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241B1 -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241B1
KR102572241B1 KR1020210024988A KR20210024988A KR102572241B1 KR 102572241 B1 KR102572241 B1 KR 102572241B1 KR 1020210024988 A KR1020210024988 A KR 1020210024988A KR 20210024988 A KR20210024988 A KR 20210024988A KR 102572241 B1 KR102572241 B1 KR 102572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water tank
guide
work table
ri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058A (ko
Inventor
김정명
Original Assignee
김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명 filed Critical 김정명
Priority to KR102021002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4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6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temperature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새로운 부자로의 교체없이 해상에서 기존 부자의 부착생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해상에 부유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적어도 일측편에 마련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온수가 수용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전방과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부자가 연결된 수하줄이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면서 수중에 위치하던 원줄을 수조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인양하는 인양기;를 포함하되, 상기 인양기는, 수하줄의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줄을 따라 회전되는 롤러가 구비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작업대가 이동됨으로써, 부자가 수조 내부를 지나며 부자에 부착된 생물이 온수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ttached organism of buoy}
본 발명은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자에 부착된 생물을 손쉽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자(浮子)는 굴, 멍게, 홍합 등의 수산 양식업을 위한 필수 기자재로, 현재 해상 양식업을 함에 약 500만개의 부자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통상 굴, 멍게, 홍합 등을 양식하고자 할 시 사용되는 부자는, 원줄과 연결된 수하줄을 통해 연결되며, 부자가 연결된 수하줄은 원줄에 일정 간격 이격되면서 연결됨에 따라, 원줄은 소정의 간격으로 수중에 부유하는 부자로 인해 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부자에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홍합 등과 같은 생물이 부착되며, 이로 인해 파도에 의한 저항이 발생되고 부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생겨 양식물이 탈락되는 문제가 발생되는바, 일정 주기로 생물이 부착되지 않은 새로운 부자로 교체하여야 한다.
현재 부착생물이 부착된 부자는, 해상에서 새로운 부자로 교체가 이루어진 후, 육지로 운반되어 수개월간 적치하여 건조한 다음, 인력으로 표면을 다듬는 작업을 거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부자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파손 또는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됨은 물론, 건조과정에서 악취 및 해충의 발생, 그리고 연안에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5303호 '양식용 부자 세척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새로운 부자로의 교체없이 해상에서 기존 부자의 부착생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는, 해상에 부유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적어도 일측편에 마련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온수가 수용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전방과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부자가 연결된 수하줄이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면서 수중에 위치하던 원줄을 수조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인양하는 인양기;를 포함하되, 상기 인양기는, 수하줄의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줄을 따라 회전되는 롤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수조의 전방 측에 안내홀이 관통형성되되, 판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수조의 전단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안내홀을 통해 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부자공급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안내홀과 인접한 전단 양측에 외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커지도록 구비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부자를 안내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수조의 후단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작업대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부자배출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자배출로는, 작업대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측편에 가이드벽이 세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는, 전단 상측에 위치하는 부자가 온수에 일정 시간 동안 잠긴 후, 후단 상측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부자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부자 가이드부재는, 부자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봉과, 부자의 양측편에서 부자의 측방 이탈을 방지하는 제2 가이드봉과, 부자의 상측에서 부자의 부유를 방지하는 제3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작업대가 원줄을 따라 이동되므로, 수하줄을 통해 원줄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부자가 인양기에 의해 작업대의 상측으로 인양되어 온수가 담긴 수조 내부를 지나게 되는바, 온수로 인해 부자에 부착된 생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며, 부착생물이 제거된 부자는 수조를 빠져나와 해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새로운 부자로 교체하는 작업없이 