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533Y1 - 유자망 양망장치 - Google Patents
유자망 양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0533Y1 KR200230533Y1 KR2020010003644U KR20010003644U KR200230533Y1 KR 200230533 Y1 KR200230533 Y1 KR 200230533Y1 KR 2020010003644 U KR2020010003644 U KR 2020010003644U KR 20010003644 U KR20010003644 U KR 20010003644U KR 200230533 Y1 KR200230533 Y1 KR 2002305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line
- main
- drums
- pair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자망 양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의 이물에 설치되어 본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와; 배의 갑판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안내된 본줄을 끌어당기는 것으로서,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속기 케이스와, 상기 감속기 케이스에 모터와 구동축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되며 'V'자 홈을 이루는 내측 경사면에 다수의 지지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정면에서 볼 때 S자형상의 본줄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한쌍의 드럼과, 상기 한쌍의 드럼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한쌍의 드럼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본줄을 분리시키는 본줄 분리기를 구비하는 본줄 당김부와; 상기 본줄 당김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본줄이 상기 한쌍의 드럼 사이의 상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배의 갑판 앞쪽에 설치되며 그물을 끌어당기는 3단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작업이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유자망 양망(揚網)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망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양망작업을 쉽고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유자망 양망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자망 어업은, 배에서 로우프에 연결된 유자망을 바다 밑까지 내린 상태에서 조류에 따라 유자망이 바다 밑을 흐르면서 어물이 유자망의 그물코에 걸리게 하거나, 유자망에 휩싸이게 하여 어물을 낚는 어업을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자망(1)은, 그물(2)의 하부에 그물이 바다 밑에 닿을 수 있도록 하는 중량추(3)가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고, 그물(2)의 상부에는 그물이 바다 속에서 수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부구(4)가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물(2)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보조줄(5)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다수의 보조줄(5)의 단부에는 하나의 본줄(6)이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유자망 양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배(10)의 이물에 본줄(6)을 끌어당길 때 본줄(6)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롤러(11)가 설치되고, 선실(13)의 양측면에는 본줄(6)을 끌어당기는 제1드럼(14)과 제2드럼(15)이 설치되며, 제1 및 제2드럼(14)(15)은 구동원으로서의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제1 및 제2드럼(14)(15)의 사이에는 본줄(6)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1 및 제2가이드 롤러(16)(1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유자망 양망장치를 이용하여 유자망을 양망(끌어당기는)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유자망(1)의 본줄(6)을 제1드럼(14)과 제2드럼(15)에 감은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모터를 구동시켜 제1 및 제2드럼(14)(15)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선원들이 유자망(1)의 본줄(6)과 그물(2)을 끌어당겨 바다 속에 펼쳐진 유자망(1)을 양망하게 된다.
그리고 유자망의 양망시 필요한 선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줄(6)을 잡아주는 선원(B)과, 보조줄(5)을 정리하는 선원(C)과, 그물(2)을 잡아당기는 선원들(D)(E)(F)과, 그물(2)을 정리하는 선원(H)(I)과, 제2드럼(15)을 거친 본줄(6)을 당기는 선원(J)과, 본줄(6)을 조정하는 보조 선원(G)과, 그물(2)과 보조줄(5)을 조정하는 선원(K)(L)들 및 선장(A)인 모두 12명의 작업 인원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유자망 양망장치는, 선장을 제외한 12명의 많은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하고, 또한 유자망의 양망시 이들 선원들의 인력에 대부분 의존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고, 또한 유자망의 양망작업이 힘들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양망작업을 쉽고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유자망 양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배의 이물에 설치되어 본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와; 배의 갑판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안내된 본줄을 끌어당기는 것으로서,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속기 케이스와, 상기 감속기 케이스에 모터와 구동축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되며 'V'자 홈을 이루는 내측 경사면에 다수의 지지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정면에서 볼 때 S자형상의 본줄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한쌍의 드럼과, 상기 한쌍의 드럼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한쌍의 드럼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본줄을 분리시키는 본줄 분리기를 구비하는 본줄 당김부와; 상기 본줄 당김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본줄이 상기 한쌍의 드럼 사이의 상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와; 상기 배의 갑판 앞쪽에 설치되며 그물을 끌어당기는 3단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자망 양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유자망을 도시한 일부절제 정면도.
도 2는 종래 유자망 양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 양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줄 당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정면도.
