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670B1 - 패류 자동 탈거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자동 탈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670B1
KR102495670B1 KR1020220149451A KR20220149451A KR102495670B1 KR 102495670 B1 KR102495670 B1 KR 102495670B1 KR 1020220149451 A KR1020220149451 A KR 1020220149451A KR 20220149451 A KR20220149451 A KR 20220149451A KR 102495670 B1 KR102495670 B1 KR 10249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removal
net
coupled
devi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창
Original Assignee
이현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창 filed Critical 이현창
Priority to KR102022014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통해 패류의 탈거를 수행하도록 되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경제적 이익을 구현하도록;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면서 채류망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이 구비된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안치공간에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채류망이 안치되는 안치부재와, 상기 안치부재의 일부위에 결합되며 상기 장치본체에 진동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거운동부재가 구비된 안치탈거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탈거운동부재를 진동운동 시키도록 된 진동구동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의 상기 안치공간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류망에서 탈거된 패류를 수거하도록 된 수거조;를 포함하는 패류 자동 탈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류 자동 탈거장치{Automatic shellfish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특히, 가리비와 같은 패류가 생육되는 채류망에서 패류를 탈거시키도록 된 패류 탈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동력을 통해 패류의 탈거를 수행하도록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 패류 자동 탈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류는 연체동물문에 속하는 동물 중 패각을 가진 것의 총칭으로 단판강, 다판강, 복족강의 전새아강과 유폐아강의 대부분 및 후새아강의 일부, 굴족강, 부족강 그리고 두족강의 극히 일부가 포함된다.
이러한 패류는, 야생동물 중에서도 채취가 쉽기 때문에, 해산, 담수산, 육산이 모두 중요한 식품으로, 식용으로서 귀중한 단백질원이 될 뿐만 아니라 타우린과 글리신 등의 각종 아미노산, 당류성분인 글리코겐 등이 함유 되어있다.
상기에서 패류의 종류로는, 전복, 바지락, 고막, 소라, 홍합, 백합, 굴, 개체굴, 바지락, 피조개, 가리비, 모시조개, 진주조개, 키조개, 맛조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패류는, 바다에서 그물에 어린 종패를 키워서 자연양식하게 되는바, 그물에서 자란 종패를 수확하는 것은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20-0066088호(명칭: 꼬막 종패 분리장치/2020.06.0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양식장 또는 선박으로 꼬막 종패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측 폭 방향으로 꼬막 종패가 부착된 그물망이 통과되는 종패 포집부와, 상기 종패포집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상기 종패포집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상기 종패포집부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상부에 상기 그물망이 얹혀지게 위치되어 상기 그물망이 유입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그물망을 긁어 상기 그물망에 부착된 상기 꼬막 종패를 상기 그물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제1 및 제2세퍼레이터와, 상기 종패포집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세퍼레이터에 대해 각각 상방에 위치되게 상기 종패포집부에 지지되어 상기 제1 및 제2세퍼레이터가 상기 그물망을 긁을 때 꼬막 종패의 분리가 용이하며 낙하 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세퍼레이터 측으로 해수를 분사하는 제1 및 제2해수분사관과, 복수의 상기 제1 및 제2세퍼레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세퍼레이터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종패포집부의 폭 방향 타측에 상기 종패포집부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며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복수의 상기 그물망을 당기는 제1 및 제2당김롤러를 포함하는 그물망이송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당김롤러들 사이를 지나 배출된 상기 그물망을 권취하는 그물망 권취유닛을 구비하는 꼬막종패 분리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20887호(명칭: 현장 작업형 종패수확털이장치/2018.02.22.)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드럼축; 상기 드럼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개 형성된 드럼지지부에 의해 상기 드럼축으로부터 이격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드럼지지부의 끝단에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럼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드럼; 상기 드럼축의 바깥쪽으로 드럼지지부에 의해 이격되고,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상기 회전드럼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드럼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돌출부;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드럼와 대응되는 길이로 상기 회전드럼의 상부에 이격 형성되는 물분사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할 때 상기 돌출부의 타격 및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물을 분사하여 그물에 붙어 있는 종패를 분리시키고,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그물에서 종패를 분리시킬 때 분리된 종패가 회전드럼의 회전력 또는 물 분사압력에 의해 멀리 튀어나가지 않도록 작업자의 앞면 및 상기 종패수확털이장치의 상면에 판 형상으로 안전커버가 더 설치되는 종패수확털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50102호(명칭: 굴 수확장치/2016.04.2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하방에는 복수의 다리가 구비되고, 상방에는 양성된 굴이 붙어있는 굴그물망이 전방으로 투입된 다음 후방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굴그물망으로부터 탈거된 굴이 하방으로 떨어져 일측으로 모이도록 상부가 개구되면서 바닥면이 좌우방향 일측으로 하향 경사진 굴수집용기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굴수집용기에 수집된 굴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구비된 작업대와, 상기 굴그물망이 투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전후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굴탈거하우징이 상기 작업대의 상방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굴탈거하우징의 내부 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이 