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165B1 -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0165B1 KR102030165B1 KR1020170154245A KR20170154245A KR102030165B1 KR 102030165 B1 KR102030165 B1 KR 102030165B1 KR 1020170154245 A KR1020170154245 A KR 1020170154245A KR 20170154245 A KR20170154245 A KR 20170154245A KR 102030165 B1 KR102030165 B1 KR 1020301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 citron
- network
- net
- citron network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19
- 240000004307 Citrus medic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4209 hair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2203 Clupea hareng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58791 Jugland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7331 Salmo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04592 Trachurus trach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4 herr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34 wal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사각형을 이루고 양측 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추 또는 부이가 달린 유자망에 걸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고, 상기 양측 로프가 인입되면서 상기 유자망을 끌어당기는 유자망 회수부; 상기 유자망 회수부의 후방에 한 쌍의 제1회전바가 수평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끌려오는 유자망에 진동을 가하는 제1진동부; 상기 유자망 제1진동부의 후방에 한 쌍의 제2회전바가 수평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되, 상기 제1회전바의 위상과 90°차이가 나면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끌려오는 유자망에 상기 제1진동부와 번갈아 가면서 진동을 가하는 제2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류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자망에 기계적으로 진동을 가하여 포획된 멸치와 같은 소형 어류들을 자동을 분리할 수 있는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인근연안에서 멸치는 산란기인 봄에 연안에 들어왔다가 가을에 남쪽 바다로 이동하여 겨울을 보내는 대표적인 어종이다.
멸치잡이는 인근연안에 그물을 친 뒤에 육지로 끌어올리는 후리 어법이 전통적인 어법인데, 이 방법은 배에 그물을 싣고, 한쪽 끝줄과 그물 끝을 해안에 둔 채 그물을 투입하여 어군을 둘러싸고 투망이 완료되면 여러 사람이 해안에서 양쪽 끝줄을 잡아당겨서 그물을 해안으로 끌어올려 어획하는 방법이다.
또한, 유자망 어법은 수건 모양의 그물을 연직(鉛直)으로 펼쳐 놓고 고기가 그물코에 와서 꽂히도록 해서 잡는 어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 어구를 걸그물 또는 자망(刺網)이라고 하는데, 그물의 끝에 닻을 놓아 고정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조류에 따라 그물이 흘러가도록 하면서 잡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어법으로 멸치잡이가 이루어진 후, 어선은 항내에 정박하여 상자에 멸치를 담은 후 그물에 달라붙어 있는 멸치를 털어내거나, 다음 조업을 위해 그물을 깨끗하게 정리하기 위해 적어도 3~4 시간동안 멸치털이작업을 벌인다.
이러한 멸치털이작업은 멸치잡이 과정 중에서도 가장 어렵고 힘든 일로, 어선 1척당 7 ~ 8명이 한 조가 돼 그물을 위아래로 흔들면서 멸치를 터는데, 매우 힘이 많이 드는 일일 뿐만 아니라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조인력을 투입하는 경우 과다한 노동력 손실, 작업시간 소모로 인해 어민들에게 경제적으로도 많은 어려움이 되고 있다.
