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471A -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 Google Patents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471A
KR20080005471A KR1020070131886A KR20070131886A KR20080005471A KR 20080005471 A KR20080005471 A KR 20080005471A KR 1020070131886 A KR1020070131886 A KR 1020070131886A KR 20070131886 A KR20070131886 A KR 20070131886A KR 20080005471 A KR20080005471 A KR 20080005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rope
wheel
cylind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8351B1 (ko
Inventor
김용문
Original Assignee
김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문 filed Critical 김용문
Priority to KR102007013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351B1/ko
Publication of KR2008000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捲楊)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체의 측현(側舷)의 난간에 인접하여 부설된 레일에 이동대를 동력의 이동수단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기구(移動機構)와, 바다에 투입된 문어잡이 통발을 권양하는 휠이 원통 내부의 동력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통발의 권양기구(捲楊機構)를 상기 이동대 위에 허리를 굽히지 않고 원통에서 통발을 들어낼 수 있는 높이로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권양기구의 휠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권양된 문어잡이 통발이 원통에 놓이게 되어 허리를 굽히지 않고 원통에서 통발을 들어내어 갑판 위에 쌓을 수 있고 또 이동기구에 의하여 권양기구를 선체의 전후로 이동하여, 갑판 위에서 통발을 쌓는 위치와 권양기구 사이를 최단거리(最短距離)로 유지시키어, 작업동선(作業動線)의 단축(短縮)으로 작업이 간편하고 피로감이 절감되며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적은 인원(人員)으로 문어잡이 어획고(漁獲高)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레일, 이동대, 이동기구, 휠, 원통, 권양기구,

Description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MOVABLE TYPE OF HORIZONTAL ROTATING HOIST OF CATCHING OCTOPUS-POT}
본 발명은 로프에 매달린 문어잡이 통발을 들어올리는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문어잡이 통발을 권양(捲楊)하는 휠(wheel)은 어선의 난간에 근접한 일정한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회전되게 세로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문어잡이 통발의 로프를 세로방향으로 권양하기 때문에 권양된 통발은 갑판 위에 떨어지게 되고 허리를 굽혀서 통발을 일일이 걷어서 갑판의 한쪽에 쌓아 두어야 하기 때문에 허리의 통증이 심하고 피로가 겹쳐서 장시간의 작업이 어렵다. 또 휠이 한 곳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통발을 쌓는 위치가 휠에서 점차 멀어지면서 작업의 동선거리(動線距離)도 길게 연장(延長)되어 작업의 운동량도 비례적으로 증대(增大)되었다.
최근에는 어업종사자의 수가 격감(激減)하여, 몇 사람이 어선을 타고 어로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문어잡이의 경우에는 갑판에 쌓아 둔 통발을 바다에 투입하고 , 투입된 통발을 다시 권양(捲楊)해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ⅰ) 한 척의 어선에서 작업하는 인수가 2, 3명정도로 극심한 인력부족의 문제점이 있다.
