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6952A -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6952A
KR20230126952A KR1020220024422A KR20220024422A KR20230126952A KR 20230126952 A KR20230126952 A KR 20230126952A KR 1020220024422 A KR1020220024422 A KR 1020220024422A KR 20220024422 A KR20220024422 A KR 20220024422A KR 20230126952 A KR20230126952 A KR 20230126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line
work
lifting devic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유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102022002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6952A/ko
Publication of KR20230126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8Trotlines, longlines; Accessories therefor, e.g. baiting devices, lifters or setting reel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14Fishing vessels
    • B63B35/16Traw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은 인양용 롤러모듈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프레임이 작업선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원줄 인양장치의 비사용시나 작업선의 이동시 인양용 롤러모듈이 작업선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rope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해양 작업선에서 로프를 인양하여 작업을 수행할 경우 사용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양식되는 수산물 중 패류(예컨대, 굴, 가리비, 전복 등)나 해초목(예컨대, 멍게 등) 혹은, 해조류(예컨대, 미역 등)은 원줄에 연결된 다수의 가짓줄을 이용하여 양식한다.
통발의 경우도 원줄에 연결된 각 가짓줄에 연결되면서 바닷속에 잠긴 상태로 어류(예컨대, 장어 등)를 어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양식 수산물을 채취하거나 혹은, 통발의 설치, 부자(浮子)의 추가 설치 등과 같은 다양한 원줄 관련 작업시에는 바다에 설치된 원줄을 작업선 위로 들어올린다. 즉, 원줄을 해양 작업선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작업선에 승선한 작업자가 양식 수산물이나 통발을 설치 또는, 채취하는 것이다.
특히, 소규모의 양식 작업장이 아닌 대규모의 양식 작업장에는 상면에 인양안내대가 설치된 바지선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예컨대,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2843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4747호, 공개특허공보 특2001-0045800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안내롤러가 설치된 인양안내대를 바지선의 상면에 설치하고, 크레인 혹은, 별도의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원줄을 상기 안내롤러에 얹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로써, 많은 양의 양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경우 각 가짓줄에 매달린 통발이나 양식 수산물이 작업에 편리한 높이에 이르도록 원줄을 들어올림에 따라 수면으로부터 안내롤러까지의 경사가 급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로써 바지선을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작업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웠다.
또한, 최근에는 바지선의 상면 중 최대한 어느 한 측부에 작업대를 구비하고, 이 작업대의 외면에 안내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이 바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는 안내롤러가 바지선의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해당 바지선의 측편을 지나는 또 다른 선박의 어구나 인양장비와의 부딪힘 우려가 존재하였던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공보 실1992-0002843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4747호 공개특허공보 특2001-0045800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원줄을 원하는 높이에 이르기까지 자유롭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줄 인양장치의 인양용 롤러모듈이 비사용시 작업선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 선박과의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원줄이 지나도록 설치되는 인양용 롤러모듈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프레임은 작업선의 상면에 대하여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몸체프레임은 인양용 롤러모듈이 해상 혹은, 작업선 내부를 향해 바닥프레임의 상면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몸체프레임이 수평 이동되도록 동작시키는 전후이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바닥프레임과 몸체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이동안내부는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몸체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안내홈을 따라 구름 동작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전후이동부는, 바닥프레임의 상면 중 상기 몸체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면서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런저의 끝단이 몸체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따르면, 전후이동부는,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랙기어를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인양용 롤러모듈이 몸체프레임에 대하여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원줄이 인양용 롤러모듈의 두 구름롤러 사이에 걸쳐진 상태에서 최대한 낮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작업선이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몸체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비작업시 인양용 롤러모듈을 작업선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일반적인 비사용 상태에서 인양용 롤러모듈이 여타 선박(작업선)이나 어구와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전후이동부가 몸체프레임의 측부에 위치된 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전후이동부로 인한 작업자의 이동에 대한 방해 혹은, 인양장치 후방에서의 작업에 대한 방해는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일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C”부 확대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각 안내롤러에 연결로프가 연결되는 상태의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전후이동부에 의한 몸체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사용시 설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일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전후이동부에 대한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또한,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일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의 평면도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이하, “원줄 인양장치”라 함)(3)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해양 작업시에만 작업선 외부인 해상으로 노출되게 위치되고, 이동시나 비작업시에는 작업선(1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줄 인양장치(3)는 바닥프레임(101)과 몸체프레임(100)과 인양용 롤러모듈(200) 및 전후이동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바닥프레임(101)은 원줄 인양장치(3)의 기초가 