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432B1 -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432B1
KR102629432B1 KR1020210140559A KR20210140559A KR102629432B1 KR 102629432 B1 KR102629432 B1 KR 102629432B1 KR 1020210140559 A KR1020210140559 A KR 1020210140559A KR 20210140559 A KR20210140559 A KR 20210140559A KR 102629432 B1 KR102629432 B1 KR 102629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ller
lifting
body frame
rolle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489A (ko
Inventor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유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102021014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4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B63B35/16Traw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인양용 롤러모듈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원줄을 손쉽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rop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해양 작업선에서 원줄을 인양하여 작업을 수행할 경우 사용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양식되는 수산물 중 패류(예컨대, 굴, 가리비, 전복 등)나 해초목(예컨대, 멍게 등) 혹은, 해조류(예컨대, 미역 등)은 원줄에 연결된 다수의 가짓줄을 이용하여 양식한다.
통발의 경우도 원줄에 연결된 각 가짓줄에 연결되면서 바닷속에 잠긴 상태로 어류(예컨대, 장어 등)를 어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식 수산물을 채취하거나 혹은, 통발의 설치, 부자(浮子)의 추가 설치 등과 같은 다양한 원줄 관련 작업시에는 바다에 설치된 원줄을 작업선 위로 들어올린다. 즉, 원줄을 해양 작업선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선에 승선한 작업자가 양식 수산물이나 통발을 설치 또는, 채취하는 것이다.
특히, 소규모의 양식 작업장이 아닌 대규모의 양식 작업장에는 상면에 인양안내대가 설치된 바지선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예컨대,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2843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4747호, 공개특허공보 특2001-0045800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안내롤러가 설치된 인양안내대를 바지선의 상면에 설치하고, 크레인 혹은, 별도의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원줄을 상기 안내롤러에 얹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로써, 많은 양의 양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각 가짓줄에 매달린 통발이나 양식 수산물이 작업에 편리한 높이에 이르도록 원줄을 들어올림에 따라 수면으로부터 안내롤러까지의 경사가 급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로써 바지선을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작업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웠다.
물론, 바지선의 전후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면 바지선을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바지선의 길이가 길더라도 원줄의 경사로 인해 해당 원줄에는 매우 큰 응력이 가해짐에 따라 해당 원줄이 파손되는 우려는 여전히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특정 장소에서 일정 수량의 가짓줄에 대한 작업이 종료될 경우 원줄을 안내롤러로부터 내리고 바지선을 이동시킨 후 다시 원줄을 안내롤러에 올리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였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바지선의 상면 중 최대한 어느 한 측부에 작업대를 구비하고, 이 작업대의 외면에 안내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이 바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는 안내롤러가 바지선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해당 바지선의 측편을 지나는 또 다른 선박의 어구나 인양장비와의 부딪힘 우려가 존재하였던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2843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4747호 공개특허공보 특2001-0045800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시에는 작업에 편리한 높이에 이르기까지 원줄을 들어올림과 더불어 선박의 이동시에는 원줄의 파손 우려가 없을 정도로 낮출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줄 인양장치가 최대한 작업선의 측부에 위치되더라도 비사용시에는 작업선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타 선박이나 여타 선박의 어구 등에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작업선의 갑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상에 설치되는 원줄이 지나도록 설치되는 인양용 롤러모듈;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을 승강하는 승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승강모듈은, 몸체프레임 내의 설치공간에 상하로 세워지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측으로 플런저가 돌출 혹은, 인입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몸체프레임 내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에 연결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안내롤러는 플런저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1안내롤러와, 상기 제1안내롤러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1안내롤러를 경유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2안내롤러와, 상기 제2안내롤러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2안내롤러를 경유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3안내롤러와, 상기 제2안내롤러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3안내롤러를 경유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4안내롤러와, 상기 제1안내롤러 및 제3안내롤러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4안내롤러를 경유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5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플런저의 상단에는 설치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제1안내롤러와 제3안내롤러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면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저면은 상기 몸체프레임 내의 바닥보다 높게 위치되고, 제2안내롤러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몸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제4안내롤러는 상기 몸체프레임 내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제5안내롤러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몸체프레임은 작업선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인양용 롤러모듈이 몸체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몸체프레임이 기울어짐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비사용 상태에서 인양용 롤러모듈이 여타 선박(작업선)이나 어구와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5개의 안내롤러가 높이조절용 실린더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교대로 위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단일의 높이조절용 실린더로 인양용 롤러모듈의 이동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각 안내롤러에 연결로프가 연결되는 