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572A - 선박의 주낙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주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572A
KR20120090572A KR1020110011065A KR20110011065A KR20120090572A KR 20120090572 A KR20120090572 A KR 20120090572A KR 1020110011065 A KR1020110011065 A KR 1020110011065A KR 20110011065 A KR20110011065 A KR 20110011065A KR 20120090572 A KR20120090572 A KR 2012009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ishing line
roller
support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516B1 (ko
Inventor
임태계
Original Assignee
임태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계 filed Critical 임태계
Priority to KR102011001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51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주낙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여러 개의 낚시줄이 이동부를 통해 이동궤도부를 따라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낚시줄의 수중 투척 및 수면 밖으로의 수거가 자동 및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적은 인원으로도 작업이 가능함은 물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선박과 연결되어 있고 수면 상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궤도부, 상기 이동궤도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궤도부의 형성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수중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주낙장치{APPARATUS OF LONGLINE FISHING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 상에서 하나의 낚시줄에 여러 개의 낚시를 달아 한번에 다량의 물고기를 낚아 올리는 주낙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사용하는 주낙장치는 여러 개의 낚시대가 선박에 설치된 상태에서 각 낚시대마다 연결된 낚시줄에 여러 개의 낚시가 달려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주낙장치를 이용해 물고기를 어획하는 방법은, 낚시줄을 포함한 각 낚시가 수중에 위치한 상태에서 물고기가 각 낚시에 걸리면 작업자가 각 낚시줄을 선상으로 직접 끌어올린 후 물고기를 낚시로부터 분리시킨 뒤 각 낚시에 다시 미끼를 끼운 뒤 수중으로 다시 던져 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처럼 종래 주낙장치는 각 낚시대마다 별도의 작업인원이 배치되어 각 낚시대에 연결된 낚시줄의 수거와 투척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낚시대의 개수가 많을 경우 그만큼 필요 인원도 증가되므로, 그만큼 인건비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또한 이와 같이 낚시줄의 수거와 투척이 순전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시간 작업 시 피로도가 증가되어 어획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선상에서 많은 인원이 함께 작업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우려도 클 수밖에 없다.
그리고 기존 주낙장치는 낚시대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을 이동시키지 않는 이상, 각 낚시대별 어획지점이 고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어획구역 범위가 좁아, 그만큼 낚시줄의 한번 투척 시 어획량이 많이 못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본적으로 기존에 비해 적은 인원으로도 어획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주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어획과정에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주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에 비해 어획구역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하여 어획량을 늘릴 수 있는 주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선박과 연결되어 있고 수면 상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궤도부, 상기 이동궤도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궤도부의 형성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수중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궤도부는 무한궤도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선박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일측이 상기 선박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이동궤도부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궤도부는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선박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지주, 상기 고정지주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고 있는 회동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와이어가 상기 지지대를 끌어당기면 상기 지지대가 상기 선박과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궤도부의 내부에는 이송레일이 상기 이동궤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이동궤도부 상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이동롤러부, 상기 각 이동롤러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낚시줄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연결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와이어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각 이동롤러부를 이송시키는 구동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낚시줄 수거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낚시줄 수거롤러는 상기 낚시줄이 상기 이동궤도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낚시줄 수거롤러에 의해 감겨 수면 위로 끌어올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시줄 수거롤러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낚시줄 수거롤러 상에 위치한 상기 낚시줄을 감아 이동시키는 보조 수거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여부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낚시줄이 이동부를 통해 이동궤도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수중으로의 투척 및 수면 밖으로의 수거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적은 인원으로도 여러 개의 낚시줄의 투척 및 수거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건비가 절감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낚시줄이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궤도부를 따라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낚시줄의 투척 및 수거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에 비해 작업자의 힘 소모율이 줄게 되고 이로 인해 장시간 작업하더라도 작업효율의 저하가 방지되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지지대의 회동을 통해 이동궤도부가 날개 형태로 세워질 수 있음에 따라 선박이 항구에 정박하는 과정에서 타 선박과의 충돌우려가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각 낚시줄이 이동과정에서 낚시줄 선별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수면 밖으로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힘 소모가 줄어드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낚시줄이 낚시줄 선별롤러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과정에서 해당 이송부의 위치지점에 따라 해당 낚시줄을 적정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각 낚시줄의 엉킴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각 낚시줄이 이동궤도부의 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낚시줄의 위치가 고정되는 기존 주낙장치에 비해 물고기의 어획구간 범위가 넓어지므로, 그만큼 어획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제어부를 통해 각 낚시줄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인원에 따라 낚시줄의 투척 과 수거, 미끼 끼움 및 물고기 분리작업속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도 갖는다.