(ⅱ) 문어잡이 통발을 거둬드릴 때, 허리를 굽히고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허리에 통증이 심하고 파도에 의한 선체의 요동 등으로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신체적 에너지 소모가 커서 지속적인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ⅲ) 선체에 설치된 휠은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통발을 쌓는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작업의 동선거리가 길어지고 이에 비례적으로 운동량이 증대되며 상대적으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ⅳ) 휠의 회전시에 통발에 담긴 물이 사방으로 확산하여 옷이 젖고 작업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문어잡이 통발의 권양하는 휠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권양된 통발을 허리를 굽이지 않고 들어낼 수 있게 하여 허리의 통증을 경감시키고 작업의 용이성으로 장시간의 문어잡이 작업을 지속할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발의 권양하는 휠을 포함하는 권양기구를 이동가능하게 하여 통발을 쌓는 장소를 최단거리로 유지시켜 작업동선(作業動線)의 단축으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은 인원으로 문어잡이 어획고(漁獲高)를 보다 높일 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어잡이 통발의 권양(捲楊)장치에 있어서, 어선의 측현(側舷)의 난간에 인접하여 가로로 길게 장착된 레일과, 동력의 이동수단에 의해 레일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레일에 설치된 이동대(移動臺)로 형성된 이동기구(移動機構)와,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대에 적합한 높이로 장착된 원통의 내부에 동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문어잡이 통발(이하 통발이라 함)의 로프를 감아 올리는 휠과, 로프를 휠 쪽으로 안내하는 원통의 유입부측에 설치된 안내롤러와, 통발을 원통안으로 유도하는 범퍼로드와, 로프를 휠의 협지홈으로 유도하는 유도롤러와, 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수용 커버로 형성된 통발의 권양기구(捲楊機構)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동기구의 레일은 선수(船首)측에 조타실 근방에 이르는 범위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레일 위에 설치된 이동기구의 이동대는 횡축롤러와 종축롤러 에 의해 레일에 안전하게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으며, 적합한 동력수단에 의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동기구의 이동수단의 한 실시예는, 이동대의 양측에 견인와이어를 연결하여 동력으로 회동되는 2개의 동축(同軸) 릴(reel)에 상반되게 감기거나 풀리면서 이동대를 전후방향으로 당기어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된 것이다.
또 다른 이동수단으로는 랙과, 랙기어기구를 채용하여 랙과 맞물린 랙기어가 회동하여 이동기구가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이동수단은 П형의 요구(凹溝)가 형성된 채널(channel)을 채용하여 구동휠이 채널의 요구로 왕래하여 이동기구가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기타 적합한 이동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발의 권양기구 중 휠 자체는 통상의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동대위에 장착된 원통에 휠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권양된 통발이 갑판에 떨어지지 않고 원통 위에 놓이게 되어, 허리를 굽히지 않고 통발을 들어낼 수 있는 것과 또 권양기구가 이동기구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어 통발을 쌓는 위치의 거리를 최단거리로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작업시, 허리의 통증의 문제점이 해소되고 선체의 난간에서 거리를 둔 안쪽 위치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풍랑에 선체가 흔들려도 바다에 추락할 위험이 없이 안전성이 확보된다.
바다에 투입된 통발이 연결된 로프를 인양하는 선체의 선추측에 설치된 제1 안내롤러와, 원통의 유입부측의 설치된 안내롤러 및 원통의 유입구에 설치된 유도롤러에 의해 로프가 정확하게 휠의 협지홈으로 안내된다.
권양기구의 범퍼로드는 로프에 매달린 통발이 원통 유입부에 부딪치지 않고 용이하게 원통의 유입부로 유입되면서 유도롤러에서 전도되어 통발에 담긴 물이 쏟아져 가볍게 되고 쏟아진 물은 아래로 흐른다.
원통의 유입부측 상부에는 방수용 커버가 설치되어, 통발의 물이 쏟아질 때 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수할 수 있어, 옷이 젖지 않고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또 커버의 내측면은 커튼으로 형성되어 있어, 커튼의 하방을 통하여 로프를 휠의 협지홈에 걸거나 통발이 로프에 엉키는 경우 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권양기구의 원통에 수평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휠에 의해 통발이 원통으로 권양되기 때문에, 원통이 갑판의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원통 위에 놓이게 됨으로 허리를 굽히지 않고 통발을 용이하게 들어낼 수 있어, 허리동작의 감소로 허리통증이 경감되어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다.
또 이동기구에 의해 통발의 권양기구가 선체의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발을 쌓는 위치를 권양기구와 최단거리로 유지할 수 있어, 통발을 옮겨 쌓는 작업동선이 단축될 수 있고 따라서 동선(動線)의 단축으로 그만큼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장치를 문어잡이 어선에 적용하면 적은 인원으로 문어잡이 어획고를 보다 높일 수 있고 또 다른 어종의 어선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문어잡이 통발의 권양장치에 있어서, 선체의 측현(側舷) 난간에 인접하여 부설된 레일에 이동대를 적합한 동력의 이동수단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기구와, 통발을 권양하는 휠이 원통의 내부에 동력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통발의 권양기구를 상기 이동대 위에 적당한 높이로 결합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권양기구의 휠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권양된 통발이 선체 갑판의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원통 위에 놓이게 되어 허리를 굽히지 않고 원통에서 통발을 들어내어 갑판 위에 용이하게 쌓을 수 있다.
