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945B1 - 어로장비 투승장치 - Google Patents

어로장비 투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945B1
KR101035945B1 KR1020080071920A KR20080071920A KR101035945B1 KR 101035945 B1 KR101035945 B1 KR 101035945B1 KR 1020080071920 A KR1020080071920 A KR 1020080071920A KR 20080071920 A KR20080071920 A KR 20080071920A KR 101035945 B1 KR101035945 B1 KR 101035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hook
opening
fishing equipmen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854A (ko
Inventor
박명오
Original Assignee
박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오 filed Critical 박명오
Priority to KR1020080071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9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 전진하는 속도에 의해 모릿줄이 바다속으로 풀려나가면서 당기게 되는 힘을 동력원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풀려나가는 모릿줄을 가이드하는 플라이휠과, 상기 플라이휠의 일측에 연결된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작동상 연결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감속기의 출력단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원판, 상기 작동원판의 상면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통발연결후크를 장착하여 상기 통발연결후크의 개폐작동을 유도하는 다수의 개폐수단, 및 상기 작동원판의 상부에 상기 작동원판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통발연결후크와 연결된 다수의 통발이 안착되는 통발거치대를 포함하는 통발공급부; 및 상기 모릿줄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롤이 설치된 로프 배출부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통발, 모릿줄, 플라이휠, 구동, 동력, 후크, 배출, 감속, 회전

Description

어로장비 투승장치{FISHING DEVICE THROWING MACHINE}
본 발명은 어로장비 투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발을 포함하는 각종 어로장비들의 자동 투척이 가능하고 작업량과 작업 인원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어로장비 투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로장비란, 일반적으로 장어, 꽃게, 낙지, 문어, 그리고 기타 바다 생물들을 잡을 때 사용되는 통발, 단지, 어망 등을 일컫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어로장비는 통발을 예로 설명한다.
이러한 통발은 어획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여러 형상과 구조를 갖는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발은 메인로프(모릿줄)에 일정간격으로 매달아서 해저에 침강시키고 일정시간이 지난 다음 인양기로 인양하여 메인로프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메인로프(모릿줄)에 통발을 일정간격으로 매달아서 해저로 투입시키는 통발 투승작업에서는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수의 통발들을 모릿줄에 묶어 바다속으로 투입시켜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통발 묶는 작업에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통발 묶는 작업 외에도 통발을 운반하고 공급하는 사 람, 통발을 매달은 모릿줄을 바다속으로 투입시키는 사람 등 많은 인력이 통발 투승작업에 투입되어야 했으므로 인건비가 매우 높아지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지금까지 통발 투승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많은 개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설계상의 어려움과 높은 비용 투입에 따른 문제들로 개발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원을 구비하지 않고 자동으로 통발을 바다속으로 투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작업을 자동 시스템화하여 작업 인원을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어로장비 투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선박이 전진하는 속도를 이용하여 모릿줄이 자동으로 바닷속으로 풀려나가도록 하고, 동시에 모릿줄이 풀려나가면서 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통발공급부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원을 갖추지 않고도 통발공급부를 작동시켜 모릿줄과 함께 통발을 바닷속으로 투입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는 선박이 전진하는 속도에 의해 모릿줄이 바다속으로 풀려나가면서 당기게 되는 힘을 동력원으로 하고, 상기 풀려나가는 모릿줄을 가이드하는 플라이휠과, 상기 플라이휠의 일측에 연결된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과 작동상 연결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단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원판, 상기 작동원판의 상면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통발연결후크를 장착하여 상기 통발연결후크의 개폐작동을 유도하는 다수의 개폐수단, 및 상기 작동원판의 상부에 상기 작동원판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통발연결후크와 연결된 