도1은 전체 평면 개략도
도2는 이동궤도부 및 이동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3 및 도4는 이동부와 연결부 및 낚시줄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A-A'선 단면도
도5 및 도6은 지지대의 작동모습을 나타낸 정면개략도
도7는 전체 설치구조를 나타낸 B-B'선 확대단면도
도8은 간격유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9는 낚시줄이 낚시줄 수거롤러와 보조수거롤러 상에서의 이동모습을 나타낸 B-B' 확대 단면도
도10은 낚시줄이 보조수거롤러로 유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부확대 측면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주낙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대(100)와 고정지주(200), 이동궤도부(300), 이동부(400), 구동부(600) 및 낚시줄(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대(100)는 후술하는 이동궤도부(300)의 설치 및 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막대 프레임 형태이고 일단부가 선박(1)에 연결된 상태에서 수면과 거의 수평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100)는 선박(1)과 힌지축(101)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는 구조, 즉 [도 5] 및 [도 6]처럼 선박 상에 세워지거나 외부로 펼쳐진 형태로 작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대(100)는 [도 1]처럼 선박(1)의 일측부의 전후 단부에 상호 수평 상태로 두 개가 배치되어 한 쌍을 이루고 이러한 한쌍의 지지대(100)는 선박(1)의 반대쪽 측부에도 대칭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지지대(100)는 선박의 크기나 어획량을 고려하여 후술하는 이동궤도부(300)의 설치개수에 따라 도면과 같이 선박(1) 양측에 설치되거나, 아니면 선박(1)의 일측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지대(100)는 별도의 고정지주(200)와 연결된다.
고정지주(200)는 지지대(100)의 지지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기둥형태이고 선박(1)의 갑판 상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고정지주(200)는 한 쌍을 이루는 각 지지대(100)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이러한 고정지주(200)와 지지대(100)는 별도의 회동구동부(210)를 통해 연결된다.
회동구동부(210)는 지지대(100)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모터(212)와 도르레(216) 및 회동와이어(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모터(212)는 지지대(100)의 실질적인 회동력 발생기능을 하는 것으로, 선박(1)에 설치되고 일반적인 단상모터가 사용되며, 지지대(100)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유압모터나 전동모터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회동와이어(214)는 이러한 모터(212)의 구동력을 지지대(100)에 실질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금속와이어가 사용되며 일단부가 구동모터(610)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지지대(100) 중 선박(1)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쪽 단부에 연결된다.
이때 회동와이어(214)는 도르레(216)와 연결됨에 따라 지지대(100)의 회동과정에서 모터(212)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 하도록 하는데, 도르레(216)는 고정지주(200)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동와이어(214)의 중간지점이 도르레(216)에 권취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모터(212)가 작동되어 회동와이어(214)가 감겨짐에 따라 지지대(100)가 힌지축(10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선박 상에 세워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지지대(100)는 마치 날개 형태로 세워짐과 펼쳐짐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회동구동부(210)의 구조는 위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212)를 고정지주(200)에 직접 설치할 경우 도르레(216)는 생략될 수 있으며, 모터(212)도 생략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직접 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내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회동구조를 갖는 지지대(100)에는 이동궤도부(300)가 설치된다.