상태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사용시 설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보관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이하, “원줄 인양장치”라 함)는 인양용 롤러모듈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원줄을 손쉽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이동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줄 인양장치는 몸체프레임(100)과 인양용 롤러모듈(200) 및 승강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프레임(100)은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몸체프레임(100)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관체 또는,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프레임(100)은 작업선(10)의 갑판(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높이는 해양 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일반 작업자의 키보다는 높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원줄(20)에 매달린 가짓줄(21)의 양식물을 채취하거나 부자(22)를 추가로 설치하는 등의 작업이 작업자의 눈높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프레임(100)은 상기 작업선(10)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선(10)의 갑판에 힌지(12)를 설치하고,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하단에는 상기 힌지에 결합되는 플랜지(110)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12)를 회전 중심으로 몸체프레임(100)이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해양 작업이 수행되지 않는 작업선(10)의 정박시 혹은, 작업선(10)의 운항시(비작업 운항)에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이 작업선(10)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정박 중 혹은, 이동 중 여타 작업선이나 어구와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선(10)의 갑판 및 몸체프레임(100)에는 경사용 실린더(101)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용 실린더(101)는 몸체프레임(1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해당 경사용 실린더(101)의 플런저(102)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경사용 실린더(101)의 동작으로 상기 몸체프레임(100)이 기울어지거나 혹은, 세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해상에 설치되는 원줄(20)을 인양하는 구성이다.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어느 한 둘레측 벽면(해양측 벽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201)에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프레임(201)과 함께 승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어느 한 둘레측 벽면(작업선의 이동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측의 벽면)은 중앙측 부위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프레임(201)은 상기 몸체프레임(100) 내의 상기 벽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프레임(201)의 중앙측 부위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상기 개방된 중앙측 부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두 구름롤러(211,212)와, 상기 각 구름롤러(211,2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프레임(221,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각각의 롤러 구동모터(213,214)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단(223)이 서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연결단(223)은 회전핀(224)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은 상기 회전핀(224)을 중심으로 일단(혹은, 타단)이 서로 인접되거나 혹은, 서로 멀어지도록 동작된다. 원줄(20)은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의 상단에 얹힌 상태로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선택적으로 이격되거나 혹은, 인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원줄(20)을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에 얹거나 혹은,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가 서로의 대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에는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가 서로 이격되거나 혹은,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동작되는 동작실린더(23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두 구름롤러(211,212)가 이격되거나 인접되는 것이 아니라 동작실린더(230)에 의해 두 구름롤러(211,212)가 이격되거나 인접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실린더(230)에는 어느 한 롤러프레임(221)의 타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해당 동작실린더(230)의 플런저(231)는 다른 한 롤러프레임(222)의 타단이 고정된다. 즉, 동작실린더(230)의 구동에 의한 플런저(231)의 인출 혹은, 인입 동작에 의해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타단이 서로 인접되거나 혹은, 이격되고, 이로써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일단에 위치된 두 구름롤러(211,212)가 서로 이격되거나 혹은, 인접된다. 예컨대, 플런저의 인출 동작에 의해 두 롤러프레임의 타단은 이격되고,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일단에 위치된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 인접된다. 반대로, 플런저(231)의 인입 동작에 의해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타단은 인접되고,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일단에 위치된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 이격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모듈(300)은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승강모듈(300)의 동작에 의해 몸체프레임(100)을 따라 승강 이동된다.
이러한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은 예컨대, 유압모터나 유압실린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유압모터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승강 이동 거리가 충분한 반면,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승강 이동을 위한 동작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승강 이동을 위한 동작 시간이 짧은 반면,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승강 이동 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할 경우 야기되는 승강 이동 거리의 단점을 복수의 안내롤러(331,332,333,334,335)를 이용하여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면서도 충분한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상승 이동 혹은, 하강 이동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모듈(300)은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와 연결로프(320) 및 복수의 안내롤러(331,332,333,334,3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는 상기 몸체프레임(100) 내의 설치공간에 상하로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상측으로 플런저(311)가 돌출 혹은,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로프(320)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는 금속재질의 와이어이다.