좌우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펼침돌기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그물망펼침봉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탈거하우징의 내부 후방에는 상기 굴그물망으로부터 상하방향 양측에 붙어있는 굴이 탈거되도록 투입된 굴그물망의 상하방향 양측으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복수의 굴탈거돌기가 각각 형성된 제1 굴탈거봉 및 제2 굴탈거봉이 구비된 굴탈거부와, 상기 작업대의 상방에서 투입 및 배출되는 상기 굴그물망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작업대의 전방 및 굴탈거부의 전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그물망가이드롤러와, 상기 작업대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굴그물망을 상기 작업대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수하도록 회전축에 상기 굴그물망의 선단이 고정 결합된 그물망회수드럼과, 상기 굴탈거부의 그물망펼침봉, 제1 굴탈거봉 및 제2 굴탈거봉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 각각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공급부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동력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굴탈거부의 그물망펼침봉, 제1 굴탈거봉 및 제2 굴탈거봉과 상기 그물망회수드럼의 작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사용자조작부를 포함하는 굴 수확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2-7015740호(명칭: 수중에서의 패류 수확, 관리 및 관련 패류 그물망 세척장치/2002.11.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사용 위치에서 그물망에 수직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수확 롤러 또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세척 롤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비추진 롤러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롤러의 외면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상기 그물망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압박할 때 상기 그물망에 부착된 물질을 떼어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크레이핑, 밀링 또는 브러싱 장치를 포함하는 패류 수확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20-0066088호(2020.06.0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20887호(2018.02.2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6-0050102호(2016.04.25.)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2-7015740호(2002.11.21.)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패류 탈거장치들은, 가리비 등과 같이 원통형의 채류망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생육되는 패류의 탈거에는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원통형의 채류망의 표면에서 패류를 탈거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어 작업성이 떨어짐은 물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리비와 등과 같이 원통형의 채류망에서 생육되는 패류를 탈거시키도록 된 것으로, 동력을 통해 패류의 탈거를 수행하도록 되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경제적 이익을 구현하도록 된 패류 자동 탈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는,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면서 채류망이 안치되는 안치공간이 구비된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안치공간에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채류망이 안치되는 안치부재와, 상기 안치부재의 일부위에 결합되며 상기 장치본체에 진동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거운동부재가 구비된 안치탈거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탈거운동부재를 진동운동 시키도록 된 진동구동수단과; 상기 장치본체의 상기 안치공간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류망에서 탈거된 패류를 수거하도록 된 수거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본체에서 상기 수거조의 하부에 유입단이 배치되고, 상기 유입단보다 상부에 배출단이 배치되며, 상기 유입단과 상기 배출단을 순환하는 순환밸트가 회전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거조의 하부로 낙하하는 패류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중에 수분을 제거하면서 토출하도록 된 수거컨배이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는, 가리비와 등과 같이 원통형의 채류망이 안치부재에 안치된 상태에서 진동구동수단에 의해 진동운동하는 탈거운동부재가 진동운동하면서 안치부재를 진동운동시키어 안치부재에 안지된 채류망에서 패류가 탈거하도록 된 것으로,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른 동력의 구동을 통해 패류의 탈거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경제적 이익을 구현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를 구성하는 안치탈거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의 패류 자동탈거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를 구성하는 수거컨배이어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의 제어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1)는,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면서 채류망(100)이 안치되는 안치공간(A)이 구비된 장치본체(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장치본체(2)를 통해 상기 안치공간(A)이 바닥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됨에 따라, 패류의 탈거작업이 작업자의 작업환경에 맞춤되는 높이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패류의 탈거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장치본체(2)는, 바닥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2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사이에서 수평적으로 연결배치되는 수평프레임(22)들의 조립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21)들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측의 상기 수평프레임(22)들의 내측에 상기 안치공간(A)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2)에 안치공간(A)에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채류망(100)이 안치되는 안치부재(31)와, 상기 안치부재(31)의 일부위에 결합되며 상기 장치본체(2)에 진동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거운동부재(32)가 구비된 안치탈거수단(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안치공간(A)에 배치되는 상기 안치부재(31)에 상기 채류망(100)이 펼쳐진 상태로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탈거운동부재(32)가 진동운동하면서 상기 안치부재(31)를 진자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치부재(31)에 안치된 상기 채류망(100)이 진동운동에 의한 진동하중과 충격하중에 의해 외부에 부착된 패류 등이 분리되면서 탈거된다.