다수의 통발이 안착되는 통발거치대를 포함하는 통발공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수단은 통발연결후크가 장착되는 후크장착홈과, 상기 후크장착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통발연결후크의 슬리이브부재를 밀어누르는 가압대, 및 상기 후크장착홈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통발연결후크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대는 상기 통발연결후크의 슬리이브부재를 밀어누르기 위해 상기 슬리이브부재의 헤드부가 걸림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을 통과하여 연장된 가압축에 연결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가압축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롤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작동원판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롤과 밀착하면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내경은 상기 작동원판의 중심과의 거리가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하되, 상기 회전롤이 진입하는 부분에서 상기 거리가 가장 크고 상기 회전롤이 빠져나가는 부분에서 상기 거리가 가장 짧도록 형성하며, 상기 작동원판과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모릿줄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롤이 설치된 로프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롤의 중간부에는 모릿줄이 통과하는 통과홈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길이는 상기 통과홈의 후방에서 끝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발거치대는 중앙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의 지지축이 상기 작동원판의 중심축을 통해 상기 감속기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원판과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바람하게는,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 플레이트의 외주선단에는 통발을 거치시키기 위한 다수의 끼움요부가 일정 간격 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하부의 플레이트를 상부의 플레이트보다 크게 형성하여 거치된 각각의 통발들이 경사진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발들은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장어통발이며, 이들 각각의 통발들은 뒤집어져서 상기 통발연결후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끼움요부에 거치된다.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통발거치대는 각각의 개폐수단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통발거치대는 양쪽 측방향에 보호벽을 형성하고 전후 방향에는 통발의 구름 방지를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여 그 내측에 통발이 안착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구조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발은 지름이 크고 높이가 낮은 원통형의 꽃게 통발로서, 상기 통발거치대의 공간부에 세워진 상태로 거치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는 별도의 동력수단을 갖추지 않고도 통발의 투승이 가능하게 되며, 작업 시스템이 거의 대부분이 자동화되므로 작업량과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인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조립 및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발공급부의 조 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는 모릿줄이 풀려나가면서 당기는 힘을 동력원으로 하며, 이러한 당기는 힘은 동력전달부(100)를 거쳐 통발공급부(200)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동력전달부(100)는 모릿줄(1)을 가이드하는 플라이휠(110)과, 상기 플라이휠에 연결되는 구동축(120), 및 상기 구동축과 작동상 연결되는 감속기(130)를 포함한다.
구동축(120)과 감속기(130)의 연결은 상기 구동축(120)의 출력단에 구비되는 구동기어(121)와 상기 감속기(130)의 입력단에 구비되는 피동기어(131)가 치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감속기(130)의 상부 출력단(132)에는 상기 통발공급부(20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통발공급부(200)의 회전은 다음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플라이휠(110)을 통해 안내되는 모릿줄(1)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플라이휠(110)이 회전하여 구동축(120)을 회전시키고, 구동축(120)의 회전력은 상기 치합된 구동기어(121)와 피동기어(131)를 통해 감속기(130)를 거친 후 통발공급부(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된 부호 “102”는 ‘기어케이싱’을 나타낸다.
플라이휠(110)은 그 둘레부에 모릿줄(1)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12)이 형성되고, 모릿줄(1)은 상기 가이드홈(112)에 감합된 상태로 배출된다.
또한, 구동축(120)과 대응하는 상기 플라이휠(110)의 타측 방향에는 로프 배출부(300)가 설치된다. 로프 배출부(300)는 모릿줄(1)을 바다로 배출시키는 배출 롤(310)이 상부에 설치되며, 모릿줄(1)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상기 플라이휠(110)의 입구측에 모릿줄 걸이대(320)가 구비되고 출구측에는 상부의 배출롤(310)을 향해 모릿줄(1)을 안내하는 안내롤(330)이 구비된다.
