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725Y1 -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 Google Patents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725Y1
KR0137725Y1 KR2019950025371U KR19950025371U KR0137725Y1 KR 0137725 Y1 KR0137725 Y1 KR 0137725Y1 KR 2019950025371 U KR2019950025371 U KR 2019950025371U KR 19950025371 U KR19950025371 U KR 19950025371U KR 0137725 Y1 KR0137725 Y1 KR 0137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lifting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5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798U (ko
Inventor
장순필
Original Assignee
장순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필 filed Critical 장순필
Priority to KR2019950025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725Y1/ko
Publication of KR970011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7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선상에서 연승(延繩), 통발을 인양하거나 투하할 수 있는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승을 인양,투하함에 있어 부자줄에 의한 장치구성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치사용수명을 극대화시키고 연승,통발을 투하시에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용이하고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기구에 의하여 중심축을 거쳐 회전구동되는 회전드럼의 외주연에 연승의 부자줄이 통과할 수 있는 만곡요흠부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요흠부의 일부내측으로서 고정단부의 대향측에 가압선단부가 왕복작동하는 왕복작동기구를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설치하되, 상기 다수 왕복작동기구의 가압선단부가 일부는 전진하고 나머지는 후진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회전드럼이 회전되면서 부자줄을 잡거나 놓을 수 있게 이루되, 상기 고정단부는 후단부를 회전축에 분리가능케 결합하고 이 회전축의 후단부에 회전부재를 고정하되 리테이너와 베어링부재를 포함한 고정케이싱에 의해서 축고정하여 이루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한 상기 회전부재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일축지점의 상기 회전드럼 내부에 회전기구를 마련하여 이에 의한 상기 회전부재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어 상기 고정단부가 상기 부자줄을 잡는 부위를 가변시키도록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단면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 구성도.
제4도는 제2도의 F부 발췌 확대도.
제5도는 제4도에 의한 다른 실시예 구성도.
제6도는 제4도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 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사용을 예시한 작동상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구동기구 11 : 중심축
12 : 회전드럼 14 : 고정단부
15 : 가압선단부 16 : 왕복작동기구
17 : 회전축 18 : 회전부재
22 : 중공부 23 : 지지중심축
24 : 지지연결축 30 : 회전기구
31 : 아이들축 32 : 연동기어
33 : 구동부재 34 : 내접링기어
50 : 가이드기구 51 : 지지샤프트
52 : 제1가이드 로울러 53 : 제2가이드 로울러
54 : 지지링크 55 : 탄지스프링
60 : 벨트컨베이어
본 고안은 어선상에서 연승(延繩), 통발을 인양하거나 투하할 수 있는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승을 인양,투하함에 있어 부자줄에 의한 장치구성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장치사용수명을 극대화시키고 연승,통발을 투하시에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용이하고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양망/양승장치(특허출원 제94-31605호)를 선출원한바 있다.
이러한 본인의 선출원 기술내용을 요약해 보면 구동기구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회전드럼의 외주연에 어망이나 연승의 부자(浮子)줄이 통과할 수 있는 만곡요홈부를 형성하고 이 만곡요홈부의 일측에 내설된 고정단부의 대향측으로 가압선단부가 왕복운동하는 왕복작동기구를 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 설치하되, 다수의 왕복작동기구의 가압선단부가 일부는 전진하고 나머지는 후진하도록 구성되어 회전드럼이 회전하면서 부자줄을 잡거나 놓을 수 있도록하여 인력을 이용하지 않고 기계식으로 양망 또는 양승작업을 이루어지도록 하되 인양작업시 어망이나 연승에 설치되어 있는 부자줄에는 손상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본인의 선원기술은 연숭의 부자줄을 맞물어 잡아주는 상기 고정단부나 가압선단부 양자 모두 금속재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연승의 부자줄(낚시줄)이 단단한 재질(경심)일지라도 손상을 쉽게 받기 때문에 이러한 부자줄의 손상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가압선단부나 고정단부중 적어도 하나는 수지재로 구성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단부 또는 가압선단부가 수지재로 할 경우에는 인양,투하되는 연승의 부자줄과 상호 마찰작용으로 상기 고정단부 또는 가압선단부의 잡는 부위에서 편마모가 발생되어 얼마 사용 못하고 상기의 부재를 수리 또는 교체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장치의 사용효율이 저감되는 단점이 노출되었다.
