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8760B1 -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8760B1
KR102168760B1 KR1020180163192A KR20180163192A KR102168760B1 KR 102168760 B1 KR102168760 B1 KR 102168760B1 KR 1020180163192 A KR1020180163192 A KR 1020180163192A KR 20180163192 A KR20180163192 A KR 20180163192A KR 102168760 B1 KR102168760 B1 KR 102168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ence
closing
door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4604A (ko
Inventor
제해영
Original Assignee
제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해영 filed Critical 제해영
Priority to KR102018016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7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4Other traps automatically res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작지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을 통해 동물을 울타리 내부로 유도하며, 울타리 내부로 침입하는 동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문을 폐쇄시킴으로써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도 동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한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작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울타리부; 및 상기 울타리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울타리부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Animal capturing device using cultivated land}
본 발명은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작지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을 통해 동물을 울타리 내부로 유도하며, 울타리 내부로 침입하는 동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문을 폐쇄시킴으로써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도 동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한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이나 숲에 서식하는 멧돼지의 서식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숲에서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특산종 및 식물자원과 농가에서 애써 가꾸어 놓은 전답 작물에 대한 피해가 극에 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심 주변의 산에서 기거하는 멧돼지가 민가로 출몰하거나, 집에서 사육되던 고양이나 개 등이 사육장을 탈출하여 종종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동물들은 먹이를 구하기 위하여 주택가의 하수구나 쓰레기장 등 먹이가 있는 곳에 출몰하여 각종 전염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될 우려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83556호(2018.07.24 등록)는 유해동물 포획틀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다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출입을 차단하도록 설치된 차폐판과, 상기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유해동물이 밟도록 설치된 발판으로 이루어져, 유해동물을 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인하여 유해동물이 발판을 밟게 되면, 차폐판이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유해동물을 몸체의 내부공간에 포획하는 유해동물 포획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차폐판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이 몸체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의해 몸체의 상부로 승강된 차폐판의 하면에는 차폐판이 하강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쇠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판과 걸림쇠 간에는 와이어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발판을 유해동물이 밟게 되면 와이어로 연결된 걸림쇠가 후방으로 후퇴하게 됨으로써 차폐판은 가이드프레임으로 따라 하강하여 몸체의 개구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03240호(2007.03.28 등록)는 동물 포획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동물을 포획하는 포획장치에 있어서, 장방형의 틀이 형성되도록 파이프로 구성된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가로부재 내측에 상면과 좌우 및 전 후면에 다수개의 파이프로 연결되어 구성된 벽면과, 상기 프레임 하면에 철망으로 구성된 바닥부로 이루어진 포획틀; 상기 포획틀의 전면의 일 측으로 동물이 유인되어 들어가도록 형성된 유인구; 상기 유인구의 좌측면에 동물의 순간 탈출을 방지하는 차단벽; 상기 바닥부의 일 측에는 먹이를 놓도록 형성되는 정방형의 평철로 구성된 발판; 상기 유인구 상부에 경첩으로 고정되어 개폐되며 상기 발판과 연결홈으로 연결되는 개폐문; 상기 발판의 일 측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측 벽면에 고정된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판을 밟으면 가해지는 힘의 작용으로 상기 개폐문을 닫도록 형성된 연결장치; 및 상기 유인구의 하부와 상기 개폐문의 하부에는 개폐문이 닫히도록 구성된 잠금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물 포획용 장치는, 먹이를 이용하여 포획장치 내부로 동물을 유인하는 것으로 야생동물의 경우 경계심이 강한 탓에 들어가지 않거나, 포획장치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몸집이 큰 멧돼지 또는 다수의 동물을 한꺼번에 포획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8355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0324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작지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을 통해 동물을 울타리 내부로 유도하며, 울타리 내부로 침입하는 동물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문을 폐쇄시킴으로써 현장에 출동하지 않고도 동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한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경작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울타리부; 및 상기 울타리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울타리부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포함하는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울타리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개폐문부재; 상기 개폐문부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는 통신부재; 및 상기 통신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문부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울타리부 또는 상기 개폐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동물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탈출방지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출방지침부는, 상기 울타리부 또는 상기 개폐부에 고정 설치되는 클립; 상기 클립의 일측에 형성되는 침; 및 상기 클립과 상기 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침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울타리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울타리부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작지의 가장자리에 울타리를 형성하여 자연적 현상으로 동물을 울타리 내부로 유도함으로써, 경작지에서 농작물의 수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물의 의심이나 경계심을 줄여 쉽게 접근시킬 수 있으며, 몸집이 큰 멧돼지 또는 다수의 동물을 한꺼번에 포획함으로써, 유해동물의 개체수를 줄여 경작지의 농작물 수확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움직임감지부를 통해 동물의 출입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부를 개폐시킴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관리자가 일일이 감시하지 않아도 되며, 포획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개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개폐문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있는 탈출방지침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10)는, 울타리부(100), 개폐부(200)를 포함한다.
