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192A -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192A
KR20140133192A KR20130052943A KR20130052943A KR20140133192A KR 20140133192 A KR20140133192 A KR 20140133192A KR 20130052943 A KR20130052943 A KR 20130052943A KR 20130052943 A KR20130052943 A KR 20130052943A KR 20140133192 A KR20140133192 A KR 20140133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atch
layer
deck
trolley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2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윤
전상홍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52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3192A/ko
Publication of KR2014013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최상층의 천정에 장착되는 하나의 승강수단; 층간 이송되는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케이지; 및 바닥층 데크을 제외한 각 층의 데크에 마련되는 해치;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최상층에 있는 물건이라도 중간층을 거치지 않고 최하층으로 바로 내리거나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 CARGO TRANSPOTATION APPARATUS FOR MARINE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승강수단만을 사용하여 각 층의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프로젝트는 제한된 공간 안에 많은 프로세스 장비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데에 따라 기술의 완성도 및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또한 수평적으로는 확장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데크(Deck)나 플랫폼(Platform) 등을 추가하여 많은 장비나 시설물을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여러 개의 층으로 구성된 해양구조물에 있어서 사람이 다니기 위한 교통(Traffic)과 물건을 운반하기 위한 운송(Transportation)은 당연히 갖추어져야 하는 기본 시설로서 그 중요함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선박을 비롯한 각종 해양구조물의 층이 늘어날수록 특히 화물 운송을 위한 해치(Hatch)나 개구(Opening) 등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층의 숫자에 비례해서 증가하게 된다.
이때 화물 운송을 위한 경로(Route)를 포함하기 때문에 여기에 필요한 공간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여러 개의 층을 가지고 있는 해양구조물에 대해서도 가장 집약적으로 공간을 활용하고 최소의 승강수단(Lifting Device)만을 가지고 각 층간의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 설계(Layout)가 요구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는 각 층 데크의 해치(Hatch)나 개구(Opening)가 교차하듯이 배치되고, 바닥층을 제외한 각 층의 천정에 승강수단(Lifting Device)이 마련된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른 층간 화물 이송장치는 징검다리와 같이 각 층별로 운반하고자 하는 물건을 내려놓은 후 다음 해치나 개구로 운반을 해서 다시 내려놓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층간 화물 이송장치는 화물의 하역, 수평이동, 수직이동에 많은 공간과 여러 대의 승강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물건을 내려놓은 후에 다시 수평 이동시키고, 다른 승강수단에 장착하여 다시 하강시키는 일련의 이송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작업시간과 작업인력이 많이 소요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선박 및 해상구조물용 승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선박 및 해상구조물용 승강장치는 갑판에 마련된 해치를 통해 수직으로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케이지; 화물케이지를 승강시키기 위한 화물 윈치; 상기 화물케이지의 승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로프; 가이드로프를 승강시키는 가이드 로프 윈치; 하강된 가이드로프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의 선박 및 해상구조물용 승강장치는 평상시 화물케이지 및 가이드로프 등을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의 천정부에 위치시키고, 필요시에만 선박이나 해상구조물에 형성된 해치를 통해 화물케이지를 승강시키기 때문에 협소한 선박이나 해상구조물 내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승강수단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1787호(2013년 3월 14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선박 및 해상구조물용 승강장치는 각 해치에 고정장치를 갖춘 해치커버를 마련하여야 하고, 화물케이지를 승강시키기에 앞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해치커버를 열어야 한다.
