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498B1 -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498B1
KR101394498B1 KR1020120095634A KR20120095634A KR101394498B1 KR 101394498 B1 KR101394498 B1 KR 101394498B1 KR 1020120095634 A KR1020120095634 A KR 1020120095634A KR 20120095634 A KR20120095634 A KR 20120095634A KR 101394498 B1 KR101394498 B1 KR 10139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loading
elevating
hinge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835A (ko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
Priority to KR1020120095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4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29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3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30Non-permanently installed loading ramps, e.g.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3Ramps
    • B63B2027/145Inflatable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조수간만의 차에 관계없이 로로선에 하역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운항 회전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하역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은;
상기 적재램프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승강장치와;
상기 제 1장치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재램프와 수평방향으로 일치하도록 평면에서 바라볼 때, 대칭형으로 구비된 제 2승강장치와;
상기 제 2승강장치에 의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로로카셋트를 운반하는 엘리베이팅 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팅 데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조수간만의 차에 관계없이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운항 회전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하역생산성을 향상시키며, 폰툰 설비나 기타 다른 부두시설을 변경하지 않아도 전천후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로로선을 널리 공급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LOAD AND UNLOAD SYSTEM OF RORO SHIP THE TIDE DIFFERENCE OF HIGH AND LOW WATER}
본 발명은 로로(RORO:Roll-On / Roll-Off)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수간만차가 큰 서해안의 항구에서 물때 시간에 관계없이 물건의 하역이 가능한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일 또는 선박용 대형철판을 운송하는 다수의 로로 카셋트를 운반하는 로로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a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로로선(RR)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 너비방향 양측에 대칭형의 적재공간(TE)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마련되고, 그 단부에는 로로 카셋트(RC)가 상부에 적재된 엘레베이팅 카(일명 "이티카"로서, 이후, "이티카"라 칭한다)(EC)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재 램프(RM)가 마련된다.
적재 램프(RM)는 선미(船尾)에 구비된 램프 포스트(RP) 하측에 힌지결합되고, 이 램프 포스트(RP) 상측에 구비된 윈치(WC)의 와이어(WR)에 의해 힌지회동하며 수평,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때가 맞아 항구의 지면(EL)과 적재램프(RM)의 상면이 수평방향으로 나란해지면 적재 램프(RM)를 작동하여 로로 카셋트(RC)를 적재한 이티카(EC)가 상기한 적재공간(TE)을 드나들며 다수의 로로 카셋트(RC)를 적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하역은 물때 시간을 맞춰 조수가 만조일 때만 가능하므로 하역작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물때 시간을 맞춰 하역작업을 할 경우, 운항 회전율 저하 및 비가동 시간이 길어짐으로서 하역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조수간만(潮水干滿)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폰툰(Pontoon) 설비를 이용하는 방법도 검토할 수 있으나, 이 폰툰 설비는 어마어마한 초기비용이 발생함으로서, 대부분의 선박업체나 부두에서 기피하는 하역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수간만의 차에 관계없이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운항 회전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하역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폰툰 설비나 기타 다른 부두시설을 변경하지 않아도 전천후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로로선을 널리 공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선미 하측에 힌지결합되며, 램프포스트 상측에 구비된 윈치에 의해 힌지회동하며 개폐되는 적재램프와, 상기 적재램프를 통해 격벽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구비된 적재공간에 엘리베이팅 카에 의해 이송, 적재된 다수의 로로 카셋트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은;
상기 적재램프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승강장치와;
상기 제 1장치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재램프와 수평방향으로 일치하도록 평면에서 바라볼 때, 대칭형으로 구비된 제 2승강장치와;
상기 제 2승강장치에 의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로로카셋트를 운반하는 엘리베이팅 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팅 데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은;
선미 양측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름(Rolling)하도록 상기 적재램프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승강장치는;
상기 램프 포스트의 양측에 수직방향 대칭형으로으로 구비된 메인실린더와, 상기 각 메인실린더 양단에 구비된 제 1, 2쉬브와, 상기 제 1, 2쉬브 상에서 겹치지 않도록 반복적으로 귄취된 일단은 상기 램프포스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적재램프 양단에 구비된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적재램프의 내외측에 대칭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2가이드 쉬브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2쉬브는;
