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413A -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413A
KR20210072413A KR1020190162704A KR20190162704A KR20210072413A KR 20210072413 A KR20210072413 A KR 20210072413A KR 1020190162704 A KR1020190162704 A KR 1020190162704A KR 20190162704 A KR20190162704 A KR 20190162704A KR 20210072413 A KR20210072413 A KR 20210072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ade
motor
fish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887B1 (ko
Inventor
송호경
Original Assignee
송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호경 filed Critical 송호경
Priority to KR1020190162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8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086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vibrating, e.g. ultrason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물고기 분리 장치는 본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와,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3 지지대, 그리고 상기 제3 지지대에 연결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칼날을 포함하는 칼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fish from a net}
본 발명은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물코에 걸린 물고기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멸치 등과 같이 그물코에 걸린 물고기는 그물을 배로 끌어당기면서 바로 털어내는 방법과 그물을 배에 싣고 항구로 돌아와 항구에서 털어내는 방법이 있다. 어느 방법이든 그물을 털기 위해서는 여러 명이 일정한 간격으로 그물을 잡고 위아래로 흔들어 털어내야 한다. 여러 명이 그물을 일일이 털어야 하므로 시간도 많이 들뿐만 아니라 육체적으로 매우 힘든 작업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멸치 등과 같이 그물코에 걸린 물고기를 그물에서 용이하게 분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의 일 예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3 지지대; 및 상기 제3 지지대에 연결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칼날을 포함하는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대는, 제1 반경을 가진 상단지지대; 및 상기 제1 반경보다 작은 제2 반경을 가진 하단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단지지대의 아래쪽에 연결되는 제1 칼날부; 및 상기 하단지지대의 위쪽에 연결되는 제2 칼날부;를 포함하고, 제1 칼날부와 상기 제2 칼날부 사이에는 그물이 통과할 수 있는 일정 간격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멸치 등과 같이 그물코에 걸린 물고기를 양망과 동시에 분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칼날의 진동이나 움직임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그물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그물에 장력을 가해 팽팽하게 하여 칼날에 의한 그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3 지지대와 칼날부 사이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연결 구조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연결 구조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감싸는 주름호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하단지지대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하단지지대의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물고기 분리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펼칠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좌우이동부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좌우이동부의 연결 구조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2의 좌우이동부의 연결 구조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1의 좌우이동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1의 좌우이동부와 모터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8은 도 11의 물고기 분리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분리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분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8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분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1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고기 분리 장치(100)는 본체(110), 본체(110)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 그리고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30) 사이에 위치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3 지지대(140,150), 그리고 제3 지지대(140,150)에 연결된 칼날부(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그물에서 분리된 물고기를 모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배출구(112)는 본체(110)의 중앙 바닥에 위치하거나 벽면에 위치하는 등 배출구(112)의 위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배출구(112)는 생략될 수 있다.
본체(110)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114)와 본체(110)의 고정 또는 높이 조절을 위한 고정장치(116)가 존재한다. 바퀴(114)는 본체(110) 바닥의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장치(116)는 나선으로 결합되는 돌출부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려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체(110)의 마주보는 양 벽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바퀴(114)와 고정장치(116)는 생략 가능하다.
본체(110)의 윗면에는 제1 지지대(120), 제2 지지대(130) 및 제3 지지대(140,150)가 위치한다.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는 끌어올린 그물이 걸쳐지는 지지대이다.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는 동일한 크기의 대칭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의 크기 및 모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를 분리 도시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는 프레임만으로 구성되거나 그물의 긴장감과 좌우쏠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을 주름호스로 감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의 바깥에는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보다 더 큰 아치형태의 막대모양으로 형성된 제1 외곽틀(122) 및 제2 외곽틀(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 예에 따라 제1 외곽틀(122) 및 제2 외곽틀(132)을 생략하거나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 가능하다. 제1 지지대(120)와 제1 외곽틀(122) 사이, 제2 지지대(130)와 제2 외곽틀(132)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존재하면, 그물은 이 간격을 통해 지나갈 수 있다.