특히 인력에 의하기 때문에 일률적이지 못한 타격력으로 인해 멸치의 일부가 절단되거나 훼손되어 식품으로서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 멸치 털이 중 사방으로 비산되면서 머리, 내장, 피 등이 분리되어 연안에 기름띠를 형성하는 등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멸치뿐 아니라 청어, 전어, 전갱이, 고너리 등과 같이 작은 어류들도 유자망으로 포획할 때 동일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자망으로 포획한 멸치와 같은 어류들을 기계적 진동을 주기적으로 가하여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자망을 회수할 때 부이나 추가 걸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수가 가능한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는, 직사각형을 이루고 양측 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추 또는 부이가 달린 유자망에 걸린 어류를 털어내는 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고, 상기 양측 로프가 인입되면서 상기 유자망을 끌어당기는 유자망 회수부; 상기 유자망 회수부의 후방에 한 쌍의 제1회전바가 수평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끌려오는 유자망에 진동을 가하는 제1진동부; 상기 유자망 제1진동부의 후방에 한 쌍의 제2회전바가 수평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되, 상기 제1회전바의 위상과 90°차이가 나면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끌려오는 유자망에 상기 제1진동부와 번갈아 가면서 진동을 가하는 제2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자망 회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회수모터와, 지지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각 회수모터와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휠과, 상기 휠의 외주에 연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회전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자망의 양측 로프가 상기 휠과 탄성회전체 사이로 인입되어 마찰력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이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탄성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타단과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회전체가 상기 휠에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인장스프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 상기 유자망 제1진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가로질러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판과, 상기 각 제1회전판 사이에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회전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제1회전바는 유자망이 펼쳐질 수 있도록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자망 제2진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가로질러 회전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판과, 상기 각 제2회전판 사이에 상기 제2회전축과 수평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회전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진동부와 제2진동부가 교대로 유자망에 진동을 발생시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어류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자망을 끌어당겨 회수하는 유자망 회수부에 유자망의 로프에 달린 부이나 추가 인입되더라도 탄성회전체가 탄성적으로 이격되었다가 복귀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이나 추가 걸리거나 끼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자망 회수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세부구조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자망 회수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자망 회수부의 작동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자망 회수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세부구조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자망 회수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자망 회수부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유자망에 걸려 포획된 멸치와 같은 어류를 그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유자망을 펼친 상태로 일정한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그물에 반복적인 충격을 가함으로써 어류를 털어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지지프레임(400), 유자망 회수부(300), 제1진동부(100), 제2진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유자망(n)은 직사각형의 그물이며 양측에 로프(r)가 구비되고, 로프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추(weight) 또는 부이(buoy)가 달려 있다.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상기 유자망 회수부(300), 제1진동부(100), 제2진동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복수개의 빔들이 단부간 연결되어 장방형의 골격을 이루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전방에는 상기 유자망 회수부(300)가 설치되어 유자망(n)을 펼친 상태로 끌어당기고,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중앙에는 제1진동부(100)가 설치되어 유자망(n)을 펼쳐주면서 주기적으로 충격을 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며, 유자망(n)이 진입되는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후방에는 제2진동부(200)가 설치되어 유자망(n)에 주기적으로 충격을 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폭은 상기 유자망(n)의 폭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유자망(n)은 상기 제2진동부(200), 제1진동부(100)의 상측에서 펼쳐진 상태로 이송되면서 상기 유자망 회수부(300)에 인입되어 회수된다.
다음으로 도 3,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유자망 회수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자망 회수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세부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유자망 회수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유자망 회수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유자망(n)의 양측 로프(r)를 각각 끌어당기는 것으로 회수모터(310), 지지브라켓(360), 휠(320), 탄성회전체(3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전방 양측에 상기 지지브라켓(360)이 고정된다. 상기 지지브라켓(360)은 'ㄴ' 형상의 앵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360)에는 휠(32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휠(320)은 풀리나 도르래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외주를 따라 로프(r)가 인입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밀착홈(32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휠(320)의 일측에는 회수모터(310)가 구비된다. 상기 회수모터(310)의 모터 축은 상기 휠(320)과 커플링(370)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회수모터(310)는 큰 동력을 출력하도록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휠(320)의 상측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회전체(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회전체(330)는 원형을 이루고 외주를 따라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이 부착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휠(320)의 외주에 연접하여 함께 회전한다.
즉, 상기 탄성회전체(330)가 회전하는 상기 휠(320)에 의해 연동되도록 상기 탄성회전체(330)의 외주는 상기 휠(320)의 밀착홈(320a)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착홈(320a)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이고 상기 탄성회전체(330)의 외주는 상기 밀착홈(320a)에 안착될 수 있도록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하는 상기 휠(320)과 탄성회전체(330) 사이로 유자망(n)의 로프(r)가 인입되면 마찰력에 의해 상기 로프(r)가 이송되면서 유자망(n)이 회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탄성회전체(330)는 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유자망에는 부이(w)나 추(w)가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탄성회전체(330)와 휠(320) 사이에 인입되지 못하고 걸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회전체(330)와 휠(320) 사이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늘어났다가 복원될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35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일단이 상기 지지브라켓(36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탄성회전체(3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34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340)의 타단과 상기 지지브라켓(360) 사이에는 인장스프링(35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340)가 힌지 결합부(h)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회전체(330)는 상기 휠(320)과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340) 타단에 설치된 인장스프링(350)은 상기 탄성회전체(330)가 상기 휠(32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만일, 상기 탄성회전체(330)와 휠(320) 사이로 부이나 추가 인입되면 상기 인장스프링(350)이 늘어나면서 상기 탄성회전체(330)와 휠(320)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고 부이나 추가 통과하고 나면 다시 인장스프링(350)의 복원력에 의해서 복귀되면서 상기 탄성회전체(330)는 상기 휠(320)에 밀착된다.
