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909A - 해적생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해적생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909A
KR20180027909A KR1020160115149A KR20160115149A KR20180027909A KR 20180027909 A KR20180027909 A KR 20180027909A KR 1020160115149 A KR1020160115149 A KR 1020160115149A KR 20160115149 A KR20160115149 A KR 20160115149A KR 20180027909 A KR20180027909 A KR 20180027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lifting device
conveyor
l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명
김홍민
Original Assignee
김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명 filed Critical 김정명
Priority to KR102016011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7909A/ko
Publication of KR20180027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개체굴을 양식하는 채롱(2)에 기식하는 해적생물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해적생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해적생물제거장치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작업선(100)과; 상기 작업선(100)의 개구부를 통해 일부 구간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컨베어(200)와; 상기 컨베어(200)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500)와; 상기 수조(5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5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화통(700)과; 상기 화통(700)에 열기를 공급하는 버너와; 상기 수조(500)의 입구부(510)에서 설치된 상기 컨베어(200) 끝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컨베어(200) 끝단의 상측에 설치되고 채롱(2)을 연결하고 있는 원줄(1)을 인양하는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상기 수조(500)의 출구부(520)에 설치되는 후방원줄인양장치(320)와; 상기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상기 후방원줄인양장치(3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상기 후방원줄인양장치(320)에 의해 인양되는 원줄(1)이 인양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역할을 하며, 승강운동이 가능한 중앙인양가이드(330)와; 상기 수조(500)의 입구부(510)는 60도 이상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수조(500)의 출구부(520)는 50도 이하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적생물제거장치 {PIRATE ORGANISM ELIMINATING DEVICE }
본 발명은 개체굴을 양식하는 채롱(2)에 기식하고 있는 해적생물을 제거하는 해적생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체굴은 채롱(2) 내부에 설치된 바둑판형 수용틀에 종자를 부착하여 두껍고 길다란 원줄(1)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하여 허가받은 연안 청정해역의 양식장 수면하에 드리우고 정치시킨 다음 일정기간이 지나 상품화가 가능한 정도로 성장한 후에 인양하여 채취한다.
채롱(2)은 개체굴을 일정한 간격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바둑판형 수용틀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바둑판형 수용틀의 외부는 합성수지재 그물망에 의해 감싸도록 구성된다.
채롱(2)을 수면하에 드리우고 개체굴을 일정기간동안 성장시키는 동안 채롱(2)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합성수지재 그물망 또는 개체굴의 표면에 해적생물, 작은 홍합, 기타 이물질들 (이하 해적생물)이 기식하게 된다. 이러한 해적생물은 채롱(2) 내부에 있는 개체굴에 산소 및 먹이 공급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게 하여 개체굴의 성장에 방해를 주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어 정기적으로 상기 해적생물들을 제거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보통 해적생물의 제거는 온수수조(500), 전후방의 컨베어(200)로 구성된 해적생물 제거장치가 설치된 선박을 이용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온수수조(500) 내측 하부에 설치된 온수 배관을 이용하여 온수수조(500) 내부에 담긴 물을 약 60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전방의 컨베어(200)를 이용하여 양식굴을 온수수조(500)로 인양 후 후방의 컨베어(200)로 이동되면서 일정 시간동안 온수에 머무르게 된다. 온수를 통과하면서 해적생물은 제거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온수처리장치는 수하식 양식방법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채롱(2)을 이용하여 양식하는 경우에는 기식하고 있는 해적생물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체굴을 양식하는 채롱(2)에 기식하는 해적생물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해적생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해적생물제거장치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작업선(100)과; 상기 작업선(100)의 개구부를 통해 일부 구간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컨베어(200)와; 상기 컨베어(200)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500)와; 상기 수조(5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5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화통(700)과; 상기 화통(700)에 열기를 공급하는 버너와; 상기 수조(500)의 입구부(510)에서 설치된 상기 컨베어(200) 끝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컨베어(200) 끝단의 상측에 설치되고 채롱(2)을 연결하고 있는 원줄(1)을 인양하는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상기 수조(500)의 출구부(520)에 설치되는 후방원줄인양장치(320)와; 상기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상기 후방원줄인양장치(3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상기 후방원줄인양장치(320)에 의해 인양되는 원줄(1)이 인양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역할을 하며, 승강운동이 가능한 중앙인양가이드(330)와; 상기 수조(500)의 입구부(510)는 60도 이상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수조(500)의 출구부(520)는 50도 이하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화통(700)의 상측에는 채롱(2)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의 가이드가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설치되어 채롱(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망(90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컨베어(200)의 속도는 원줄(1)분리기의 속도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화통(700)의 연결부(720)위는 ㄷ형상의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개체굴을 양식하는 채롱(2)에 기식하는 해적생물을 온수로 처리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온수를 처리하는 시간은 보다 짧게 하여, 온수처리에 의한 개체굴의 손상은 최소화하면서, 온수에 의해 처리되는 면적은 최대로 하여 해적생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통(700)의 연결부(720)의 표면적을 넓혀 수조(500)에 수용된 물에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화통(700)의 상측에 채롱(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망(900)을 설치하여 채롱(2)의 이동은 보다 수월하게 하고, 채롱(2)으로부터 제거된 해적생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향후 화통(700)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수리를 요할 때 보다 쉽게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1는 본 발명에 의한 해적생물처리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적생물처리장치의 수조(500), 화통(700), 가이드망(900)의 결합사시도.
