.
클램핑부(210)는 클랭핑 고정바(211)와, 클램핑 회동바(213)와, 회동지지프레임(217)과, 제1회동지지브라켓(219)과, 회동바 조작실린더(222)와, 제2회동지지브라켓(227)과, 복수의 회동가이드편(230)을 구비한다.
클랭핑 고정바(211)는 환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이동몸체부(209)의 길이방향 일측 상면에 고정되고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205) 보다 선체(2)의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클램핑 회동바(213)는 클램핑고정바(211)의 상방에서 선체(2)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상하로 회동가능하여 회동된 방향에 따라 클램핑고정바(211)에 지지된 유자망(3)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한다.
회동지지프레임(217)는 이동몸체부(209)의 상면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고 클램핑고정바(211)의 일측이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삽입결합된다.
제1회동지지브라켓(219)은 제1회동지지프레임(217) 상면에 하부가 고정되고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회동지지편(220)을 포함한다.
회동바조작실린더(222)는 복수의 제1회동지지편(220)에 양측부가 축 결합되는 실린더본체부(223)와, 실린더본체부(223)에 진퇴가능하게 일측이 수용되는 피스톤로드(225)구비한다.
제2회동지지브라켓(227)은 복수의 제1회동지지편(220) 사이의 제1회동지지브라켓(219)의 하단에 하부가 고정되고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되 복수의 제1회동지지편(220)에 실린더본체부(223)가 축 결합되는 위치보다 선체(2)의 폭 방향 중심측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클램핑 회동바(213)의 길이방향 일측이 축 결합되는 복수의 제2회동지지편(228)을 구비한다.
복수의 회동가이드편(230)은 복수의 제2회동지지편(228)과 피스톤로드(226)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며, 각 길이방향 일측이 마주하는 제2회동지지편(228)에 축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피스톤로드(225)의 단부에 축 결합된다.
그리고 복수의 회동가이드편(230)은 길이방향 양측 사이의 일측이 클램핑 회동바(214)와 함께 회동가능하게 클램핑 회동바(213)에 결합된다.
왕복이동구동부(240)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205) 중,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된 제2가이드레일(205)의 상면에 하부가 고정되며 제2가이드레일(205)을 따라 길이연장된 래크기어(241)와, 제4구동축(244)이 선체(2)의 폭 방향으로 선체(2) 외측을 향하도록 이동몸체부(209)의 상면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진퇴구동모터(243)와, 제4구동축(244)에 결합되며 래크기어(241)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246)를 구비한다.
센서유닛(250)은 래크기어(241)가 장착된 제2가이드레일(205)의 하면에 각각 장착되되 래크기어(241)의 길이방향 양측의 하방에 위치되게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센서(251)와, 왕복이동부재(208)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센서(251)와 간섭되는 센서접촉바(256)를 구비한다.
센서(251)는 레버형 리미트 스위치로서, 제2가이드레일(205)의 하면에 고정되는 센서바디(252)와, 센서바디(253)에서 일측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205) 사이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레버(254)를 구비한다.