상기 안치부재(31)는, 상기 안치공간(A)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한 쌍의 안치봉(311)들과; 상기 안치봉(311)들의 각각의 양단들을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인치브라켓(3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안치봉(311)들의 상부에 상기 채류망(100)이 안치되어 탈거작업을 수행하도록 되며; 이때, 한 쌍의 상기 안치봉(311)들이 한 쌍의 상기 안치브라켓(312)들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일체적으로 진동운동을 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탈거운동부재(32)는, 일부위에 상기 안치브라켓(312)들이 각각 결속고정되는 고정브라켓(321)들과; 상기 장치본체(2)에 각각의 상기 고정브라켓(321)들을 탄성적으로 진동운동 가능하게 결속고정시키도록 된 탄성결속체(32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결속체(322)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321) 및 상기 안치부재(31)가 진동운동시 탄성적으로 고정지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결속체(322)는, 하단은 상기 장치본체(2)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3221)과; 상기 탄성스프링(3221)의 상단이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고정브라켓(321)이 결합되는 결속브라켓(32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브라켓(3222)이 상기 탄성스프링(3221)에 의해 상기 장치본체(2)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유동되면서 상기 탈거운동부재(32)를 진동운동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스프링(3221)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스프링(3221)은, 상기 장치본체(2) 및 상기 결속브라켓(3222)에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요소'를 통해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고정요소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2)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탈거운동부재(32)를 진동운동 시키도록 된 진동구동수단(4);을 포함한다.
즉, 상기 진동구동수단(4)에 의해 상기 탈거운동부재(32)가 진동운동하면서 상기 탈거운동부재(32)에 안치되는 채류망(100)으로 진동하중이 인가되면서 패류가 탈거되면서 상기 안치봉(311)들의 사이를 관통하면서 자유낙하된다.
상기에서 진동구동수단(4)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운동도록 된 구동편심휠(42)과; 일단이 상기 구동편심휠(42)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안치봉(311)에 구비된 연장링크(44)의 종단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구동링크(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편심휠(42)이 회전되면서 상기 구동링크(43)가 상기 연장링크(44)를 주기적으로 직선왕복 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링크(44)와 연결된 상기 안치부재(31)가 요동치면서 그 상부에 안치되는 상기 채류망(100)에 대하여 진동하중 및 충격하중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채류망(100)에서 패류가 탈거되면서 낙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2)의 상기 안치공간(A)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류망(100)에서 탈거된 패류를 수거하도록 된 수거조(23);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즉, 상기 채류망(100)에서 탈거되는 패류들이 상기 수거조(23)로 수거되어 무단으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수거조(23)는, 상부의 개구가 상기 안치부재(31)의 하부의 전면적에 걸쳐 자유낙하하는 상기 패류를 수거하도록 된 면적을 가지며, 중앙하부의 토출개구(231)측 방향으로 경사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수거되는 상기 패류들이 상기 토출개구(231)로 미끄럼되면서 유도되어 안정적으로 토출하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수거조(23)의 중앙하부에 형성된 상기 토출개구(231)로 패류의 낙하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져, 수거된 패류의 별도의 처리공간으로 운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1)는, 상기 장치본체(2)에서 상기 수거조(23)의 하부에 유입단(51)이 배치되고, 상기 유입단(51)보다 상부에 배출단(52)이 배치되며, 상기 유입단(51)과 상기 배출단(52)을 순환하는 순환밸트(53)가 회전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거조(23)의 하부로 낙하하는 패류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중에 수분을 제거하면서 토출하도록 된 수거컨배이어수단(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거조(23)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토출개구(231)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상기 