도3는 본 발명에 의한 수조(500)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조(500)의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화통(700)의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에 의한 가이드망(900)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해적생물제거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적생물제거장치는 뗏목이나 선박 등의 작업선(100)에 설치된다. 수조(500)의 앞쪽에는 컨베어(200)가 설치되어 있고, 컨베어(200)는 수면 아래로부터 끌어올려진 채롱(2)을 수조(500) 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작업선(100)의 전방의 일부구간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구부를 통해 컨베어(200)의 일부 구간이 수면 아래로 입수되어 있다. 이렇게 컨베어(200)의 일측부는 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컨베어(200)의 타측부는 수조(500)의 입구부(510)에 위치하도록 경사를 가지면서 작업선(100)에 설치되어 있다.
채롱(2)의 내부에는 바둑판형 수용틀이 높이방향으로 복수의 층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바둑판형 수용틀의 외부는 합성수지재 그물망에 의해 감싸져 있다. 채롱(2)은 원줄(1)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합성수지재 그물망에 의해 감싸져 있는 채롱(2)은 아코디언처럼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수조(500)에는 60도 내지 70도의 온수가 수용되어 있다. 원줄(1)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는 채롱(2)은 원줄인양장치(300)와 컨베어(200)에 의해 수조(500)의 입구부(510)에서 출구부(520)로 이동하면서 수조(500) 안에 수용되어 있는 온수로 입수된다. 수조(500)안에 수용되어 있는 온수에 의해 채롱(2)의 합성수지재 그물망이나 개체굴의 표면에 기식하고 있는 해적생물이 제거된다.
수조(500)의 입구부(510)에 설치되어 있는 컨베어(200)의 끝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컨베어(200) 끝단의 상측에 전방원줄인양장치(310)가 작업선(100)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전방원줄인양장치(310)는 원줄(1)을 인양하기 위한 동력원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500)의 출구부(520) 상측에도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비슷한 용도의 후방원줄인양장치(320)가 작업선(100)에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후방원줄인양장치(320)는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달리 원줄(1)의 인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한다. 후방원줄인양장치(320)는 전방인양장치와 달리 동력원이 필요하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동력원을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후방원줄인양장치(320) 사이에는 중앙원줄(1)인양가이드가 설치된다. 중앙원줄(1)인양가이드는 우선적으로 원줄(1)이 인양경로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원줄(1)의 인양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또한, 중앙원줄(1)인양가이드는 승강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온수가 수용된 수조(500)를 지나가면서 해적생물을 제거하는 처리를 할 때, 원줄(1)이 수조(500)의 중앙부에 이르러서 중앙원줄(1)인양가이드에 의해 채롱(2)이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하여 채롱(2)의 전체면적이 수면에 잠기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는 작업선(100)에 설치된 크레인와 같은 인양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500)의 바닥면에는 화통(700)이 설치되고 화통(700)의 상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가이드망(900)이 위치한다. 수조(500)의 내부에는 온수가 수용된다. 수조(500)의 외측면에는 관통구멍(5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530)은 화통(700)과 수조(500)의 외부에 설치된 버너를 연결한다. 수조(500)의 관통구멍(530)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면은 입구부(510)에서 출구부(520)를 가로지르면서 경계벽(540)이 설치되어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500)의 입구부(510)는 수면과 수직인 90도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경사각는 90도 이하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60도 이상의 급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500)의 출구부(520)는 입구부(510)와 달리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수조(500)의 입구부(510)에서 출구부(520)로 이동하면서 해적생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는 채롱(2)은 출구부(520)에 이르러서 출구부(520)가 가지고 있는 완만한 경사각을 따라 수조(500)의 외부로 이동하면서 바닷속으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출구부(520)의 경사각은 50도 이하가 바람직하다. 출구부(520)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 영역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연장되고, 또한 반대방향으로 다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게 하여, 채롱(2)이 바닷속으로 다시 들어갈 때 더욱 자연스러운 경로로 이동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해적생물을 제거하는 공정에 투입되는 채롱(2)은 수조(500)의 입구부(510)에 설치된 컨베어(200)에 의해 수조(500)측으로 이송된다. 