본 고안의 특징적 목적은 본인의 선출원한 기술에 있어 상기와 같은 수지재의 가압선단부 또는 고정단부의 사용에 따른 편중마모 단점을 극복하고자, 상기 수지재 고정단부를 강압적인 수단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시켜서 양승에 따른 인양되는 부자줄로부터 편중마모를 극소화하여 장치의 사용효율 및 수명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특징적 목적은 필요에 따라 안내수단을 개별적으로 실시구성하여 연승의 인양/투하는 물론 비교적 큰부피를 갖는 통발의 인양,투하시에도 만곡요홈부에 부자줄만이 들어가게 되어 부자 또는 부피의 통발 그리고 이와 유사한 부피가 큰 물체가 매달려 있어도 만곡요홈부 상부에 걸쳐 인양,투하되는 관계로 장치에 아무런 손상을 주지 않고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장치사용의 범용성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적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은 다음의 본 고안 실시구성설명에 의하여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구동기구(10)에 의하여 중심축(11)을 거쳐 회전구동되는 회전드럼(12)의 외주연에 연승의 부자줄(100)이 통과할 수 있는 만곡요홈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요홈부(13)의 일부내측으로서 고정단부(14)의 대향측에 가입선단부(15)가 왕복작동하는 왕복작동기구(16)를 상기 중심축(11)으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설치하되, 상기 다수 왕복작동기구(16)의 가압선단부(15)가 일부는 전진하고 나머지는 후진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회전드럼(12)이 회전되면서 부자줄(100)을 잡거나 놓을 수 있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단부(14)는 후단부를 회전축(17)에 분리가능케 결합하고 이 회전축의 후단부에 회전부재(18)을 고정하되 리테이너(20)와 베어링부재(21)를 포함한 고정케이싱(19)에 의해서 축고정하여 이루어서 상기 회전드럼(12)의 회전에 의한 상기 회전부재(18)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일측지점의 상기 회전드럼 내부에 회전기구(30)를 마련하여 이 회전기구가 인양 또는 투하되는 상기 부자줄(100)을 상기 가압선단부(15)가 잡고 회전하여 놓은 다음 상기 회전부재(18)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어 상기 고정단부(14)가 상기 부자줄(100)을 잡는 부위를 가변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기구(3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중심축(11)에 중공부(22)를 형성하고 이에 지지중심축(23)을 내설하여 일단은 하우징(9)에 고정하되, 타단은 지지연결축(24)을 커플링(25)결합으로 연결하고 이 지지연결축은 상기 회전드럼(12)의 내부에 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상기 중심축(11)과 회전드럼(12)이 상기 구동기구(1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 하며, 상기 지지연결축(24)단부에는 지지브라켓(24a)을 일체형성하여 연동기어(32)를 갖는 아이들축(31)의 일단을 베어링받이(34)로 축설치하고 이의 타단에는 상기 회전부재(18)와 접동상태로 구동부재(33)를 고정하며 상기 연동기어(32)는 상기 회전드럼(12)의 내부에 결합고정되는 내접링기어(35)와 치합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단부(14)의 회전부재(18)를 회전시켜주는 회전기구(30)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지지연결축(24)의 내부에 유로(24b)를 관통형성하여 통상의 유압분배제어기구에 의하여 연결하되, 상기 중심축(11)을 지지단부(24c)로서 축결합하고 상기 지지연결축(24)의 지지브라켓(24a)에 유압모터인 구동기구(40)을 상기 유로(24b)와 연결하여 설치하며, 이의 모터축(40a)에 상기 회전부재(18)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구동부재(33)를 결합하여서 상기 구동기구(4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18)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드럼(12)의 하방으로 가이드기구(50)을 구성하여 인양되는 연승의 부자줄(100)을 용이하게 인양하면서 엉킴이 없이 순차 적층하여 연승의 수거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기구(50)는 상기 구동기구(10)에 의하여 체인연동하는 중심축(11)과 체인 연동하도록 상기 하우징(9)에 지지샤프트(51)를 축설치하고 상기 지지샤프트(51)일단 나사부에 제1가이드 로울러(52)를 나사결합하여 이루되 상기 제1가이드 로울러(52)에 제2가이드 로울러(53)를 일정 경사도로 하여 일단이 상기 하우징(9)에 축 결합된 지지링크(54)의 다른 일단과 연결하며 상기 지지링크(54)는 상기 하우징(9)에 결합된 탄지스프링(55)에 의하여 상기 제1가이드 로울러(52)의 회전방향과 대향회전되게 맞닿아 결합되어 연승의 부자줄(100)을 하방으로 용이하게 인양,적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로울러(52)에 상기 제2가이드로울러(53)를 일정경사도로 맞닿게 설치하는 것은 인양되는 부자줄(100)에 면접촉을 제공하여 