또 이동기구에 의하여 권양기구를 선체의 전후로 이동하여, 갑판 위에서 통발을 쌓는 위치와 권양기구 사이를 최단거리로 유지시킬 수 있기때문에 작업동선(作業動線)의 단축(短縮)으로 작업이 간편하고 피로감이 절감되어 장시간의 작업이 가능하다.
또 작업능률이 향상되므로 문어잡이 어선에 적용하여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어종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시도이고 제2도는 동 측 단면 예시도이며, 제3도는 통발을 쌓는 위치에 따라 통발의 이동기구를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문어잡이 통발의 로프를 수평으로 권양(捲楊)하는 통발의 권양기구(A)와 권양기구(捲楊機構)를 선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移動機構)(B)의 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권양기구(A)는 원통(1)의 중앙부에 로프의 협지홈(2g)이 형성된 통상의 휠(2)이 유압모터(2m)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선수 쪽에 설치된 제1안내롤러(7)를 향하고 있는 원통(1)의 유입부(1a)의 전방에는 로프(r)를 휠(2)쪽으로 안내하는 안내롤러(3)가 상기 제1안내롤러와 대향되게 지지구(3a)에 의하여 원통(1)의 측벽(1w)의 단부에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롤러(3)의 하방측에는 통발(U)이 원통의 유입부에 부딪치지 않고 원통으로 유입되게 안내하는 범퍼로드(9)가 상기 지지구(3a)와 이동기구의 지주(5p)에 가로로 지지되어 있으며, 원통(1)의 유입부(1a)의 바닥에는 로프를 휠(2)의 협지홈(2g)으로 유도하는 유도롤러(3b)가 휠의 협지홈과 수평 높이로 가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원통(1)의 유출부(1b)는 선체의 안쪽을 향하여 있고 유출부(1b)의 한쪽 측판(1p)이 설치된 부위에는 휠(2)의 협지홈(2g) 에서 로프(r)를 벗겨내는 분리기(2n)가 협지홈(2g)의 원호에 대접(對接)하여 가로로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휠(2)의 협지홈(2g)에 의하여 수평으로 당겨 올려진 로프(r)는 분리기(2n)에 의하여 분리되어 로프에 매어 달린 통발은 선체의 갑판에 떨어지지 않고 원통(1)의 유입부(1a) 측에 놓이게 된다.
원통(1)의 유입부(1a)에서 휠(2)사이의 일부 통로(1u)의 상부에는 원통(1)의 측벽(1w)에서 연장된 방수용 커버(1c)가 구성되고 커버(1c)의 내측면은 커튼(1n)으로 현수(懸垂)되어 커튼(1n)의 하단부를 벌리고 손을 넣어 로프를 휠(2)의 협지홈(2g)에 걸거나 통발과 로프가 엉킨 경우 처리할 수 있다. 이 방수용 커버로 인하여 통발이 범퍼롤러와 부딪혀 물이 쏟아질 때 물의 확산을 방지하여 옷이 젖지 않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기구(B)는, 어선(S)의 측현(側舷)의 난간에 인접하여 레일(4)이 가로로 길게 고정설치되고 상기 레일(4)에는 이동대(5)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대(5)의 하방으로 형성된 브래킷(5K)의 전후 양단부측에는 상기 레일(4)을 상하에서 감싸는 한 쌍의 횡축롤러(5a)와 레일(4)을 좌우에서 감싸는 한 쌍의 종축롤러(5b)가 구성되어, 레일(4)에서 이동대(5)가 이탈되지 않고 레일 