따라서, 유자망 회수시 상기 로프(r)가 걸리거나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수가 가능하다.
상기 레버(3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휠(320)의 일측에 탄성회전체(330)가 하나 더 구비함으로써 무거운 유자망을 충분한 힘으로 끌어당겨 회수할 수 있다.
상기 탄성회전체(330)가 하나 더 구비되기 위해서 동일하게 레버와 인장스프링도 더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참고로 상기 휠(320)의 밀착홈(320a)의 폭은 부이 또는 추(w)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부이 또는 추(w)가 밀착홈(320a)에 완전히 수용되면서 인입될 수 있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제1진동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진동부(100)는 상기 유자망 회수부(300)와 제2진동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자망 회수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유자망(n)을 하측에서 주기적으로 가격하여 진동을 일으키고, 동시에 유자망(n)이 포개지거나 접혀지지 않고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상기 유자망 회수부(300)로 인입되어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진동부(100)를 구성하는 제1회전축(110)은 상기 지지프레임(400)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110)의 일단에는 제1구동모터(120)가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110)을 회전 구동한다. 상기 제1구동모터(120)는 유압모터일 수 있다.
또 상기 제1회전축(110)의 양단에는 원형의 제1회전판(130)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축(110)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판(130) 사이에는 한 쌍의 제1회전바(140)가 구비되어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1회전바(140)는 원형 파이프 또는 원형 봉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축(110)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구비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마주보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1회전바(140)와 제1회전축(110)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1회전축(11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회전바(140)는 각각 번갈아 가며 유자망(n)을 하측에서 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바(14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전바(140)의 중앙지점에서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1회전바(140)가 유자망(n)을 가격할 때 중앙을 더 높이 가격하고 양측은 상대적으로 낮게 가격하기 때문에 유자망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회전축(110)과 제1회전바(140)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1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바(1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유자망(n)의 이송 중 상기 제1회전바(140)나 제1회전축(110)에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진동부(200)는 상기 제1진동부(100)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상기 제2진동부(200)는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후방, 다시 말해서 유자망(n)이 진입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회전축(210), 제2구동모터(220), 제2회전판(230), 제2회전바(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210)은 상기 지지프레임(400)의 후방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배치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210)의 일단에는 제2구동모터(220)가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210)을 회전 구동한다. 상기 제2구동모터(220)도 유압모터일 수 있다.
또 상기 제2회전축(210)의 양단에는 원형의 제2회전판(230)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회전축(210)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2회전판(230) 사이에는 한 쌍의 제2회전바(240)가 구비되어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제2회전바(240)는 원형 파이프 또는 원형 봉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축(210)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구비되되, 서로 대향되도록 반대 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2회전바(240)와 제2회전축(210)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2회전축(21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회전바(240)는 각각 번갈아 가며 유자망을 하측에서 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또 마주보는 상기 제2회전바(24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지지바(250)가 결합되어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축(210)은 상기 제1회전축(11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회전축(110)은 상기 유자망 회수부(300) 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회전축(210)은 유자망이 진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제1회전축(110)은 반시계방향, 제2회전축(21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바(140)와 제2회전바(240)의 위상은 서로 90° 차이가 나면서 회전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회전바(140)와 제1회전축(110)이 이루는 평면과 상기 제2회전바(240)와 제2회전축(210)이 이루는 평면이 서로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이것은 유자망(n)의 전방과 후방에 교대로 진동을 가하기 위함이다. 즉, 유자망에 웨이브를 형성시켜 물고기들이 잘 털어지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제2회전바(24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회전바(140)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유자망의 진폭을 더 크게 형성시키면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자망 회수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물고기가 포획된 유자망(n)의 선단의 양측 로프(r)를 상기 각 유자망 회수부(300)의 탄성회전체(330)와 휠(320) 사이로 인입시킨 후 상기 회수모터(310)를 구동시킨다.