이동궤도부(300)는 후술하는 낚시줄(500)의 이동경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링 형태의 무한궤도 형태를 갖는 프레임 구조이며 일측이 지지대(100)에 연결되어 선박(1)과 이격된 상태에서 수면상에서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이동궤도부(30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이동롤러부(410)의 이동경로 역할을 하는 이동레일(310)이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동레일(310)은 이동궤도부(300)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양 이동레일(310)은 상호 이격되어 양 이동레일 사이에는 이동로(3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궤도부(300)의 전체 직경은 선박의 규모 및 어획구간범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된다.
참고로 이동궤도부(300)는 지지대(100)와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연결되거나 볼트(미도시)등을 통해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궤도부(300)는 도면과 같이 기본적으로 선박(1)의 양측에 대칭 설치되되,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지지대(100)의 설치 형태에 따라 선박(1)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궤도부(300)에는 이동부(400)가 설치된다.
이동부(400)는 후술하는 낚시줄(500)과 이동궤도부(300)의 연결기능 및 낚시줄(500)의 실질적인 이동수단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이동롤러부(410)와 연결와이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이동롤러부(410)는 이동부(400)의 실질적인 이동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이동바퀴(412)와 연결축(413) 및 연결프레임(414)으로 나누어 구성된다.
그 중 이동바퀴(412)는 일반적인 원형 롤러 구조이고 2개로 구성되어 이동궤도부(300)의 양 이동레일(3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연결축(413)은 이렇게 마주보고 있는 이동바퀴(412)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마주보는 양 이동바퀴(412)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양 이동바퀴(412)에 연결된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414)은 후술하는 연결와이어(42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단순 막대프레임 형태이고 상단부가 연결축(413)의 중간지점에 연결된 상태에서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이동궤도부(300)의 이동로(320)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이동롤러부(410)는 [도 1] 및 [도 2]처럼 이동궤도부(300)의 형성경로 상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된 구조를 갖는데, 즉 동일한 구조의 제1이동롤러부(410a)와 제2이동롤러부(410b), 제3이동롤러부(410c), 제4이동롤러부(410d)..n이동롤러부가 이동궤도부(300) 상에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이동롤러부(410)의 개수는 어획량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이동롤러부(410)와 함께 이동부(400)를 구성하는 연결와이어(420)는 각 이동롤러부(410a)(410b)(410c)(410d)를 동시에 연결함과 동시에 각 이동롤러부(410a)(410b)(410c)(410d)의 동시 이동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와이어 형태이고 이동궤도부(300)의 형성경로와 동일한 링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동궤도부(300)의 이동로(320)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연결와이어(420)는 각 이동롤러부(410)의 각 연결프레임(414) 하단부에 동시에 연결됨에 따라 연결와이어(420)를 매개로 각 이동롤러부(410a)(410b)(410c)(410d)가 동시에 연결된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연결와이어(420)중 연결프레임(414)가 연결되는 지점의 하단에는 후술하는낚시줄(500)의 연결을 위한 고리부(422)가 아래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부(400)에는 연결부(800)가 연결된다.
연결부(800)는 연결와이어(420)과 후술하는 낚시줄(500)간 연결 기능 및 낚시줄(500)의 손쉬운 탈착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체결클립(810)과 연결스프링(820)을 포함한다.
그 중 체결클립(810)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가느다란 철사를 원형으로 구부린 구조로 이루어지되, 양단부가 상호 엇갈린 상태로 교차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연결와이어(420)의 고리부(422)가 체결클립(810)의 양단부 간 교차지점 사이로 끼워짐에 따라, 고리부(422)와 체결클립(810)간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고리부(422)와 체결클립(810)간 체결은 단순히 고리부(422)를 체결클립(810)의 양단부간 교차지점을 통과시키면 되고, 상호간 분리는 체결클립(810)의 양단부를 벌려 고리부(422)를 체결클립으로부터 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스프링(820)은 체결클립(810)과 후술하는 낚시줄(500)간 연결기능 및 낚시줄(500)의 수거 과정에서 낚시줄(500)의 완충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코일스프링 형태이며 상단부가 체결클립(810)에 연결된 상태로 매달린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체결클립(810)과 연결스프링(820)은 연결와이어(420) 중 각 연결프레임(414)이 위치하는 지점마다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연결와이어(420)가 이동될 경우 각 이동롤러부(410a)(410b)(410c)(410d)를 비롯한 연결스프링(820)이 동시에 이동레일(310)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이동부(400)의 각 연결스프링(820)에는 낚시줄(500)이 연결된다.
