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358B1 - 농작물 수확 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358B1
KR101407358B1 KR1020120095982A KR20120095982A KR101407358B1 KR 101407358 B1 KR101407358 B1 KR 101407358B1 KR 1020120095982 A KR1020120095982 A KR 1020120095982A KR 20120095982 A KR20120095982 A KR 20120095982A KR 101407358 B1 KR101407358 B1 KR 101407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net
mesh
unit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879A (ko
Inventor
강경택
Original Assignee
강경택
신도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택, 신도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강경택
Priority to KR102012009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35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1/00Other digging harves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농작물 수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재배된 농작물이 일면에 매달린 그물망을 견인하는 견인부, 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그물망에 매달린 농작물을 그물망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절삭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물망에 매달려 있는 농작물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그물망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농작물의 수확 작업을 수행하는 농작물 수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농작물 수확 장치{Crop Harvesting Device}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망에 매달려 있는 농작물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그물망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농작물의 수확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농작물 재배에 사용된 그물망에 대한 자동적 정비 작업을 수행하는 농작물 수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그물망을 이용하여 마늘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추가의 개발을 지속하고 있는 자로서, 그물망을 이용하여 재배된 마늘 등의 농작물은 뛰어난 상품 가치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물망에 매달려 있는 농작물을 그물망으로부터 수확하는데 있어서, 많은 인력이 소요됨으로써 농작물의 출하가격이 불가피하게 높아진다는 문제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그물망에 매달려 있는 농작물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그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신속하게 농작물의 수확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농기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농작물 재배에 사용된 그물망은 자원 재활용 및 농비 절감의 차원에서 이후의 농작물 재배에 재사용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확이 완료된 그물망에 대한 별도의 정비 및 보관 작업이 요구되는데, 농작물 수확이 완료된 그물망에 대한 정비 및 보관에 있어서 적지 않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농작물 재배에 사용된 그물망을 간편하게 정비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농기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079520호(공개일자 2008년 4월 10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물망에 매달려 있는 농작물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그물망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농작물의 수확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농작물 재배에 사용된 그물망에 대한 자동적 정비 작업을 수행하는 농작물 수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는, 재배된 농작물이 일면에 매달린 그물망을 견인하는 견인부; 상기 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그물망에 매달린 상기 농작물을 상기 그물망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절삭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물망에 매달린 상기 농작물이 상기 그물망이 견인됨에 따라 상기 농작물과 함께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농작물의 충돌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삭부는 상기 농작물이 상기 그물망에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농작물의 상기 그물망에 걸려있는 부분을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그물망을 상기 그물망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정비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에는 상기 농작물이 이탈된 그물이 통과되는 유격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유격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유격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격의 크기는, 상기 차단부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농작물에 의해 상기 차단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농작물이 이탈된 그물망이 권취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물망에 매달려 있는 농작물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그물망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농작물의 수확 작업을 수행하는 농작물 수확 장치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농작물 수확과 동시에 농작물 재배에 사용된 그물망에 대한 자동적 정비 작업을 수행하는 농작물 수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에 투입되는 그물망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에서의 견인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에 투입되는 그물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에 투입되는 그물망(10)은 토양 위에 포설된 상태에서, 그물망(10)의 상면에서는 마늘 등의 농작물(50)이 재배되며, 이후에 농작물(50)의 뿌리는 그물망(10)의 구멍을 통과하여 토양 속에 뿌리를 내리게 된다.
이후 농작물(50)의 재배가 완료된 경우에 작업자는 그물망(10)을 토양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그물망(10)의 상면에 뿌리를 통해 매달린 농작물(50)을 수확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는 견인부(110), 차단부(130), 유격 조절체(135), 전도부(170), 및 고정 프레임(180)을 포함한다.