상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동기구의 이동수단으로는 이동대(5)의 브래킷(5K)의 일측에 전방 견인 와이어(6a)의 일단부가 연결구(6a')에 의해 연결되어, 레일(4)의 선단부에 장착된 안내휠(6w)을 거쳐 레일(4)의 후단부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의 동축 릴(6d)에 릴이 역회전 시에 당겨지게 연결되고 이동대(5)의 브래킷(5K)의 타측에는 후방 견인 와이어(6b)가 연결구(6b')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6)의 다른 동축 릴(6e)에 순회전시에 당겨지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동기구의 이동수단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식의 이동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구(B)와 통발의 권양기구(A)의 결합은 이동기구(B)의 이동대(5)위에 통발의 권양기구(A)의 원통(1)이 복수개의 지주(5p)에 의해 허리를 굽히지 않고 원통에서 통발을 들어낼 수 있는 적당한 높이로 장착하여 결합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8은 로프의 조작시에 이용할 수 있는 손잡이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통발의 권양기구(A)를 이동기구(B)에 의하여 선체(S)의 선수 쪽에 설치된 제1안내롤러(7)에 근접한 위치, S1 지점에서 작업을 시작한다. 바다에 투입된 문어잡이 통발(U)의 로프(r)를 제1안내롤러(7)의 상부와 권양기구(A)의 안내롤러(3)의 하부를 거쳐 유도롤러(3b)를 통하여 휠(2)의 협지홈(2g)에 로프(r)를 반 바퀴 정도 걸어 두고 유압모터(2m)를 구동하여 설정된 속도의 수평방향으로 휠(2)을 회전시킨다. 본래 휠(2)의 협지홈(2g)은 예각(銳角)의 요홈으로 형성되어 로프가 협지홈(2g)에 끼여지면서 협지력이 생기어 휠(2)의 회전에 따라 로프(r)가 당겨져서 권양 된다. 로프에 매어 달린 문어잡이 통발(U)은 로프와 함께 진행하여 제1안내롤러(7)와 원통(1)의 유입부(1a)측에 설치된 안내롤러(3)의 하부를 거쳐 유도롤러(3b)를 통하여 휠(2)에 의하여 이동하는 과정에, 자체 무게로 인하여 아래로 처진 통발(U)이 범퍼로드(9)에 통발의 밑부분이 부딪치면서 위로 올려처지는 동시 유도롤러(3b)부분에서 전도되어 통발에 담긴 물(해수)이 쏟아져 가볍게 된다. 쏟아진 물은 유입부(1a)의 아래로 흘러내린다. 물이 쏟아진 통발은 휠(2)의 회전 원심력에 의해 원통(1)에서 휠(2)의 주위를 돌아, 원통(1)의 유출부(1b)에 이르면 분리기(2n)에 의해 협지홈(2g)에서 로프가 분리되어 유출부(1b)측에 놓인다. 작업자는 원통의 유출부(1b)의 앞쪽에 서서, 허리를 굽히지 않고 통발(U)을 들어내어 로프와 함께 근거리의 선수 쪽의 간 판 위에 한쪽에서부터 차례로 쌓아 둔다.
통발을 쌓는 범위가 확장되어 점차 작업동선거리가 길어지면 S2지점으로 권양기구(A)를 이동하여 작업하고 통발을 쌓는 거리가 멀어지면 다시 S3지점, S4지점, S5지점으로 순차적으로 작업의 진행에 따라 권양기구를 이동하면서 작업한다.
이러한 권양기구(A)의 이동은 통발을 쌓는 위치의 최단거리가 확보되어 그만큼 작업동선이 단축되어 피로감이 절감되면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S5 지점에서는 레일(4)의 종단부에 도달되며, 이 지점에서는 바다에 투입된 통발이 모두 수거되어 작업이 종료된다.