상기 와이어 로프가 감기는 골이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가 나란히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승강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 길이방향 하부중심에 대칭형으로 구비된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로드에 구비된 메인쉬브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2쉬브와,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의 전, 후 측방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3쉬브와, 상기 제 3쉬브와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의 측방 수직방향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4쉬브와, 상기 제 4쉬브 사이 중간부분인 상기 격벽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5쉬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승강장치의 와이어로프는, 상기 메인쉬브 전방의 엘리베이팅 데크에 4가닥의 일단이 고정되고, 양측에 2가닥씩 대칭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 쉬브를 거쳐, 상기 제 1쉬브, 제 3쉬브와 제 4쉬브와 터닝쉬브, 제 4쉬브를 거친 다음, 선체바닥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 1와이어로프와;
상기 메인쉬브를 거쳐, 상기 제 1쉬브와 제 2쉬브와 제 3쉬브를 거쳐 제 4쉬브와 터닝쉬브, 제 4쉬브를 거친 다음, 선체바닥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 2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의 양측 길이방향 대칭형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다수 구비된 록킹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록킹실린더와, 상기 록킹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힌지회동하며 상기 격벽에 록킹되는 링크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록킹실린더 로드와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에 힌지결합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 2링크와, 상기 제 2링크의 타단과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에 힌지결합된 록킹링크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수간만의 차에 관계없이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운항 회전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하역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부두시설을 변경하지 않아도 전천후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로로선을 널리 공급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작업램프가 구비된 로로선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역시스템을 갖춘 로로선을 일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구성중 제 1승강장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2 "B"선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 "C"선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 "D"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로선 하역시스템의 엘리베이팅 데크의 제 2승강장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로선 하역시스템의 록킹장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 "E"선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10)(이하,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제 1승강장치(100)와 제 2승강장치(200)와 엘리베이팅 데크(300)를 포함한다.(이하, 종래의 구성은 동일 명칭과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제 1승강장치(100)는 상기한 적재램프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메인실린더(110)와 제 1, 2쉬브(120)(130)와 제 1, 2가이드 쉬브(140)(150)로 이루어진다.
메인실린더(110)는 상기한 램프 포스트(RP)의 양측에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와이어 로프(101)의 이동에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 후방에 구비된 제 1, 2고정브라켓(111)(113)에 지지되어 있다.
제 1고정브라켓(111)은 상기한 메인실린더(110)를 램프 포스트(RP)의 측벽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 로프(101)와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였다.
제 2고정브라켓(113)은 메인실린더(110)의 후방에 결합된 부위에 와이어 관통공(113a)을 형성하여 와이어 로프(101)와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메인실린더(110)의 전 후방에 제 1, 2쉬브(120)(130)가 구비된다.
제 1, 2쉬브(120)(1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101)가 감기는 골(120a)(130a)이 4열로 형성되어 와이어 로프(101)가 반복적으로 권취됨으로서, 후술하는 작용에서 복합도르레의 원리로서, 상기 메인실린더(110)의 짧은 행정거리에 비해, 적재램프(RM)의 상, 하 이동거리를 증대시켰다.
이 제 1, 2쉬브(120)(130)에 귄취된 와이어 로프(101)의 일단은 상기한 램프포스트(RP)에 고정되고, 타단은 적재램프의 내외측에 대칭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2가이드 쉬브(140)(150)를 지나 적재램프(RM) 양단에 구비된 지지브라켓(111a)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역시스템(10)은, 선미 양측, 즉, 적재램프(RM) 양측의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된 슬라이드 가이드(400)를 더 포함한다.
슬라이드 가이드(400)는 상기한 적재램프(RM)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 램프 포스트(RP) 일측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레일(410)과, 이 가이드 레일(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홈(411)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름(Rolling)하도록 상기 적재램프(RM)의 후방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430)로 이루어진다.
제 2승강장치(200)는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팅 데크(300)(이하, "데크"라 칭한다)의 구동실린더(210)와 메인쉬브(220)와 제 1, 2쉬브(230)(240)와 제 3, 4쉬브(250)(260)와 제 5쉬브(270)으로 이루어진다.
제 2승강장치(2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되지만,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어느 일측에 구비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구동실린더(210)는 데크(300)의 길이방향 중심에 구비되며, 그 선단의 로드(211) 부위에 메인쉬브(220)가 구비된다.
메인쉬브(220)는 가이드되는 골(220a)이 4열로 형성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4가닥("1","2","3","4")의 와이어 로프(201)가 후술하는 각각의 쉬브들을 통해 연결된다.
이 메인쉬브(220) 양측에 대칭형으로 제 1쉬브(230)가 구비되는데, 이 제 1쉬브(230)는 골(230a)이 2열로 형성되어 상기한 와이어 로프(201)가 제 2쉬브(240)와 제 3쉬브(250)로 각각 공급되도록 가이드 한다.
제 2쉬브(240)는 상기한 구동실린더(210)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한 제 1쉬브(230)로 부터 와이어로프(201)를 공급받는다.
이 제 2쉬브(240)의 일측과 상기한 제 1쉬브(230)의 일측, 다시 말해서, 데크(300)의 양외측에 제 3쉬브(250)가 구비된다.