따라서 해치커버의 시설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해치커버의 개폐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량물인 데크 트롤리와 화물케이지가 해치커버 위에 착지되기 때문에 큰 하중을 견디도록 고비용, 고강도, 고중량의 해치커버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각 층간의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구조물의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비용의 해치커버를 사용하지 않고 각 층간의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구조물의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는 최상층의 천정에 장착되는 하나의 승강수단; 층간 이송되는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케이지; 및 바닥층 데크을 제외한 각 층의 데크에 마련되는 해치;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케이지의 최대 폭이 각 해치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고, 각 해치가 상기 승강수단의 좌우 이동범위 내에 마련되며, 최상층 플로어에 마련되는 해치의 내부를 다른 하부층 해치의 중심수직선이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는 상기 승강수단이 최상층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레일; 및 지지레일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롤리 호이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는 최상층 플로어 해치를 제외한 다른 하부층의 해치가 그의 상부층의 해치보다 승강수단의 지지레일 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고, 최상층 플로어 해치를 제외한 다른 하부층의 해치의 시작위치가 상부 층 해치의 시작위치 + 화물케이지의 폭/2 + 여유길이로 설정되며, 끝 위치가 해당 층 해치의 시작위치 + 화물케이지의 폭 + 여유길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방법은 최상층 천정에 마련된 승강수단의 트롤리 호이스트에 해당 층의 화물케이지를 연결하는 제1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를 통해 화물케이지를 상승시키는 제2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를 통해 화물케이지를 해당 층의 해치 또는 해당 층의 상부 층의 해치쪽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를 통해 화물케이지를 이송하고자 하는 층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제4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를 화물케이지에서 분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의하면 최상층에 있는 물건이라도 중간층을 거치지 않고 최하층으로 바로 내리거나 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화물 이동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작업인력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의하면 공간 측면에서도 각 층에 필요한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남는 공간을 다른 장비의 배치에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에 의하면 승강수단도 최상층에 한 개만 배치하면 되기 때문에 시설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층간 화물 이송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는 하나의 승강수단(100), 화물케이지(220)(230), 바닥층 데크(310)을 제외한 각 층의 데크(320)(330)에 마련되는 해치(321)(331)를 포함한다.
하나의 승강수단(100)은 최상층의 천정에 장착된다.
승강수단(100)은 화물케이지(220)(230)의 승강 및 좌우이동을 위한 것으로, 지지레일(110)과 트롤리 호이스트(120)로 이루어진다.
승강수단(100)의 지지레일(110)은 최상층의 천정에 고정 설치되고, 트롤리 호이스트(120)는 지지레일(110)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120)는 본체(121), 견인와이어(122), 연결후크(123)을 포함한다.
화물케이지(220)(230)는 층간 이송되는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화물케이지(220)(230)의 최대 폭은 각 해치(321)(331)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바닥층 데크(310)를 제외한 각 층의 데크(320)(330)에 마련되는 해치(321)(331)는 승강수단(100)의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좌우 이동범위 내에 마련된다.
최상층 플로어(330)에 마련되는 해치(331)는 다른 하부층 해치(321)의 중심수직선이 관통된다.
상기 중심수직선은 해치(321)의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그은 선을 말한다.
최상층 플로어(330)에 마련되는 해치(331)는 화물케이지(220)(230) 중에서 폭이 가장 큰 화물케이지(230)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구조물이 3층인 경우 최상층인 3층 데크(330)에 마련되는 해치(331)의 끝 위치는 시작위치(기준선)+ 2, 3층 화물케이지 중 폭이 큰 화물케이지의 폭 + 여유길이로 설정된다.
최상층 플로어 해치(331)를 제외한 다른 하부층의 해치(321)는 그의 상부층의 해치(331)보다 승강수단(100)의 지지레일(110) 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구조물이 3층인 경우 2층 해치(321)의 시작위치는 3층 해치(331)의 시작위치(기준선) + 2층 화물케이지의 폭/2 + 여유길이로 설정된다.
그리고 2층 해치(321)의 끝 위치는 2층 해치(321)의 시작위치 + 2, 3층 화물케이지 중 폭이 큰 화물케이지의 폭 + 여유길이로 설정된다.