센서접촉바(256)는 하부가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레버(254)의 회동이 용이하게, 길이방향 양측이 선체(2)의 폭 방향 중심측으로 절곡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7)은 제어부(미도시)는 센서접촉바(256)가 센서(251)에 접하면서 센서(251)로부터 발생되는 검출신호가 전달되면, 진퇴구동모터(243)의 제4구동축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7)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드럼구동모터(미도시)와, 타격구동모터(103)와, 제1 및 제2당김구동모터(161,165)와, 진퇴구동모터(243)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제어부와 연결되며 드럼구동모터(미도시), 타격구동모터(103), 제1 및 제2당김구동모터(161,165), 진퇴구동모터(243)의 구동 조작을 위한 레버 나 버튼을 구비하는 조작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7)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동바 조작실린더(222)의 길이신축을 위해 실린더본체(223) 내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압기구를 구비한다. 유압기구는 유체저장탱크와, 유체저장탱크에서 실린더본체로 연장된 복수의 유압라인과, 제어부와 연결되며 복수의 유압라인들을 개폐하는 컨트롤밸브와, 제어부와 연결되며 유체저장탱크의 유체를 유압라입으로 펌핑하거나 회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7)은 양망되는 선체(2)의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선체(2)의 길이방향으로 견인되는 유자망(4)을 주기적으로 타격하여 유자망에 걸린 어획물들을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조업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7)은 부하 발생 시, 토크리미터(186)에 의해 제1 및 제2당김구동모터(161,165)의 동력전달이 차단되어 무리하게 유자망(4)이 당겨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유자망 및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7)은 어획물이 분리된 유자망(4)이 폭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므로 자동으로 정리될 수 있어 조업 효율 향상 및 어망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7 :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8 : 양망기 10 : 망 펼침유닛
11 : 로프지지부 60 : 어획물분리기
61 : 제1타격바 62 : 제2타격바
65 : 타격구동유닛 120 : 타격지지프레임
150 : 망 당김유닛 200 : 망 정리유닛

Claims (7)

  1. 바다 내의 유자망을 선체로 끌어올리는 양망기와;
    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측에 상호 마주하거나 상기 양망기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유자망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로프와 상기 로프에 연결된 어구를 지지하는 복수의 로프지지부를 포함하는 망 펼침유닛과;
    상기 망 펼침유닛에서 펼쳐져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유자망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타격하여 상기 유자망에 걸린 어획물을 분리시키는 어획물 분리기와;
    상기 어획물 분리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망 펼침유닛과 이격되게 배치되며,상기 선체의 폭 방향 양측에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자망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클램핑하여 상기 유자망을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망 견인부를 포함하는 망 당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지지부는
    하부가 상기 선체에 고정되고 상하로 연장된 롤러지주와,
    상기 롤러지주에서 상기 선체의 폭 중심측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고정되며 펼침하부롤러가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롤러지지프레임과,
    펼침상부롤러가 상기 펼침하부롤러의 수직상방에서 상하방향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펼침하부롤러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틸팅가능하게 상기 고정바에 장착되는 상부롤러지지프레임과,
    상기 펼침상부롤러가 상기 펼침하부롤러의 수직상방에 위치되게 회동되거나 상기 하부롤러지지프레임에 대해 틸팅된 상기 상부롤러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펼침상부롤러와 상기 펼침하부롤러는
    상하로 이격된 사이로 상기 유자망의 망체만 통과되게 상하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게 배치 시 상기 로프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로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획물 분리기는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길이연장되고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승 시 상방에 위치한 상기 유자망을 타격하는 복수의 타격바와;
    각 상기 타격바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여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승강 슬라이더와, 상하로 연장되어 관통하는 상기 승강슬라이더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바와, 하나의 상기 타격바가 상승 시 다른 하나의 상기 타격바는 하강되게 복수의 상기 타격바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 구동부를 포함하는 타격구동유닛과;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기 선체의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승강슬라이더들을 지지하는 타격지지 지주를 포함하는 타격지지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구동부는
    상기 타격지지 지주의 일측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하나의 상기 타격바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된 하나의 상기 가이드바와 다른 하나의 타격바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연결된 다른 하나의 상기 가이드바 사이로 돌출되며 상하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내부공간을 갖는 복수의 회동지지프레임과,
    각 상기 승강슬라이더의 하부에 일측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회동암과,
    일측이 상기 회동암의 타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을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지지축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내측에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공이 각각 형성된 복수의 링크와,