모터식 또는 유압식으로 회전되는 회전봉의 형태로 제작되는 견인부(11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토양으로부터 분리 및 회수된 그물망(1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견인부(110)가 외력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견인부(110)에는 그물망(10)이 권취되면서 농작물(50)이 매달려있는 그물망(10)이 차단부(130)의 전면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농작물(50)이 상면에 매달려있는 그물망(10)은 차단부(130)의 위를 지나게 되며, 차단부(130)의 위를 지난 그물망(10)은 고정 프레임(180)에 거치되는 회전봉의 형태로 제작되는 전도부(170)에 의해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차단부(130)의 후면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차단부(130)의 후면을 향해 이동되는 그물망(10)에 거꾸로 매달리게 된 농작물(50)은 차단부(130)의 후면에 구비된 절삭날(140) 등으로 구현되는 절삭부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아래쪽으로 이탈되게 되며 농작물(50)이 이탈된 그물망(10)은 차단부(130)의 중앙에 형성된 유격을 통해 빠져나오면서 견인부(110)에 연속적으로 권취된다.
한편, 고정 프레임(18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견인부(110), 차단부(130), 및 전도부(1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고정 프레임(180)은 필요에 따라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전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농기계의 동력원을 통해 견인부(110)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고정 프레임(180)의 내측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차단부(130)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차단부(130)에 형성된 유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용수철 등의 탄성체인 유격 조절체(135)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 프레임(180)의 내측에 홈을 형성하고, 홈 내부에 유격 조절체(135)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유격 조절체(135)가 그물망(10)에서 이탈되는 토사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견인부(110)의 외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인 권취부(115)를 결합함으로써, 견인부(110)의 회전에 따라 권취부(115)에 그물망(10)이 권취되도록 하되, 권취부(115)의 양측에 그물망(10) 폭의 너비의 간격으로 도 2에서와 같이 고정판(117)을 설치함으로써 그물망(10)이 권취부(115)에서 흐트러지지않고 나란히 정돈되어 권취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는, 견인부(110), 차단부(130), 보호 부재(131), 높이 조절부(133), 유격 조절체(135), 정비부(150), 물선반(155), 전도부(170), 및 수납부(19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는 나사 형식의 높이 조절부(133)가 분리된 상태에서 차단부(130)의 상부 패널을 하부 패널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사이에 그물망(10)을 쉽게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후에, 그물망(10)을 도 3에서와 같이 끼우게 된다.
작업자는 그물망(10)을 끼운 후에 상부 패널을 도 3에서와 같이 원위치시키게 되며, 상부 패널에 높이 조절부(133)를 끼운 상태에서, 나사 조절 방식으로 차차단부(130)의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의 수직 이격 높이를 조절 및 고정한다.
한편, 견인부(110)에는 작업자에 의해 그물망(1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모터식 또는 유압식으로 외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됨으로서, 그물망(10)이 연속적으로 견인부(110)의 둘레에 권취됨과 동시에, 농작물(50)이 상면에 매달려있는 그물망(10)이 차단부(130)의 전면을 향해 이동된다.
농작물(50)이 상면에 매달려있는 그물망(10)은 차단부(130)의 상부를 지나게 되며, 차단부(130)의 상부를 지나서 계속 이동되는 그물망(10)은 전도부(170)에 의해 이동 방향이 전환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차단부(130)와 전도부(170) 사이에는, 표면에 청소용 솔이 구비된 봉의 형태로 제작되는 정비부(150)가 도 2에서의 고정 프레임(180)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차단부(130)의 상부를 지나서 전도부(170)로 이송되는 그물망(10)의 하면과 정비부(150)에 구비된 청소용 솔과의 마찰을 통해 그물망(10)에 붙어있는 흙과 같은 이물질이 털어짐으로써, 그물망(10)은 1차적으로 자동 정비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도부(170)에 의해 이동 방향이 전환된 그물망(1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농작물(50)이 거꾸로 매달리게 되며, 그물망(10)에 거꾸로 매달리게 된 농작물(50)은 차단부(130)의 후면에 구비되어 있는 절삭날(140)을 향해 이송된다.
즉, 견인부(110)의 회전에 의해 농작물(50)이 거꾸로 매달려 있는 그물망(10)은 차단부(130)의 후면 방향으로 이동되며, 차단부(130)의 후면에 충돌하게 된 농작물(50)은 차단부(130)에 의해 견인부(110) 방향으로의 추가의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농작물(50)은 차단부(130)에 의해 추가의 이동이 차단되는 반면, 해당 농작물(50)이 매달려 있는 그물망(10)은 차단부(130) 내부에 구비된 유격을 통해 견인부(110) 방향으로의 인력을 받게 된다.