울타리부(100)는, 경작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자연적 현상으로 동물을 내부로 유인하여 포획한다. 이때, 경작지에서는 경우에 따라 자두, 살구, 사과, 옥수수, 고구마 등의 농작물을 선택하여 재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울타리부(100)는, 내부 공간의 경작지에서 농작물을 경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에서 암컷 개체를 사육함으로써 번식기의 수컷 개체를 유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울타리부(100)는, 번식기의 수컷 개체는 암컷 개체가 내는 소리에 민감하므로, 스피커(미도시)를 설치하여 암컷 개체의 소리를 발생시켜 수컷 개체를 유인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울타리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철망 구조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설치 장소, 포획 동물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울타리부(100)는, 동물이 부딪히거나 물어뜯어도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재, 합성수지재 등)로 형성할 수 있다.
개폐부(200)는, 울타리부(10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며, 울타리부(100)의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부(200)는, 울타리부(100)의 전면, 후면, 좌면, 우면 각각에 형성되어, 동물을 다양한 방향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부(200)는, 자동으로 개폐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수동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10)는, 경작지의 가장자리에 울타리부(100)를 형성하여 자연적 현상으로 동물을 울타리부(100)의 내부로 유도함으로써, 동물의 의심이나 경계심을 줄여 쉽게 접근시킬 수 있으며, 몸집이 큰 멧돼지 또는 다수의 동물을 한꺼번에 포획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개폐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개폐부(200)는, 개폐문부재(210), 단말기(220), 통신부재(230), 제어부재(240)를 포함한다.
개폐문부재(210)는, 울타리부(10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울타리부(100)의 일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문부재(210)는, 제어부재(24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폐문부재(210)는, 일정 각도(예를 들어, 20 ~ 45도)로 경사진 경사로에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개방되어 있다가 제어부재(240)의 제어에 따라 경사로를 따라 하강하면서 폐쇄될 수 있다.
단말기(220)는, 개폐문부재(21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시켜 통신부재(23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220)는, 개폐문부재(210)를 개방시키기 위한 개방제어신호 또는 개폐문부재(210)를 폐쇄시키기 위한 폐쇄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통신부재(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기(220)는, 관리자가 개폐문부재(210)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핸드폰, PDA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서,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한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생성시킨 개방제어신호 또는 폐쇄제어신호를 통신부재(230)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동물이 울타리부(100) 내부로 완전히 들어오게 되면 관리자가 원격으로 개폐문부재(210)를 제어하여 동물을 신속하게 포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신부재(230)는, 단말기(2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재(24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재(230)는, Wi-Fi, BLE 또는 RS 485, RS 232와 같은 시리얼 통신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재(240)는, 통신부재(23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개폐문부재(210)의 개폐를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재(240)는, 통신부재(230)로부터 전달되는 개방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문부재(210)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거나, 통신부재(230)로부터 전달되는 개방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문부재(21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10)는, 울타리에서 멀리 떨어진 원격 제어지에서 야생동물의 접근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간단한 조작에 따라 야생동물을 안전하게 생포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개폐문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폐문부재(210)는, 프레임(211), 안내레일(212), 도어(213), 모터(214), 벨트(215), 벨트풀리(216), 클러치(217), 브라켓(218), 스프링(219)을 포함한다.
프레임(211)은, 울타리부(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안내레일(212)은, 프레임(211)에 형성되어, 도어(213)를 슬라이드 안내한다.
도어(213)는, 브라켓(218)의 이동에 의해 안내레일(2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모터(214)는, 프레임(211)의 내측에 형성되어, 도어(213)의 개방 동작과 폐쇄 동작에 구동력을 인가한다.
벨트(215)는, 벨트풀리(216)와 연결되어 벨트풀리(216)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벨트풀리(216)는, 클러치(217)의 온오프에 따라 모터(214)와 일체로 또는 모터(214)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일 실시 예에서, 벨트풀리(216)는, 클러치(217)의 오프시 클러치(217)의 회전축에 대한 관계에서 헛돌아 모터(214)와 별개로 동작할 수 있다.