도 4b는 한쌍의 드럼 사이에 본줄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3단 롤러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자망 2 : 그물
3 : 중량추 4 : 부구
5 : 보조줄 6 : 본줄
20 : 배 21 : 롤러
23 : 가이드 롤러 30 : 본줄 당김부
31 : 베이스 32 : 감속기 케이스
35,36 : 한쌍의 드럼 35a,36a : 경사면
35b,36b : 지지돌기 37 : 본줄 분리기
38 : 회전축 40 : 고정판
41,59,62 : 위치고정 볼트 50 : 3단 롤러 조립체
56 : 회전원판 57 : 슬라이더
58 : 덮개 60 : 롤러
61 : 레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 양망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줄 당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정면도이며, 도 4b는 한쌍의 드럼 사이에 본줄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4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3단 롤러 조립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자망 양망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20)의 이물에 본줄(6)을 끌어당길 때 본줄(6)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롤러(21)가 설치되고, 배(20)의 선실(22) 앞쪽 갑판에는 상기 롤러(21)에 의해 안내된 본줄(6)을 끌어당기는 본줄 당김부(3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줄 당김부(30)는 도 4a와 도 4b 및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속기 케이스(32)와, 상기 감속기 케이스(32)에 유압모터(33)와 구동축(34)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되며 'V'자 홈을 이루는 내측 경사면(35a)(36a)에 다수의 지지돌기(35b)(36b)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정면에서 볼 때 S자형상의 본줄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한쌍의 드럼(35)(36)과, 상기 한쌍의 드럼(35)(36)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한쌍의 드럼(35)(36)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본줄(6)을 분리시키는 본줄 분리기(37)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줄 당김부(30)의 감속기 케이스(32)는, 하부에 상기 베이스(31)에 회전축(38)과 베어링(3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판(40)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40)에는 고정판(40)을 상기 베이스(31)에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위치고정 볼트(41)가 설치되어, 이들을 통해 한쌍의 드럼(35)(36)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줄 당김부(30)의 전방에는 본줄(6)이 본줄 당김부(30)의 한쌍의 드럼(35)(36) 사이의 상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23)가 설치되고, 배(20)의 갑판 앞쪽에는 그물(2)을 끌어당기는 3단 롤러 조립체(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3단 롤러 조립체(50)는,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롤러(51)(52)(53)와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판(54)을 구비하며, 지지판(54)의 하부에는 3단 롤러 조립체(50)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축(55)과 회전원판(56)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원판(56)은 슬라이더(57)의 상면에 덮개(58)와 복수의 위치고정 볼트(59)에 의해서 회전 및 위치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57)는 복수의 롤러(60)에 의해 레일(61)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57)의 하부에는 슬라이더(57)를 상기 레일(61)에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위치고정 볼트(6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유자망 양망장치는 다음과 같이 유자망을 양망하게 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줄(6)을 이물에 설치된 롤러(21)를 통해 본줄 당김부(30)가 당기게 되고, 그물(2)은 3단 롤러 조립체(50)를 통해 당기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물에 설치된 롤러(21)에 안내된 본줄(6)을 가이드 롤러(23)를 거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줄 당김부(30)의 한쌍의 드럼(35)(36) 상측 사이에 끼운 다음, 본줄 당김부(30)의 유압모터(33)를 구동시켜한쌍의 드럼(35)(36)을 회전시키면, 본줄(6)이 드럼(35)(36)의 상호 마주보는 'V'자 홈을 이루는 경사면(35a)(36a)에 교호적으로 형성된 지지돌기(35b)(36b)들의 사이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 형태로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V'자 홈을 이루는 경사면(35a)(36a)에 지지돌기(35b)(36b)들이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본줄(6)이 지지돌기(35b)(36b)들에 의해 S자 형태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본줄을 당기는 과정에서 본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단순하게 'V'자 홈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지는 드럼을 이용하여 본줄을 당기는 경우에는, 본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줄의 직경에 비하여 'V'자 홈의 폭을 작게 형성하게 되므로 본줄을 당기는 과정에서 본줄이 'V'자 홈에 의해 납작하게 눌리는 상태로 손상되거나 또는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한쌍의 드럼(35)(36)에 의해 당겨진 본줄(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한쌍의 드럼(35)(36)의 하부에 설치된 본줄 분리기(37)에 의해 분리되고, 분리된 본줄(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명의 선원(B)에 의해 조정 및 정리되며, 본줄(6)과 연결된 보조줄(5)은 1명의 선원(C)에 의해 정리된다.