상기 회수모터(310)의 구동으로 상기 휠(320)이 회전하면, 연접하는 상기 탄성회전체(330)도 함께 회전하는데, 인입된 로프(r)가 마찰에 의해 반대측으로 인출되면서 유자망이 일정한 속도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회수모터(310)의 회전수는 대략 6rpm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1구동모터(120), 제2구동모터(220)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1진동부(100)와 제2진동부(200)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즉, 상기 제1회전바(140)가 진입되는 유자망(n)의 후방을 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연이어 위상 90° 차이로 회전하는 상기 제2회전바(240)가 유자망(n)의 전방을 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과정이 교대로 반복된다. 이로 인해 물고기는 유자망으로부터 거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110)과 제2회전축(210)의 회전수는 대략 120rpm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자망의 로프(r)에 매달린 추 또는 부이(w)가 상기 탄성회전체(330)와 휠(320) 사이에 인입될 경우, 상기 탄성회전체(330)는 밀려나면서 상기 휠(320)과 이격되고 상기 인장스프링(350)도 늘어난다.
그리고 추 또는 부이(w)가 인출되면 상기 인장스프링(350)이 복원되면서 상기 탄성회전체(330)는 다시 상기 휠(320)의 밀착홈(320a)에 밀착되어 로프(r)를 끌어당기게 된다.
따라서, 추 또는 부이(w)로 인해 유자망이 걸리거나 정지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1진동부 110 : 제1회전축
120 : 제1구동모터 130 : 제1회전판
140 : 제1회전바 150 : 지지플레이트
200 : 제2진동부 210 : 제2회전축
220 : 제2구동모터 230 : 제2회전판
240 : 제2회전바 250 : 지지바
300 : 유자망 회수부
310 : 회수모터 320 : 휠
320a : 밀착홈 330 : 탄성회전체
340 : 레버 350 : 인장스프링
360 : 지지브라켓 370 : 커플링
400 : 지지프레임
n : 유자망 r : 로프
w : 추 또는 부이 h : 힌지 결합부
120 : 제1구동모터 130 : 제1회전판
140 : 제1회전바 150 : 지지플레이트
200 : 제2진동부 210 : 제2회전축
220 : 제2구동모터 230 : 제2회전판
240 : 제2회전바 250 : 지지바
300 : 유자망 회수부
310 : 회수모터 320 : 휠
320a : 밀착홈 330 : 탄성회전체
340 : 레버 350 : 인장스프링
360 : 지지브라켓 370 : 커플링
400 : 지지프레임
n : 유자망 r : 로프
w : 추 또는 부이 h : 힌지 결합부
Claims (6)
- 직사각형을 이루고 양측 로프에 일정 간격으로 추 또는 부이가 달린 유자망에 걸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방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회전하고, 상기 양측 로프가 인입되면서 상기 유자망을 끌어당기는 유자망 회수부;
상기 유자망 회수부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가로질러 회전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을 회전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회전판과, 상기 각 제1회전판 사이에 서로 수평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제1회전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끌려오는 유자망에 진동을 가하는 제1진동부;
상기 제1진동부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가로질러 회전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판과, 상기 각 제2회전판 사이에 서로 수평으로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제2회전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회전바는 상기 제1회전바의 위상과 90°차이가 나면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끌려오는 유자망에 상기 제1진동부와 번갈아 가면서 진동을 가하는 제2진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제1회전바는 유자망이 펼쳐질 수 있도록 중앙에서 양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망 회수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회수모터와, 지지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각 회수모터와 축 결합되어 회전하는 휠과, 상기 휠의 외주에 연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회전체로 이루어져,
상기 유자망의 양측 로프가 상기 휠과 탄성회전체 사이로 인입되어 마찰력에 의해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탄성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타단과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회전체가 상기 휠에 탄성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인장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4245A KR102030165B1 (ko) | 2017-11-17 | 2017-11-17 |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4245A KR102030165B1 (ko) | 2017-11-17 | 2017-11-17 |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7187A KR20190057187A (ko) | 2019-05-28 |