이동기구에 의해 통발의 권양기구가 레일의 후단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6)에 의해 동축릴(6d)(6e)이 순방향으로 회전되어 전방 견인와이어(6a)는 풀리고 후방 견인 와이어(6b)는 감기면서 후방 견인와이어(6b)가 이동대(5)를 끌어 당겨 권양기구와 함께 이동기구가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후방측으로 이동한 권양기구를 전방으로 이동하려면 구동모터(6)에 의하여 역방향으로 동축 릴(6d)(6e)를 회전시키면 후방 견인 와이어(6b)는 풀리고 전방 견인 와이어(6a)는 감기어 안내휠(6w)을 통하여 전방 견인 와이어(6a)가 이동대(5)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권양기구와 함께 이동기구는 작업의 개시 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에서 통발의 권양기구(A)의 휠(2)의 구동 및 이동기구(B)의 구동모터(6)의 구동조작은 모두 조타실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치는 구성이 견고하고 통발의 권양기구와 이동기구가 개별적인 기계적 동작과 동력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고장이 거의 없고 취급이 간편하여 기계 에 지식이 없는 부녀자도 이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은 인원으로 용이하게 통발을 수거하여 쌓아 둘 수 있고 작업동선이 단축되며, 허리를 굽히지 않고 작업이 가능하여 피로감이 절감되므로 장시간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문어잡이 어획고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문어잡이 통발은 문어잡이 어선에만 한정하여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어종의 어선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동 단면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권양기구가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한 실시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원통, 2: 휠, 3: 안내롤러, 3b: 유도롤러, 4: 레일
5: 이동대, 6: 구동기구, 7: 제1안내롤러, 9: 범퍼로드
A : 권양기구 B : 이동기구

Claims (6)

  1. 문어잡이 통발의 권양(捲楊)장치에 있어서, 어선의 측현(側舷)의 난간에 인접하여 가로로 길게 장착된 레일과, 동력의 이동수단에 의해 레일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레일에 설치된 이동대(移動臺)로 형성된 이동기구(移動機構)(B)와,
    상기 이동대 위에 장착된 원통의 내부에 동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문어잡이 통발의 로프를 감아 올리는 휠과, 통발이 매달린 로프를 휠에 안내하는 원통의 유입부측에 설치된 안내롤러와, 안내롤러의 하부측에 가로로 설치되어 통발을 원통의 유입구로 안내하는 범퍼로드와, 로프를 휠에 유도하는 유도롤러 및 물의 확산을 방지하는 방수용 커버로 형성된 통발의 권양기구(捲楊機構)(A)가,
    결합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권양기구(A)는 원통(1)의 중앙부에 유압모터(2m)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로프를 권양하는 휠(2)과, 유압모터(2m)에 의하여 원통(1)의 유입부(1a)의 전방에 가로로 설치된 로프의 안내롤러(3)와, 안내롤러(3)의 하부에 가로로 설치된 통발을 원통의 유입구로 안내하는 범퍼로드(9)와, 로프를 휠에 유도하는 유도롤러(3b)와, 유입부의 상부측에 설치된 방수용 커버(1c)와, 휠(2)의 협지홈(2g)에 대접(對接)하여 유출부(1b)측에 설치된 로프의 분리기(2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안내롤러(3)는, 지지구(3a)에 의해 원통(1)의 유입부(1a)측 측벽(1w)의 단부에 수평으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안내롤러(3)의 하부측에 범퍼로드(9)가 상기 지지구(3a)와 지주(5p)에 지지되게 가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권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원통(1)의 측벽(1w)의 상부로 연장하여 설치된 방수용 커버(1c)에 있어, 커버(1c)의 내측면은 손의 출입이 가능한 커튼(1n)으로 현수(懸垂)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이동기구(B)는, 어선(S)의 측현(側舷)의 난간에 인접하여 가로로 고정설치된 레일(4)과, 레일(4)에 설치된 이동대(5)와, 이동대(5)의 하방으로 형성된 브래킷(5K)의 전후 양 단부측에 레일(4)의 상하면에 감싸고 설치된 한 쌍의 횡축롤러(5a)와, 레일의 좌우면을 감싸고 설치된 종축롤러(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이동기구의 이동수단은, 이동대(5)의 브래킷(5K)의 일측에연결된 전방 견인 와이어(6a)가 레일(4)의 선단부에 장착된 안내휠(6w)을 거쳐 레일(4)의 후단부측에 설치된 구동기구(6)의 동축 릴(6d)에 릴의 역회전 시에 당겨지게 연결되고 이동대(5)의 