모릿줄 걸이대(3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릿줄(1)을 걸기 용이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롤(310)은 중간부의 둘레면에 모릿줄(1)이 통과하는 통과홈(3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3에 따르면, 통발공급부(200)는 통발연결후크(10)의 개폐 작동을 유도하는 다수의 개폐수단(210)과, 이러한 개폐수단들이 회전방향으로 순서대로 설치되는 작동원판(220)을 포함한다. 각각의 개폐수단(210)은 통발연결후크(10)가 장착되는 후크장착홈(211)을 중심으로 그 전방에 상기 통발연결후크(10)의 슬리이브부재(11)를 밀어누르는 가압대(212)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통발연결후크(10)의 샤프트(12)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대(213)가 구비된다. 가압대(212)의 상부에는 슬리이브부재(11)를 밀어누르기 위해 상기 슬리이브부재(11)의 헤드부가 걸림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212a)이 구비된다. 도 3에 따르면, 각각의 개폐수단(210)에서 후크장착홈(211)과 가압대(212), 그리고 지지대(213)는 작동원판(220)의 원주 외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가압대(212)는 상기 개폐수단(210)의 하부에 연장된 가압축(214)의 앞단에 스프링(215)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구비되고, 가압축(214)은 상기 개폐수단(210)의 하부를 통과하며 타단에 회전롤(216)이 설치된다. 이 회전롤(216)에 대응하여 상 기 작동원판(220)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롤(216)과 밀착하면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재(23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230)는 작동원판(220)의 중심과의 거리가 점점 짧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되, 회전롤(216)의 진입부에서 거리(t2)가 가장 크고 배출롤(310)의 중간에 형성된 통과홈(311)의 후방에서 거리(t1)가 가장 짧은 상태로 끝나는 구조를 갖춤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회전롤(216)이 슬라이드부재(230)의 진입부에서 끝단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슬라이드부재(230)의 내경에 의해 회전롤(216)이 점점 당겨지는 것과 같은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고, 가압축(214)에 의해 연결된 가압판(212)은 통발연결후크(10)의 슬리이브부재(11)를 밀어누를 수 있게 된다.
통발공급부(200)는 또한 회전방향으로 다수의 통발(20)이 안착되는 통발거치대(2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통발거치대(2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장어잡이용 통발(20)을 거치하도록 된 구조이다. 도면에 따르면, 상기 통발거치대(240)는 장어 통발(20)을 거치하기 위해 중앙의 지지축(241)을 중심으로 상하 이격된 복수의 플레이트(242)(243)를 구비하며, 이들 상·하 플레이트의 외주선단에는 상기 통발(20)을 거치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요부(244)(245)가 형성된다.
도 2의 통발거치대(240)에서 장어 통발(20)은 뒤집어져서 통발연결후크(10)와 연결된 상태로 거치된다.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하부의 플레이트(243)를 상부의 플레이트(242)보다 크게 형성하여 장어 통발(20)이 경 사를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통발거치대(240)는 지지축(241)의 하단을 상기 작동원판(220)의 중심축(221)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로프 배출부(300)는 모릿줄(1)에 연결된 통발연결후크(10)를 상기 개폐수단(210)으로부터 인출시키기 위한 들림대(315)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들림대(315)는 작동원판(220)의 회전방향을 따라 선회하는 상기 통발연결후크(10)의 단부가 닿아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작동원판(220)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개폐수단(210)의 외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들림대(315)는 모릿줄(1)의 배출과 함께 통발연결후크(10)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모릿줄(1)이 배출되는 로프 배출측에 위치된다.
도 2에서 미설명된 부호 “2”는 ‘연결줄’을 나타내고, 미설명 부호 “246”은 ‘경사지지대’를 나타낸다.
다음은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통발공급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는 선박이 전진함에 따라 모릿줄이 저절로 풀려나가는 힘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에서 모릿줄(1)은 플라이휠(110)의 가이드홈(112)을 따라 안내되 어 안내롤(330)과 배출롤(310)을 거쳐 바다속으로 투입된다. 이때, 선박이 전진하는 속도에 의해 모릿줄(1) 상에는 바다쪽으로 당기는 강력한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힘은 플라이휠(110)을 회전시켜 구동축(120)과 감속기(130)를 통해 통발공급부(200)를 작동시키게 된다.
통발공급부(200)는 작동원판(220)의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개폐수단(210)이 장착되고, 통발거치대(240)에는 다수의 통발(20)들이 거치되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각 개폐수단(210)에는 통발(20)과 연결된 통발연결후크(10)가 장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구동축(120)과 감속기(130)를 통해 통발공급구(200)에 전달된 힘은 작동원판(22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작동원판(220)의 회전으로 상기 개폐수단(210)의 하부에 위치된 회전롤(216)이 슬라이드부재(230)의 내경을 따라 진입하게 된다.