해상에서 기존 부자의 부착생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부자의 파손 또는 유실 방지, 연안의 환경오염 방지 효과를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가이드프레임에 의해 부자가 안내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수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수조의 평면과 측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부자 가이드부재에 의해 부자가 수조 내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통해, 부자가 인양된 후 해상으로 배출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에 적용되는 인양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통해, 부자에 부착된 생물이 제거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부자로의 교체없이 해상에서 기존 부자의 부착생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해상에 부유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적어도 일측편에 마련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온수가 수용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전방과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부자가 연결된 수하줄이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면서 수중에 위치하던 원줄을 수조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인양하는 인양기;를 포함하되, 상기 인양기는, 수하줄의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줄을 따라 회전되는 롤러가 구비되어, 롤러의 회전에 따라 작업대가 이동됨으로써, 부자가 수조 내부를 지나며 부자에 부착된 생물이 온수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는, 도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 수조(200), 인양기(300)를 포함하여, 해상에서 양식을 하기 위해 원줄(30)을 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부자(10)에 부착된 생물을 제거하게끔 구성된다. 여기서의 부자(10)는 원줄(30)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된 수하줄(20) 각각에 연결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작업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저면에 부력체(130)가 구비되어, 해상에 부유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100)에서 후술할 수조(200)의 전방 측에 안내홀(110)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작업대(100)의 전단에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수조(200)의 전방에 위치되는 지점까지 소정의 길이만큼 관통되어 안내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홀(110)은 해상에 부유하는 부자(10)가 작업대(100)의 상측으로 올라오기 위해 이동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내홀(110)은 부자(10)의 길이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부자(10)가 안내홀(110) 내측에 위치될 시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대(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에 부유하는 부자(10)를 안내홀(110)로 가이드하게끔 안내홀(110)과 인접한 전단 양측에 가이드프레임(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프레임(120)은 바(bar)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대(100)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구비될 수 있다. 안내홀(110)과 인접한 전단 양측에 구비된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커지도록 구비되어, 수면에 불규칙하게 부유하는 부자(10)가 가이드프레임(120)에 맞닿으면서 안내홀(110)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120)은 작업대(100)의 전단에 힌지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120) 간의 벌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상의 상태, 부자(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두 개의 가이드프레임(120) 간의 벌어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수조(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이루어 내부에 온수가 수용되며, 작업대(100)의 적어도 일측편에 마련된다. 수조(200)에 수용되는 온수는, 일 예로 바닷물을 수용시킨 다음, 수조(200)의 바닥측에 구비된 가열부재(220)를 통해 가열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부자(10)에 부착된 생물이 폐사되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온도는 70 ~ 90℃가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75 ~ 80℃가 유지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온수의 온도가 70℃ 이하일 경우 부자(10)에 부착된 생물이 폐사하지 못하게 되어 부자(10)에 부착된 생물이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온수의 온도가 90℃ 이상일 경우 부자(10)의 표면이 녹거나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수는, 수조(200)의 내측으로 들어간 부자(10)가 완전히 잠길 정도로 수조(200)에 채워짐이 바람직하며, 수조(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서 이동되는 부자(10)가 소정의 시간 동안 온수에 잠겨있을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소정의 시간이란 부자(10)에 부착된 생물이 제거되기에 충분한 시간인 약 30초~60초 정도의 시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자(10)에 부착된 생물의 양, 부자(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부자(10)가 수조(200)를 지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부자(10)는 물에 부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수조(200) 내에 수용된 온수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구성이 필요하므로, 수조(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상측에 위치하는 부자(10)가 온수에 일정 시간 동안 잠긴 후, 후단 상측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부자 가이드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부자 가이드부재(210)는, 수조(200)의 전단 상측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조(200)의 일정 깊이까지 부자(10)를 이동시키는 제1 구간과, 수조(200)의 일정 깊이에서 부자(10)가 이동되는 제2 구간과, 수조(200)의 