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543A -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543A
KR20150089543A KR1020140010291A KR20140010291A KR20150089543A KR 20150089543 A KR20150089543 A KR 20150089543A KR 1020140010291 A KR1020140010291 A KR 1020140010291A KR 20140010291 A KR20140010291 A KR 20140010291A KR 20150089543 A KR20150089543 A KR 20150089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mera
wild
capturing
lock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구
김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14001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543A/ko
Publication of KR20150089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멧돼지 등을 포함한 각종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가정(안방) 또는 사무실에서 야생동물의 접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원격 생포(포획)할 수 있도록 한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정 용적의 포획실(4a)이 견고하게 구성되는 우리(4), 우리(4) 일측에 힌지(5)로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되는 도어(6) 및 출입구(6a) 도어(6) 상부에 설치되는 잠금수단(7), 잠금수단(7)과 우리(4)를 연결하는 작동봉(8), 잠금수단(7)에 설치되고 제어기(9)의 제어를 받아 도어(6)를 폐쇄시키는 도어락킹부(10), 도어(6)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잠금장치(11), 포획실(4a)에 설치되고 야생동물(17)을 유인하는 급이통(18) 및 급수통(19) 우리(4) 상부 프레임(3b)에 설치되는 카메라(20), 우리(4) 상부 프레임(3b)에 설치되고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스마트폰(23)과 통신하는 제어기(9); 및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SYSTEM FOR CAPTURING WILD ANIMAL USING BY REMOTECONTROL}
본 발명은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멧돼지 등을 포함한 각종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가정(안방) 또는 사무실에서 야생동물의 접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원격 생포(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동물보호에 대한 규제와 인식이 높아지면서 야생동물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야생동물 개체수의 급격한 증가는 야생동물 상호간의 생존 경쟁을 부추기게 됨에 따라 자연환경의 생존 경쟁에서 밀려나 먹이를 구하지 못하거나 또는 혹한기와 같이 먹이가 부족해지는 계절에는 야생동물들이 자연환경을 벗어나 마을 인근이나 도심지까지 출몰하여 먹이를 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야생동물의 잦은 출몰은 대부분 막대한 농작물 피해와 직결되며, 멧돼지의 경우에는 민첩성과 과격성으로 인명 피해까지 발생되고 있으며, 고속도로까지 출몰하여 자동차와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멧돼지를 포획 및 사살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일부 허용하고는 있으나, 멧돼지의 출몰 시기를 미리 예상하기가 어렵고, 멧돼지가 발견되어도 멧돼지의 민첩성과 과격성으로 인해 포획하거나 사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포획 시스템은 야생동물이 출몰하는 지역이나 부근에서 기다리거나 망을 보다가 야생동물이 포획실로 진입하면 작동시켜 포획하는 구성이므로 많은 인내가 요구될 뿐 아니라, 냄새에 민감한 야생동물이 감시자의 체취(냄새)를 맡은 경우 아예 접근하지 않아 포획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포획 시스템이 설치되는 장소가 대부분 원격지이기 때문에 감시자가 현장에 잠복을 하거나 또는 현장을 방문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포획여부를 알 수 없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1565호(발명의 명칭: 동물 자동 포획 장치, 2012. 12. 12.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3240호(발명의 명칭: 동물 포획 시스템, 2007. 4. 9. 등록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7557호(발명의 명칭: 유해동물 포획 장치, 2009. 1. 9. 특허공개)