도 5에서 슬라이드부재(230)는 회전롤(216)이 진입하는 진입부에서 끝단 방향으로 갈수록 작동원판(220)의 중심으로부터 슬라이드부재(230)의 내경까지의 거리가 점점 짧아지는 구조인 바, 회전롤(216)이 슬라이드부재(230)의 내경을 따라 진행하는 동안 개폐수단(210)의 하부에 위치된 가압축(214)을 점점 끌어당기는 것과 같은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롤(216)이 계속적으로 진행하여 슬라이드부재(230)의 끝단에 다다를 때 상기 거리(t1)는 가장 짧은 상태에 있으며, 상기 가압축(214)을 끌어당기는 작용은 최대가 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통발공급부의 제1 작동상태도로서, 슬라이드부재(230)의 진입부에서 개폐수단 및 통발연결후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회전롤(216)이 슬라이드부재(230)의 진입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가압축(214)을 끌어당기는 작용이 발생하지 않고 개폐수단에 장착된 통발연결후크의 상태도 아무런 변화가 없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통발공급부의 제2 작동상태도로서, 슬라이드부재(230)의 끝단부에서 개폐수단 및 통발연결후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상기 회전롤(216)이 슬라이드부재(230)의 끝단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가압축(214)을 끌어당기는 힘이 최대로 작용하고, 가압판(212)이 통발연결후크(10)의 슬리이브부재(11)를 내리눌러 상기 슬리이브부재(230)가 완전히 후진된다. 이때 통발연결후크(10)는 샤프트(12)의 헤드부(13)는 완전히 노출되어 상기 헤드부(13)에 형성된 고리홈(14)이 모릿줄에 끼워질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도 8은 도 7의 작동 단계 이후에 이루어지는 통발공급부에서의 통발연결구 배출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7에 연결하여 통발공급부(200)에서 작동원판(220)은 회전을 계속하게 되고, 회전롤(216)이 슬라이드부재(230)의 끝단을 이탈하면 상기 가압축(214)을 끌어당겨 통발연결후크(10)의 슬리이브부재(11)를 내리누르던 힘은 해제된다. 이때, 상기 슬리이브부재(11)는 도 6의 상태로 다시 전진하여 통발 연결후크(10)가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릿줄(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모릿줄(1)에 연결된 통발연결후크(10)는 작동원판(220)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샤프트(12)의 헤드부(13)가 로프 배출측에 위치된 들림대(315)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들어올려지면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개폐수단(210)으로부터 인출되고, 그와 동시에 통발연결후크(10)는 모릿줄(1)에 이끌려 바닷속으로 배출된다.
한편, 모릿줄(1)은 연결된 통발연결후크(10)의 유동 간격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 표면에 복수개의 매듭부(1a)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통발연결후크(10)는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매듭부(1a)의 간격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상기 모릿줄(1)에 연결된다. 이는 모릿줄(1)이 통발연결후크(10)의 고리홈(14)을 자유롭게 통과하도록 연결되지만, 상기 매듭부(1a)는 상기 통발연결후크(10)의 고리홈(14)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됨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바닷속으로 투입되는 모릿줄(1)은 상기 매듭부(1a)의 걸림에 의해 각각의 개폐수단(210)으로부터 통발연결후크(10)를 인출시킬 수 있게 되지만, 상기 각각의 매듭부(1a)가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므로 작동원판(220)의 회전속도에 맞는 통발연결후크(10)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서는 로프 배출측에 상기와 같은 들림대(315)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도 1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에 구비되는 플라이휠(110)의 구성과 조립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서 플라이휠(110)은 구동축(120)의 일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플라이휠(110)은 내판(113)과 외판(114)으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판(113)과 외판(114) 사이에는 서로 다른 두께의 간격부재(115)를 선택적으로 개재하여 상기 내판(113)과 외판(114) 사이의 가이드홈(112)의 폭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홈(112)의 폭을 조정하여 상기 모릿줄(1)에 연결되는 통발연결후크(10)의 설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a 및 도 9b에서 미설명된 부호 “111”은 ‘플랜지’를 나타낸다. 