컨베어(200)에 의해 의해 이송된 채롱(2)은 수조(500)의 입구부(510)에 이르러서, 급한 경사각에 의해 깊은 깊이를 가지는 입구부(510)에 입수된다. 컨베어(200)로부터 이탈된 채롱(2)은 수조(500)에 입수될 때, 채롱(2)의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수조(500)에 투하되고, 채롱(2)이 펼쳐짐에 따라 채롱(2)의 외측면에 위치한 합성수지재 그물망에 기식하고 있는 해적생물에 최대한 많은 면적에서 온수가 처리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수조(500)의 입구부(510)는 급한 경사각을 가지고, 수조(500)의 출구부(520)는 완만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 수조(500)는 제작에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아니하고도 채롱(2)에 기식하고 있는 해적생물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장점을 보다 극대화하기 위하여 채롱(2)이 입구부(510)에 입수될 때, 컨베어(200) 상에서 채롱(2)의 이동속도를 전방원줄인양장치(310)의 인양속도보다 빠르게 하여 채롱(2)을 연결하고 있는 원줄(1)보다 채롱(2)의 몸체가 수조(500)에 먼저 입수되게 한다. 이를 통하여 채롱(2)이 입구부(510)에서 입수될 때 보다 빠른 속도로 펼쳐지게 하여 해적생물의 제거를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통(700)은 흡입부(710), 전달부, 배출부(730)로 구성되어 있다. 흡입부(710)는 수조(500)의 외부에 설치된 버너와 연결되어 버너로부터 열기를 공급받는다. 이렇게 공급받은 열기는 전달부를 통하여 이동하여 배출부(730)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부(730)는 흡입부(710)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해 배출부(730)의 구멍의 형성되고, 상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전달부는 보통 원형의 단면적을 가지는 파이프로 구성된다.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버너로부터 공급되는 열기의 이동경로를 바꾸면서 좁은 면적에 최대한의 파이프가 설치되도록 S자 형태로 연결된다. 전달부의 연결부(720)는 열이 전달되는 표면적을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하여 ㄷ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파이프를 대신하여 여러 장의 판재를 용접하여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형상은 열전달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화통(700)을 설치하여 더 많은 열을 한꺼번에 공급할 수도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망(900)은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가이드파이프(910)를 입구부(510)에서 출구부(520) 방향으로 길게 위치시키고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한 후 가이드연결부재(920)를 통해 연결한다. 가이드망(900)은 채롱(2)이 이동하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망(900)을 따라 채롱(2)이 보다 수월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가이드망(900)에 의해 화통(700)이 위치한 영역과 채롱(2)이 이동하는 영역을 분리시켜 채롱(2)의 이동에 의해 화통(7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채롱(2)은 가이드망(900) 아래로 이동하지 않으면서, 채롱(2)에 기식하고 있는 해적생물은 가이드망(900) 아래로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도와준다. 이렇게 가이드망(900) 아래로 배출되어 수조(500) 바닥면에 모인 해적생물 등의 찌꺼지는 수조(500)에 추가의 배출구를 마련하여 수조(500)의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해적생물제거장치는 원줄(1)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되어 있는 채롱(2)의 외부의 그물망이나 개체굴의 표면에 기식하고 있는 해적생물을 제거한다. 해적생물의 제거는 해적생물제거장치의 수조(500)에 수용되어 있는 약 60도의 온수에 개체굴이 양식되고 있는 채롱(2)을 입수하여 통과시키면서 이루어진다. 수하줄에 연결되어 수하식과 달리 채롱(2)은 아코디언과 같은 형상을 이루어져 있어 채롱(2)이 펼쳐지거나 접어지면서 부피를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채롱(2)의 특징을 이용하여, 수조(500)의 입구부(510)는 급한 경사각을 가지게 하여 수조(500)에 채롱(2)이 입수되면서 채롱(2)의 자중에 의해 채롱(2)이 펼쳐지도록 하여 채롱(2)의 많은 면적이 온수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수조(500)의 중앙부에서는 중앙인양가이드(330)에 의해 채롱(2)을 하방으로 눌러 채롱(2)의 전체 면적인 온수채롱(2)의 자중에 의해 채롱(2)의 면적을 최대한 커지게 하고 중앙부에서는 채롱(2)에 하방으로 누르는 힘을 작용시켜 채롱(2) 면적의 전체를 수면에 입수되게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채롱(2)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합성수지재 그물망이나 개체굴의 표면에 기식하고 있는 해적생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 원줄
2 : 채롱
100 : 작업선
200 : 컨베어
300 : 원줄인양장치
310 : 전방원줄인양장치
320 : 후방원줄인양장치
330 : 중앙인양가이드
500 : 수조
510 : 입구부
520 : 출구부
530 : 관통구멍
540 : 경계벽
700 : 화통
710 : 흡입부
720 : 연결부
730 : 배출부
900 : 가이드망
910 : 가이드파이프
920 : 가이드연결부재

Claims (4)

  1. 해적생물제거장치에 있어서,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작업선(100)과;