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바닥프레임(101)에 여타의 각 구성요소들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프레임(101)은 작업선(10)과는 별개로 제공되면서 상기 작업선(10)의 상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원줄 인양장치(3)를 작업 용도나 작업선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바닥프레임(101)은 작업선(10)의 상면 중 일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작업선(10)의 상면 중 일부를 바닥프레임(101)으로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프레임(100)은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몸체프레임(100)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관체 또는,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프레임(100)은 상기 바닥프레임(101)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높이는 해양 작업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원줄(20)에 매달린 가짓줄(21)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높이가 더욱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몸체프레임(100)은 상기 작업선(10)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해당 작업선(10)의 상면 중 어느 한 측부(항해 방향과는 수직한 측 부위)에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혹은, 상기 측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이동에 의해 해당 몸체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해상에 위치되거나 혹은, 작업선(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원줄 인양장치(3)의 비사용시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작업선(10)의 측벽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원줄 인양장치(3)를 사용할 경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작업선(10)의 측부로부터 해상을 향해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프레임(100)의 이동을 위해, 상기 몸체프레임(100)은 바닥프레임(101)의 상면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바닥프레임(101)과 몸체프레임(100) 사이에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부(1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이동안내부(120)에 의해 상기 몸체프레임(100)이 바닥프레임(101)의 상면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안내부(12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안내부(120)는 서로 맞물리면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21)과 구름부재(1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101)의 상면에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안내홈(121)을 요입 형성하고,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바닥에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내홈(121)에 요입된 상태로 안내홈(121)을 따라 구름 동작되는 구름부재(122)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름부재(122)는 롤러가 될 수도 있고, 볼(ball)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동안내부(120)는 바닥프레임(101)의 상면과 몸체프레임(100)의 저면에 서로 맞물리도록 대응 형성되는 요부 및 돌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동안내부(120)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이 바닥프레임(101)으로부터 정해진 경로를 따라 정확히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안내부(120)는 몸체프레임(100)의 이동시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안내부(120)는 몸체프레임(100)의 하단 양 측벽면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안내돌기(123)와, 상기 바닥프레임(101)의 상면 양 측에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각 안내돌기(123)를 파지하는 파지가이드(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가이드(124)는 상기 안내돌기(123)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해상에 설치되는 원줄(20)을 인양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어느 한 둘레측 벽면(해양측 벽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프레임(201)에 결합되면서 상기 승강프레임(201)과 함께 승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전면(바다를 향하는 벽면) 중앙측 부위는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강프레임(201)은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전면 개방 부위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승강프레임(201)의 후단측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몸체프레임(100) 내에 위치되고, 선단은 상기 개방 부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두 구름롤러(211,212)와, 상기 각 구름롤러(211,2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프레임(221,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각각의 롤러 구동모터(213,214)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일단에 서로 마주보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중앙측 부위에는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단(223)이 서로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 연결단(223)은 회전핀(224)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은 상기 회전핀(224)을 중심으로 일단(혹은, 타단)이 서로 인접되거나 혹은, 서로 멀어지도록 동작된다. 원줄(20)은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의 상단에 얹힌 상태로 경유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선택적으로 이격되거나 혹은, 인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원줄(20)을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에 얹거나 혹은,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가 서로의 대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에는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가 서로 이격되거나 혹은,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동작되는 동작실린더(23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두 구름롤러(211,212)가 이격되거나 인접되는 것이 아니라 동작실린더(230)에 의해 두 구름롤러(211,212)가 이격되거나 인접되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실린더(230)에는 어느 한 롤러프레임(221)의 타단이 고정됨과 더불어 해당 동작실린더(230)의 플런저(231)는 다른 한 롤러프레임(222)의 타단이 고정된다. 즉, 동작실린더(230)의 구동에 의한 플런저(231)의 인출 혹은, 인입 동작에 의해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타단이 서로 인접되거나 혹은, 이격되고, 이로써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일단에 위치된 두 구름롤러(211,212)가 서로 이격되거나 혹은, 인접된다. 예컨대, 플런저(231)의 인출 동작에 의해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타단은 이격되고,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일단에 위치된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 인접된다. 반대로, 플런저(231)의 인입 동작에 의해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타단은 인접되고, 상기 두 롤러프레임(221,222)의 일단에 위치된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 이격된다.