본 발명은 각종 야생동물을 안전하면서 산채로 원격 포획할 수 있는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멧돼지와 같이 무리지어 집단생활하거나 활동하는 야생동물을 유인한 다음 한꺼번에 원격 포획할 수 있는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및 보급이 일반화(보편화)된 스마트폰(휴대폰 등의 모바일 제품)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야생동물의 동태를 살펴보면서(감시하면서) 확실하고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는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가전원(自家電源)으로 항시 동작되는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야생 동물 포획 시스템은, 소정 용적의 포획실(4a)이 견고하게 구성되는 우리(4); 우리(4) 일측에 힌지(5)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6) 및 출입구(6a); 도어(6) 상부에 설치되는 잠금수단(7); 잠금수단(7)과 우리(4)를 연결하는 작동봉(8); 잠금수단(7)에 설치되고 제어기(9)의 제어를 받아 도어(6)를 폐쇄시키는 도어락킹부(10); 도어(6)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잠금장치(11); 포획실(4a)에 설치되고 야생동물(17)을 유인하는 급이통(18); 우리(4) 상부에 설치되고 우리(4)와 야생동물(17)을 촬영하여 제어기로 입력하는 카메라(20); 상기 우리(4) 상부에 설치되고 이동통신망(22)이나 유무선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스마트폰(23)과 통신하는 제어기(9); 및 동작전원을 공급 전원부(24);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의 케이스나 출입구(6a)를 향하는 상부 프레임(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열감지센서(51)와, 출입구(6a) 상부에 설치되어 출입하는 야생동물(17)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는, CCTV 카메라, 또는 웹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34)는, 상부 프레임(3a)에 설치되는 태양전지(45), 상기 태양전지(45)로 얻은 기전력을 배터리(47)에 충전하는 충전부(46), 상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7)를 포함하는 자가전원이 항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야생동물이 자주 출몰하는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원격제어지(안방)에서 야생동물의 접근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스마트폰의 간단한 조작(포획 이벤트)에 따라 야생동물을 산채로 안전하게, 확실히 생포할 수 있어서 야생동물로부터 농작물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야생동물과의 직접 접촉에 따른 인명 상해 등을 예방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이용한 자가전원(自家電源)이 공급되므로 항시 동작 될 뿐 아니라,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장소)이나 야산 등에도 설치 및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멧돼지와 같이 무리지어 생활하거나 활동하는 여러 마리의 야생동물을 유인한 다음 한꺼번에 원격 포획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평면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측면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어 부분 평면도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
도 5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도어 부분 평면도로, 도어가 폐쇄 및 락킹된 상태.
도 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급이통 단면도.
도 7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급수통 단면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회로 블럭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야생동물 포획 흐름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먹이 및 급수 소모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1)의 사시도이고, 도 2, 도 3은 평면도로, 야생동물(17)이 출현하는 임의의 위치(장소)나 출현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여러 마리의 야생동물을 유인시킨 다음 산채로 한꺼번에 생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1)은 소정 메쉬의 철망(2)이나 와이어 또는 프레임 및 복수의 수직/수평 프레임(3)으로 소정 용적의 포획실(4a)이 견고하게 구성되는 우리(4)와, 야생동물(17)이 출입할 수 있도록 우리(4) 일측에 힌지(5)로 설치되는 도어(6) 및 출입구(6a)와, 도어(6) 상부에 설치되는 잠금수단(7)과, 잠금수단(7)과 우리(4)를 연결하는 작동봉(8)과, 잠금수단(7)에 설치되고 제어기(9)의 제어를 받아 도어(6)를 신속히 폐쇄시키는 도어락킹부(10)와, 도어(6)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잠금장치(11)와, 우리(4)에 설치되고 잠금장치(11)의 잠금쇠(12)가 각각 결합되어 걸림되는 걸림고리(13)와, 잠금장치(11)에 설치되는 잠금해제부(14)와, 우리(4) 하부 프레임(3a)의 외측 또는 내측에 고정되고 앵커(15), 또는 지하 시설물이나 지하 설치물을 이용하여 우리(4)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부(16)와, 우리(4) 내부 포획실(4a)에 설치되고 야생동물(17)을 유인하는 급이통(18) 및 급수통(19)과, 우리(4) 상부 프레임(3b)에 설치되어 우리(4) 및 그 주변과, 우리(4)로 접근하거나 출입하는 야생동물(17)의 영상을 촬영한 다음 영상신호로 처리하여 제어기(9)로 입력하는 카메라(20)와, 카메라(20)를 상/하/좌/우로 구동시켜 원하는 위치의 영상을 얻도록 하는 카메라 구동부(21)와, 우리(4) 상부 프레임(3b)에 설치되고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과 통신되는 