브래킷(5K)의 타측에 연결된 후방 견인 와이어(6b)가 구동기구(6)의 다른 동축 릴(6e)에 순회전시에 당겨지게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KR1020070131886A 2007-12-17 2007-12-17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KR100928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886A KR100928351B1 (ko) 2007-12-17 2007-12-17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886A KR100928351B1 (ko) 2007-12-17 2007-12-17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471A true KR20080005471A (ko) 2008-01-14
KR100928351B1 KR100928351B1 (ko) 2009-11-23

Family

ID=3921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886A KR100928351B1 (ko) 2007-12-17 2007-12-17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2434A (zh) * 2019-06-19 2019-08-16 河南牧业经济学院 小龙虾自动捕捞装置
KR102239788B1 (ko) * 2020-08-28 2021-04-12 최상식 어선용 그물 자동정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 자동정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815B1 (ko) 2012-09-24 2013-04-02 빈철도 권양기
CN105270573B (zh) * 2014-12-15 2017-06-23 青岛新韩机械有限公司 一种鳗鱼捕捞船
KR101658293B1 (ko) * 2014-12-24 2016-09-20 주성구 새우조망용 로프 인양장치
NO20180894A1 (en) * 2018-06-25 2019-12-26 Rolls Royce Marine As Rope sheave arrangement and a vessel comprising a rope sheave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9260Y2 (ko) * 1989-03-18 1992-09-14
KR200351462Y1 (ko) 2004-03-11 2004-05-22 김명환 어선박용복합양망장치
KR200408849Y1 (ko) 2005-11-22 2006-02-17 조영안 통발 인양기
KR200408892Y1 (ko) 2005-12-02 2006-02-14 조영안 통발 인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2434A (zh) * 2019-06-19 2019-08-16 河南牧业经济学院 小龙虾自动捕捞装置
CN110122434B (zh) * 2019-06-19 2024-02-02 河南牧业经济学院 小龙虾自动捕捞装置
KR102239788B1 (ko) * 2020-08-28 2021-04-12 최상식 어선용 그물 자동정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 자동정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351B1 (ko) 2009-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351B1 (ko) 문어잡이 통발의 이동형 수평 권양장치
CN209651616U (zh) 行走式放线机构
JP6747633B1 (ja) クレーン装置、掛数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10127623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的拉升吊篮
EP1604568A2 (en) Device for fishing shellfish
KR101261502B1 (ko) 통발인양장치
KR102599955B1 (ko) 낚싯대 보조용 조상기
KR20190130320A (ko) 선박용 접안장치
JP5296614B2 (ja) リービング装置、クレーンおよびロープワイヤリング方法
JP3188742U (ja) 集材用の簡易設置型電動ウインチ
KR101745613B1 (ko) 로프 정리기
CN214348075U (zh) 清洗滑移组件以及水上平台
CN207404749U (zh) 一种多功能低下管道清淤动力绞车
KR102629432B1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JP3035769B2 (ja) 表面処理装置
JP6222954B2 (ja) クレーン装置用ブーム先端部構造
CN212503743U (zh) 一种高承重型电动卧式船舶绞盘
US5738036A (en) Platform and supporting structures for a boat
WO2012060691A2 (en) Dredging assembly
JPS624093B2 (ko)
KR20170010740A (ko) 로프 정리기
SU43601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башенного крана
JPH0636049Y2 (ja) 水平ジブクレーン
KR101248815B1 (ko) 권양기
RU157363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бора плавающей и осевшей древесины на водохранилищах с повышенной остойчивость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