낚시줄(500)은 명칭 그대로 수중에서 물고기의 포획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메인낚시줄(510)과 보조낚시줄(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메인낚시줄(51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각 메인낚시줄(510)의 상단부가 각 연결스프링(820)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위치되며 하단부에는 추(51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조낚시줄(520)은 낚시줄(500) 중에서 실질적인 물고기 포획기능을 하는하는 것으로, 각 메인낚시줄(510)로부터 가지 형태로 뻗어 나온 형태로 이루어지고 각 보조낚시줄(520)의 단부에는 낚시고리(53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낚시고리(530)에는 미끼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연결와이어(420)에 의해 각 이동롤러부(410a)(410b)(410c)(410d)가 이동함에 따라, 그 과정에서 각 낚시줄(500)도 함께 이동궤도부(300)의 형성경로를 따라 동시에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낚시줄(500)과 연결스프링(820) 및 체결클립(810)은 항시 세트화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낚시줄(500)이 체결클립(810)에 의해 연결와이어(420)에 손쉽게 탈부착 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이동부(400)에는 구동부(600)가 연결된다.
구동부(600)는 각 이동롤러부(41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과 [도 5]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구동모터(610)와 구동롤러(620), 간격유지부(630) 및 제어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구동모터(610)는 구동부(600) 중 실질적인 구동력 발생 기능을 하는 것으로, 지지대(100) 상에 설치되고 일반적인 단상 모터가 사용되며 어획량 등에 따른 필요 구동력을 고려하여 전동모터 또는 상대적으로 큰 구동력을 얻을 수 있는 유압모터 중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구동롤러(620)는 구동모터(610)의 구동력을 이동부(400)의 연결와이어(420)에 전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구동롤러(622)와 제2구동롤러(624)로 나누어 구성된다.
그 중 제1구동롤러(622)는 구동모터(610)의 동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부분으로, 구동모터(610)의 모터축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측면이 연결와이어(420)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제2구동롤러(624)는 제1구동롤러(622)와 더불어 연결와이어(420)의 이동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연결와이어(420)를 사이에 두고 제1구동롤러(622)와 대칭 상태로 위치되어 제1구동롤러(622)와 제2구동롤러(624)가 연결와이어(420)를 양측에서 동시에 가압한 상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구동롤러(620)와 함께 구동부(600)를 구성하는 간격유지부(630)는 구동모터(610)과 제1, 2구동롤러(622)(624)의 설치 및 제1, 2구동롤러(622)(624) 간의 적정간격을 유지시켜 연결와이어(420)의 가압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고정프레임(632)과 회동프레임(634) 및 탄성부재(636)를 포함한다.
그 중 고정프레임(632)은 제1구동롤러(622)의 위치의 고정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판재형태이고 지지대(100)에 연결되고 구동모터(610)의 모터축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즉 구동모터(610)이 고정프레임(632)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구동롤러(622)가 고정프레임(632)아래에 위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회동프레임(634)은 제2구동롤러(624)의 위치조절기능을 하는 것으로, 단순 막대 형태이고 일단부가 회동축(635)을 통해 고정프레임(632)에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회동축(63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회동프레임(634)의 하부면에 구동롤러가 연결됨에 따라 제2구동롤러(624)는 회동프레임(634)의 회동에 의해 위치가 변화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탄성부재(636)는 회동프레임(634)의 회동을 제어하여 제1, 2구동롤러(622)(624)간 간격을 실질적으로 조절 및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코일스프링 형태이고 일단부는 회동프레임(634)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고정프레임(632)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동프레임(634)과 제2구동롤러(624)는 탄성부재(636)의 탄성력에 의해 항시 제1구동롤러(622)을 향해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고, 이로 인해 제1, 2구동롤러(622)(624)에 의해 연결와이어(42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적정수준으로 유지된다.
