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810B1 - 통발양승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통발양승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810B1
KR100401810B1 KR10-2001-0001909A KR20010001909A KR100401810B1 KR 100401810 B1 KR100401810 B1 KR 100401810B1 KR 20010001909 A KR20010001909 A KR 20010001909A KR 100401810 B1 KR100401810 B1 KR 10040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frame
guide
hairlin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187A (ko
Inventor
정용길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유금범
정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정용길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10-2001-000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8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발양승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릿줄(M)의 고릿줄(H)에 걸어져 바다에 투입되어 어획물을 어획한 통발(P)을 양승함에 있어서 모릿줄(M)의 고릿줄(H)에 연결된 통발(P)을 부드럽고, 정확하게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프레임(50)의 하부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롤러로 구성되는 롤러조립체(60)와 상기 롤러조립체(60)를 통과한 모릿줄(M)과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P)을 안내하는 안내부(70) 및 상기 안내부(70)를 지나 통발분리부(90)에서 모릿줄(M)로부터 분리된 통발(P)을 선박의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조립체(60)는 적어도 5개의 롤러(61,62,63,64,65)가 사각형의 입구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안내부(70)로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P)을 안내한다. 상기 안내부(70)에는 테두리(71,72,73)의 내주면을 둘러 설치된 다수개의 탄성부재(74)의 선단이 그 중앙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승되는 통발(P)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작업환경에서 보다 부드럽고 정확하게 통발(P)을 안내하고, 통발분리부(90)에서 모릿줄(M)로부터 분리된 통발을 정확한 위치로 안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통발양승안내장치{A pot guide apparatus}
본 발명은 통발양승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에 투입되었다가 양승되어오는 모릿줄과 모릿줄에 연결된 통발을 통발분리장치로 보다 부드럽고 정확하게 안내하는 통발양승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통발양승안내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통발의 길이보다 길고 높은 일정 크기로서 내저부에 통발회수판(20)을 설치한 틀체(10)의 상판(11)에 서로 마주보도록 2개의 롤러(9,9')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9,9')의 상부에는 모릿줄을 안내하는 안내롤러(12)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롤러(12)는 상기 모릿줄을 잡아당겨 감아주는 윈치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9,9')의 하부에는 또 하나의 안내롤러(12')가 설치되는데, 상기 안내롤러(12')는 상기 롤러(9,9')로 모릿줄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바다에서 양승되는 모릿줄을 상기 안내롤러(12')로 안내하는 양승가이드롤러(13)가 상기 틀체(10)에 틀체(10)의 상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상기 롤러(9,9')의 하부에는 모릿줄의 고릿줄 끝에 달려서 모릿줄과 함께 당겨지는 통발을 상기 롤러(9,9')로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ㄷ'자형상의 감속유도판(1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틀체(10)의 주변을 둘러서는 양승되는 통발이 틀체(10)에 부딪힐 때 내부에 있는 어획물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하는 완충판(17)과 고무박판(18)이 설치된다.
상기 고무박판(18)은 상기 틀체(10)에서 통발이 양승되어 오는 방향에 설치되고, 그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있어 그 사이를 통해 통발이 안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무박판(18) 사이로 물을 강한 수압으로 분사하여, 고무박판(18) 사이로 통발이 인입될 때 통발이 고무박판(18)과 틀체(10) 밖으로 튀어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물분사관(19)이 상기 틀체(10)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모릿줄에는 일정 간격으로 고릿줄이 구비되고, 상기 고릿줄의 끝부분에 통발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통발을 고릿줄에 연결하는 것은 상기 고릿줄에 플러그가 구비되고, 상기 통발에 소켓이 장착되어 이들 사이의 체결에 의해서 이다. 즉 상기 고릿줄의 플러그에 상기 통발의 소켓이 체결된 상태로 모릿줄이 바다에 투입되고, 일정 시간 경과후 상기 모릿줄을 양승하여 통발을 건져 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모릿줄은 양승가이드롤러(1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고무박판(18)의 사이를 지나 상기 안내롤러(12')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안내롤러(12')에 의해상기 롤러(9,9')의 사이를 지나간다. 상기 롤러(9,9')의 사이를 통과한 모릿줄은 상기 안내롤러(12)를 통해 모릿줄을 감아주는 윈치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동되는 모릿줄의 고릿줄에 달려 있는 통발은 상기 롤러(9,9')의 사이에서 상기 소켓이 플러그로부터 분리되어 통발회수판(20)으로 낙하되어 회수된다.