첨부된 도 2와 같이 연결로프(320)는 일단이 상기 몸체프레임(100) 내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프(320)의 일단은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내부 중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보다 낮고 몸체프레임(100) 내의 바닥보다는 높은 위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331,332,333,334,335)는 상기 연결로프(320)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이다. 특히, 상기 각 안내롤러(331,332,333,334,335)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를 이루는 플런저(311)의 동작 거리가 짧더라도 연결로프(320)의 당김 거리가 충분히 길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됨으로써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짧은 동작시간과 긴 승강 거리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롤러(331,332,333,334,335)는 상기 플런저(311)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연결로프(320)가 경유하는 제1안내롤러(331)와, 상기 제1안내롤러(331)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1안내롤러(331)를 경유한 연결로프(320)가 경유하는 제2안내롤러(332)와, 상기 제2안내롤러(332)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2안내롤러(332)를 경유한 연결로프(320)가 경유하는 제3안내롤러(333)와, 상기 제2안내롤러(332)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3안내롤러(333)를 경유한 연결로프(320)가 경유하는 제4안내롤러(334)와, 상기 제1안내롤러(331) 및 제3안내롤러(333)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4안내롤러(334)를 경유한 연결로프(320)가 경유하는 제5안내롤러(3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3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331)의 상단에는 설치플레이트(312)가 구비되고, 상기 제1안내롤러(331)와 상기 제3안내롤러(333)는 상기 설치플레이트(312)의 상면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저면은 상기 몸체프레임(100) 내의 바닥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2안내롤러(332)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3안내롤러(331,333)와 상기 제2안내롤러(332)를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어서 그 만큼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승강 이동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안내롤러(332)와 제3안내롤러(333)의 추가 제공에 의해 단순히 제1안내롤러와 제4안내롤러 및 제5안내롤러(335)만 제공될 경우보다 두 배 정도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더욱 길게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4안내롤러(334)는 상기 몸체프레임(100) 내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5안내롤러(335)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승강 이동 거리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전술된 각 안내롤러(331,332,333,334,335)의 배치에 의해 플런저(311)의 동작 거리보다 3배 혹은, 그 이상의 거리를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승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안내롤러(332)와 상기 제4안내롤러(334)는 연결로프(320)의 연결 방향을 고려하여 경사지게(제1안내롤러와 제3안내롤러에 대하여 좌 혹은, 우측으로 뒤틀리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안내롤러(332)와 제4안내롤러(334)는 제1안내롤러(331) 혹은, 제2안내롤러(332)와는 다른 방향을 향하여 연결로프(320)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안내롤러(332) 혹은, 제4안내롤러(334)로부터 여타 안내롤러로 연결되는 연결로프(320)가 급격히 꺽이면서 야기되는 동작 소음이나 부하 증가 혹은, 마모 등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줄 인양장치의 동작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줄 인양장치의 비 사용시에는 몸체프레임(100)이 작업선(10) 내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몸체프레임(100)의 기울어짐은 경사용 실린더(101)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작업선(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해당 작업선(10)의 정박 중 혹은, 이동 중에는 원줄 인양장치(200)가 사용되지 않으며, 이의 경우에는 몸체프레임(100)이 작업선(10)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해당 작업선(10)의 정박 중 혹은, 이동 중 여타 작업선이나 어구와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원줄 인양장치의 비사용시 상태에서 해당 원줄 인양장치가 사용될 경우에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초기상태를 이루도록 동작된다.
이러한 작업 초기상태는 몸체프레임(100)이 작업선(10)의 갑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이다. 이를 위해, 경사용 실린더(101)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이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동작된다.
또한, 상기 작업 초기상태에서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상기 몸체프레임(100) 중 미리 설정된 최저 높이에 이르기까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최저 높이는 상기 몸체프레임(100) 중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이동될 수 있는 최저 높이가 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승강모듈(300)을 이루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는 최대한 인입되도록 동작된다. 즉, 상기 플런저(311)가 최대로 인입되면서 설치플레이트(312)가 하향 이동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제1안내롤러(331)와 제2안내롤러(332) 사이의 거리, 제3안내롤러(333)와 제4안내롤러(334) 사이의 거리는 각각 최대한 가까워진 상태를 이룬다. 이로써 제5안내롤러(335)를 경유하여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에 이르기까지의 연결로프(320)는 최대한 긴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최저 높이에 위치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물론, 원줄 인양장치의 비사용시에도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몸체프레임(100)의 최저 높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이루는 두 구름롤러(211,212)는 동작실린더(230)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의 사이로 원줄(20)이 통과될 정도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한 작업 초기상태에서 작업자는 원줄(20)을 건져올려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원줄(20)은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의 이격부위를 통과하여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이루는 동작실린더(230)가 동작되면서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 인접된다. 이때,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의 사이로 원줄(20)이 통과하지는 않으면서도 가짓줄(혹은, 부자와의 연결줄)(21)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에 원줄(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승강모듈(300)이 동작되면서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점차 상승 이동시키게 된다.