제3 지지대(140,150)에는 칼날부(160)가 연결되고, 그물에 걸린 물고기는 칼날부(160)의 칼날에 의해 분리되어 본체 바닥면으로 떨어진다. 제3 지지대(140,150)는 제1 반경을 가진 상단지지대(140)와 상단지지대(140)의 제1 반경보다 작은 제2 반경을 가진 하단지지대(150)를 포함한다. 상단지지대(140)와 하단지지대(150)의 사이의 간격에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날부(160)가 위치한다. 다른 실시 예로, 제3 지지대(140,150)는 상단지지대(140) 및 하단지지대(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칼날부(160)는 상단지지대(140)의 아래쪽에 연결되는 제1 칼날부(도 2의 200)와 하단지지대(150)의 위쪽에 연결되는 제2 칼날부(도 2의 210)를 포함한다. 제1 칼날부(200)와 제2 칼날부(210) 사이로 그물이 통과한다. 다른 실시 예로, 칼날부는 제1 칼날부 및 제2 칼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지지대(140,150)와 칼날부(160) 사이의 연결 구조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다시 살펴본다.
일 실시 예로, 물고기 분리 장치(100)는 그물에 걸린 물고기를 보다 잘 분리할 수 있도록 칼날부(160)를 진동시키거나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170,172) 및 연결부(171,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71,173)는 모터의 회전운동을 왕복직선운동을 변환하여 칼날부(160)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연결부(171,173)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일정 반경의 회전체와, 회전체의 일측과 칼날부를 연결하는 연결막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연결부(171,17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 칼날부(도 2의 200)의 진동 또는 좌우이동을 위한 제1 모터(170)와 제2 칼날부(도 2의 210)의 진동 또는 좌우이동을 위한 제2 모터(172)를 각각 포함하고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제1 모터(170) 및 제2 모터(172)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따라 제1 칼날부(도 2의 200) 또는 제2 칼날부(도 2의 210)만이 진동 또는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변형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제1 칼날부(도 2의 200) 및 제2 칼날부(도 2의 210)가 동시에 진동 또는 좌우 이동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제3 지지대와 칼날부 사이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연결 구조(220)의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연결 구조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3 지지대(140,150)의 상단지지대(140) 및 하단지지대(150)는 각각 본체(110)에 연결된다. 상단지지대(140)의 아래쪽에 제1 칼날부(200)가 연결되고, 하단지지대(150)의 위쪽에 제2 칼날부(210)가 연결된다. 제1 칼날부(200)의 칼날(202)과 제2 칼날부(210)의 칼날(212) 사이에는 그물이 통과할 수 있는 일정 간격이 존재한다.
제1 칼날부(200)는 상단지지대(140)를 따라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칼날(202)을 포함하고, 제2 칼날부(210)는 하단지지대(150)를 따라 곡선 모양으로 형성된 프레임과 칼날(212)을 포함한다.