클러치(217)는, 제어부재(24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되면서 모터(214)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벨트풀리(216)에 모터(210)의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브라켓(218)는, 상부가 벨트(215)에 결합 형성되고 하부가 도어(213)에 결합 형성되어, 벨트(215)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면서 도어(213)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스프링(219)은, 브라켓(218)과 프레임(211)의 일면 사이에 형성되어, 브라켓(218)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평상시 동물을 유인하기 위해 도어(213)를 개방하게 되면 모터(213)의 구동에 의해 브라켓(218)이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219)이 연장되며, 동물을 포획하기 위해 도어(213)를 폐쇄하게 되면 클러치(217)가 오프된 상태에서 벨트풀리(216)가 헛돌게 되고 스프링(219)의 탄성력에 의해 브라켓(218)이 다른 일측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도어(213)가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동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생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10)는, 울타리부(100), 개폐부(200), 탈출방지침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울타리부(100), 개폐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탈출방지침부(300)는, 울타리부(100) 또는 개폐부(200)의 내측에 형성되어, 동물의 접근을 막아 탈출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탈출방지침부(300)는, 울타리부(100) 또는 개폐부(200)에 설치되는 비계용 클립과, 비계용 클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방지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비계용 클립은 울타리부(100) 또는 개폐부(200)에 위치시킨 후 용접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탈출방지침부(300)는, 다수개 설치 시,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되는 경우에 겹치지 않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탈출방지침부(300)는, 방지침의 일 말단이 뭉툭하게 형성되어, 동물이 다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있는 탈출방지침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탈출방지침부(300)는, 클립(310), 침(320), 각도조절수단(330)을 포함한다.
클립(310)은, 울타리부(100) 또는 개폐부(200)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침(320)이 구비된다.
침(320)은, 클립(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동물의 접근을 막아준다.
각도조절수단(330)은, 클립(310)과 침(320) 사이에 형성되어, 침(32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수단(330)은, 돌출수단(331), 힌지(332), 고정볼트(3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수단(331)은, 클립(3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힌지(332)가 삽입 설치된다.
힌지(332)는, 침(320)의 일 말단에 연장 형성되며, 돌출수단(33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한다.
고정볼트(333)는, 돌출수단(331)을 관통하여 조아줌으로써, 힌지(332)의 각도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탈출방지침부(300)는, 울타리부(10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경우에 침(320)의 각도를 하부 방향으로 조절하여 동물이 뛰어 오르거나 기어오르는 경우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순히 수직으로 설치 시 공백이 생길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침(320)의 각도 조절로 인해 막을 수 있으므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10)는, 울타리부(100), 개폐부(200), 촬영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울타리부(100), 개폐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촬영부(400)는, 울타리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울타리부(100)의 내부를 촬영한다.
일 실시 예에서, 촬영부(400)는, 울타리부(100)의 내부 및 울타리부(100)로 접근하거나 출입하는 야생동물의 영상을 촬영한 다음 영상신호로 처리하여 단말기(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촬영부(400)는, CCTV 카메라, 웹(WEB)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 등일 수 있으며, 주변이 어둡거나 야간인 경우에도 동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외선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촬영부(400)는, 동물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장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10)는, 거리센서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센서부는, 촬영부(400)를 통해 감지된 야생동물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울타리부(100) 내부에 포획된 야생동물을 후속조치하기 위해 거리센서부에서 감지한 거리에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리센서부는, 레이저거리측정기기 등을 이용하여 촬영부(400)를 통해 촬영되는 야생동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거리를 단말기(220)로 전달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10)는, 울타리부(100), 개폐부(200), 충격감지부(500), 움직임감지부(600),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울타리부(100), 개폐부(2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충격감지부(500)는, 울타리부(100) 또는 개폐부(200)에 형성되어, 울타리부(100) 또는 개폐부(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충격감지부(500)는, 진동센서로서, 충격에 의한 진동정보를 감지하여 울타리부(100) 또는 개폐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움직임감지부(600)는, 개폐부(200)에 형성되어,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동물이 접근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움직임감지부(60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된 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움직임감지부(60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개폐부(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구동신호를 개폐부(2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가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움직임감지부(600)를 이용하여 동물이 감지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개폐부(200)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관리자가 일일이 감시하지 않아도 되며, 포획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100 : 울타리부