일정 깊이에서 수조(200)의 후단 상측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부자(10)를 수조(200)의 바깥으로 이동시키는 제3 구간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부자 가이드부재(210)는, 일 예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를 이루며 수조(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1 가이드봉(211), 제2 가이드봉(212) 및 제3 가이드봉(2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봉(211), 제2 가이드봉(212) 및 제3 가이드봉(213)은, 각각 상술할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을 가지게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봉(211)은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부자(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봉(212)은 복수 개가 제1 가이드봉(211)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봉(211)이 이격된 간격보다 넓은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부자(10)의 양측편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부자(10)는 제2 가이드봉(212)에 의해 부자 가이드부재(210)의 양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가이드봉(213)은 복수 개가 제2 가이드봉(212)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봉(212)이 이격된 간격보다 좁은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부자(1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가이드봉(213)은 부자(10)가 부유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수조(200)는 상술한 제1 가이드봉(211), 제2 가이드봉(212) 및 제3 가이드봉(213)을 각각 수조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프레임(214, 215, 2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제1 가이드봉(211)을 수조(200)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지지프레임(214)은 제1 가이드봉(211)의 하측에 결합되어 제1 가이드봉(211)을 지지하게끔 수조(200)의 일측벽과 수조(200)의 타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봉(212)을 수조(200)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지지프레임(215)은 인접한 수조(200)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가이드봉(213)을 수조(200) 내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지지프레임(216)은 제3 가이드봉(213)의 상측에 결합되어 제3 가이드봉(213)을 지지하게끔 수조(200)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일측벽을 향해 수조(200)의 타측벽으로부터 구비되면서, 수조(200)의 일측벽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부자(10)와 원줄(30)을 연결하는 수하줄(20)이, 제3 지지프레임(216)과 수조(200)의 일측벽 사이를 지나게 되는바, 부자(10)가 수조(200) 내측에서 이동되는 과정 중 걸림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조(200)는, 작업대(100)의 일측편에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작업대(100)의 균형과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의 일측편과 타측편에 대응되게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인양기(3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200)의 전방과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부자(10)가 연결된 수하줄(20)이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면서 수중에 위치하던 원줄(30)을 수조(2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인양한다. 이러한 인양기(300)는 수하줄(20)의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줄(30)을 따라 회전되는 롤러(310)가 구비되어, 롤러(310)의 회전에 따라 작업대(100)가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대(100)가 원줄(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인양기(300)가 원줄(30)을 수조(2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부자(10)가 수조(200) 내부를 지나게 되므로, 부자(10)에 부착된 생물이 온수에 의해 폐사한다.
인양기(300)는 일 예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0)에 세워지는 수직프레임과 이격배치된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인양지지프레임(320)과, 인양지지프레임(320)으로부터 작업대(100)의 외측을 향해 이동가능하고 끝단에 롤러(310)가 구비된 롤러고정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작업을 하지 않고 이동될 경우 롤러고정프레임(330)의 일부가 인양지지프레임(320)의 내측으로 들어가 롤러(310)가 작업대(10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이동됨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부자(10)의 부착생물을 제거할 경우, 롤러(310)가 작업대(1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롤러고정프레임(330)이 인양지지프레임(32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부자(10)가 작업대(10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하줄(20)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310)는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 형태를 이루면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측이 상호 마주하게끔 한 쌍이 대칭되게 롤러고정프레임(330)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롤러(310)는 원줄(30)의 굵기보다 작고 수하줄(20)의 굵기보다 큰 간격을 이루도록 이격배치된다. 또한, 롤러(310)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측에 원줄(30)이 안착되는 원줄안착부(311)가 링 형태로 형성되고, 원줄안착부(311)로부터 롤러(310)의 경사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의 원줄이동날개(312)가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마주하는 한 쌍의 롤러(310)는 원줄이동날개(312)가 상호 엇갈리게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작업대(100)는 원줄(30)이 원줄안착부(311)에 안착된 상태로 원줄이동날개(312)의 회전함으로써, 원줄(30)을 따라 앞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수하줄(20)은 한 쌍의 롤러(310) 사이로 내려와 롤러(310)를 지날 시 걸림이 발생되지 않는다.