한편, 상기 통발은 상기 고릿줄에 달려 있어 상기 모릿줄이 당겨짐에 의해 함께 이동되어 상기 틀체(10)의 내부로 들어가고, 상기 틀체(10)의 내부에서 상기 감속유도판(15)에 의해 안내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다양한 방향으로 상기 모릿줄을 양승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틀체(10) 내로 모릿줄을 안내하는 롤러(12',13)가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되어 오는 모릿줄을 안내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도 1b의 A방향으로 모릿줄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안내롤러(12')에 의해 안내되어 틀체(10) 내로 이동되고, B방향으로 모릿줄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양승가이드롤러(13)와 안내롤러(12')를 차례로 거치면서 안내되나, 그 외의 방향(C 및 D방향)으로 모릿줄이 양승되는 경우에는 상기 틀체(10)의 하부에 걸려 모릿줄이 제대로 양승되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모릿줄이 상기 장치를 관통하여 걸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반드시 상기 모릿줄의 끝부분부터 상기 틀체(10)를 통해 상기 안내롤러(12')와 롤러(9,9'), 안내롤러(12)를 거쳐 윈치에 걸어주어야 한다. 하지만 모릿줄의 길이는 10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으며, 상기 모릿줄의 전체를 바다에 투입하지 않고 일부만 투입하여 작업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모릿줄을 잘라서 작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작업도중에 상기 모릿줄이 끊어지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때, 상기 끊어진 부분을 다시 상기 장치를 관통하여 윈치에 걸어주기 위해서는 사람의 힘으로 바다에 투입되어 있는 모릿줄을 당겨서 상기 장치에 건 후, 윈치에 연결하여야 한다. 하지만 나머지 부분이 바다에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릿줄을 사람이 당겨 모릿줄의 끊어진 끝부분을 상기 장치 내로 관통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상기 틀체(10)의 내부에서 상기 통발이 안내될 때 심한 통발의 요동으로 통발이 틀체(10)에 부딪혀 내부에 있는 어획물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단지 완충판(17)과 감속유도판(15) 밖에 없어 틀체(10) 내에서 틀체(10)와 통발이 충돌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통발 속에 들어있는 어획물에 충격이 가해져 어획물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주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다음으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롤러(9,9')에 의해 분리된 통발을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분리된 통발이 상기 통발회수판(20)으로 정확하게 낙하되지 않고 틀체(10)의 하부를 통해 바다로 빠져버리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는 상기 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상기 장치에 파도가 덮칠 때 또는 바람이 심하게 불 때 발생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모릿줄을 양승할 수 있는 통발양승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발양승을 위한 준비작업을 단순화한 통발양승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발의 안내가 부드럽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통발양승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된 통발이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는 통발양승안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통발양승안내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의한 통발양승안내장치로 모릿줄이 안내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통발양승안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롤러조립체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안내부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모릿줄이 걸어져 안내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롤러조립체에서 모릿줄이 안내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프레임 51: 제1컬럼
52: 제2컬럼 53: 제3컬럼
54: 상판 55,56,57: 연결대
58: 베이스판 59: 지지대
59': 회전중심축 60: 롤러조립체
61,62,63,64,65: 롤러 61',62',63',64',65': 브라켓
70: 안내부 71,72,73: 테두리
74: 탄성부재 76: 보강대
80: 배출부 81: 낙하통로
82: 배출호퍼 90: 통발분리부
95: 상단롤러 97: 건지롤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골격을 형성하고 그 내부를 통해 모릿줄이 안내되며 상부에 상기 모릿줄에 달린 통발을 분리하는 통발분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5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모릿줄이 프레임의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모릿줄이 상기 롤러에 안내되도록 하는 롤러조립체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앙을 향해 다수개의 탄성부재가 연장 설치되어 그 선단에 소정의 통과공을 형성하면서 상기 모릿줄에 달려 양승되는 통발을 안내하는 통발안내부와, 상기 통발분리부에서 분리된 통발을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안내하는 통발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별개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4개의 롤러가 비스듬히 세워진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별개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1개의 롤러가 상기 사각형의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릿줄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사각형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롤러가 서로 인접하는 부분중 어느 일측은 모릿줄이 그 선단이 아닌 임의의 부분에서도 줄의 절단 없이 삽입 가능하게 개방형성된다.