여기서, 도 3에서와 같이 차단부(130) 내부에 그물망(10)이 통과할 수 있는 유격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차단부(130)를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 두 개의 패널(상부 패널, 하부 패널) 또는 사각 파이프(상부 파이프, 하부 파이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차단부(130)를 구성하는 하부 패널의 후면 상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날이 형성된 절삭날(140)을 그물망(10)의 폭의 길이만큼 설치함으로써, 그물망(10)에 거꾸로 매달려 있는 농작물(50)에서의 그물망(10)에 걸려있는 뿌리 부분이 견인부(110)에 의해 그물망(10)에 작용되는 인력에 따라 절단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차단부(130)를 구성하는 상부 패널을 하부 패널보다 돌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사이에 그물망(10)으로부터 이탈되는 토사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농작물(50)은 그물망(10)으로부터 이탈되어, 절삭날(140)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는 수납부(190)에 떨어짐으로써 보관되며, 농작물(50)이 이탈된 그물망(10)은 차단부(130) 내의 유격을 통과하여 견인부(110)에 연속적으로 권취되게 된다.
여기서, 수납부(190)는 종래의 쌀수확기에 설치되어 있는 수납부(190)와 같은 구조를 구비하면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는 종래의 쌀수확기를 개조함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절삭날(140)은 차단부(130)를 구성하는 하부 패널의 상부에 도 3에서와 같이 수평 방향과 30°내지 45°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절삭날(140)에 의해 농작물(50)의 그물망(10)과 결합된 부분만을 절삭함으로서, 농작물(50)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절삭날(140)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30°내지 45°의 각도 범위 내에서 그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작업자는 농작물(50) 수확시에 그물망(10)에 매달린 농작물(5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절삭날(140)에 의해 농작물(50)의 몸체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절삭날(14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차단부(130)를 구성하는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의 후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고무 패드 등의 탄성 재질의 보호 부재(131)를 그물망(10)의 폭의 길이만큼 부착할 수도 있으며, 차단부(130)의 후면에 부착된 보호 부재(131)는 농작물(50)이 차단부(130)에 충돌되는 경우에 농작물(50)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차단부(130)를 구성하는 상부 패널에는 상부 패널의 고정 프레임(180)에서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나사인 높이 조절부(1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높이 조절부(133)를 통해 상부 패널의 설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고정 프레임(180)에 그 높이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의 설치 간격인 유격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그물망(10)에 매달린 농작물(50)의 크기를 고려하여 차단부(130) 내의 유격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절삭날(140)에 의한 절단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그물망(10)에 매달린 농작물(5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절삭날(140)의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서 절삭날(140)이 농작물(50)의 그물망(10)과의 결합부를 절단하지 못할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작업자는 높이 조절부(133)를 통해 차단부(130)를 구성하는 하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의 유격이 커지도록 조절하고, 이로 인해 벌어진 유격에 농작물(50)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농작물(50)의 매달림 각도가 수평 방향으로 가까워짐으로써, 농작물(50)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절삭날(140)이 농작물(50)의 그물망(10)과의 결합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농작물 수확 장치의 가동 전에 농작물(50)의 크기를 감안하여, 높이 조절부(133)를 통해 차단부(130) 내의 유격의 크기를 조절한 경우에도, 농작물 수확 장치가 가동되는 중에 필요에 따라 차단부(130) 내의 유격의 크기를 다시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즉, 단일의 그물망(10)에 매달린 농작물(50)의 크기 및 농작물(50)의 그물망(10)과의 결합 강도는 일정할 수 없기 때문에, 유달리 큰 크기의 농작물(50) 또는 그물망(10)과 단단히 결합된 농작물(50)이 차단부(13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된 채 절단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견인부(110)의 인력에 의해 그물망(10)이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차단부(130) 내의 유격의 크기를 일시적으로 키워줌으로써, 그물망(10)에 작용하는 인력을 완화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농작물 수확 장치가 가동되어 농작물(50)의 수확 작업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높이 조절부(133)를 통해 차단부(130) 내의 유격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차단부(130)를 구성하는 하부 패널의 하부에 도 3에서와 같이 용수철 등의 탄성체인 유격 조절체(135)가 