해수면 아래에 있는 원줄(30)을 상술한 인양기(300)로 올리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롤러고정프레임(330)의 끝단에서 롤러(310)의 상측으로 인양롤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인양롤러에는 일단에 원줄(30)이 걸릴 수 있는 갈고리가 형성된 인양줄이 구비될 수 있다. 인양줄을 바다로 던져 원줄(30)이 갈고리에 걸리도록 한 후, 인양롤러를 통해 원줄(30)을 롤러(310) 인근까지 들어올린다. 롤러(310)는 레버(313)를 조작함으로써, 한 쌍의 롤러(310) 간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게끔 구성될 수 있는바, 원줄(30)이 통과할만큼 벌어진 한 쌍의 롤러(310) 사이로 인양된 원줄(30)을 진입시킨 후, 한 쌍의 롤러(310)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함으로써, 원줄(30)을 원줄안착부(31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인양기(300)는 본 발명의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1097023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유사할 수 있는바,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안내홀(110)의 내측으로 진입된 부자(10)가 용이하게 수조(200)로 진입되도록 하기 위한 부자공급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자공급로(400)는 일 예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면서 일단이 수조(200)의 전단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안내홀(110)을 통해 수면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자(10)는 작업대(100)가 이동됨에 따라 안내홀(110)의 내측에 위치되는 부자공급로(400)로 진입하게 되며, 부자공급로(40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며 별다른 간섭없이 수조(200)의 전단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수조(200)에서 온수를 통해 생물이 제거된 부자(100)를 다시 해상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부자배출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자배출로(500)는 일 예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수조(200)의 후단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작업대(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부자공급로(400)는 작업대(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직선 상에서 부자(10)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인 반면, 부자배출로(500)는 수조(200)의 후단에서 비스듬하게 작업대(100)의 외측 후방으로 부자(10)가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는 부착생물의 제거가 완료된 부자(10)가 해상으로 신속히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부자배출로(500)는, 수조(200)를 빠져나온 부자(10)가 해상으로 정확히 이동될 수 있게끔, 작업대(100)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측편에 가이드벽(510)이 세워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조(200)를 빠져나온 부자(10)는 가이드벽(51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부자배출로(500)를 따라 이동되어 해상으로 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는, 롤러(310)의 회전에 따라 작업대(100)가 원줄(30)을 따라 이동되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하줄(20)을 통해 원줄(3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부자(10)가 인양기(300)에 의해 작업대(100)의 상측으로 인양되어 온수가 담긴 수조(200) 내부를 지나게 되는바, 온수로 인해 부자(10)에 부착된 생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며, 부착생물이 폐사하여 제거된 부자(10)는 수조(200)를 빠져나와 해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새로운 부자로 교체하는 작업없이 해상에서 기존 부자의 부착생물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부자의 파손 또는 유실 방지, 연안의 환경오염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 : 부자 20 : 수하줄
30 : 원줄
100 : 작업대 110 : 안내홀
120 : 가이드프레임 130 : 부력체
200 : 수조 210 : 부자 가이드부재
211 : 제1 가이드봉 212 : 제2 가이드봉
213 : 제3 가이드봉 214 : 제1 지지프레임
215 : 제2 지지프레임 216 : 제3 지지프레임
220 : 가열부재
300 : 인양기 310 : 롤러
311 : 원줄안착부 312 : 원줄이동날개
313 : 레버
320 : 인양지지프레임 330 : 롤러고정프레임
400 : 부자공급로
500 : 부자배출로 510 : 가이드벽

Claims (5)

  1. 해상에 부유하는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100)의 적어도 일측편에 마련되고 상면이 개방된 통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온수가 수용되는 수조(200); 및 상기 수조(200)의 전방과 후방 상측에 구비되어, 부자(10)가 연결된 수하줄(20)이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면서 수중에 위치하던 원줄(30)을 수조(2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인양하는 인양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인양기(300)는, 수하줄(20)의 걸림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줄(30)을 따라 회전되는 롤러(310)가 구비되어, 롤러(310)의 회전에 따라 작업대(100)가 이동됨으로써, 부자(10)가 수조(200) 내부를 지나며 부자(10)에 부착된 생물이 온수에 의해 제거되고,