    상기 작업선(100)의 개구부를 통해 일부 구간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 컨베어(200)와;
    상기 컨베어(200)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조(500)와;
    상기 수조(50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5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에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화통(700)과;
    상기 화통(700)에 열기를 공급하는 버너와;
    상기 수조(500)의 입구부(510)에서 설치된 상기 컨베어(200) 끝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컨베어(200) 끝단의 상측에 설치되고 채롱(2)을 연결하고 있는 원줄(1)을 인양하는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상기 수조(500)의 출구부(520)에 설치되는 후방원줄인양장치(320)와;
    상기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상기 후방원줄인양장치(3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전방원줄인양장치(310)와 상기 후방원줄인양장치(320)에 의해 인양되는 원줄(1)이 인양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역할을 하며, 승강운동이 가능한 중앙인양가이드(330)와;
    상기 수조(500)의 입구부(510)는 60도 이상의 경사각을 가지고, 상기 수조(500)의 출구부(520)는 50도 이하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생물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통(700)의 상측에는 채롱(2)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는 길이방향의 가이드가 소정의 간격으로 두고 설치되어 채롱(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망(9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생물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어(200)의 속도는 원줄(1)분리기의 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생물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통(700)의 연결부(720)위는 ㄷ형상의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생물제거장치.
KR1020160115149A 2016-09-07 2016-09-07 해적생물제거장치 KR20180027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149A KR20180027909A (ko) 2016-09-07 2016-09-07 해적생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149A KR20180027909A (ko) 2016-09-07 2016-09-07 해적생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909A true KR20180027909A (ko) 2018-03-15

Family

ID=6165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149A KR20180027909A (ko) 2016-09-07 2016-09-07 해적생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79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402B1 (ko) * 2021-09-06 2022-03-11 김정명 패류의 부착생물 제거장치
KR20220121058A (ko) * 2021-02-24 2022-08-31 김정명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058A (ko) * 2021-02-24 2022-08-31 김정명 부자의 부착생물 제거 장치
KR102373402B1 (ko) * 2021-09-06 2022-03-11 김정명 패류의 부착생물 제거장치
KR102377911B1 (ko) * 2021-09-06 2022-03-23 김정명 패류의 부착생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065B2 (en) Aquaculture
CN109068617B (zh) 具有死物捕捉装置的水产养殖鱼围栏
KR101408850B1 (ko) 무배수 복합 순환 양식설비
WO2010087722A1 (en) Device for removing louse from aquatic organisms
JP2021524754A (ja) 海洋生物を養殖する船
KR20180027909A (ko) 해적생물제거장치
CN203748461U (zh) 一种具有高效排污功能的水产温室养殖池塘
JP5658423B1 (ja) 水産物の養殖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人工海藻
CN104542432A (zh) 辐射式射流循环集污装置
EP1553823A1 (en) Device for shellfish farming
NO347024B1 (en) A fish farming facility comprising a water outlet cleaning device
CN103875548A (zh) 清粪简便的层叠式饲养装置
KR101555134B1 (ko) 순환여과식 사육조
CN101946742A (zh) 一种水产精养池塘养殖用水处理和循环利用方法
KR101512599B1 (ko) 게르마늄 성분이 함유되도록 하는 조개류 해감 제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감 제거방법
CN208001888U (zh) 一种海珍品室内养殖装置
KR20160133274A (ko) 사료통이 장착된 해삼 양식용 쉘터
KR101725614B1 (ko) 축제식 양식장에서 복합양식을 위한 조개류 양식 장치
NO20140573A1 (no) Renseanordning for rensing av en langstrakt gjenstand og framgangsmåte for bruk av renseanordningen
CN211407294U (zh) 一种对虾养殖池
WO2016172834A1 (zh) 一种用于捕获亚洲鲤鱼的系统
KR101964802B1 (ko) 새우 양식 구조물
WO2019022660A1 (en)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AQUATIC CREATURES
CN208001878U (zh) 一种替代传统网箱的可移动养殖装置
CN212545158U (zh) 一种对虾养殖池塘的排虾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