인양마찰력을 상승시키면서 해중으로부터 인양되는 연승을 엉크러짐없이 연승보관박스(미도시됨)에 적재하기 위함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은 스탠드를, 2는 체인스프로켓을, 3은 체인을, 4는 베어링부재를, 5는 가이더롤, 6은 유압라인 연결니플을, 7은 체결부재를, 8은 상기 하우징(9)의 높낮이/좌우회전 조절용 손잡이를, 9a는 연결브라켓을, 56은 상기 제2가이드로울러(53)을 축결합한 지지링크(54)의 이동손잡이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 및 제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선체(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 고안인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는 해중의 연승을 인양하는 양승작업이나 선체(200)내의 연승을 해중에 투하하는 작업을 겸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바, 여기서는 양승작업이나 투하작업의 작동과정이 되기 때문에 양승작업의 경우만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해중에 있는 연승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부자가 설치된 부자줄(100)을 당기게 되는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9)에 결합된 연결브라켓(9a)에 부자줄(100)을 인양시에 안내역할을 제공하는 통상의 가이더(5)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 가이더(5)를 경유하여 본 고안인 장치에 부자줄(100)을 걸어놓고 인양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장치를 작동시키기 전에 부자줄(100)을 회전드럼(12)의 만곡요홈부(13)의 내측으로서 다수 왕복작동기구(16)중 실제로 부자줄(100)이 경유하는 지점에 위치한 왕복운동기구(16)의 가압선단부(15)와 고정단부(14)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장치(미도시됨)를 이용하는 유압분배 제어기구(미도시됨)를 이용하는 유압분배 제어기구(미도시됨)에 의하여 상기 왕복작동기구(16)에 유압을 공급시켜서 상기 고정단부(14)에 가압선단부(15)가 전진하여 부자줄(100)을 상기 고정단부(14)에서 가압선단부(15)가 꽉 잡게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유압모터인 구동기구(10)의 작동으로 중심축(11)이 체인 연동하여 결국 이 중심축에 고정된 회전드럼(12)을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에서와 같은 부자줄(100)이 꽉물린 상태로 회전하면서 부자줄(100)을 인양하는 것으로 본 출원인의 선원기술의 작동과정과 동일하다.
그런데, 연승의 부자줄(100)은 수지재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가압선단부(15)나 고정단부(14)를 모두 금속재로 할 경우에는 인양시에 금속재의 강도를 이기지 못하여 부자줄(100)이 쉽게 마모되어 끊어지는 문제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선단부(15)나 고정단부(14)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지재로 구성할 수 밖에 없고, 구조상 간결한 고정단부(14)를 수지재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선원기술은 연승의 인양시에 따른 상기 고정단부(14)에 상기 부자줄(100)이 맞닿은 부위가 항시 동일한 부분이 되기 때문에 이 부분이 쉽게 마모되어 상기 가압선단부(15)가 전진하여 맞물어도 견고한 물림작용이 이뤄지지 않아 고정단부(14)를 얼마 사용못하고 교체 또는 수리교체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의 창출내용은 이 부분에서 요약된다.
본 고안은 상기 고정단부(14)의 편마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기구(30)를 부가 설치함으로써 가능해 졌는바, 이러한 본 고안의 창출내용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회전전기구(30)는 상기 회전드럼(12)의 회전에 따라 내부에 고정된 내접링기어(35)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치합된 연동기어(32)의 회전에 의한 아이들축(31)의 구동부재(33)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구동부재(33)에 맞닿아 설치된 고정단부(14)의 회전부재(18)가 접동하여 결국, 고정단부(14)는 회전드럼(12)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회전기구(30)의 구동부재(33)에 맞닿는 시점에서 일정각도로 부자줄(100)과의 접촉부위가 가변되고 연속적으로 상기 회전드럼(12)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왕복작동기구(16)의 작동에 의한 가압선단부(15)와 부자줄(100)을 맞물어 회전하여 상기 고정단부(14)가 부자줄을 잡는 부위에서의 편마모를 극소화하게 되어 장치의 사용효율과 수명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러한 회전기구(30)에 있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회전부재(18)의 회전을 유압모터인 구동기구(40)에 의해서 실시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득할 수 있다.