상기 통발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일측이 개방된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의 내면을 둘러 각각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테두리의 내부중앙을 향해 연장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의 일측에는 상기 모릿줄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절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통발배출부는 상기 테두리가 개방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되는 낙하통로와, 상기 낙하통로의 하부에 프레임의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통발을 배출하는 배출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베이스판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판을 선박의 내외부로 이동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가 더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끊어진 모릿줄을 건져올리기 위한 건지롤러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통발양승안내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방향으로 모릿줄을 양승할 수 있고, 통발분리부로 보다 부드럽고 정확하게 통발을 안내할 수 있으며, 분리된 통발을 선박의 내부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모릿줄의 양승을 위한 준비작업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이점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통발양승안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통발양승안내장치의 골격을 프레임(5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50)에는 제1,2,3 컬럼(51,52,53)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컬럼(51,52,53)의 상부에는 상판(54)이 설치되고, 상기 상판(5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통발분리부(90)와 상단롤러(95)가 설치된다. 상기 제1,2,3컬럼(51,52,53)은 그 상단, 중단, 및 하단에서 각각 연결대(55,56,5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 및 하단 연결대(55,57)는 직선상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상기 제3컬럼(53)의 상단과 하단은 이와의 연결을 위해 소정 곡률로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단 연결대(56)는 상기 연결대(55,56,57)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연결대(57)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컬럼(52)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베이스판(58)이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판(58)은 상기 프레임(50) 전체를 선박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된다. 즉 상기 베이스판(58)의 일측 단부는 회전중심축(59')을 구비한 지지대(59)에 지지된다. 그리고상기 베이스판(58)은 상기 회전중심축(59')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50)이 선박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50)의 하부에는 롤러조립체(60)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조립체(60)는 최소한 5개의 롤러로 형성된다. 먼저, 상기 제2컬럼(52)의 하단측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제1롤러(61)가 설치된다. 상기 제1롤러(61)의 일단부는 상기 하단연결대(5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1브라켓(6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브라켓(61')은 상기 하단연결대(57)에 그 일단부가 지지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컬럼(51)의 하단측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는 제2롤러(62)가 설치된다. 상기 제2롤러(62)의 일단부는 상기 하단연결대(5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2브라켓(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브라켓(62')은 상기 하단연결대(57)와 상기 제1컬럼(51)에 그 일단부가 지지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롤러(61)와 제2롤러(62)는 서로 마주보도록 나란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롤러(63)는 상기 제1 및 제2롤러(61,62)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롤러(61,62)와 공간상에서 서로 만나지 않고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단연결대(57)에는 상기 제3롤러(63)의 양단을 지지하는 제3브라켓(63')이 설치된다.
제4롤러(64)는 상기 제1 및 제2롤러(61,62)의 상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롤러(61,62)와 공간상에서 서로 만나지 않고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2,3,4롤러(61,62,63,64)에 의해 그 내부에 비스듬히 세워진 사각형으로 모릿줄(M)과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이 유입되는 입구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4롤러(64)는 그 일단부가 상기 제1컬럼(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컬럼(51)에 지지되는 제4브라켓(64')에 지지된다. 상기 제4브라켓(64')은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롤러(64)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고 길게 연장되어 제1컬럼(5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4브라켓(64')의 양단이 상기 제1컬럼(51)에 지지됨에 의해 상기 제4브라켓(64')에 의해 지지되는 제4롤러(64)의 단부와 상기 제1롤러(61)의 상단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는 상기 입구공간의 내부로 모릿줄(M)을 그 선단이 아닌 임의의 부분에서도 줄의 절단 없이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제5롤러(65)는 상기 제4롤러(64)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롤러(62)와 제4롤러(64)가 교차되는 모서리부분과 대응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이 부분을 통해 유입되는 모릿줄(M)과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을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5롤러(65)의 일측 단부는 상기 중단연결대(5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브라켓(62')과 제4브라켓(64') 및 아래에서 설명될 테두리(71)에 연결되는 제5브라켓(65')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롤러조립체를 통해 프레임(50)의 내부로 들어온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P)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7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안내부(70)는 상기 프레임(50)을 형성하는 제1,2,3 컬럼(51,52,53)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컬럼(51,52)의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3컬럼(51,53)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테두리(71,72,73)가 설치된다. 