또한 연결와이어(420)의 직경에 따라 탄성부재(636)의 길이가 가변 되므로, 결국 연결와이어(420)의 종류에 따라 항시 적정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참고로 간격유지부(630)의 구조는 위 설명 및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제1, 2구동롤러(622)(624)의 간격을 조절하여 연결와이어(420)에 가해지는 적정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형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항시 동일한 직경의 연결와이어(420)를 사용하여 제1, 2구동롤러(622)(624)간 간격조절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간격유지부(630)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작업자가 연결와이어를 당기지 않고도 제1, 2구동롤러(622)(624)의 회전에 의해 연결와이어(420)가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 이동롤러부(410a)(410b)(410c)(410d)와 더불어 각 낚시줄(500)이 이동궤도부(300)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만약 연결와이어(420)를 작업자가 직접 잡아 당겨 이동시키는 형태로 구현하고자 할 경우 구동부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40)는 이동부(400)의 이동여부 및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모터(61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부(640)는 예를 들어 작업자의 발이 위치하는 지점에 폐달을 구비시키고 폐달의 작동을 통해 구동모터(6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40)에 의해 구동모터(610)의 회전속도가 제어됨에 따라, 날씨나 파도 상태 등에 따라 낚시줄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므로 어획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낚시줄에 미끼를 끼우거나 물고기를 떼어내는 작업속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렇게 구동부(60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도 1]과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낚시줄 수거롤러(700)와 보조수거롤러(710)가 더 설치된다.
그 중 낚시줄 수거롤러(700)는 낚시줄(500)에 매달려 있는 물고기의 분리작업 및 미끼의 재 설치를 위해 낚시줄(500)을 수면 밖으로 수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원형 배관 형태이고 일측이 선박(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낚시줄 수거롤러(700)가 중공형태의 배관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만약 구동모터(610)를 유압모터(212)로 적용할 경우 [도 1]과 같이 유압모터(212)에 연결되는 유압배관(612)이 낚시줄 수거롤러(700)의 중공부를 관통한 상태로 배설시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수거롤러(710)는 낚시줄(500)을 신속하게 수면 밖으로 끌어올림과 동시에 수면밖으로 끌어올려진 낚시줄(500)의 위치를 이동부(400)의 이동경로에 맞게 적정위치로 변경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낚시줄 수거롤러(700) 일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다시 제1보조롤러(712)와 제2보조롤러(714)로 구성된다.
그 중 이러한 제1, 2보조롤러(712)(714)는 상하 배치된 상태에서 낚시줄 수거롤러(700) 뒤쪽에 위치되되, 낚시줄 수거롤러(700)의 외측 단부를 향해 치우친 상태로 위치된다.
이때 제1, 2보조롤러(712)(714)간 사이 지점은 낚시줄 수거롤러(700)의 상부면과 동일한 지점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낚시줄(500)이 낚시줄 수거롤러(700)상에 걸쳐진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한 뒤 제1, 2보조롤러(712)(714)사이에 물려진 상태가 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낚시줄 수거롤러(700)의 반대쪽 단부 부근에는 별도의 경계기둥(720)이 형성되고 보조수거롤러(710)의 단부에는 낚시줄 이탈방지기둥(7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계기둥(720)과 이탈방지기둥(730)의 기능은 후술하는 작용설명과정에서 언급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구동모터(610)를 작동시키면 제2구동롤러(624)와 함께 연결와이어(420)를 가압하고 있는 제1구동롤러(622)가 회전되고, 이로 인해 연결와이어(420)가 이동궤도부(300)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이렇게 연결와이어(420)가 이동됨에 따라, 연결와이어(420)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각 이동롤러부(410)를 비롯해 각 이동롤러부(410)에 연결되어 있는 각 낚시줄(500)도 [도 1]과 같이 이동궤도부(300)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이 이루어지다가 [도 7]과 같이 각 낚시줄(500)이 낚시줄 수거롤러(700)에 걸쳐지게 되고, 이 상태로 낚시줄 수거롤러(700)를 지나는 과정에서 해당 메인낚시줄(510)과 보조낚시줄(520)은 수면 밖으로 올라오게 된다.