이 제 3쉬브(250)는 데크(30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제 4쉬브(260)에 와이어로프(201)를 공급한다.
상기한 제 1, 2, 3쉬브(230)(240)(2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며, 제 4쉬브(260)와 터닝쉬브(270)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 4쉬브(260)는 엘리베이팅 데크(300)의 양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구비되며, 상측, 다시 말해서, 로로선의 격벽(WL) 상측에 구비된 터닝쉬브(270)를 거친 와이어로프(201)를 가이드한다.
한편, 와이어 로프(201)는 4가닥이 구비되는데, 일측의 2가닥, 즉, 설명 편의를 위해 1번, 2번 와이어로프(201a)(201b)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1번 와이어로프(201a)는 상기한 메인쉬브(220) 전방에 일단이 고정되고, 1번 와이어로프(201a)가 메인쉬브(220)를 거쳐, 제 1쉬브(230), 제 3쉬브(250)와 제 4쉬브(260)와 터닝쉬브(270) 제 4쉬브(260)를 거친 다음, 타단이 선체바닥("F"표시부위)에 고정된다.
2번 와이어로프(201b)는 메인쉬브(220)를 거쳐, 제 1쉬브(230)와 제 2쉬브(240)와 제 3쉬브(250)를 거쳐 제 4쉬브(260)와 터닝쉬브(270), 제 4쉬브(260)를 거친 다음, 타단이 선체바닥("F"표시부위)에 고정된다.
데크(3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구조로서, 상기한 구동실린더(210)와 다수의 쉬브가 구비된다.
또한, 이 데크(300)는 양측 길이방향 대칭형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록킹장치(500)가 구비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록킹장치(500)는 록킹실린더(510)와 링크장치(530)로 이루어진다.
록킹실린더(510)는 상기한 데크(300) 측방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데, 후단이 힌지결합되며, 선단에 링크장치(530)가 구비된다.
링크장치(530)는 제 1, 2링크(531)(533)와 록킹링크(535)로 이루어진다.
도 9에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제 1링크(531)는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한 록킹실린더(510) 선단의 로드(511)와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데크(300)에 힌지결합된다.
이 제 1링크(531)의 타단은 제 2링크(533)의 일단과 힌지결합되는데, 제 2링크(533)는 타단이 록킹링크(535)의 상단과 힌지결합되어 있다.
록킹링크(535)의 하단은 상기한 데크(300)에 힌지결합되어 상, 하 방향으로 힌지회동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격벽(WL)의 상단에 록킹되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계속해서, 도시한 바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현재 해수면에 맞춰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10)의 제 1승강장치(100)를 이용해서 적재 램프(RM)의 레벨을 부두의 지면(EL)과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그런 다음, 제 2승강장치(200)를 작동하여 엘리베이팅 데크(200)도 상기한 적재 램프(RM)와 동일한 레벨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와 같이 레벨 조정이 완료되면 로로 카셋트(RC)를 적재한 엘리베이팅 카(EC)가 적재 램프(RM)를 통해 엘리베이팅 데크(300)의 상면에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팅 데크(300)는 하강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팅 카(EC)가 이동하여 소정의 장소에 로로 카셋트(RC)를 적재한 뒤, 다시 엘리베이팅 데크(300)에 올라서면, 엘리베이팅 데크(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부두의 지면(EL)과 일치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적재 램프(RM)와 동일레벨로 상승함으로서, 상기한 엘리베이팅 카(EC)의 진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조수간만의 차이에 상관없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의 제 1, 2승강장치(100)(200)와 엘리베이팅 데크(300)에 의해서 수시로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운항 회전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하역생산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폰툰설비등의 고가의 부두시설을 변경하지 않아도 조수간만의 차에 대처함으로서 전천후로 하역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로로선을 널리 공급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하역시스템 100, 200 : 제 1, 2승강장치
300 : 엘리베이팅 데크 400 : 슬라이드 가이드
500 : 록킹장치

Claims (7)

  1. 선미 하측에 힌지결합되며, 램프포스트 상측에 구비된 윈치에 의해 힌지회동하며 개폐되는 적재램프와, 상기 적재램프를 통해 격벽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구비된 적재공간에 엘리베이팅 카에 의해 이송, 적재된 다수의 로로 카셋트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은;
    상기 램프 포스트의 양측에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된 메인실린더와, 상기 각 메인실린더 양단에 구비된 제 1, 2쉬브와, 상기 제 1, 2쉬브상에서 겹치지 않도록 반복적으로 귄취된 일단은 상기 램프포스트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적재램프 양단에 구비된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와이어로프와, 상기 와이어로프를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적재램프의 내외측에 대칭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2가이드 쉬브로 이루어져 상기 적재램프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승강장치와;
    상기 제 1승강장치에 의해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재램프와 수평방향으로 일치하도록 평면에서 바라볼 때, 대칭형으로 구비된 제 2승강장치와;
    상기 제 2승강장치에 의해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로로카셋트를 운반하는 엘리베이팅 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엘리베이팅 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은;