상기 테두리(71,72,73)는 대략 원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 및 제3컬럼(52,53)의 사이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테두리(71,72,73)는 상기 제1,2,3컬럼(51,52,53)의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71,72,73)의 내면을 둘러서는 그 중앙을 향해 탄성부재(74)가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테두리(71,72,73)의 내면을 둘러서 설치되는 탄성부재(74)들의 선단은 모릿줄(M)과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P)이 안내되는 원형의 통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74)는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선단은 둥근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통발(P)에 손상이나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71,72,73)에는 상기 안내부(70)의 내부로 모릿줄(M)을 그 선단이 아닌 임의의 부분에서도 줄의 절단 없이 삽입할 수 있도록 각각 절결부(71',72',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71',72',73')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테두리(71,72,73)의 강도유지를 위해 보강대(76)가 상하로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대(76)는 이 곳 외에도 상기 테두리(71,72,73)를 연결하도록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내부(70)는 상기 롤러조립체(60)의 상방에 해당되는 부분에만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은 테두리(71,72,73)와 탄성부재(74)의 구성은 상기 롤러조립체(60)의 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될 통발분리부(90)에서 모릿줄(M)로부터 분리된 통발(P)은 상기 선박의 내부로 전달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배출부(8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80)는 상기 안내부(7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낙하통로(81)와 상기 낙하통로(81)를 통해 낙하되는 통발(P)을 선박의 내부로 전달하는 배출호퍼(82)로 구성된다.
상기 낙하통로(8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70)에서 상기 탄성부재(74)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모릿줄(M)에서 분리된 통발(P)이 상기 탄성부재(74)에 의해 안내되어 자연스럽게 낙하되는 부분이다. 상기 통발(P)이 낙하될 때 반드시 상기 낙하통로(81)의 상부에서 하부로까지 이동되는 것은 아니며, 그 중간에 상기 배출호퍼(8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배출호퍼(82)는 금속재질의 봉을 다수개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호퍼(82)는 상기 제2컬럼(52)과 제3컬럼(53) 사이의 상기 테두리(73)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체결되고, 상기 프레임(50)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어, 선박의 내부로 통발(P)을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50)의 상단에는 통발분리부(90)가 설치된다. 상기 통발분리부(90)는 본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207808(출원번호 20-2000-0019327)호의 것으로 그 자세한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통발분리부(90)의 상단에는 모릿줄(M)을 윈치로 안내하는 상단롤러(9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단롤러(95)가 설치되어 있는 일측에는 별도의건지롤러(97)가 설치되는데, 이는 작업중에 모릿줄(M)이 절단되어 해저에 가라앉은 모릿줄(M)과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P)을 건질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통발양승안내장치에 의해 모릿줄(M)과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P)이 안내되어 통발분리부에서 분리되어 선박의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통발양승안내장치에 모릿줄(M)을 걸어주는 것을 설명한다. 윈치에 걸어져 있는 모릿줄(M)의 일측을 상기 롤러조립체(60)에 걸어준다. 이때 모릿줄(M)은 상기 제1롤러(61)의 선단과 상기 제4롤러(64)의 선단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롤러조립체(6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걸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부(70)의 테두리(71,72,73)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71',72',73')를 통해 안내부(70)의 내부로 모릿줄(M)을 걸어준다. 그리고 상기 상판(54)에 설치되어 있는 통발분리부(90)에 걸어준다. 통발분리부(90)에 모릿줄(M)을 걸어주는 과정은 상기 본출원인의 선출원에 설명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모릿줄(M)을 상기 상단롤러(95)에 걸어준다. 도 5에는 모릿줄(M)이 본 발명의 장치에 장착된 상태가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윈치가 회전하면 상기 모릿줄(M)이 당겨지면서 바다에 투입되었던 모릿줄(M)과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P)이 양승된다. 상기 모릿줄(M)은 먼저 상기 롤러조립체(60)에 의해 안내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장치가 선박의 측현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모릿줄(M)은 그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롤러(61,62,63,64,65)중 어느 하나 또는 몇 개에 의해 안내된다. 즉 모릿줄(M)이 선박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선박의 측현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는, 도6에 화살표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모릿줄(M)이 제4롤러(64)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선박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모릿줄(M)이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6에 화살표D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롤러(63)에 의해 안내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릿줄(M)이 선박의 측방향에서 선박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6에 화살표C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롤러(62)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선박의 측방향에서 전방으로부터 대략 45도 정도 경사진 방향에서 선박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에는, 도 6에 화살표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주로 제5롤러(65)에 의해 안내되며, 모릿줄(M)의 상태에 따라 제2 또는 제4롤러(62,64)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물론 위에서 설명한 경우 외에도 조금씩 방향이 변경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모릿줄(M)이 이동되어 올 수 있는데, 이때에는 모릿줄(M)이 위치한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롤러(61,62,63,64,65)들 중 하나 또는 몇 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모릿줄(M)이 안내된다.