또한, 미설명 부호 “111a, 111b, 113a, 113b, 114a, 114b, 115a 및 115b" 는 각각‘볼트공’을 나타내고, 부호“116a, 116b”는‘체결볼트’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어로장비 투승장치는 꽃게잡이용 통발(30)을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100‘) 및 로프 배출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꽃게잡이용 통발(30)의 경우 장어통발보다 크기가 크므로 동력전달부(100’)에 있어서 구동축(120)의 길이가 다소 길어지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이하에서는 통발공급부(200)의 구조상 차이점과 작동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에 따르면, 통발공급부(200’)는 통발연결후크(10)의 개폐 작동을 유도하는 다수의 개폐수단(210)과, 이러한 개폐수단들이 회전방향으로 순서대로 설치되는 작동원판(220’)을 포함한다. 각각의 개폐수단(210)은 통발연결후크(10)가 장착되는 후크장착홈(211)을 중심으로 그 전방에 상기 통발연결후크(10)의 슬리이브부재(11)를 밀어누르는 가압대(212)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상기 통발연결후크(10)의 샤프트(12)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대(213)가 구비된다. 가압대(212)의 상부에는 슬리이브부재(11)를 밀어누르기 위해 상기 슬리이브부재(11)의 헤드부가 걸림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212a)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대(212)는 상기 개폐수단(210)의 하부에 연장된 가압축(214)의 앞단에 스프링(215)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구비되고, 가압축(214)은 상기 개폐수단(210)의 하부를 통과하며 타단에 회전롤(216)이 설치된다.
이 회전롤(216)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원판(220‘)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롤(216)과 밀착하면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재(230)가 도 1 및 도 2와 같이 구비되며, 그에 따라 회전롤(216)이 슬라이드부재(230)의 진입부에서 끝단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슬라이드부재(230)의 내경에 의해 회전롤(216)이 점점 당겨지는 것과 같은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고, 가압축(214)에 의해 연결된 가압판(212)은 통발연결후크(10)의 슬리이브부재(11)를 밀어누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개폐수단(210)의 상부에는 통발(30)이 안착되는 통발거치대(240‘)가 결합된다. 도 10 및 도 11에 따르면, 꽃게 통발(30)은 상대적으 로 지름이 크고 높이가 낮은 형태의 원통구조로서, 본 실시예에서 통발거치대(240’)는 꽃게 통발(30)이 굴러서 배출될 있도록 세워서 거치하게 된다. 이에 상기 통발거치대(240’)는 세워진 꽃게 통발(30)의 측방향에 보호벽(247)을 형성하고 전후 방향에는 구름 방지를 위한 걸림턱(248)을 형성하여 내부에 통발을 위한 안착공간(249)을 형성하게 된다.
도 12는 도 10의 통발연결구 공급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통발 투승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에서 모릿줄(1)은 선박의 전진 속도에 따라 플라이휠(110)의 가이드홈(112)을 따라 안내되어 안내롤(330)과 배출롤(310)을 거쳐 바다속으로 투입된다. 이때, 선박이 전진하는 속도에 의해 모릿줄(1) 상에는 바다쪽으로 당기는 강력한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힘은 플라이휠(110)을 회전시켜 구동축(120)과 감속기(130)를 통해 통발공급부(200‘)를 작동시키게 된다.
통발공급부(200‘)는 작동원판(220)의 상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개폐수단(210)이 장착되고, 각각의 개폐수단(210)의 상부에는 통발거치대(240’)가 결합되어 통발(30)이 거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개폐수단(210)에는 상기 통발(30)과 연결된 통발연결후크(10)가 장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구동축(120)과 감속기(130)를 통해 통발공급구(200‘)에 전달된 힘은 작동원판(22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작동원판(220‘)의 회전으로 상기 개폐 수단(210)의 하부에 위치된 회전롤(216)이 슬라이드부재(230)의 내경을 따라 진입하게 된다. 회전롤(216)의 진행에 따른 개폐수단(210)의 작동은 도 5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부분과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롤(216)이 슬라이드부재(230)의 끝단부에 다다르면 가압판(212)이 통발연결후크(10)의 슬리이브부재(230)를 후진시켜 통발연결후크(10)의 샤프트(12)의 헤드부(13)가 노출되고 상기 헤드부(13)에 형성된 고리홈(14)이 모릿줄에 끼워진다. 계속해서 작동원판(220‘)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롤(216)은 슬라이드부재(230)의 끝단으로부터 이탈되고 슬리이브부재(230)가 다시 전진하여 상기 통발연결후크(10)가 모릿줄(1)을 물게 된다.