설치되고, 유격 조절체(135)는 고정 프레임(180)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조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차단부(130) 후면에 유달리 큰 크기의 농작물(50) 또는 그물망(10)과 단단히 결합된 농작물(50)이 걸린 상태에서, 그물망(10)이 견인부(110)에 의해 당겨지게 되면 농작물(50)이 차단부(130) 후면의 유격을 압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단부(130)를 구성하는 하부 패널이 용수철 등의 탄성체인 유격 조절체(135)를 압축시킴으로써 차단부(130)의 유격이 벌어지게 되며, 차단부(130)의 벌어진 유격으로 농작물(50)이 기울어지면서 삽입됨으로써, 그물망(10)에 가해지는 인력이 해소됨과 동시에 절삭날(140)에 의한 농작물(50)의 이탈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그물망(10)에 과도한 인력이 가해짐으로써 그물망(10)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술한 경우에서와 같이 농작물(50)이 절단되지 않고 차단부(130)의 후면에 걸림으로써, 견인부(110)에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과도한 역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는 견인부(110)의 구동을 자동으로 중단시키는 제어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차단부(130)와 견인부(110) 사이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추가의 정비부(150)를 설치함으로서, 농작물(50)이 이탈된 그물망(10)과 정비부(150)에 구비된 청소용 솔의 마찰을 통해 그물망(10)에 붙어있는 잔여 이물질을 털어냄으로써 그물망(10)을 2차적으로 자동 정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정비부(150)의 솔에 물을 공급하는 물선반(155)을 설치하여 둠으로써, 물선반(155)에 담겨진 물을 묻힌 정비부(150)의 솔을 통해 그물망(10)이 자동적으로 세척 정비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에서의 견인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를 통한 농작물(50)의 이탈 작업이 완료되면, 도 4에서와 같이 견인부(110)에는 세척 및 정비가 이루어진 그물망(10)의 권취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권취된 그물망(10)은 그 상태로 보관하여 다음 년도의 마늘 재배에 다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마늘 재배에 사용된 그물망(10)을 별도로 정비할 필요없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 장치를 통한 농작물(50)의 수확 작업과 동시에 그물망(10)의 정비 보관 작업까지 동시에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그물망(10)의 정비 보관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견인부(110)에 직접 그물망(10)을 권취할 것이 아니라, 도 4에서와 같이 견인부(110)의 외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인 권취부(115)를 결합하고, 견인부(110)의 회전에 따라 권취부(115)에 그물망(10)이 권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이와 같이 견인부(110)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권취부(115)에 그물망(10)이 권취되게 되면, 작업자는 도 5에서와 같이 그물망(10)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부(115)를 견인부(110)로부터 분리한 다음, 분리된 권치부만을 다음해의 농작물(50) 재배에 사용하기 위해 보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그물망, 50: 농작물,
110: 견인부, 115: 권취부,
117: 고정판, 117130: 차단부,
131: 보호 부재, 133: 높이 조절부,
135: 유격 조절체, 140: 절삭날,
150: 정비부, 155: 물선반,
170: 전도부, 190: 수납부.

Claims (9)

  1. 재배된 농작물(50)이 일면에 매달린 그물망(10)을 견인하는 견인부(110);
    상기 견인부(110)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그물망(10)에 매달린 상기 농작물(50)을 상기 그물망(1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절삭부; 및
    상기 그물망(10)에 매달린 상기 농작물(50)이 상기 그물망(10)이 견인됨에 따라 상기 농작물(50)과 함께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13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130)에는 상기 농작물(50)이 이탈된 그물이 통과되는 유격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격의 크기는, 상기 차단부(13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된 농작물(50)에 의해 상기 차단부(13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증가하는 것인 농작물 수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130)는 상기 농작물(50)의 충돌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 부재(131)를 구비하는 것인 농작물 수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상기 농작물(50)이 상기 그물망(10)에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상기 농작물(50)의 상기 그물망(10)에 걸려있는 부분을 절삭하는 것인 농작물 수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110)에 의해 견인되는 상기 그물망(10)을 상기 그물망(10)의 이동에 따른 마찰력을 이용하여 청소하는 정비부(150)를 더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130)에는 사용자가 상기 유격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유격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농작물 수확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50)이 이탈된 그물망(10)이 권취되는 권취부(115)를 더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 장치.