KR102030165B1 true KR102030165B1 (ko) | 2019-10-10 |
Family
ID=6665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4245A KR102030165B1 (ko) | 2017-11-17 | 2017-11-17 |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016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2413A (ko) * | 2019-12-09 | 2021-06-17 | 송호경 |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
KR20230097662A (ko) | 2021-12-24 | 2023-07-03 |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
KR20240082608A (ko) | 2022-12-02 | 2024-06-11 |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 어획물 자동분리기와 이를 이용한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0448B1 (ko) * | 2021-12-15 | 2022-06-22 | (주)해양수산정책기술연구소 | 새꼬막 종패분리 장치 |
CN117985192B (zh) * | 2024-04-03 | 2024-07-23 | 威海昱霖船舶技术有限公司 | 一种节能型自动捕鱼船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7052B1 (ko) * | 2006-07-06 | 2007-02-27 | 박창섭 | 어망 연승을 위한 행거롤러를 일체로 구비한자동연승구동장치 |
KR101742921B1 (ko) * | 2016-10-21 | 2017-06-01 | 이원우 | 멸치그물 털이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9303B1 (ko) * | 1999-04-29 | 2001-12-29 | 계 홍 강 | 유자망 어구용 자동 멸치분리기 |
KR101652823B1 (ko) | 2014-06-25 | 2016-09-01 | 이원우 | 멸치털이 자동화 장치 |
KR101658293B1 (ko) * | 2014-12-24 | 2016-09-20 | 주성구 | 새우조망용 로프 인양장치 |
-
2017
- 2017-11-17 KR KR1020170154245A patent/KR1020301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7052B1 (ko) * | 2006-07-06 | 2007-02-27 | 박창섭 | 어망 연승을 위한 행거롤러를 일체로 구비한자동연승구동장치 |
KR101742921B1 (ko) * | 2016-10-21 | 2017-06-01 | 이원우 | 멸치그물 털이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2413A (ko) * | 2019-12-09 | 2021-06-17 | 송호경 |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
KR102287887B1 (ko) | 2019-12-09 | 2021-08-09 | 송호경 |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
KR20230097662A (ko) | 2021-12-24 | 2023-07-03 |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
KR20240082608A (ko) | 2022-12-02 | 2024-06-11 | 사단법인 해양수산과학기술연구조합 | 어획물 자동분리기와 이를 이용한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7187A (ko) | 2019-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0165B1 (ko) |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 |
US6837183B2 (en) | Device for harvesting of and tending to shells and for cleaning of an associated shell collector in water | |
US5213058A (en) | Recoverable aquaculture habitat utilizing pneumatic tire casings | |
PT1476011E (pt) | Cultivo e colheita de marisco | |
KR101207281B1 (ko) | 패류 채취용 형망어구 | |
KR20160077769A (ko) | 해파리 제거장치 | |
KR200429193Y1 (ko) | 어선용 로프 견인장치 | |
JP2002262751A (ja) | ヒトデ駆除装置 | |
KR20090072376A (ko) | 홍합 및 홍합 종패 채취장치 | |
KR20160092133A (ko) | 해파리 유도 및 인양, 수거 장치 | |
KR102005695B1 (ko) | 멸치그물 타격장치 | |
JP2002059088A (ja) | 帆立て貝洗浄機 | |
KR102726902B1 (ko) | 위치 가변식 생선털이장치 | |
Ronconi et al. | Modified hoop-net techniques for capturing birds at sea and comparison with other capture methods | |
JPH0221973A (ja) | グラブ・ポンプ浚渫船の浚渫土砂中障害物除去装置 | |
JP2835311B2 (ja) | 雑海草駆除船 | |
JP6532624B1 (ja) | 魚捕獲器、および、魚捕獲器を用いた漁獲方法 | |
JP2014100074A (ja) | 連続稚貝分離装置 | |
JP3064658U (ja) | 根掛り取外し仕掛け付き錘 | |
KR102495670B1 (ko) | 패류 자동 탈거장치 | |
JP2003095190A (ja) | 浮体底面の付着物除去装置 | |
US1163078A (en) | Fishing device. | |
CN213881443U (zh) | 一种捕鱼装置 | |
RU2823179C1 (ru) | Якорь рыболовный | |
KR101320757B1 (ko) | 해파리 제거 장치 및 해파리 제거용 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