이때, 통발(30)은 바다로 투입되는 모릿줄(1)에 이끌려 통발거치대(240’)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모릿줄(1)과 함께 바다속으로 투입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로장비 투승장치는 선박이 전진하는 속도에 따라 모릿줄이 바닷속으로 투입되면서 당기게 되는 힘을 이용하는 것이고, 이러한 모릿줄의 당기는 힘이 플라이휠을 회전시켜 구동축과 감속기를 거쳐 통발공급부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수단을 갖추지 않고도 통발의 투승작업이 가능하게 되며, 시스템이 거의 대부분이 자동화되므로 작업량과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조립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통발공급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따른 통발공급부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통발공급부의 제1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5에 따른 통발공급부의 제2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 이후에 이루어지는 통발공급부에서의 통발연결구 배출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도 1의 어로장비 투승장치에 구비되는 플라이휠의 구성과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통발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통발공급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통발공급부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어로장비 투승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 동력전달부 110 : 플라이휠
112 : 가이드홈 113 : 내판
114 : 외판 115 : 간격부재
120 : 구동축 121 : 구동기어
130 : 감속기 131 : 피동기어
210 : 개폐수단 211 : 후크장착홈
212 : 가압대 212a : 안착홈
213 : 지지대 214 : 가압축
215 : 스프링 216 : 회전롤
200,200‘ : 통발공급부 220,220‘ : 작동원판
221 : 중심축 230 : 슬라이드부재
240,240‘ : 통발거치대 242,243 : 플레이트
244,245 : 끼움요부 246 : 경사지지대
247 : 보호벽 248 : 걸림턱
249 : 안착공간 300 : 로프 배출부
310 : 배출롤 311 : 통과홈
315 : 들림대 320 : 모릿줄 걸이대
330 : 안내롤 1 : 모릿줄
2 : 연결줄 10 : 통발연결후크
11 : 슬리이브부재 12 : 샤프트
13 : 헤드부 14 : 고리홈
20,30 : 통발

Claims (21)

  1. 삭제
  2.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전달된 회전 동력에 의해 선회하며 통발이 연결된 각각의 통발연결후크의 개폐 작동을 유도하는 다수의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통발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바닷속으로 투입되는 모릿줄을 가이드하며 상기 모릿줄의 당기는 힘으로부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플라이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공급부는 상기 구동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원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개폐수단은 상기 작동원판의 상면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상기 플라이휠이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구동축과 작동상 연결되는 감속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휠의 둘레 단부에 상기 모릿줄이 감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호 분리가능한 내판 및 외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내판과 외판의 사이에 서로 다른 두께의 간격부재를 선택적으로 개재하여 상기 가이드홈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모릿줄에 대한 통발연결후크의 설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원판의 상부에, 상기 각각의 통발을 장착하고 상기 작동원판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 통발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원판은 상기 감속기의 상부에 인출된 회전 출력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개폐수단은 통발연결후크가 장착되는 후크장착홈과, 상기 후크장착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통발연결후크의 슬리이브부재를 밀어누르는 가압대, 및 상기 후크장착홈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통발연결후크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대는 상기 통발연결후크의 슬리이브부재를 밀어누르기 위해 상기 슬리이브부재의 헤드부가 걸림상태로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개폐수단의 하단을 통과하여 연장된 가압축에 연결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가압축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롤을 포함하되,
    상기 작동원판의 외측에는 상기 회전롤과 밀착하면서 그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내경은 상기 작동원판의 중심과의 거리가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하되, 상기 회전롤이 진입하는 부분에서 상기 거리가 가장 크고 상기 회전롤이 빠져나가는 부분에서 상기 거리가 가장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원판과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모릿줄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롤이 설치된 로프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롤의 중간부 에는 모릿줄이 통과하는 통과홈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길이는 상기 통과홈의 후방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배출부는, 상기 모릿줄에 연결된 통발연결후크를 상기 개폐수단으로부터 들어올려 인출시키도록 상방향으로 경사진 들림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들림대는, 상기 모릿줄의 배출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원판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개폐수단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릿줄은 그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매듭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발연결후크는 상기 매듭부의 간격 내에서 유동하도록 상기 모릿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5.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거치대는 중앙의 지지축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의 지지축이 상기 작동원판을 통해 상기 감속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원판과 함께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하 복수개가 구비되고, 각 플레이트의 외주선단에는 통발을 거치시키기 위한 다수의 끼움요부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거치대는 하부의 플레이트를 상부의 플레이트보다 크게 형성하여 거치된 각각의 통발들이 경사진 상태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각각의 통발들은 뒤집어져서 상기 통발연결후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끼움요부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은 소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장어통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1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거치대는 상기 각 개폐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거치대는 양쪽 측방향에 보호벽을 형성하고 전후 방향에는 통발의 구름 방지를 위한 걸림턱을 형성하여 그 내측에 통발이 안착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통발은 원통형의 꽃게 통발로서, 상기 통발거치대의 공간부에 세워진 상태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로장비 투승장치.