KR1020120095982A 2012-08-31 2012-08-31 농작물 수확 장치 KR101407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982A KR101407358B1 (ko) 2012-08-31 2012-08-31 농작물 수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982A KR101407358B1 (ko) 2012-08-31 2012-08-31 농작물 수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79A KR20140029879A (ko) 2014-03-11
KR101407358B1 true KR101407358B1 (ko) 2014-06-17

Family

ID=50642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982A KR101407358B1 (ko) 2012-08-31 2012-08-31 농작물 수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3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763A (ko) * 2019-02-20 2020-08-28 송호경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KR20210072413A (ko) * 2019-12-09 2021-06-17 송호경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JP2021114926A (ja) * 2020-01-24 2021-08-10 株式会社スノーメディア 植物の栽培装置及び栽培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691B1 (ko) * 2019-02-19 2020-10-08 이창석 건조곡물 수거장치
KR102578125B1 (ko) * 2021-06-18 2023-09-13 대한민국 벨트형 농작물 수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21A (ja) * 1992-12-10 1994-06-21 Kobashi Kogyo Co Ltd 根菜類収穫機
KR200152495Y1 (ko) 1997-04-25 1999-08-02 남송학 구근줄기 절단장치
KR20070049025A (ko) * 2005-11-07 2007-05-10 추교봉 농작물 수확장치
JP2008079520A (ja) 2006-09-26 2008-04-10 Erumu:Kk 農作物の収穫装置又は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9621A (ja) * 1992-12-10 1994-06-21 Kobashi Kogyo Co Ltd 根菜類収穫機
KR200152495Y1 (ko) 1997-04-25 1999-08-02 남송학 구근줄기 절단장치
KR20070049025A (ko) * 2005-11-07 2007-05-10 추교봉 농작물 수확장치
JP2008079520A (ja) 2006-09-26 2008-04-10 Erumu:Kk 農作物の収穫装置又は調整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763A (ko) * 2019-02-20 2020-08-28 송호경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KR102234481B1 (ko) * 2019-02-20 2021-03-31 송호경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KR20210072413A (ko) * 2019-12-09 2021-06-17 송호경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KR102287887B1 (ko) * 2019-12-09 2021-08-09 송호경 그물에서 물고기를 분리하는 장치
JP2021114926A (ja) * 2020-01-24 2021-08-10 株式会社スノーメディア 植物の栽培装置及び栽培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79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358B1 (ko) 농작물 수확 장치
KR101669721B1 (ko) 트랙터 견인식 대파 수확기
KR101698313B1 (ko) 과실 수거장치
JP5434233B2 (ja) 根菜類収穫機
KR101695062B1 (ko) 멀칭 비닐 분리장치를 갖는 비닐수거기
JP2009261348A (ja) 野菜収穫機
KR101686391B1 (ko) 구근작물의 줄기 절단장치
JP5842412B2 (ja) 根菜類収穫機
KR101631464B1 (ko) 비닐수거기의 수거 롤러에서 비닐 분리장치
NL2017172B1 (nl) Loofbewerkingsinrichting alsmede rooimachine omvattende een dergelijke loofbewerkingsinrichting
JP5912587B2 (ja) 根菜類収穫機
JP6124199B2 (ja) 根菜類収穫機
JP6299512B2 (ja) 根菜類収穫機
JP5626069B2 (ja) 根菜類収穫機
JP2010104247A (ja) 作物収穫補助機
US6286605B1 (en) Cutting system
JP6171582B2 (ja) 根菜類収穫機
CN105850248A (zh) 全方位气动膜杂分离残膜回收机
US5904033A (en) Vine cutter
JP5135954B2 (ja) 茎葉収穫機
JP6337851B2 (ja) 根菜類収穫機
CN116671332A (zh) 一种基于无人农机的避障装置及方法
JP3167555U (ja) 栽培用ネット回収処理装置
JP2006020646A (ja) 根菜収穫機
JP3863897B2 (ja) 根菜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