상기에서 각 해치(331)(321)의 여유길이는 400mm ~ 1000mm의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400mm 미만일 경우 여유길이가 너무 짧아 화물케이지의 해치 통과가 어려울 수 있게 되고, 1000mm 초과일 경우 해치의 폭이 불필요하게 커져 데크 사용공간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는 최상층에 마련된 하나의 승강수단(100)을 통해 각 층간의 화물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해양구조물이 3층일 때에 3층 데크(330)의 화물케이지(230)를 바닥층 데크(310)로 이송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화물케이지(230)에 승강수단(100)의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연결후크(123)를 연결한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견인와이어(122)를 당겨 화물케이지(230)를 들어올린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와 화물케이지(230)를 3층 데크(330)의 해치(331) 상부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견인와이어(122)를 풀어 화물케이지(230)가 3층 데크(330)의 해치(331)를 통과하도록 한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와 화물케이지(230)를 2층 데크(320)의 해치(321) 상부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견인와이어(122)를 풀어 화물케이지(230)가 2층 데크(320)의 해치(321)를 통과한 후 바닥층 데크(310)에 착지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층간 화물 이송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방법은 최상층 천정에 마련된 승강수단(100)의 트롤리 호이스트(120)에 해당 층의 화물케이지(220)(230)를 연결하는 제1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120)를 통해 화물케이지(220)(230)를 상승시키는 제2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120)를 통해 화물케이지(220)(230)를 해당 층의 해치 또는 해당 층의 상부 층의 해치쪽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120)를 통해 화물케이지(220)(230)를 이송하고자 하는 층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제4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120)를 화물케이지(220)(230)에서 분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연결후크(123)를 하강시켜 해당층의 데크 트롤리(미도시)에 적재된 화물케이지(220)(230)와 연결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견인와이어(122)를 당겨 데크 트롤리에 적재된 화물케이지(220)(230)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린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트롤리 호이스트(120) 및 화물케이지(220)(23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물케이지(220)(230)가 해당 층 데크(320)(330)의 해치(321)(331))의 상부 또는 상부 층 데크(320)(330)의 해치(321)(331)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4단계에서는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견인와이어(122)를 풀거나 당겨 화물케이지(220)(230)가 해당 층 데크(320)(330)의 해치(321)(331)) 또는 상부 층 데크(320)(330)의 해치(321)(331)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트롤리 호이스트(120) 및 화물케이지(220)(23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물케이지(220)(230)가 이송된 층의 데크(320)(330)에 대기중인 데크 트롤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견인와이어(122)를 풀어 데크 트롤리의 상부에 화물케이지(220)(230)가 적재되도록 한다.
상기 제5단계에서는 화물케이지(220)(230)로부터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연결후크(123)를 분리하고, 견인와이어(122)를 당겨 연결후크(123)가 승강수단(100)의 지지레일(121) 쪽의 보관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방법을 사용하여 3층 데크(330)의 화물케이지(230)를 2층 데크(320)로 이송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3층 데크(330)의 데크 트롤리에 적재된 화물케이지(230)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연결후크(123)를 연결한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견인와이어(122)를 당겨 화물케이지(230)을 일정 높이로 들어올린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와 화물케이지(23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물케이지(230)가 3층 데크(330)의 해치(33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견인와이어(122)를 풀어 화물케이지(230)가 3층 데크(330)의 해치(331)를 통과하도록 한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와 화물케이지(23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화물케이지(230)가 2층 데크(320)의 해치(321) 일측에 대기중인 2층 데크 트롤리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견인와이어(122)를 풀어 화물케이지(230)가 2층 데크 트롤리에 적재되도록 한다.