KR1020080071920A 2008-07-23 2008-07-23 어로장비 투승장치 KR101035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920A KR101035945B1 (ko) 2008-07-23 2008-07-23 어로장비 투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920A KR101035945B1 (ko) 2008-07-23 2008-07-23 어로장비 투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54A KR20100010854A (ko) 2010-02-02
KR101035945B1 true KR101035945B1 (ko) 2011-05-23

Family

ID=4208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920A KR101035945B1 (ko) 2008-07-23 2008-07-23 어로장비 투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924B1 (ko) 2018-12-20 2019-06-13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연안통발어선의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725A (ko) * 1999-10-19 2001-05-15 이구택 고로의 입도별 장입 휴지방지를 위한 소립광 자동 혼합 장치 및 방법
KR20060008845A (ko) * 2005-11-21 2006-01-27 박명오 주낙용 투승장치
KR20060082001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투승장치
KR100746752B1 (ko) 2007-02-16 2007-08-06 배위홍 주낙 연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725A (ko) * 1999-10-19 2001-05-15 이구택 고로의 입도별 장입 휴지방지를 위한 소립광 자동 혼합 장치 및 방법
KR20060082001A (ko) * 2005-01-11 2006-07-14 박명오 주낙용 투승장치
KR20060008845A (ko) * 2005-11-21 2006-01-27 박명오 주낙용 투승장치
KR100746752B1 (ko) 2007-02-16 2007-08-06 배위홍 주낙 연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924B1 (ko) 2018-12-20 2019-06-13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연안통발어선의 통발 투승용 이동식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854A (ko) 201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1593B (zh) 揚網機
CN104686412B (zh) 一种海洋鱼类放流船
CN111042091B (zh)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
CN108411914A (zh) 一种农业用防护栏打桩设备
CN207275663U (zh) 一种吊挂线衣架出站系统
KR101035945B1 (ko) 어로장비 투승장치
CN104719193A (zh) 一种大黄鱼放流设备
KR101239929B1 (ko) 주낙용 투승장치
CN209983336U (zh) 高效取蜜机
KR101239928B1 (ko) 주낙용 양승장치
JP4891968B2 (ja) 漁労装備投縄装置
KR101342537B1 (ko) 권양기
CN1689664B (zh) 高楼逃生器
KR20120090572A (ko) 선박의 주낙장치
KR20230021794A (ko) 자동 회전식 채낚장치
CN111042092B (zh)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专用方向控制器
CN111537049A (zh) 一种固定效果好的吊秤
WO2013060046A1 (zh) 一种悬吊下降系统
CN211461616U (zh) 手术室护理用的输液自动保温装置
CN207135963U (zh) 一种扇贝倒笼机
CN2920301Y (zh) 具有往返滑动机构的平缓下滑装置
NO20180528A1 (no) Apparatbane for redskapsbærer
CN219205895U (zh) 一种皮蛋浸泡装置
KR100401810B1 (ko) 통발양승안내장치
CN218290229U (zh) 一种pc叠合板起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