상기 롤러조립체(60)를 통과한 모릿줄(M)은 상기 안내부(7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상단롤러(95)의 안내에 의해 상기 통발분리부(90)의 중앙으로 정확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모릿줄(M)에 달려 있는 통발(P)은 모릿줄(M)과 함께 상기 안내부(70)를 통과하는데, 대략 상기 탄성부재(74)의 선단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4)는 상기 통발(P)이 탄성부재(74)의 선단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중앙을 통해 상승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통발(P)의 선단에 달려 있는 집게(F)는 상기 통발분리부(90)에서 슬라이더(S)가 뒤로 밀려짐에 의해 벌어진다. 이와 같이 집게(F)가 벌어지면, 계속하여 진행되는 모릿줄(M)에 달려 있는 고릿줄(H)은 상기 집게(F)로부터 빠져나간다. 따라서 상기 통발(P)은 하부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4)는 그 요동에 의해 낙하되는 통발(P)을 상기 낙하통로(81)로 안내하여 상기 배출호퍼(82)로 전달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배출호퍼(82)로 통발(P)이 전달되면 상기 배출호퍼(82)의 안내에 의해 선박의 내부로 통발(P)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통발분리부(90)를 통과한 모릿줄(M)은 상기 상단롤러(95)에 의해 안내되어 윈치에 감겨지게 된다.
한편 작업중에 상기 모릿줄(M)이 절단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절단된 모릿줄(M)과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P)은 해저에 가라앉는다. 해저에 가라앉아 있는 모릿줄(M)과 모릿줄(M)에 연결된 통발(P)을 건져내기 위한 별도의 도구인 갈퀴 모양의 건지(도시되지 않음)를 건지로프에 매달아 해저로 내려 끌면 건지에 모릿줄(M)이 걸린다. 모릿줄(M)이 걸린 건지를 양승하여 모릿줄(M)을 해저로부터 건져낸다. 상기 건지의 양승작업은 건지로프를 상기 건지롤러(97)에 걸어 상기 윈치를 사용하여 끌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지에 의하여 건져 올려진 모릿줄(M)을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걸어서 작업을 진행하면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59)의 회전중심축(59')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선박의 내부로 이동시켜 두면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통발양승안내장치는 적어도 5개의 롤러를 각 방향으로 설치하여 롤러조립체를 구성하였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부드럽게 모릿줄을 양승할 수 있게 되어 실제 작업현장의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모릿줄을 그 선단이 아닌 임의의 부분에서도 줄의 절단 없이 본 발명의 장치에 걸어줄 수 있어 통발양승을 위한 준비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롤러를 사용하여 다양한 이동방향을 가지는 모릿줄을 부드럽게 안내하고,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통발의 상승 및 낙하를 안내하므로 보다 통발의 안내가 부드럽고 정확하게 이루어져 작업의 정확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8)

  1. 골격을 형성하고 그 내부를 통해 모릿줄이 안내되며 상부에 상기 모릿줄에 달린 통발을 분리하는 통발분리부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5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모릿줄이 프레임의 내부로 들어가는 입구를 형성하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모릿줄이 상기 롤러에 안내되도록 하는 롤러조립체와,
    상기 프레임의 내부 중앙을 향해 다수개의 탄성부재가 연장 설치되어 그 선단에 소정의 통과공을 형성하면서 상기 모릿줄에 달려 양승되는 통발을 안내하는 통발안내부와,
    상기 통발분리부에서 분리된 통발을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안내하는 통발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양승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조립체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별개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4개의 롤러가 비스듬히 세워진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별개로 회전가능한 적어도 1개의 롤러가 상기 사각형의 모서리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릿줄을 안내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양승안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롤러가 서로 인접하는 부분중 어느 일측은 모릿줄이 그 선단이 아닌 임의의 부분에서도 줄의 절단 없이삽입 가능하게 개방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양승안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안내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부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일측이 개방된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의 내면을 둘러 각각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테두리의 내부중앙을 향해 연장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양승안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일측에는 상기 모릿줄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절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양승안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배출부는 상기 테두리가 개방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되는 낙하통로와,
    상기 낙하통로의 하부에 프레임의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통발을 배출하는 배출호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양승안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베이스판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판의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판을 선박의 내외부로 이동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양승안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끊어진 모릿줄을 건져올리기 위한 건지롤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양승안내장치.