제1 칼날부(200) 및 제2 칼날부(210)는 각각 상단지지대(140) 및 하단지지대(150)와 브라켓(310,312)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제1 칼날부(200) 및 제2 칼날부(210)의 프레임에 고정된 브라켓(310,312)은 각각 상단지지대(140) 및 하단지지대(150)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된다. 제1 칼날부(200) 및 제2 칼날부(210)의 프레임이 각각 상단지지대(140) 및 하단지지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이 용이하도록 브라켓(310,312)의 위아래에는 롤러(320,322,324,326)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단지지대(140) 및 하단지지대(150)에는 롤러(322,324)의 이동을 돕는 가이드레일(300,302)이 존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롤러(320,322,324,326)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략되거나 가이드레일(300,302)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감싸는 주름호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는 프레임(600)과 그 프레임(600)을 감싸는 주름호스(610)를 포함한다. 주름호스(610)는 플라스틱, 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종래의 다양한 주름호스가 본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하단지지대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하단지지대의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3 지지대의 하단지지대(150)와 본체(110) 사이의 연결 부위는 탄성소재(71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체(110)에서 위로 돌출된 사각 프레임(700)과 하단지지대(150)의 끝부분에 위치한 프레임은 서로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하고, 그 내부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소재(710)가 위치한다. 하단지지대(150)가 본체(11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일정 범위 내에서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지지대(150)를 고정하는 고정바(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부(18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간격조절부(180)와 하단지지대(150)는 끈(260) 등을 이용하여 연결된다. 간격조절부(180)를 돌리면 끈이 감겨 하단지지대(150)가 아래로 내려오며, 이 경우 제1 칼날부(200)와 제2 칼날부(21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간격조절부(180)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 하단지지대(150)의 연결 구조에 존재하는 스프링(710)에 의해 하단지지대(150)는 다시 위쪽 방향으로 올라간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분리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그물(910)은 제1 지지대(120), 제3 지지대(140,150) 및 제2 지지대(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그물에 걸린 물고기는 제3 지지대(140,150)에 위치한 양 칼날(102,212)에 의해 분리된다. 그물(910)이 잘 펼쳐질 수 있도록 제1 지지대(120)의 앞쪽에 펼칠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펼침부(900)는 제1 지지대(120)에 위치한 체결부(190)를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다. 체결부(190)는 반고리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펼침부(900)의 일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의 펼칠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펼침부(900)는 아치형태의 곡선 모양의 상단 부위가 오목하게 들어간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물은 펼침부(900)를 지나면서 펼쳐진다. 펼침부(900)는 체결부(1000)를 이용하여 제1 지지대(12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분리 장치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물고기 분리 장치(1100)는 본체(1110), 본체(1110)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1 지지대(1120) 및 제2 지지대(1130), 그리고 제1 지지대(1120)와 제2 지지대(1130) 사이에 위치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3 지지대(1140,115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대(1120), 제2 지지대(1130) 및 제3 지지대(1140,1150)는 도 1의 제1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모양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체(1110)는 도 1의 제1 실시 예에 설명한 배출구(112), 바퀴(114), 고정장치(1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제1 실시 예는 제3 지지대(140,150)에 연결된 칼날부(160)가 좌우 이동하는 구조인 반면, 도 11의 제2 실시 예는 칼날부(1160)가 고정되고 제1 지지대(1120) 및 제2 지지대(1130)에 연결된 좌우이동부(1125,1135)가 좌우 이동하는 구조이다.
먼저, 제3 지지대(1140,1150)는 제1 반경을 가진 상단지지대(1140)와 상단지지대(1140)의 제1 반경보다 작은 제2 반경을 가진 하단지지대(1150)를 포함한다. 상단지지대(1140)와 하단지지대(1150)의 사이에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의 칼날을 포함하는 칼날부(1160)가 위치한다. 도 1의 제1 실시 예와 달리, 본 실시 예의 칼날부(1160)는 상단지지대(1140) 및 하단지지대(1150)에 고정되며 좌우 이동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로, 칼날부(1160)는 상단지지대(1140)에만 존재하거나 하단지지대(1150)에만 존재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120) 및 제2 지지대(1130)에는 각각 좌우이동부(1125,1135)가 연결된다. 좌우이동부(1125,1135)의 프레임과 제1 지지대(1120) 및 제2 지지대(1130)의 연결 구조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제2 실시 예는 하단지지대(114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연결 구조 및 간격조절부의 구성을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의 구조가 본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좌우이동부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 은 도 12의 B-B'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의 C-C' 단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2의 좌우이동부의 연결 구조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지지대(1120) 및 제2 지지대(1130)는 각각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좌우이동부(1125,1135)의 프레임(1200)과 연결된다. 제1 지지대(1120)와 좌우이동부(1125)의 연결구조 및 제2 지지대(1130)와 좌우이동부(1135)의 연결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지지대(1120)와 좌우이동부(1125)의 연결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좌우이동부(1125)의 프레임(1200)은 브라켓(1400)을 이용하여 제1 지지대(1120)에 연결된다. 좌우이동부(1125)의 프레임(1200)에 고정된 브라켓(1400)은 제1 지지대(1120)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된다. 좌우이동부(1125)가 제1 지지대(1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이 용이하도록 브라켓(1400)의 아래에는 롤러(도 14의 1410)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좌우이동부(1125)의 프레임(1200)과 제1 지지대 (1120)사이에도 롤러(도 13의 1310)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120)의 상부에는 롤러(1310)의 이동을 돕기 위한 가이드레일(1300)이 존재할 수 있다.