    선미 양측 수직방향 대칭형으로 구비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름(Rolling)하도록 상기 적재램프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승강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 길이방향 하부중심에 대칭형으로 구비된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로드에 구비된 메인쉬브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2쉬브와,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의 전, 후 측방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3쉬브와, 상기 제 3쉬브와 직각방향으로 구비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의 측방 수직방향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4쉬브와, 상기 제 4쉬브 사이 중간부분인 상기 격벽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5쉬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승강장치의 와이어로프는, 상기 메인쉬브 전방의 엘리베이팅 데크에 4가닥의 일단이 고정되고, 양측에 2가닥씩 대칭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 쉬브를 거쳐, 상기 제 1쉬브, 제 3쉬브와 제 4쉬브와 터닝쉬브, 제 4쉬브를 거친 다음, 선체바닥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 1와이어로프와;
    상기 메인쉬브를 거쳐, 상기 제 1쉬브와 제 2쉬브와 제 3쉬브를 거쳐 제 4쉬브와 터닝쉬브, 제 4쉬브를 거친 다음, 선체바닥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 2와이어로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로선의 하역시스템은;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의 양측 길이방향 대칭형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다수 구비된 록킹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된 록킹실린더와, 상기 록킹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힌지회동하며 상기 격벽에 록킹되는 링크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록킹실린더 로드와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에 힌지결합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된 제 2링크와, 상기 제 2링크의 타단과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엘리베이팅 데크에 힌지결합된 록킹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KR1020120095634A 2012-08-30 2012-08-30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KR10139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634A KR101394498B1 (ko) 2012-08-30 2012-08-30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634A KR101394498B1 (ko) 2012-08-30 2012-08-30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35A KR20140029835A (ko) 2014-03-11
KR101394498B1 true KR101394498B1 (ko) 2014-05-14

Family

ID=5064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634A KR101394498B1 (ko) 2012-08-30 2012-08-30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4595B (zh) * 2018-05-17 2020-05-05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可拼接型浅吃水大甲板面承载浮驳及其纵向拼接方法
CN109607248B (zh) * 2018-11-28 2021-04-02 四川路桥华东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潮汐水域大型构件滑移卸船施工方法
CN110104121B (zh) * 2019-05-20 2020-03-10 浙江国际海运职业技术学院 活动甲板的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272A (ja) * 1994-04-13 1995-10-24 Kayaba Ind Co Ltd 船舶の車両乗降装置
KR20110041775A (ko) * 2009-10-16 2011-04-22 한국과학기술원 레일을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장치
KR20110101107A (ko) * 2011-07-19 2011-09-15 마스텍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결합연동형 램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7272A (ja) * 1994-04-13 1995-10-24 Kayaba Ind Co Ltd 船舶の車両乗降装置
KR20110041775A (ko) * 2009-10-16 2011-04-22 한국과학기술원 레일을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장치
KR20110101107A (ko) * 2011-07-19 2011-09-15 마스텍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결합연동형 램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835A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3963B2 (en) Deep water knuckle boom crane
KR960016210B1 (ko) 선박의 중량 화물 반출입 장치
US9789942B2 (en) Large-scale watercraft storage system
US3687309A (en) Device for transloading floating containers
KR10139449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CN210126941U (zh) 一种适应高水位差作业的悬链式卸船机
US20100196097A1 (en) Device for pulling out a ship
KR101068012B1 (ko) 요트 인양 크레인
US4610594A (en) Container conveyor system
CN110194381B (zh) 一种适应高水位差作业的悬链式卸船机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EP2098445A1 (en) Inland vessel with container lifting crane and a method for handling containers transported on inland waterways
JPH03194013A (ja) ダム等における係船設備及び係船方法
CN106379495A (zh) 一种具有自航能力的码头桩基水下维修作业装置
KR20110079433A (ko) 낮은 무게중심을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KR20140133192A (ko)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101701900B1 (ko) 다점 계류 시스템
KR100707994B1 (ko)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설비
JPS6340515Y2 (ko)
WO2024018024A1 (en) Monopiles transport and installation vessel
SU1052442A1 (ru) Транспортно-монтажное судно-катамаран
JPH0692464A (ja) 全天候型岸壁荷役設備
JP3754670B2 (ja) 荷役車両のマスト装置
SU35067A1 (ru) Пловуч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грузки древесины из воды в суда
JPH02163293A (ja) 舟艇揚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