KR10-2001-0001909A 2001-01-12 2001-01-12 통발양승안내장치 KR10040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909A KR100401810B1 (ko) 2001-01-12 2001-01-12 통발양승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909A KR100401810B1 (ko) 2001-01-12 2001-01-12 통발양승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187A KR20010035187A (ko) 2001-05-07
KR100401810B1 true KR100401810B1 (ko) 2003-10-17

Family

ID=19704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909A KR100401810B1 (ko) 2001-01-12 2001-01-12 통발양승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159B1 (ko) * 2002-03-09 2004-06-16 박명오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092B1 (ko) * 2009-08-07 2012-02-16 박명오 어로장비 이탈방지보조수단
KR101314771B1 (ko) * 2011-05-12 2013-10-08 박명오 통발 인양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428Y1 (ko) * 1989-11-23 1991-08-23 정부갑 통발의 연결 및 자동 분리장치
KR940007872Y1 (ko) * 1992-07-02 1994-10-24 김인수 어로용 통발 인양장치
KR950000733U (ko) * 1993-06-30 1995-01-03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코아 취출구조
KR970019845A (ko) * 1996-08-12 1997-05-28 안창준 어선의 통발 권양 장치
KR0137725Y1 (ko) * 1995-09-19 1999-02-01 장순필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428Y1 (ko) * 1989-11-23 1991-08-23 정부갑 통발의 연결 및 자동 분리장치
KR940007872Y1 (ko) * 1992-07-02 1994-10-24 김인수 어로용 통발 인양장치
KR950000733U (ko) * 1993-06-30 1995-01-03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코아 취출구조
KR0137725Y1 (ko) * 1995-09-19 1999-02-01 장순필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KR970019845A (ko) * 1996-08-12 1997-05-28 안창준 어선의 통발 권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159B1 (ko) * 2002-03-09 2004-06-16 박명오 어로장비 자동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187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5239A (en) Twist closure drop fishing net
JP5113821B2 (ja) 鹿の捕獲装置とその使用方法
CN105230580B (zh) 触发自上浮式底栖类虾蟹样品捕捉器
KR100401810B1 (ko) 통발양승안내장치
CN105052848B (zh) 一种沉底式虾捕捉器
CN209201906U (zh) 一种漂浮式捕鱼装置
US2634539A (en) Device for retrieving spinners or the like
CN105230579B (zh) 一种生物质量监测虾样品采集装置
CN105284749B (zh) 一种适用于抽检水产品质量的采虾工具
CN209030918U (zh) 能自动解扣的蟹笼悬挂器
JPH0548663U (ja) あわび養殖具
CN105104316B (zh) 一种捕虾装置
JP3689501B2 (ja) 活魚イケス
CN210124235U (zh) 一种多功能捕鱼装置
KR19990034667A (ko) 통발 자동 탈락장치
CN219408901U (zh) 一种具有防撞结构的金属吊钩
CN212345037U (zh) 一种开口可调式浮游生物网
KR102563465B1 (ko) 멸치 그물 털이장치
KR200302085Y1 (ko) 낙지포획용 낚시 줄 연승장치의 가이드
CN211185461U (zh) 一种贝类养殖网笼
CN213068129U (zh) 一种安全帽耐冲击穿刺测试仪
CN220191822U (zh) 一种养鸡场鸡蛋捡拾装置
JP3990327B2 (ja) 活魚の寄せ集め方法と活魚イケス
CN108739692A (zh) 能自动解扣的蟹笼悬挂器
CN218596512U (zh) 一种减少龙门线金缸金盐带出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