좌우이동부(1125,1135)의 프레임(1200)에는 주름호수(1500)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1200)의 위쪽에 주름호수(1500)를 배치하고 끈이나 접착제, 나사 등의 종래 다양한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주름호수(1500)를 프레임(120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1의 좌우이동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1의 좌우이동부와 모터의 연결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1120) 및 제2 지지대(1130)에 각각 연결된 좌우이동부(1125,1135)는 모터(1170)를 통해 진동 또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좌우이동부(1125)와 제2 좌우이동부(1135)는 연결부(1600)를 통해 모터(1170)와 연결되고, 모터(1170)의 회전에 따라 제1 좌우이동부(1125) 및 제2 좌우이동부(1135)는 제1 지지대(1120) 및 제2 지지대(1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600)는 모터(1170)의 회전축에 연결된 일정 반경의 회전체와, 회전체의 일측과 제1 좌우이동부(1125) 및 제2 좌우이동부(1135)를 연결하는 연결막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연결부(16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물고기 분리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그물은 제1 지지대(1120)의 제1 좌우이동부(1125)와 제2 지지대(1130)의 제2 좌우이동부(1135)에 걸쳐져 이동한다. 그물에 걸린 물고기는 제3 지지대(1140,1150)에 위치한 양 칼날(1800,1802)에 의해 분리된다. 좌우이동부(1125,1135)가 모터(1170)의 회전에 의해 좌우 이동하면 좌우이동부(1125.1135) 걸쳐진 그물 또한 좌우 이동하며, 따라서 그물에 걸린 물고기의 분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물(1810)이 잘 펼쳐질 수 있도록 제1 지지대의 앞쪽에 펼칠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펼침부(900)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8의 제2 실시 예는 폭이 긴 어망에 사용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1110: 본체 120, 1120: 제1 지지대
130, 1130: 제2 지지대 140, 1140: 제3 지지대의 상단지지대
150, 1150: 제3 지지대의 하단지지대
160, 1160: 칼날부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제3 지지대; 및
    상기 제3 지지대에 연결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칼날을 포함하는 칼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대는, 제1 반경을 가진 상단지지대 및 상기 제1 반경보다 작은 제2 반경을 가진 하단지지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상단지지대의 아래쪽에 연결되는 제1 칼날부 및 상기 하단지지대의 위쪽에 연결되는 제2 칼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1 칼날부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칼날부는, 상기 상단지지대를 감싸서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칼날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단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칼날부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칼날부는, 상기 하단지지대를 감싸서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칼날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단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모터;
    상기 제1 지지대 또는 상기 제2 지지대를 감싸는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지지대 또는 상기 제2 지지대에 연결되는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으로 형성된 좌우이동부; 및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좌우이동부에 전달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대 또는 제2 지지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를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의 앞쪽에 위치하고, 아치형태의 곡선모양의 상단 부위가 오목하게 들어간 모양으로 형성된 펼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대와 상기 본체 사이를 탄성소재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탄성소재의 압축 또는 이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칼날부와 상기 제2 칼날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 또는 상기 제2 지지대는 주름호스로 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KR1020190162704A 2019-12-09 2019-12-09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KR10228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04A KR102287887B1 (ko) 2019-12-09 2019-12-09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04A KR102287887B1 (ko) 2019-12-09 2019-12-09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413A true KR20210072413A (ko) 2021-06-17