    상기 수조(200)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부자(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가이드봉(211)과, 복수 개가 제1 가이드봉(211)보다 높게 위치하면서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봉(211)이 이격된 간격보다 넓은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됨에 따라 부자(10)의 양측편에 구비되어 부자(10)의 측방 이탈을 방지하는 제2 가이드봉(212)과, 복수 개가 제2 가이드봉(212)보다 높게 위치되면서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봉(212)이 이격된 간격보다 좁은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됨에 따라 부자(10)의 상측에 구비되어 부자(10)의 부유를 방지하는 제3 가이드봉(213)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봉(211), 제2 가이드봉(212) 및 제3 가이드봉(213)은, 수조(200)의 전단 상측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조(200)의 일정 깊이까지 부자(10)를 이동시키는 제1 구간과, 수조(200)의 일정 깊이에서 부자(10)가 이동되는 제2 구간과, 수조(200)의 일정 깊이에서 수조(200)의 후단 상측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부자(10)를 수조(200)의 바깥으로 이동시키는 제3 구간을 가지게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는 수조(200)의 전방 측에 안내홀(110)이 관통형성되되,
    판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수조(200)의 전단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안내홀(110)을 통해 수면 아래에 위치되는 부자공급로(40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부자(10)가 부자공급로(400)를 따라 수조(200)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00)는, 안내홀(110)과 인접한 전단 양측에 외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커지도록 구비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부자(10)를 안내홀(110)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판 형태를 이루며 일단이 상기 수조(200)의 후단 상측에 위치되고 타단이 작업대(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하도록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구비되는 부자배출로(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부자배출로(500)는, 작업대(100)의 내측에 위치되는 일측편에 가이드벽(510)이 세워져, 수조(200)를 지난 부자(10)가 해상으로 이동되게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5. 삭제
KR1020210024988A 2021-02-24 2021-02-24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KR102572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988A KR102572241B1 (ko) 2021-02-24 2021-02-24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988A KR102572241B1 (ko) 2021-02-24 2021-02-24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058A KR20220121058A (ko) 2022-08-31
KR102572241B1 true KR102572241B1 (ko) 2023-08-29

Family

ID=8306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988A KR102572241B1 (ko) 2021-02-24 2021-02-24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2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303B1 (ko) * 2015-04-10 2015-12-08 김종일 양식용 부자 세척장치
KR101679047B1 (ko) * 2015-07-24 2016-11-30 한국수자원공사 조류 제거용 수상콤바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909A (ko) * 2016-09-07 2018-03-15 김정명 해적생물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303B1 (ko) * 2015-04-10 2015-12-08 김종일 양식용 부자 세척장치
KR101679047B1 (ko) * 2015-07-24 2016-11-30 한국수자원공사 조류 제거용 수상콤바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058A (ko)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237B1 (ko) 수중 동물의 조업 장치 및 방법
DE60222024T2 (de) Zucht und ernte von schalentieren
CN102510827A (zh) 渔船和捕鱼方法
NO153212B (no) Fiskefartoey.
KR102200748B1 (ko) 먹이 급이가 용이한 외해 중층 가두리 양식장
KR200454855Y1 (ko) 양식 수산물용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채취선
KR101945893B1 (ko) 김 양식용 자체 건조 장치, 양식 장치 및 조차 자체 건조 방법
CN108112546B (zh) 一种大面积浅海围网分级诱捕装置
KR101898551B1 (ko) 개체굴 서실 마모장치
KR102572241B1 (ko)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KR100626404B1 (ko) 해태망 회수장치
US3548531A (en) Receptacle for live bait
KR101483738B1 (ko) 어도 장치
JP2002262751A (ja) ヒトデ駆除装置
KR101223978B1 (ko) 어류종묘 방류장치
CN212368203U (zh) 一种海肠采捕船
JPH1084816A (ja) 底棲生物の捕獲装置
US1489917A (en) Ocean harvester
JP4695477B2 (ja) 海苔網の干出装置および海苔の養殖システム
JP5254595B2 (ja) 海苔網活性処理装置
JPH068687Y2 (ja) 船設備の網洗浄装置
DE2402706A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verhindern des verwickelns eines sich im seewasser bewegenden endlosen seiles
CN111528192A (zh) 一种海肠采捕船
CN215123367U (zh) 一种用于渔业艇的柔性网箱
KR102650812B1 (ko) 갈치 주낙용 자동 투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