참고로 최초에 낚시줄(500)을 이동시킬 때에는 보조낚시줄에 미끼를 끼우지 않은 상태이므로, 이렇게 낚시줄 수거롤러(700)에 걸쳐진 상태로 수면 밖으로 올라올 때마다 보조낚시줄(520)에 미끼를 끼우게 된다.
그리고 미끼가 끼워진 해당 낚시줄은 해당 이동롤러부(410)의 이동에 의해 낚시줄 수거롤러(700)를 지난 뒤 다시 수중으로 투척된 후 다시 이동궤도부(300)의 경로를 따라 수중에서 이동된다.
이렇게 미끼가 끼워진 상태에서 낚시줄이 이동함에 따라, 수중에서는 마치 미끼가 살아서 헤엄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그만큼 어획성공 가능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낚시줄(500)이 이동궤도부(300)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므로, 그만큼 각 낚시줄(500)마다 어획구간 범위가 넓게 확보되므로, 낚시줄이 한 지점에 고정 위치되는 종래기술에 비해 높은 어획성공률 및 어획량 증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로 각 낚시줄(500)이 이동궤도부(300)의 경로를 한바퀴 도는 과정에서 물고기들이 미끼를 물어 각 보조낚시줄(520)에 매달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각 낚시줄(500)은 [도 7]처럼 다시 낚시줄 수거롤러(700)에 걸쳐짐과 동시에 수면 밖으로 올라오게 된다.
이렇게 낚시줄이 수면 밖으로 끌어올려지는 과정에서 물고기의 무게 등에 의해 메인낚시줄에 하중이 집중되는데, 이때 연결스프링(820)에 의해 메인낚시줄(510)과 연결와이어(420)간에 완충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메인낚시줄이 끊어지거나 체결클립(810)이 연결와이어(420)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낚시줄이 낚시줄 수거롤러(700)에 걸쳐진 상태로 수면 밖으로 꺼내지면 작업자는 각 보조낚시줄(520)에 매달려 있는 물고기를 떼어냄과 동시에 각 보조낚시줄(520)마다 미끼를 다시 끼운다.
이 과정에서 해당 낚시줄은 경계기둥(720)에 걸려 보조 선별롤러(710)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고, 미끼가 완전히 끼워지면, [도 9]처럼 작업자가 해당 낚시줄(500)을 경계기둥(720) 반대쪽으로 넘긴다.