200 : 개폐부
210 : 개폐문부재
211 : 프레임
212 : 안내레일
213 : 도어
214 : 모터
215 : 벨트
216 : 벨트풀리
217 : 클러치
218 : 브라켓
219 : 스프링
220 : 단말기
230 : 통신부재
240 : 제어부재
300 : 탈출방지침부
310 : 클립
320 : 침
330 : 각도조절수단
331 : 돌출수단
332 : 힌지
333 : 고정볼트
400 : 촬영부
500 : 충격감지부
600 : 움직임감지부
700 : 제어부

Claims (5)

  1. 경작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동물을 포획하기 위한 울타리부;
    상기 울타리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울타리부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 및
    상기 울타리부 또는 상기 개폐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동물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탈출방지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울타리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개폐문부재;
    상기 개폐문부재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시켜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전달하는 통신부재; 및
    상기 통신부재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문부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문부재는,
    상기 울타리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안내레일;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도어;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동작과 폐쇄 동작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와 일체로 또는 상기 모터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기 위한 벨트풀리;
    상기 벨트풀리와 연결되어, 상기 벨트풀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기 위한 벨트;
    상기 제어부재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되면서 상기 벨트풀리에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클러치;
    상부가 상기 벨트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의 일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탈출방지침부는,
    상기 울타리부 또는 상기 개폐부에 고정 설치되는 클립;
    상기 클립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 말단이 뭉툭하게 형성되는 침;
    상기 클립과 상기 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침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타리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울타리부의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KR1020180163192A 2018-12-17 2018-12-17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KR102168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192A KR102168760B1 (ko) 2018-12-17 2018-12-17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192A KR102168760B1 (ko) 2018-12-17 2018-12-17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604A KR20200074604A (ko) 2020-06-25
KR102168760B1 true KR102168760B1 (ko) 2020-10-22

Family

ID=7140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192A KR102168760B1 (ko) 2018-12-17 2018-12-17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7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713B1 (ko) * 2019-09-02 2021-07-30 (주)에스콤코리아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0706A (ja) 2010-02-08 2011-08-25 Asahi Denshi Kenkyusho:Kk 野生動物捕獲装置
JP2014014310A (ja) * 2012-07-09 2014-01-30 Ise:Kk 有害動物捕獲用の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6025728A (ja) * 2014-07-18 2016-02-08 ヨツギ株式会社 鳥害防止具
JP2016123413A (ja) 2014-12-26 2016-07-11 有限会社 佐藤住研 歩行動物若しくは鳥類の侵入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40B1 (ko) 2006-01-10 2007-04-09 대한민국 동물 포획장치
KR20150089543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디엠씨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KR101883556B1 (ko) 2016-08-26 2018-08-31 조영식 유해동물 포획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0706A (ja) 2010-02-08 2011-08-25 Asahi Denshi Kenkyusho:Kk 野生動物捕獲装置
JP2014014310A (ja) * 2012-07-09 2014-01-30 Ise:Kk 有害動物捕獲用の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6025728A (ja) * 2014-07-18 2016-02-08 ヨツギ株式会社 鳥害防止具
JP2016123413A (ja) 2014-12-26 2016-07-11 有限会社 佐藤住研 歩行動物若しくは鳥類の侵入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604A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42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US8661727B2 (en) Humane animal trap
JP6171144B2 (ja) 有害動物捕獲用の遠隔操作システム
US20170202205A1 (en) Mouse trap
JP2016178636A (ja) 弱光トレイルカメラ
KR102124812B1 (ko)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US100761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pping animals
US8887435B2 (en) Wall-less trap systems and methods
JP2011160706A (ja) 野生動物捕獲装置
JP7161770B2 (ja) 動物用罠システム及び動物の錯誤捕獲を抑止する方法
KR102168760B1 (ko)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KR20150089543A (ko)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KR100703240B1 (ko) 동물 포획장치
JP6084043B2 (ja) 箱形罠装置
US20190124912A1 (en) Live-release animal trap that splits into multiple sections
JP2011024446A (ja) 箱形罠
JP6421390B2 (ja) 動物の処分方法及び動物の処分装置
JP5493094B2 (ja) 害獣捕獲装置
KR20200065235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102283713B1 (ko)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KR102338020B1 (ko) 산돼지 포획틀
CN110545662B (zh) 驱逐设备和设置这种装置的挤奶设施
KR20220126952A (ko) 멧돼지 포획장치
KR20200009415A (ko) 멧돼지 포획 시스템
AU2018220118A1 (en) Pest control assembly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