한편,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승강모듈(300)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와 도 5,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승강모듈(300)은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와 연결와이어(320) 및 복수의 안내롤러(331,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한 연결와이어(320)의 당김 혹은, 풀림으로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몸체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상승 이동되거나 혹은, 몸체프레임(100)의 하측으로 하강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는 상기 몸체프레임(100) 내의 설치공간에 상하로 세워지도록 설치되며, 하부를 향해 플런저(311)가 돌출 혹은,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와이어(320)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승강시키도록 연결되는 금속재질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320)의 일단은 상기 몸체프레임(100) 내의 어느 한 부위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각 안내롤러(331,33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에 연결된다. 예컨대, 상기 연결와이어(320)의 일단은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상단(혹은, 상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안내롤러(331,332)는 상기 연결와이어(320)가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구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각 안내롤러(331,332)는 상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 끝단에 설치되는 제1안내롤러(331)와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안내롤러(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연결와이어(320)는 상기 제1안내롤러(331)와 제2안내롤러(33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후이동부(400)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을 바닥프레임(혹은, 작업선의 상면)(101)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상기 전후이동부(400)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해상으로 노출되거나 혹은, 작업선(10) 내측에 위치되도록 전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비작업시 작업선(10) 주위를 지나는 여타 선박이나 어구 등에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부딪혀 손상되거나 혹은, 손상시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 2와 도 3, 도 5, 도 6,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400)는 실린더(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10)는 상기 바닥프레임(101)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런저(411)의 끝단이 상기 몸체프레임(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410)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측부에 위치되면서 그의 플런저(411)가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측면에 연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린더(410)의 배치는 원줄 인양장치(3)의 후방측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실린더(410)를 몸체프레임(100)의 측부에 배치함으로써 실린더(410)를 몸체프레임(100)의 후방에 배치할 경우보다 몸체프레임(410)의 후방측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양 측으로는 원줄(20)이 지나기 때문에 바닥측에 실린더(410)가 배치되더라도 작업 공간의 손실은 없다. 이로써 몸체프레임(100)의 양 측 중 어느 한 부위에 실린더(410)를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실린더(410)는 몸체프레임(100)의 후방측(몸체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해상과는 반대의 방향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는 몸체프레임(100)의 측부 공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고자 할 때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410)는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고,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410)가 하나만 제공될 경우 상기 실린더(410)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기준으로 볼 때 원줄(20) 인출측(정면에서 봤을 때 좌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는 작업자가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원줄 인입측(정면에서 봤을 때 우측)에서 주로 작업함을 고려할 때 작업시 상기 실린더(410)에 의한 간섭 등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실린더(410)가 두 개로 구성될 경우 상기 두 실린더(410)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양 측부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줄 인양장치(3)의 동작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줄 인양장치(3)의 비 사용시에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작업선(10) 내측에 위치되도록 몸체프레임(100)이 이동된다.
이러한 몸체프레임(100)의 이동은 실린더(410)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린더(410)의 구동에 의해 플런저(411)가 인출 동작됨에 따라 몸체프레임(100)이 작업선 내측으로 이동되고, 이로써 몸체프레임(100)에 설치된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작업선(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를 이룬다.
즉, 해당 작업선(10)의 정박 중 혹은, 이동 중에는 원줄 인양장치(3)가 사용되지 않으며, 이의 경우에는 몸체프레임(100)이 작업선(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작업선(1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해당 작업선(10)의 정박 중 혹은, 이동 중 여타 작업선이나 어구와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2와 같다.
한편, 전술된 원줄 인양장치(3)의 비사용시 상태(혹은, 비작업 상태)에서 원줄 인양장치(3)가 사용될 경우에는 첨부된 도 2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초기상태를 이루도록 동작된다.
이러한 작업 초기상태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해상으로 노출되도록 위치된다.
이를 위해, 실린더(410)는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설치된 몸체프레임(100)이 전진 이동되도록 동작된다. 즉, 실린더(410)의 동작으로 플런저(411)가 인입되도록 동작됨으로써 상기 몸체프레임(100)에 설치된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작업선(10)의 측벽을 벗어나 해상으로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업 초기상태에서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상기 몸체프레임(100) 중 미리 설정된 최저 높이에 이르기까지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최저 높이는 상기 몸체프레임(100) 중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이동될 수 있는 최저 높이가 될 수 있다. 이는 첨부된 도 2와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의 경우, 승강모듈(300)을 이루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플런저(311)는 최대한 인입되도록 동작된다. 즉, 상기 플런저(311)가 최대로 인입됨에 따라 연결와이어 중 몸체프레임(100)의 고정 부위로부터 제1안내롤러(331)를 지나 제2안내롤러(332)에 이르기까지의 거리는 최소화되고, 제2안내롤러(332)를 지나 인양용 롤러모듈(200)에 이르기까지의 거리는 최대화되기 때문에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최저 높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작업 초기상태에서는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이루는 두 구름롤러(211,212)는 동작실린더(230)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의 사이로 원줄(20)이 통과될 정도로 이격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원줄(20)을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의 이격 부위에 통과시킨 후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의 상태에서,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이루는 동작실린더(23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 인접된다. 이때,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는 서로의 사이로 원줄(20)이 통과하지는 않으면서도 가짓줄(혹은, 부자와의 연결줄)(21)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에 원줄(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승강모듈(300)이 동작되면서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점차 상승 이동시키게 된다.