KR102287887B1 KR102287887B1 (ko) 2021-08-09

Family

ID=7660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704A KR102287887B1 (ko) 2019-12-09 2019-12-09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001A (ko) 2021-11-15 2021-12-07 황용안 그물의 어획물 분리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03B1 (ko) * 1999-04-29 2001-12-29 계 홍 강 유자망 어구용 자동 멸치분리기
KR100579712B1 (ko) * 2006-01-24 2006-05-15 임성환 어망인양장치
JP2006149352A (ja) * 2004-11-25 2006-06-15 Kikutani Mokichi Shoten:Kk 旋綱の網処理方法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網処理装置
KR20100111978A (ko) * 2009-04-08 2010-10-18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그물 정렬 장치
KR101352022B1 (ko) * 2012-12-03 2014-01-23 대한민국 싹채소 수확장치
KR101407358B1 (ko) * 2012-08-31 2014-06-17 강경택 농작물 수확 장치
KR101742921B1 (ko) 2016-10-21 2017-06-01 이원우 멸치그물 털이 장치
KR101952499B1 (ko) 2017-04-07 2019-02-26 이원우 선상용 멸치그물 털이 장치
KR102030165B1 (ko) * 2017-11-17 2019-10-10 정안국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303B1 (ko) * 1999-04-29 2001-12-29 계 홍 강 유자망 어구용 자동 멸치분리기
JP2006149352A (ja) * 2004-11-25 2006-06-15 Kikutani Mokichi Shoten:Kk 旋綱の網処理方法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網処理装置
KR100579712B1 (ko) * 2006-01-24 2006-05-15 임성환 어망인양장치
KR20100111978A (ko) * 2009-04-08 2010-10-18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그물 정렬 장치
KR101407358B1 (ko) * 2012-08-31 2014-06-17 강경택 농작물 수확 장치
KR101352022B1 (ko) * 2012-12-03 2014-01-23 대한민국 싹채소 수확장치
KR101742921B1 (ko) 2016-10-21 2017-06-01 이원우 멸치그물 털이 장치
KR101952499B1 (ko) 2017-04-07 2019-02-26 이원우 선상용 멸치그물 털이 장치
KR102030165B1 (ko) * 2017-11-17 2019-10-10 정안국 유자망으로부터 어류를 분리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887B1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887B1 (ko)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JP6758723B2 (ja) 目詰まり防止機能付振動篩用網及び振動篩装置
JP4096021B2 (ja) 鳥類飼育用のケージユニット
CN209020739U (zh) 一种粮食振动清理筛
US5301815A (en) Screening device and method
KR101489878B1 (ko) 조류 퇴치장치
KR101662996B1 (ko) 제설 장치
CN210788063U (zh) 一种防堵塞的食品原料加工用振动筛
US3219065A (en) Adjustable screen cloth stretcher
JP3996538B2 (ja) シートシャッタの接地部構造
US2331457A (en) Dust mop cleaner
DE102006060183B4 (de) Hotflue
JP3049760B2 (ja) 振動ふるい装置におけるふるい網の目詰り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0150840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CN211997095U (zh) 一种下料料斗防堵防积料系统
KR102234481B1 (ko)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JP2005272037A (ja) ベルトコンベヤ
JP5950786B2 (ja) 舗装機械のモールドボード保持装置
CN206827543U (zh) 一种皮带机
CN206454893U (zh) 具有自清洁结构的直线筛
JP2001157521A (ja) 温室用カーテン開閉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られるドラム
CA2457360A1 (en) Mechanism for generating wave motion
KR20200014960A (ko) 선별장치
CN112167187B (zh) 家蚕母蛾排尿机
KR200490264Y1 (ko) 모기 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