패류들이 상기 유입단(51)을 낙하되어 상기 수거컨배이어수단(5)으로 유입된 후 상기 순환밸트(53)를 통해 상기 배출단(52)으로 배출되어 별도의 처리공정으로 공급되어 처리작업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순환밸트(53)는, 상부로 운반되는 상기 패류가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다수의 '버켓'들이 구비되어, 운반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버켓들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거컨배이어수단(5)은, 상기 순환밸트(53)의 순환공간을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형성하는 수거몸체(54)와; 상기 수거몸체(54)에서 상기 수거조(23)의 토출개구(2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유입단(51)과 상기 배출단(52)에 각각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순환풀리(55)들과;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어 상기 순환풀리(55)들을 회전운동시키도록 된 순환모터(5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순환모터(56)가 전원을 공급받아 발생된 회전력을 통해 상기 순환풀리(55)가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순환밸트(53)가 순환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개구(231)를 통해 자유낙하하는 상기 패류들이 상기 유입단(51)을 낙하된 후, 상기 순환밸트(53)를 통해 상기 배출단(52)으로 배출되어 별도의 처리공정으로 공급되어 처리작업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1)는, 상기 수거컨배이어수단(5)에 구비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상기 순환밸트(53)상으로 분사하여 이동운반되는 상기 패류에 대하여 세척작업하도록 된 세척수단(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수단(7)을 통해 상기 순환밸트(53)를 통해 운반되는 상기 패류에 대하여 세척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패류처리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세척수단(7)은, 용수가 유입되는 용수유입관(71)과; 상기 수거본체에서 상기 순환공간에 대하여 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며 상기 용수유입관(71)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상기 순환밸트(53)측 방향으로 분사하여 패류를 세척하도록 된 다수의 세척노즐(72)들과; 상기 용수유입관(71)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용수를 펌프하여 용수의 분사압을 증대시키도록 된 세척펌프(7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펌프(73)를 통해 용수에 대하여 고압의 분사압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세척노즐(72)들을 통해 패류로 용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도록 됨에 따라,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1)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공간(A)에 배치되는 상기 채류망(100)의 상부를 타격하도록 된 타격봉(45)과; 상기 구동모터(41)에 축결합되는 타격편심휠(46)과; 일단이 상기 타격편심휠(46)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타격봉(45)과 연결된 타격브라켓(47)이 고정되고, 상기 장치본체(2)에서 수직으로 직선왕복이동가능하게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타격링크(48);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타격편심휠(46)이 회전되면서 상기 타격링크(48)가 수직운동하면서 상기 타격봉(45)을 상기 안치공간(A)상에서 주기적으로 수직왕복 운동시키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치부재(31)의 상부에 안치되는 상기 채류망(100)의 상부에서 상기 타격봉(45)이 수직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채류망(100)의 상부를 타격하여 상기 패류의 탈거작업을 촉진시키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구동모터(41)에 축결합되는 상기 구동편심휠(42)과 상기 타격편심휠(46)에 각각 축결합되는 상기 구동링크(43)와 상기 타격링크(48)의 각각의 왕복운동방향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링크(43)가 상측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타격링크(48)는 하측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되고, 상기 구동링크(43)가 하측 방향으로 운동할 때 상기 타격링크(48)는 상측방향으로 운동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채류망(100)에 대하여 상기 안치봉(311)과 상기 타격봉(45)이 서로 근접되면서 타격충격을 인가하게 되고,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채류망(100)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되어, 