또한,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기구(70)을 하우징(9)의 외부에서 상기 지지중심축(23)과 커플링 연결하여서 상기 지지연결축(24)을 회전시키도록 하되 이의 일단에 구동기어(41)를 상기 연동기어(32)와 치합연동하도록 결합고정하여 상기 구동부재(33)를 회전시켜서 회전부재(18)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가이드기구(50)는 상기 구동기구(10)에 의한 중심축(11)의 회전에 의하여 체인 연동하는 제1가이드 로울러(52)의 회전과 탄지스프링(55)에 의하여 맞닿은 상태로 대향회전하는 제2가이드 로울러(53)에 의하여 연승의 부자줄(100)을 엉킴없이 지그재그상으로 선체(200)상의 연승보관상자(미도시됨)에 적층인양을 제공하여 장치사용의 신뢰성 또한 확보된다.
한편,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로써, 장어, 문어 등을 포획하기 위한 통발(300)을 선체(200)상에서 해중에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용이하게 투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기구(50)의 하방에는 지지샤프트(51)에서 체인 또는 그밖의 수단으로 동력을 이어받는 벨트컨베이어(60)를 부가구성하되, 이 벨트컨베이어(60)는 상기 스탠드(1)로부터 지지프레임(61)에 유압실린더 또는 조정볼트(미도시함)과 같은 길이조정부재(62)를 개재 연결하여 이의 길이 조정에 의한 각도조정이 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벨트컨베이어(60)는 선단부를 선체(200)면 밖으로 돌출시켜 설치하여서 상기 연승의 인양작동과 같이 선체(200)내에 쌓여진 통발(300)의 부자줄(200)을 장치에 걸어 투하작업을 시작한다.
따라서 회전드럼(12)의 회전방향으로 인양되는 통발(300)이 상기 벨트 컨베이어(60)의 벨트(60a)상부면에 떨어지게 되면 상기 구동기구(10)로부터 동력을 이어받아 회전하는 제1가이드 로울러(52)의 회전동력을 선체(200)밖으로 이송되는 벨트(60a)에 의하여 통발(300)을 용이하게 해중에 투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연승의 부자줄을 잡아주는 고정단부의 편마모를 근본적으로 배제시켜서 장치의 원활한 작동, 장치의 사용효율 및 수명연장을 극대화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벨트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을 부가구성하여 통발과 같은 부피가 큰 물체를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인양 또는 투하할 수 있어 장치 사용범위가 넓어 신뢰성이 높은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한 것이다.

Claims (6)

  1. 구동기구(10)에 의하여 중심축(11)을 거쳐 회전구동되는 회전드럼(12)의 외주연에 연승의 부자줄(100)이 통과할 수 있는 만곡요홈부(13)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요홈부(13)의 일부내측으로서 고정단부(14)의 대향측에 가압선단부(15)가 왕복작동하는 왕복작동기구(16)를 상기 중심축(11)로부터 방사상 방향으로 다수 설치하되, 상기 다수 왕복작동기구(16)의 가압선단부(15)가 일부는 전진하고 나머지는 후진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회전드럼(12)이 회전되면서 부자줄(100)을 잡거나 놓을 수 있게 이루되, 상기 고정단부(14)는 후단부를 회전축(17)에 분리가능케 결합하고 이 회전축의 후단부에 회전부재(18)를 고정하되 리테이너(20)와 베어링부재(21)를 포함한 고정케이싱(19)에 의해서 축고정하여 이루어서 상기 회전드럼(12)의 회전에 의한 상기 회전부재(18)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일측지점의 상기 회전드럼 내부에 회전기구(30)를 마련하여 이 회전기구가 인양 또는 투하되는 상기의 부자줄(100)을 상기 가압선단부(15)가 잡고 회전하여 놓은 다음 상기 회전부재(18)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키어 상기 고정단부(14)가 상기 부자줄(100)을 잡는 부위를 가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30)는 상기 중심축(11)에 중공부(22)를 형성하고 이에 지지중심축(23)을 내설하여 일단은 하우징(9)에 고정하되, 타단은 지지연결축(24)을 커플링(24)결합으로 연결하고 이 지지연결축은 상기 회전드럼(12)의 내부에 고정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상기 중심축(11)과 회전드럼(12)이 상기 구동기구(1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 하며, 상기 지지연결축(24) 단부에는 지지브라켓(24a)을 일체형성하여 연동기어(32)를 갖는 아이들축(31)의 일단을 베어링받이(34)로 축설치하고 이의 타단에는 상기 회전부재(18)와 접동상태로 구동부재(33)를 고정하며 상기 연동기어(32)는 상기 회전드럼(12)의 내부에 결합고정되는 내접링기어(35)와 치합연동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30)는 상기 지지연결축(24)의 내부에 유로(24b)를 관통형성하여 통상의 유압분배제어기구에 의하여 연결하되, 상기 중심축(11)을 지지단부(24c)로서 축결합하고 상기 지지연결축(24)의 지지브라켓(24a)에 유압모터인 구동기구(40)를 상기 유로(46b)와 연결하여 설치하며, 이의 모터축(40a)에 상기 