참고로 낚시줄은 일반적으로 10m이상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이렇게 해당 낚시줄에 미끼가 다 끼워진 상태에서는 해당 낚시줄과 연결된 이동롤러부(410)는 [도 1]과 같이 이미 이동궤도부(300)를 따라 이동이 진행되어 코너부분(a)을 지나고 있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해당 낚시줄의 이동방향도 일직선이 아니라 [도 9]처럼 이동롤러부(410)의 위치를 따라 사선 형태로 바뀔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위와 같이 미끼 끼움이 완료된 해당 낚시줄(500)을 경계기둥(720) 반대쪽으로 넘기면 낚시줄(500)이 사선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결국 [도 9] 및 [도 10]처럼 보조수거롤러(710)의 제1보조롤러(712)와 제2보조롤러(714)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로 인해 해당 낚시줄(500)은 보조수거롤러(710)의 회전력에 의해 신속하게 방향이 조절된 상태에서 수중으로 다시 투척된 후 해당 이동롤러부(41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낚시줄(500)이 보조수거롤러(710)를 사선방향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탈방지기둥(730)에 의해 걸림에 따라, 보조수거롤러(71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처럼 각 낚시줄(500)로부터 물고기를 떼어낸 후 미끼를 끼우는 과정에서 이동방향이 변화되더라도 보조수거롤러(710)에 의해 낚시줄의 이동방향이 신속하게 조절되므로, 타 낚시줄과의 엉킴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물론 낚시줄의 길이를 짧게 하여 각 낚시줄 간의 엉킴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적다면 보조수거롤러(710)는 생략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어획이 이루어짐에 따라, 결국 한명의 작업자가 여러 개의 낚시줄을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에 비해 적은 인원으로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결국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이렇게 작업인원을 줄이더라도 낚시줄의 이동과 수거 및 투척이 구동부(600)와 이동부(400)에 의해 거의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므로, 결국 적은 인원으로도 높은 어획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여러 개의 낚시줄이 설정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수면 밖으로 꺼내짐과 동시에 수중으로 자동 투척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비해 작업인원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낚시줄이 이동궤도부를 이동하면서 어획이 이루어짐에 따라, 낚시줄의 어획위치가 고정된 기존에 비해 넓은 어획범위가 확보되므로, 그만큼 높은 어획량을 얻을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어획작업이 완료되면 [도4] 및 [도 6]과 같이 체결클립(810)을 연결와이어(420)으로부터 분리시켜 낚시줄(500)을 이동궤도부(300)으로부터 떼어낸다.
그 후 회동와이어(214)를 잡아당기면 지지대(100)를 비롯해 이동궤도부(300)가 선박(1)상에 세워진 상태로 접혀짐으로, 항구에 정박하는 과정에서 이동궤도부(300)가 타 선박 등에 충돌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부를 체인으로 대체하고 각 낚시줄이 체인에 연결되는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낚시줄을 이동궤도부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시키고 그 과정에서 낚시줄의 수거 및 투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적은 인원으로도 높은 어획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 : 선박 100 : 지지대
101 : 힌지축 200 : 고정지주
210 : 회동구동부 212 : 모터
214 : 회동와이어 216 : 도르레
300 : 이동궤도부 310 : 이동레일
320 : 이동로 400 : 이동부
410 : 이동롤러부 410a : 제1이동롤러부
410b : 제2이동롤러부 410c : 제3이동롤러부
410d : 제4이동롤러부 412 : 이동바퀴
413 : 연결축 414 : 연결프레임
420 : 연결와이어 500 : 낚시줄
510 : 메인낚시줄
520 : 보조낚시줄 530 : 낚시고리
600 : 구동부 610 : 구동모터
620 : 구동롤러 622 : 제1구동롤러
622a : 제1롤러축 624 : 제2구동롤러
624a : 제2롤러축 630 : 간격유지부
632 : 고정프레임 634 : 회동프레임
635 : 회동축 636 : 탄성부재
640 : 제어부 700 : 낚시줄 수거롤러
710 : 보조 수거롤러 712 : 제1보조롤러
714 : 제2보조롤러 720 : 경계기둥
730 : 이탈방지기둥 800 : 연결부
810 : 체결클립 820 : 연결스프링

Claims (11)

  1. 선박과 연결되어 있고 수면 상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궤도부,
    상기 이동궤도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궤도부의 형성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일단부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수중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낚시줄을 포함하는
    주낙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이동궤도부는 무한궤도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선박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상기 선박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이동궤도부와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궤도부는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주낙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선박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지주,
    상기 고정지주와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고 있는 회동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와이어가 상기 지지대를 끌어당기면 상기 지지대가 상기 선박과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세워지는
    주낙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이동궤도부의 내부에는 이동레일이 상기 이동궤도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주낙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레일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이동궤도부 상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이동롤러부,
    상기 각 이동롤러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낚시줄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하는
    주낙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연결와이어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는 체결클립,
    상단부가 상기 체결클립에 연결되어 있고 하단부가 상기 낚시줄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주낙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주낙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연결와이어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와이어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주낙장치.