다음에 화물케이지(230)로부터 트롤리 호이스트(120)의 연결후크(123)를 분리하고, 견인와이어(122)를 당겨 연결후크(123)가 보관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은 바닥층 데크(310)를 제외한 각 층의 데크(330)(320)에 마련한 해치(331)(321)를 통해 화물을 간편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최상층에서 가장 낮은 층까지 화물을 바로 내리거나 올릴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승강수단 110 : 지지레일
120 : 트롤리 호이스트 220, 230 : 화물케이지
310, 320, 330 : 데크 321, 331 : 해치

Claims (4)

  1. 최상층의 천정에 장착되는 하나의 승강수단(100); 층간 이송되는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케이지(220)(230); 및 바닥층 데크(310)을 제외한 각 층의 데크(320)(330)에 마련되는 해치(321)(331);를 포함하며,
    상기 화물케이지(220)(230)의 최대 폭이 각 해치(321)(331)의 폭보다 작게 설정되고, 각 해치(321)(331)가 상기 승강수단(100)의 좌우 이동범위 내에 마련되며, 최상층 플로어(330)에 마련되는 해치(331)의 내부를 다른 하부층 해치(321)의 중심수직선이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00)은 최상층의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레일(110); 및 지지레일(110)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롤리 호이스트(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최상층 플로어 해치(331)를 제외한 다른 하부층의 해치(321)는 그의 상부층의 해치(331)보다 승강수단(100)의 지지레일(110) 쪽으로 치우쳐서 형성되고,
    최상층 플로어 해치(331)를 제외한 다른 하부층의 해치(321)의 시작위치는 상부 층 해치(331)의 시작위치 + 화물케이지의 폭/2 + 여유길이로 설정되고, 끝 위치는 해당 층 해치(321)의 시작위치 + 화물케이지의 폭 + 여유길이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4. 최상층 천정에 마련된 승강수단(100)의 트롤리 호이스트(120)에 해당 층의 화물케이지(220)(230)를 연결하는 제1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120)를 통해 화물케이지(220)(230)를 상승시키는 제2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120)를 통해 화물케이지(220)(230)를 해당 층의 해치 또는 해당 층의 상부 층의 해치쪽으로 이동시키는 제3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120)를 통해 화물케이지(220)(230)를 이송하고자 하는 층으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제4단계;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120)를 화물케이지(220)(230)에서 분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방법.
KR20130052943A 2013-05-10 2013-05-10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20140133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943A KR20140133192A (ko) 2013-05-10 2013-05-10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2943A KR20140133192A (ko) 2013-05-10 2013-05-10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92A true KR20140133192A (ko) 2014-11-19

Family

ID=5245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2943A KR20140133192A (ko) 2013-05-10 2013-05-10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31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619A (ko) 2015-08-13 2017-0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조립 자재 이송용 슈팅 및 회수장치
KR20200056178A (ko) 2018-11-14 2020-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중량물 이송장치 및 그가 적용된 해양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0619A (ko) 2015-08-13 2017-02-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조립 자재 이송용 슈팅 및 회수장치
KR20200056178A (ko) 2018-11-14 2020-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중량물 이송장치 및 그가 적용된 해양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350B1 (ko)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CN104066974A (zh) 风力涡轮机叶片的保持系统、运输系统和用其运输风力涡轮机叶片的方法
US5039275A (en) Method for transferring cargo between vessel and dock
KR20170113592A (ko) 연안 자재취급 시스템 및 자재취급 방법
CN103523541A (zh) 集装箱装卸方法及升降式双层大梁岸桥集装箱装卸系统
FI79510C (fi) Kajkran och saett foer flyttning av last mellan fartyg och kaj.
EP2701970A1 (en) Vessel comprising a moon pool and a hoist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lowering items into the sea
US20150217838A1 (en) Method for lowering and hoisting of a load to or from an ocean floor
US6554557B1 (en) Inter-box connector (IBC) installation and removal system
KR20140133192A (ko) 해양구조물의 층간 화물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KR20130053486A (ko) 체인 호이스트 승강장치
US10625991B2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US4610594A (en) Container conveyor system
CN203529469U (zh) 升降式双层大梁岸桥的集装箱装卸系统
KR100895112B1 (ko) 선박 인양장치
CN210737334U (zh) 直立式结构码头的旅客垂直输送装置
KR10139449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로로선의 하역시스템
KR20130001787U (ko) 선박 및 해상구조물용 승강장치
KR100926890B1 (ko) 잔교 이동이 가능한 부잔교
KR101612124B1 (ko) 소형 선박의 인양 이동 리프트
US2448373A (en) Apparatus for loading. stowing, and unloading vessels
JP4387334B2 (ja) コンクリートの搬送設備および搬送方法
JPH03194013A (ja) ダム等における係船設備及び係船方法
SE455187B (sv) Anordning vid ro-ro-fartyg
WO2019021523A1 (ja) 橋形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