    상기 지지축과 상기 가이드바 사이에서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을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종동축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제1종동축의 회전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며 상기 제1종동축을 중심으로 상호 멀어지게 연장되며, 상기 타격바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서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상기 링크의 각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 및 상하 회동가능하게 각 상기 링크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회동바와,
    각 상기 제1종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회동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동부는
    각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의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제1종동축과 함께 회전되게 중심측으로 상기 제1종동축이 관통결합되는 복수의 제1종동기어와, 제1구동축이 상기 제1종동축과 나란하게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을 관통하도록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타격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와 기어연결되는 타격구동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타격구동유닛은
    각 상기 타격구동모터의 상기 제1구동축에 장착되는 복수의 제1베벨기어와,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길이연장되어 양측이 상호 마주하는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력 전달바와, 상기 구동력전달바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들과 각각 치합되는 복수의 제2베벨기어를 포함하는 승강레벨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견인부는
    상기 선체의 폭 방향으로 일측 또는 타측에 장착되는 당김지지프레임과,
    제2구동축이 상기 선체의 폭 중심측을 향하도록 상기 당김지지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제1당김구동모터와,
    제3구동축이 상기 제2구동축의 상방에서 상기 제2구동축과 나란하도록 상기 당김지지프레임 상에 장착되되 상하로 승강가능한 제2당김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선체의 폭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는 텐션롤과,
    상기 제3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텐션롤의 상방에서 상기 텐션롤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텐션롤과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유자망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상기 텐션롤과 함께 당길 수 있는 클램핑롤러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제1당김구동모터와 상기 제2당김구동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클램핑롤러의 승강에 따라 길이신축되면서 상기 클램핑롤러을 상기 텐션롤러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 당김유닛에 의해 당겨진 상기 유자망의 길이방향 단부의 폭 방향 양측을 각각 파지한 상태로 상기 선체의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왕복이동되는 복수의 왕복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망 정리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KR1020210187383A 2021-12-24 2021-12-24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KR20230097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83A KR20230097662A (ko) 2021-12-24 2021-12-24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383A KR20230097662A (ko) 2021-12-24 2021-12-24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662A true KR20230097662A (ko) 2023-07-03

Family

ID=8715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383A KR20230097662A (ko) 2021-12-24 2021-12-24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6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9570A (zh) * 2023-12-22 2024-01-23 山东省淡水渔业研究院(山东省淡水渔业监测中心) 一种渔业捕捞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33Y1 (ko) 2001-02-14 2001-07-19 이전재 유자망 양망장치
KR102030165B1 (ko) 2017-11-17 2019-10-10 정안국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33Y1 (ko) 2001-02-14 2001-07-19 이전재 유자망 양망장치
KR102030165B1 (ko) 2017-11-17 2019-10-10 정안국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29570A (zh) * 2023-12-22 2024-01-23 山东省淡水渔业研究院(山东省淡水渔业监测中心) 一种渔业捕捞船
CN117429570B (zh) * 2023-12-22 2024-02-20 山东省淡水渔业研究院(山东省淡水渔业监测中心) 一种渔业捕捞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72467A (zh) 一种漂浮物清理船
KR20230097662A (ko)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CN107736285B (zh) 一种自动起吊养捕一体装置
CN106741572A (zh) 带有半圆柱形浮体的捕鱼船
CN210313256U (zh) 一种船舶起笼起网延绳钓作业设备
CN206481819U (zh) 一种单点系泊船形浮框调载升降网箱
KR100918557B1 (ko) 갈치낚시용 장치
KR101839355B1 (ko) 수산양식용 선박의 크레인
CN110239679B (zh) 一种去除水中浮萍和杂草的清洁船及其控制方法
JP3882061B2 (ja) まき寄せ網漁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る漁撈具
KR100585879B1 (ko) 채낚기 어업용 양승기
CN111498029B (zh) 一种海底捕捞辅助装置
KR102346797B1 (ko) 전복양식장치
CN210519870U (zh) 一种蛤类捕捞装置
KR100277293B1 (ko) 초망어업의 조업 자동화 장치
CN112741032A (zh) 一种液压起升、可旋转的海鱼养殖网箱及其使用方法
CN111226835A (zh) 一种桩基式离岸养殖平台
KR200310797Y1 (ko) 어망 인양기
KR100579712B1 (ko) 어망인양장치
KR102648660B1 (ko) 좌우 이동이 가능한 채낚기용 양승장치
JP2782621B2 (ja) 魚の船上引揚装置
KR102527863B1 (ko) 엔코더를 이용한 조업용 양승기 및 이를 이용한 조업 방법
RU2093025C1 (ru) Способ лова гидробионтов и подхватывающая ловушка л.д.асано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352574Y1 (ko) 어선박용스탠드형복합양망장치
KR200306621Y1 (ko) 회전식유자망양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