즉, 승강모듈(300)을 이루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가 동작되면서 그의 플런저(311)를 인출시킴에 따라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점차 상승 이동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해 플런저(311)가 점차 인출되면서 설치플레이트(312)가 상승 이동되어, 상기 설치플레이트(312)에 구비된 제1안내롤러(331)와 높이조절용 실린더(310) 저부의 제2안내롤러(332) 사이의 거리, 설치플레이트(312)에 구비된 제3안내롤러(333)와 몸체프레임(310)의 바닥에 위치된 제4안내롤러(334) 사이의 거리는 점차 멀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각 안내롤러(331,332,333,334) 간의 거리가 점차 멀어짐으로 인해 제5안내롤러(335)를 경유하는 부위로부터 승강프레임(201)에 이르기까지의 연결로프(320)의 길이는 점차 짧아진다. 이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로프(320)의 길이 변동에 의해 승강프레임(201)은 몸체프레임(100)의 벽면을 따라 점차 상승 이동되고, 상기 승강프레임(201)에 연결된 인양용 롤러모듈(200) 역시 점차 상승 이동된다. 이로써 원줄(20)은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에 위치된 부위를 기준으로 점차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점차 상승 이동시키는 도중 원줄(20)이 적정 높이에 위치될 경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해당 높이로 원줄(20)이 유지된다. 이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원줄(20)의 상승 높이는 작업상의 필요에 따라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써, 원줄(20)에 별도의 부자(22)를 추가로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원줄(20)이 대략 눈높이 위치에 이르도록 상승된다.
다른 예로써, 가짓줄(21)에 양식중인 양식물을 채취할 경우 상기 양식물이 대략 눈높이에 이르도록 원줄(20)이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한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상승 이동에 의해 작업자는 허리를 굽히거나 업드리는 등과 같이 불편한 자세로 작업하지 않고 앉거나 혹은, 일어선 상태에서 편안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당 장소에서의 작업이 완료되면 그 다음 작업 위치로 작업선(10)이 이동된다.
이러한 작업선(10)의 이동시에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해 플런저(311)가 점차 인입되면서 설치플레이트(312)를 하강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설치플레이트(312)에 구비된 제1안내롤러(331)와 제3안내롤러(333)는 각각 제2안내롤러(332)와 제4안내롤러(334)에 가까워지며, 제5안내롤러(335)를 경유하는 부위로부터 승강프레임(201)에 이르기까지의 연결로프(320)의 길이는 점차 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몸체프레임(100)에 대하여 하강 이동되면서 원줄(20)의 높이도 점차 낮아지고, 상기 원줄(20)의 꺽임은 점차 줄어든다. 이때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작업선(10)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원줄(20)이 끊어지거나 혹은, 원줄(20)에 가해지는 부하로 인한 손상 발생 우려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 이르도록 하강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하강 이동에 의해 같이 원줄(20)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에서 작업선(10)은 상기 원줄(2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된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선(10)이 일정 거리 이동된 이후에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으로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다시금 상승되어 원줄(20)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편안한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해상 작업이 완료되면 높이조절용 실린더(310)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최저 높이에 이르도록 동작되며, 이의 상태에서 동작실린더(230)의 동작으로 두 구름롤러(211,212)는 원줄(20)이 통과될 정도로 이격된다. 이로써 원줄(20)은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로부터 이탈되어 다시금 해상에 설치된다.