  9. 제1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낚시줄 수거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낚시줄 수거롤러는 상기 낚시줄이 상기 이동궤도의 형성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낚시줄 수거롤러에 의해 감겨 수면 위로 끌어올려지는
    주낙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낚시줄 수거롤러 일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낚시줄 수거롤러 상에 위치한 상기 낚시줄을 감아 이동시키는 보조 수거롤러를 더 포함하는
    주낙장치.
  11. 제8항에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여부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주낙장치.
KR1020110011065A 2011-02-08 2011-02-08 선박의 주낙장치 KR101196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65A KR101196516B1 (ko) 2011-02-08 2011-02-08 선박의 주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65A KR101196516B1 (ko) 2011-02-08 2011-02-08 선박의 주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572A true KR20120090572A (ko) 2012-08-17
KR101196516B1 KR101196516B1 (ko) 2012-11-01

Family

ID=4688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065A KR101196516B1 (ko) 2011-02-08 2011-02-08 선박의 주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5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4796A (zh) * 2014-03-10 2015-09-16 株式会社东和电机制作所 钓鱼器的控制系统
KR102515588B1 (ko) * 2022-01-12 2023-03-29 유금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20230056489A (ko) * 2021-10-20 2023-04-27 유금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29356B1 (en) * 2015-02-19 2017-04-25 II Christian B. Frierson Decoy pull line actu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840Y1 (ko) 2004-10-19 2005-01-14 승 구 김 갈치채낚기
JP4236007B2 (ja) * 2005-08-23 2009-03-11 勲 岡村 回転式自動魚釣り機、及び、釣針作動装置。
KR100796809B1 (ko) 2006-12-04 2008-01-22 양평열 갈치 채낚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4796A (zh) * 2014-03-10 2015-09-16 株式会社东和电机制作所 钓鱼器的控制系统
KR20230056489A (ko) * 2021-10-20 2023-04-27 유금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102515588B1 (ko) * 2022-01-12 2023-03-29 유금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6516B1 (ko)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516B1 (ko) 선박의 주낙장치
CN102715093B (zh) 挤奶设备
DE202008010205U1 (de) Wasserski-Seilbahn
US8539901B2 (en) Boat casting platform
NL2034626B1 (en) Variable amplitude kelp harvesting device covered by container
CN107337162A (zh) 具有水平可移位摇架的高度可接进工作平台
KR101961756B1 (ko) 유/무인 운용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가능한 일반 어선용 해파리 방제 장치
CN205399218U (zh) 一种用于高架桥混凝土箱梁施工的自行式震动排架
KR101280466B1 (ko) 전동릴부재을 이용한 채낚기장치
CN201403434Y (zh) 自动钓鱼支架
KR101080471B1 (ko) 선박의 주낙장치
JP2683616B2 (ja) 養殖生簀網用掃除機
JP5757618B2 (ja) 地盤改良装置
CN206691338U (zh) 水面污物打捞系统
KR101239928B1 (ko) 주낙용 양승장치
JP6658020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組立方法
CN101543204A (zh) 自动钓鱼支架
JP6997905B1 (ja) 旋回機の先端から吊り下がる重さの力は旋回支点パイプの下部の下ベアリングの位置では下方向と横方向とに分かれ、その下ベアリングを保持する位置の左右双方の平角棒梁を横方向の力に強い補強構造にした小旋回身体移動補助装置。
JP2014223021A (ja) 被覆資材の巻取展開装置
JP3663513B2 (ja) 漁労装備自動分離装置
CN102709844A (zh) 输电线路架空线出线步行器
CN215287799U (zh) 一种降水井水泵吊起装置
KR101365415B1 (ko) 전동릴부재를 이용한 채낚기장치
FR2526840A1 (fr) Nacelle a deplacement tri-directionnel pour toute intervention sur charpente, notamment metallique
KR200352574Y1 (ko) 어선박용스탠드형복합양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