그리고 본줄(6)과 보조줄(5)에 의해 연결된 그물(2)은 3단 롤러조립체(50)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당겨진 그물(2)은 3명의 선원(D)(E)(F)에 의해 정리되며, 이들 주위에는 2명의 보조 선원(G)(H)이 대기하게 된다. 도 3에서 (A)는 선장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본줄(6)과 그물(2)의 양망작업이 대부분 기계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종래 대부분 선원들의 힘에 의존하여 유자망을 양망하던 방식에 비하여, 작업이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게 되며, 작업 인원을 종래 12명에서 8명으로 대폭 줄일 수 있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본줄 당김부(30)에 설치된 한쌍의 드럼(35)(36)과, 3단 롤러 조립체(50)의 위치를 작업조건에 따라서 각각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줄 당김부(30)의 경우에는, 베이스(31)에 고정판(40)을 고정하고 있는 위치고정 볼트(41)를 풀어준 상태에서, 회전축(38)과 베어링(39)을 통해 감속기케이스(32)를 회전시켜 감속기케이스(32)에 설치된 한쌍의 드럼(35)(36)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3단 롤러 조립체(50)의 경우에는, 레일(61)에 슬라이더(57)를 고정하고 있는 위치고정 볼트(62)를 풀어준 상태에서, 레일(61)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원판(56)을 슬라이더(57)의 상측에 고정하고 있는 위치고정 볼트(59)를 조금 풀어 슬라이더(57)와 덮개(58) 사이에 회전원판(57)이 회전할 수 있는 틈을 형성한 상태에서 회전원판(57)을 회전시켜 3단 롤러 조립체(5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유자망 양망장치에 의하면, 작업이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며, 작업 인원을 종래 12명에서 8명으로 대폭 줄일 수 있어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 배의 이물에 설치되어 본줄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와;배의 갑판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에 의해 안내된 본줄을 끌어당기는 것으로서,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감속기 케이스와, 상기 감속기 케이스에 모터와 구동축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되며 'V'자 홈을 이루는 내측 경사면에 다수의 지지돌기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정면에서 볼 때 S자형상의 본줄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한쌍의 드럼과, 상기 한쌍의 드럼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한쌍의 드럼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는 본줄을 분리시키는 본줄 분리기를 구비하는 본줄 당김부와;상기 본줄 당김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본줄이 상기 한쌍의 드럼 사이의 상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와;상기 배의 갑판 앞쪽에 설치되며 그물을 끌어당기는 3단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양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줄 당김부의 감속기 케이스는, 하부에 상기 베이스에 회전축과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판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에는 고정판을 상기 베이스에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위치고정 볼트가 설치되어,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양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단 롤러 조립체는, 하부에 회전원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원판은 슬라이더의 상면에 덮개와 복수의 위치고정 볼트에 의해서 회전 및 위치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복수의 롤러에 의해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에는 슬라이더를 상기 레일에 위치 고정시키는 복수의 위치고정 볼트가 설치되어,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 양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3644U KR200230533Y1 (ko) | 2001-02-14 | 2001-02-14 | 유자망 양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03644U KR200230533Y1 (ko) | 2001-02-14 | 2001-02-14 | 유자망 양망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2934A Division KR100363649B1 (ko) | 2000-07-26 | 2000-07-26 | 유자망 양망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30533Y1 true KR200230533Y1 (ko) | 2001-07-19 |
Family
ID=73096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03644U KR200230533Y1 (ko) | 2001-02-14 | 2001-02-14 | 유자망 양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0533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1022A (ko) * | 2001-12-20 | 2003-06-25 | 윤장현 | 닻자망 양망기 |
KR20230097662A (ko) | 2021-12-24 | 2023-07-03 |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
KR20240082608A (ko) | 2022-12-02 | 2024-06-11 |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 어획물 자동분리기와 이를 이용한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시스템 |
-
2001
- 2001-02-14 KR KR2020010003644U patent/KR2002305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1022A (ko) * | 2001-12-20 | 2003-06-25 | 윤장현 | 닻자망 양망기 |
KR20230097662A (ko) | 2021-12-24 | 2023-07-03 |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
KR20240082608A (ko) | 2022-12-02 | 2024-06-11 |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 어획물 자동분리기와 이를 이용한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182883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ускания груза на глубоководном участке | |
JP2009534275A (ja) | ロープの回収方法および装置 | |
KR200230533Y1 (ko) | 유자망 양망장치 | |
GB2179908A (en) | Split block for extended crane travel | |
US3221897A (en) | Load-lifting apparatus | |
US5461743A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ounting multiple-strand stays of bridges | |
KR100363649B1 (ko) | 유자망 양망장치 | |
KR102578107B1 (ko) | 로프 자동견인장치 | |
DE4020843C1 (en) | Crane for handling felled trees - has haulage cable moving carriage along fixed support cable | |
KR200387295Y1 (ko) | 어로용 유자망 회수장치 | |
US6297453B1 (en) | Cable protector | |
KR101261502B1 (ko) | 통발인양장치 | |
KR20190130320A (ko) | 선박용 접안장치 | |
KR200263045Y1 (ko) | 양망기 | |
US3069799A (en) | Net handling apparatus | |
DE3531792C1 (de) | Schwimmbagger | |
JP2597130B2 (ja) | 旋網漁業用揚網機 | |
FI89530C (fi) | System foer muddring av havsbottnen | |
JP3296747B2 (ja) | ダム湖、貯水池等における浮遊物の収集装置 | |
CN214348075U (zh) | 清洗滑移组件以及水上平台 | |
JPH07108049B2 (ja) | ループ牽引式延線装置 | |
DE112014003094B4 (de) | Treibtrommeltrieb | |
DE3937080A1 (de) | Hubseil-stuetzvorrichtung fuer einen auslegerkran | |
CN218754206U (zh) | 大截面电缆回收装置 | |
JPH04681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