또한, 해당 작업선(10)이 작업을 완료하고 이동할 때에는 몸체프레임(100)이 작업선(10) 내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써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작업선(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이루면서 여타 작업선의 어구나 인양용 롤러모듈과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몸체프레임(100)에 대하여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원줄(20)이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에 걸쳐진 상태에서 최대한 낮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작업선(10)이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몸체프레임(100)이 기울어짐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비작업시 몸체프레임(100)을 작업선(10)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일반적인 비사용 상태에서 인양용 롤러모듈(20)이 여타 선박(작업선)이나 어구와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5개의 안내롤러(331,332,333,334,335)가 높이조절용 실린더(310)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교대로 위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연결로프(320)의 이동 거리를 최대한 늘릴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플런저(311)에는 설치플레이트(312)가 구비되고,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보다 높게 위치되는 두 안내롤러(제1안내롤러 및 제3안내롤러)(331,333)는 상기 설치플레이트(312)에 설치된 상태로 동시에 승강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단일의 높이조절용 실린더(310)로도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이동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10. 작업선 12. 힌지
20. 원줄 21. 가짓줄
22. 부자
100. 몸체프레임 101. 경사용 실린더
110. 플랜지 200. 인양용 롤러모듈
201. 승강프레임 211,212. 구름롤러
213,214. 롤러 구동모터 221,222. 롤러프레임
223. 연결단 230. 동작실린더
300. 승강모듈 310. 높이조절용 실린더
312. 설치플레이트 320. 연결로프
331,332,333,334,335. 안내롤러

Claims (5)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작업선의 갑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의 외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상에 설치되는 원줄이 지나도록 설치되는 인양용 롤러모듈;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을 승강하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모듈은,
    상기 몸체프레임 내의 설치공간에 상하로 세워지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측으로 플런저가 돌출 혹은, 인입되도록 구성된 높이조절용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몸체프레임 내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에 연결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연결로프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는
    상기 플런저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1안내롤러와,
    상기 제1안내롤러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1안내롤러를 경유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2안내롤러와,
    상기 제2안내롤러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2안내롤러를 경유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3안내롤러와,
    상기 제2안내롤러보다 낮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3안내롤러를 경유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4안내롤러와,
    상기 제1안내롤러 및 제3안내롤러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4안내롤러를 경유한 연결로프가 경유하는 제5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단에는 설치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안내롤러와 상기 제3안내롤러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의 상면 양 측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저면은 상기 몸체프레임 내의 바닥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2안내롤러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의 저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몸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4안내롤러는 상기 몸체프레임 내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5안내롤러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은
    상기 작업선의 내측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1020210140559A 2021-10-20 2021-10-20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102629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59A KR102629432B1 (ko) 2021-10-20 2021-10-20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559A KR102629432B1 (ko) 2021-10-20 2021-10-20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489A KR20230056489A (ko) 2023-04-27
KR102629432B1 true KR102629432B1 (ko) 2024-01-24

Family

ID=8610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559A KR102629432B1 (ko) 2021-10-20 2021-10-20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4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49Y1 (ko) 2005-11-22 2006-02-17 조영안 통발 인양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122A (en) 1990-02-26 1991-08-27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spreading a tow of fibers
KR100252041B1 (ko) 1997-10-30 2000-04-15 윤종용 캐리어 내에서의 웨이퍼 로딩 상태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318862B1 (ko) 1999-11-08 2001-12-29 조석기 양식굴 온수처리기
KR100719838B1 (ko) * 2006-03-13 2007-05-21 이덕주 낚시 줄 자동 권취 장치
KR100745209B1 (ko) * 2006-07-31 2007-08-02 이상철 수산물 인양기
KR101196516B1 (ko) * 2011-02-08 2012-11-01 임태계 선박의 주낙장치
KR20140126796A (ko) * 2013-04-22 2014-11-03 진용부 양식용 원줄 인양장치
KR102578107B1 (ko) * 2019-12-23 2023-09-13 허정규 로프 자동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49Y1 (ko) 2005-11-22 2006-02-17 조영안 통발 인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489A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29225B (zh) 一种鱼类捕捞起运装置及方法
KR200454855Y1 (ko) 양식 수산물용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채취선
US20190135590A1 (en) Offshore platform lifting device
US20200305350A1 (en) Kelp harvester
CN111411619A (zh) 一种自升式多功能海洋平台及其操作方法
US3857248A (en) Platform leveling device
CN211657173U (zh) 鲍鱼养殖网箱的提升系统
KR20130012414A (ko) 양식장 관리장치
KR102629432B1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JP2017007628A (ja) 小型艇揚収装置
KR101068012B1 (ko) 요트 인양 크레인
CN210474801U (zh) 一种废旧铜线表面清洗浸泡装置
KR102515588B1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10139449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CN216232834U (zh) 一种打桩船用锚缆钢丝绳快速调整装置
CN215380821U (zh) 半潜式深海养殖船捕捞装置
KR20230126952A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20230097662A (ko) 근해 어업용 어획물 분리 자동화 시스템
KR20230109006A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CN206691338U (zh) 水面污物打捞系统
KR200459629Y1 (ko) 수산물용 로프 인양장치
JP2782621B2 (ja) 魚の船上引揚装置
CN214348075U (zh) 清洗滑移组件以及水上平台
CN215123367U (zh) 一种用于渔业艇的柔性网箱
CN215629826U (zh) 打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