상기 채류망(100)에 대한 신축진동하중 및 신축타격하중을 안정적으로 인가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패류의 탈거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채류망(100)이 상기 안치부재(31)의 진동하중 및 충격하중에 의해 상측으로 튕겨나가는 것을 상기 타격봉(45)이 저지하도록 되어, 작업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축과 상기 타격편심휠(46)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대하여 감속시켜 상기 타격편심휠(46)로 전달하도록 된 '감속기'(49)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채류망(100)에 대하여 상기 안치봉(311)의 진동운동횟수에 대하여 상기 감속기(49)의 감속비에 따라 저감된 횟수로 상기 타격봉(45)이 근접되면서 타격충격을 인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채류망(100)에 대하여 충격하중이 무리하게 부여되지 않아, 작업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패류 자동 탈거장치(1)는, 원통형의 상기 채류망(100)이 상기 안치부재(31)에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진동구동수단(4)에 의해 진동운동하는 상기 탈거운동부재(32)가 진동운동하면서 상기 안치부재(31)를 진동운동시키어 상기 안치부재(31)에 안지된 상기 채류망(100)에서 패류가 탈거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61)의 제어에 따른 동력의 구동을 통해 패류의 탈거작업을 수행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패류 자동 탈거장치
100 : 채류망
2 : 장치본체 21 : 수직프레임
22 : 수평프레임 23 : 수거조
231 : 토출개구 3 : 안치탈거수단
31 : 안치부재 311 : 안치봉
312 : 안치브라켓 32 : 탈거운동부재
321 : 고정브라켓 322 : 탄성결속체
3221 : 탄성스프링 3222 : 결속브라켓
4 : 진동구동수단 41 : 구동모터
42 : 구동편심휠 43 : 구동링크
44 : 연장링크 45 : 타격봉
46 : 타격편심휠 47 : 타격브라켓
48 : 타격링크 49 : 감속기
5 : 수거컨배이어수단
51 : 유입단 52 : 배출단
53 : 순환밸트 54 : 수거몸체
55 : 순환풀리 56 : 순환모터
61 : 제어수단 62 : 전원공급부
7 : 세척수단 71 : 용수유입관
72 : 세척노즐 73 : 세척펌프
A : 안치공간

Claims (2)

  1.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면서 채류망(100)이 안치되는 안치공간(A)이 구비된 장치본체(2)와; 상기 장치본체(2)에 안치공간(A)에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채류망(100)이 안치되는 안치부재(31)와, 상기 안치부재(31)의 일부위에 결합되며 상기 장치본체(2)에 진동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탈거운동부재(32)가 구비된 안치탈거수단(3)과; 상기 장치본체(2)에 구비되며 전원공급부(62)의 전원을 제어하도록 된 제어수단(61)의 제어를 통해 구동되어 상기 탈거운동부재(32)를 진동운동 시키도록 된 진동구동수단(4)과; 상기 장치본체(2)의 상기 안치공간(A)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채류망(100)에서 탈거된 패류를 수거하도록 된 수거조(23)와; 상기 장치본체(2)에서 상기 수거조(23)의 하부에 유입단(51)이 배치되고, 상기 유입단(51)보다 상부에 배출단(52)이 배치되며, 상기 유입단(51)과 상기 배출단(52)을 순환하는 순환밸트(53)가 회전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거조(23)의 하부로 낙하하는 패류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중에 수분을 제거하면서 토출하도록 된 수거컨배이어수단(5);을 포함하는 패류 자동 탈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재(31)는,
    상기 안치공간(A)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서로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한 쌍의 안치봉(311)들과, 상기 안치봉(311)들의 각각의 양단들을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는 안치브라켓(312)들을 포함하며;
    상기 탈거운동부재(32)는,
    일부위에 상기 안치브라켓(312)들이 각각 결속고정되는 고정브라켓(321)들과, 상기 장치본체(2)에 각각의 상기 고정브라켓(321)들을 탄성적으로 진동운동 가능하게 결속고정시키도록 된 탄성결속체(322)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결속체(322)는,
    하단은 상기 장치본체(2)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3221)과, 상기 탄성스프링(3221)의 상단이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고정브라켓(321)이 결합되는 결속브라켓(3222)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구동수단(4)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동일 방향으로 회전운동도록 된 구동편심휠(42)과, 일단이 상기 구동편심휠(42)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안치봉(311)에 구비된 연장링크(44)의 종단에 공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구동링크(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자동 탈거장치.