즉, 승강모듈(300)을 이루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가 동작되면서 그의 플런저(311)를 인출시킴에 따라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점차 상승 이동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해 플런저(311)가 점차 인출되면서 제1안내롤러(331)가 하강 이동된다. 이로써 연결와이어(320) 중 몸체프레임(100)의 고정 부위로부터 제1안내롤러(331)를 지나 제2안내롤러(332)에 이르기까지의 거리는 최대화되고, 제2안내롤러(332)를 지나 인양용 롤러모듈(200)에 이르기까지의 거리는 최소화되기 때문에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최고 높이에 위치된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8과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점차 상승 이동시키는 도중 원줄(20)이 적정 높이에 위치될 경우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해당 높이로 원줄(20)이 유지된다.
이때, 상기 원줄(20)의 상승 높이는 작업상의 필요에 따라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원줄(20)에 별도의 부자(22)를 추가로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원줄(20)이 대략 눈높이 위치에 이르도록 상승되고, 가짓줄(21)에 양식중인 양식물을 채취할 경우 상기 양식물이 대략 눈높이에 이르도록 원줄(20)이 상승된다.
따라서, 상기한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상승 이동에 의해 작업자는 허리를 굽히거나 업드리는 등과 같이 불편한 자세로 작업하지 않고 앉거나 혹은, 일어선 상태에서 편안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당 장소에서의 작업이 완료되면 그 다음 작업 위치로 작업선(10)이 이동된다.
이러한 작업선(10)의 이동시에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에 의해 플런저(311)가 점차 인입되면서 제1안내롤러(312)를 상승 이동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설치플레이트(312)에 구비된 제1안내롤러(331)가 상승되며, 제2안내롤러(332)를 경유하는 부위로부터 승강프레임(201)에 이르기까지의 연결로프(320)의 길이는 점차 길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몸체프레임(100)에 대하여 하강 이동되면서 원줄(20)의 높이도 점차 낮아지고, 상기 원줄(20)의 꺽임은 점차 줄어든다. 이때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은 작업선(10)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원줄(20)이 끊어지거나 혹은, 원줄(20)에 가해지는 부하로 인한 손상 발생 우려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 이르도록 하강 이동된다. 이는 첨부된 도 2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하강 이동에 의해 같이 원줄(20)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에서 작업선(10)은 상기 원줄(2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된다.
계속해서, 상기 작업선(10)이 일정 거리 이동된 이후에는 높이조절용 실린더(310)의 동작으로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다시금 상승되어 원줄(20)의 높이가 높아짐으로써 편안한 작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된 과정에 의해 모든 해상 작업이 완료되면 높이조절용 실린더(310)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최저 높이에 이르도록 동작되며, 이의 상태에서 동작실린더(230)의 동작으로 두 구름롤러(211,212)는 원줄(20)이 통과될 정도로 이격된다. 이로써 원줄(20)은 상기 두 구름롤러(211,212)로부터 이탈되어 다시금 해상에 설치된다.