회전부재(18)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구동부재(33)를 결합하여서 상기 구동기구(4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18)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30)는 하우징(9)의 외부에서 구동기구(70)를 상기 지지중심축(23)과 커플링연결하여서 상기 지지연결축(24)을 회전시키도록 하되 이의 일단에 구동기어(41)를 상기 연동기어(32)와 치합연동하도록 결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12)의 하방으로는 상기 구동기구(10)에 의하여 체인연동하는 중심축(11)과 체인 연동하도록 상기 하우징(9)에 지지샤프트(15)를 축설치하고 상기 지지샤프트(51)일단 나사부에 제1가이드 로울러(52)를 나사결합하여 이루되 상기 제1가이드 로울러(52)에 제2가이드 로울러(53)를 일정 경사도로 하여 일단이 상기 하우징(9)에 축 결합된 지지링크(54)의 다른 일단과 연결하며 상기 지지링크(54)는 상기 하우징(9)에 결합된 탄지스프링(55)에 의하여 상기 제1가이드 로울러(52)의 회전방향과 대향회전되게 맞닿아 결합되도록한 가이드기구(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기구(50)의 하방에는 지지샤프트(51)에서 동력을 이어받는 벨트컨베이어(60)를 부가구성하되 이 벨트컨베이어는 상기 스탠드(1)로부터 지지프레임(61)에 길이 조정부재(62)를 개재연결하여 이 길이조정부재의 길이조정에 의한 각도조정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KR2019950025371U 1995-09-19 1995-09-19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KR0137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371U KR0137725Y1 (ko) 1995-09-19 1995-09-19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371U KR0137725Y1 (ko) 1995-09-19 1995-09-19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798U KR970011798U (ko) 1997-04-25
KR0137725Y1 true KR0137725Y1 (ko) 1999-02-01

Family

ID=1942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5371U KR0137725Y1 (ko) 1995-09-19 1995-09-19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7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10B1 (ko) * 2001-01-12 2003-10-17 유금범 통발양승안내장치
KR200445135Y1 (ko) * 2009-02-05 2009-07-01 전재은 그물 정리장치
KR101404975B1 (ko) * 2012-05-31 2014-06-20 김용문 어망의 부표 인양장치
KR102092510B1 (ko) * 2019-09-02 2020-03-23 이인석 연승기의 위치제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810B1 (ko) * 2001-01-12 2003-10-17 유금범 통발양승안내장치
KR200445135Y1 (ko) * 2009-02-05 2009-07-01 전재은 그물 정리장치
KR101404975B1 (ko) * 2012-05-31 2014-06-20 김용문 어망의 부표 인양장치
KR102092510B1 (ko) * 2019-09-02 2020-03-23 이인석 연승기의 위치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798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691B1 (ko) 그물 자동정리장치
KR0137725Y1 (ko) 어획용구의 양승 및 투하장치
KR101089837B1 (ko) 주낙 연승기
CN1201085A (zh) 带换纱机构的电子控制试样整经机
EP0150630A1 (fr) Presse à balles cylindriques
EP2760279B1 (en) Animal keeping installation
JP2012101912A (ja) 架線運搬装置、およびその架線配索方法
KR102115327B1 (ko) 브러쉬 롤러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KR100687052B1 (ko) 어망 연승을 위한 행거롤러를 일체로 구비한자동연승구동장치
KR20210034805A (ko) 패류 채취장치
KR100352592B1 (ko)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도포장치
KR101213767B1 (ko) 조업용 양승기
KR200150847Y1 (ko) 조개채취기용 자동윈치
EP1105556B1 (en) Bale plucking machine
KR100519488B1 (ko) 우렁쉥이 분리장치
KR200321132Y1 (ko) 낙지포획용 낚시 줄 연승기
CN212605300U (zh) 一种农产品搬运装置
KR200186610Y1 (ko) 권양기
JP4891968B2 (ja) 漁労装備投縄装置
CN217516455U (zh) 用于水下机器人的抛放回收装置
KR101035945B1 (ko) 어로장비 투승장치
CN112777405B (zh) 一种带卡盘绳把打把机
KR20150034910A (ko) 그물 인양장치
JPH10310375A (ja) ウインチ用ワイヤロープの張力付与装置
KR200453195Y1 (ko) 수산물 인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