  2. 삭제
KR1020220149451A 2022-11-10 2022-11-10 패류 자동 탈거장치 KR102495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451A KR102495670B1 (ko) 2022-11-10 2022-11-10 패류 자동 탈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451A KR102495670B1 (ko) 2022-11-10 2022-11-10 패류 자동 탈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670B1 true KR102495670B1 (ko) 2023-02-06

Family

ID=8522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451A KR102495670B1 (ko) 2022-11-10 2022-11-10 패류 자동 탈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6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102A (ko) 2014-10-27 2016-05-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흐름 전지 및 하이브리드 흐름 전지용 전해액
JP2017085904A (ja) * 2015-11-02 2017-05-25 株式会社森機械製作所 連段養殖籠から貝を振るい出すための振出装置及び振出方法
KR20180020887A (ko) 2016-08-19 2018-02-28 소니 주식회사 이미지 프로세싱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598375B2 (ja) * 2016-05-31 2019-10-30 株式会社むつ家電特機 貝受け搬送装置
KR20200066088A (ko) 2018-11-30 2020-06-09 이영규 개인 및 소수자의 창작물에 대해 정보보호 기술을 활용하여 창작자의 저작권 보호와 그에 따른 재능거래 구독 및 계약을 활성화 할수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
KR102291155B1 (ko) * 2020-09-15 2021-08-18 김낙현 가리비 채취기
JP2021145632A (ja) * 2020-03-23 2021-09-27 有限会社シーズ 丸篭内貝類取出し装置、および丸篭内貝類取出し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0102A (ko) 2014-10-27 2016-05-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흐름 전지 및 하이브리드 흐름 전지용 전해액
JP2017085904A (ja) * 2015-11-02 2017-05-25 株式会社森機械製作所 連段養殖籠から貝を振るい出すための振出装置及び振出方法
JP6598375B2 (ja) * 2016-05-31 2019-10-30 株式会社むつ家電特機 貝受け搬送装置
KR20180020887A (ko) 2016-08-19 2018-02-28 소니 주식회사 이미지 프로세싱에 기초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6088A (ko) 2018-11-30 2020-06-09 이영규 개인 및 소수자의 창작물에 대해 정보보호 기술을 활용하여 창작자의 저작권 보호와 그에 따른 재능거래 구독 및 계약을 활성화 할수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방법
JP2021145632A (ja) * 2020-03-23 2021-09-27 有限会社シーズ 丸篭内貝類取出し装置、および丸篭内貝類取出し方法
KR102291155B1 (ko) * 2020-09-15 2021-08-18 김낙현 가리비 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976B1 (ko) 패류 종패 선별기
DK2830407T3 (en) FIELD CLEANING DEVICE
US6508699B1 (en) Apparatus for rinsing and scraping bi-valve mollusks
KR101836442B1 (ko) 패류 선별장치
CA3052566C (en) Apparatus for removal and collection of fouling from a dived structure and a method for using the apparatus
KR100926997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세척장치
KR101527750B1 (ko) 홍합의 족사제거 및 분리수거장치
US201601433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produce
JP6440180B1 (ja) 貝類養殖用丸カゴの洗浄方法及び貝類養殖用丸カゴの洗浄装置
CN107712016B (zh) 摇摆式虾类清洗装置
US201601444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meat and/or produce
KR20190057187A (ko)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KR102495670B1 (ko) 패류 자동 탈거장치
KR101898551B1 (ko) 개체굴 서실 마모장치
KR101883618B1 (ko) 현장 작업형 종패수확털이장치
KR100494292B1 (ko) 고압수를 이용한 구근류(감자/고구마/당근 등) 세척 및탈피장치
KR101005356B1 (ko) 정치망 세척장치
CN105993356A (zh) 一种马蹄收获机
CN113477513A (zh) 一种泥蚶震动筛分清洗机
CN209898135U (zh) 一种双壳贝类脱壳、清洗机器
KR20210051047A (ko) 꼬막 종패 분리 및 세척 장치
CN212093146U (zh) 一种水产品清冼筛分装置
NO20150480A1 (no) Apparat for mekanisk fjerning av ektoparasitter fra fisk og anvendelse i terapeutisk behandling.
CN108887703A (zh) 香菇清洗设备
AU2010280524C1 (en) Parasite harv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