또한, 해당 작업선(10)이 작업을 완료하고 이동할 때에는 실린더(410)가 인양용 롤러모듈이 작업선(1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동작된다. 즉, 첨부된 도 10과 같이 전후이동부(실린더)(400)의 동작으로 플런저(411)가 인출되면서 몸체프레임(100)을 작업선(10) 내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작업선(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이로써 해당 작업선(10)의 이동 중 여타 작업선의 어구나 인양용 롤러모듈(200)과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3)는 인양용 롤러모듈(200)이 몸체프레임(100)에 대하여 승강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원줄(20)이 인양용 롤러모듈(200)의 두 구름롤러(211,212) 사이에 걸쳐진 상태에서 최대한 낮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작업선(10)이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3)는 몸체프레임(100)이 작업선(10)의 상면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비작업시 인양용 롤러모듈(200)을 작업선(10)의 내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일반적인 비사용 상태에서 인양용 롤러모듈(20)이 여타 선박(작업선)이나 어구와의 부딪힘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실린더(410)는 몸체프레임(100)의 측부에 위치된 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몸체프레임(100)의 후방측 작업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원줄 인양장치는 전술된 실시예와는 다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전후이동부(400)는 구동모터(420)를 이용하여 몸체프레임(10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바닥프레임(101)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랙기어(430)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420)는 상기 몸체프레임(100)의 어느 한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420)에는 피니언기어(421)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피니언기어(421)는 상기 랙기어(430)에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랙기어(430)는 작업선(10)의 상면에서 작업선(10)의 이동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작업선 측부의 해상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이로써, 구동모터(420)의 구동에 따른 피니언기어(421)의 회전으로 상기 피니언기어(421) 및 구동모터(420)는 상기 랙기어(430)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구동모터(420)가 고정된 몸체프레임(100) 역시 상기 랙기어(43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는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1. 작업선 20. 원줄
21. 가짓줄 22. 부자
100. 몸체프레임 101. 바닥프레임
102. 삽입관 103. 돌출플랜지
104. 커버부재 110. 회전단
120. 회전지지부 200. 인양용 롤러모듈
201. 승강프레임 211,212. 구름롤러
213,214. 롤러 구동모터 221,222. 롤러프레임
223. 연결단 230. 동작실린더
300. 승강모듈 310. 높이조절용 실린더
312. 설치플레이트 320. 연결로프
331,332. 안내롤러 400. 회전구동부
411. 플런저

Claims (5)

  1. 작업선의 상면에 제공되는 바닥프레임;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몸체프레임;
    상기 몸체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해상에 설치되는 원줄이 지나도록 설치되는 인양용 롤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프레임은 상기 인양용 롤러모듈이 해상 혹은, 작업선 내부를 향해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몸체프레임이 수평 이동되도록 동작시키는 전후이동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과 몸체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안내부는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상기 몸체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따라 요입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안내홈을 따라 구름 동작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 중 상기 몸체프레임의 측부에 설치되면서 끝단으로부터 돌출되는 플런저의 끝단이 상기 몸체프레임의 측면에 연결되는 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며, 회전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면서 상기 랙기어를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몸체프레임의 어느 한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1020220024422A 2022-02-24 2022-02-24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20230126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422A KR20230126952A (ko) 2022-02-24 2022-02-24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422A KR20230126952A (ko) 2022-02-24 2022-02-24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952A true KR20230126952A (ko) 2023-08-31

Family

ID=87847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422A KR20230126952A (ko) 2022-02-24 2022-02-24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695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843A (ko) 1990-07-18 1992-02-28 원본미기재 섬유의 토우(tow)를 펴는(spread)방법과 체계
KR19990034747A (ko) 1997-10-30 1999-05-15 윤종용 캐리어 내에서의 웨이퍼 로딩 상태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10045800A (ko) 1999-11-08 2001-06-05 조석기 양식굴 온수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843A (ko) 1990-07-18 1992-02-28 원본미기재 섬유의 토우(tow)를 펴는(spread)방법과 체계
KR19990034747A (ko) 1997-10-30 1999-05-15 윤종용 캐리어 내에서의 웨이퍼 로딩 상태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10045800A (ko) 1999-11-08 2001-06-05 조석기 양식굴 온수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526B1 (ko) 양식줄 인양장치
US8413609B2 (en) Device for colonizing and harvesting marine hardground animals
CN214961963U (zh) 一种养殖网箱捕捞升降装置
KR200454855Y1 (ko) 양식 수산물용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채취선
KR20230126952A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101834549B1 (ko) 어선용 양망기
KR20230109006A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KR102515588B1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CN212414207U (zh) 一种具有发酵床的生猪饲养猪舍
CN212368203U (zh) 一种海肠采捕船
CN210157879U (zh) 一种捕鱼船
KR102629432B1 (ko) 해양 작업선용 원줄 인양장치
CN108377986A (zh) 一种水产品捕捞设备及其制造方法
CN216931498U (zh) 一种捕捞网
KR20200016105A (ko) 부류식 물김 자동 채취장치
CN211910159U (zh) 一种可自动清洗的青虾培育池
CN114128682A (zh) 一种鲽鱼捕捞装置及其捕捞方法
KR200459629Y1 (ko) 수산물용 로프 인양장치
CN215123367U (zh) 一种用于渔业艇的柔性网箱
KR101427464B1 (ko) 수산물용 원줄 인양장치
KR20210029997A (ko) 전복양식장치
CN219891233U (zh) 一种悬浮式地表水环境监测器
KR102606656B1 (ko) 어망 아바 투입 장치
KR102572241B1 (ko)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CN204499113U (zh) 一种可收放型水产养殖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