스마트폰(23)과,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20)는 CCTV 카메라, 웹(WEB)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 등일 수 있으며, 도어(6) 방향을 포함한 주변을 관찰하거나 감시할 수 있도록 카메라(20)에 별도로 설치되거나 스마트폰과 같이 내장된 카메라 구동부(21)에 의해 줌(확대/축소) 및 상/하/좌/우로 구동되며, 상기 카메라 구동부(21)는 사용자가 스마트폰(23) 및 스마트폰(23)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과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실시간 구동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22)으로 전송 및 표출되는 카메라(20)의 화상을 보면서 적절히 제어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20)는, 주변이 어둡거나 야간인 경우에도 야생동물(17)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적외선이 바람직하며, 흑백보다는 컬러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CCD 카메라가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야생동물(17)을 촬영하는 경우, 우리(4) 상부 프레임(3b)에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과 통신하는 스마트폰을 설치하되, 스마트폰에 내장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우리(4) 및 그 주변과, 우리(4)로 접근하거나 출입하는 야생동물(17)의 영상을 실시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촬영된 영상은 영상신호로 처리된 다음 스마트폰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과 연계하여 통신 설정된 해당 스마트폰(23)으로 전달되며, 또한, 해당 스마트폰(23)으로 조작되는 포획신호와 카메라(20) 구동신호는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스마트폰 제어부로 전달되어 도어락킹부(10)가 원격으로 동작되거나, 스마트폰 카메라(20)의 줌 및 방향이 원격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경우 별도의 제어기(9)가 불필요하며, 전원부(24)를 이용한 전원의 상시 공급과 도어락킹부(10)를 제어하기 위한 접속이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은 CDMA, WCDMA, GSM, Wireless LAN, WiBro, WiFi, WiMax, WiMAX evolution, LTE, LTE 어드밴스드 등을 포함하며, 무선 랜카드와 억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핫스팟(hot spot) 방식에 의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나, 이동 통신용 모뎀과 공중망인 이동 통신망을 기반으로 무선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인터넷망은 이동통신망(22)과 연계되거나 독자적인 통신망이나 상업망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망(22)과 유무선 인터넷망을 같이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22)이 서비스되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유무선 인터넷망이 서비스되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동통신망(22)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23)은, 유무선 통신(인터넷을 포함한다)이 가능한 각종 이동통신단말기(모바일)을 포함하며, 물론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DA폰 또는 통신기능이 있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웹 패드, 인터넷 TV, IPTV, 스마트TV 등과 같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망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 브라우저(도시안됨) 및/또는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 프로그램 및 주변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가 미약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이통(18)은 도 6과 같이 지면(25)에 묻히는 지주(26) 하부의 기초 콘크리트(27)와, 지주(27) 상부에 설치되는 통체 내부에 야생동물(17)이 좋아하고 잘먹을 수 있는 먹이(28)가 수용되는 소정 용적의 수용실(29)과, 수용실(29) 하부에 형성되는 먹이 배출구(30)와, 배출구(30) 바깥으로 연장설치되는 먹이 받침부(31)와, 배출구(30)에 설치되고 받침부(31)의 먹이(28)가 소모되지 않고 적정량이 유지되도록 수용실(29)의 먹이(28)를 먹이 받침부(31)로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32)와, 수용실(29) 상부에 개폐되는 뚜껑(33)으로 구성되어 야생동물(17)이 먹이(28)를 먹어 소모되더라도 정량 공급된다.
상기 배출구(30)에는 반사식 또는 투수광식, 또는 근접방식으로 먹이(28)의 소모 여부를 감지한 다음 제어기(9)로 입력하는 급이센서(34)가 설치되며, 따라서 수용실(29)의 먹이(28)가 전량 소진되어 배출되지 않는 경우 먹이소모신호가 제어기(9)로 입력되면, 제어기(9)는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스마트폰(23)으로 먹이보충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먹이(28)를 보충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수통(19)은 도 7과 같이 지면(25)에 묻히는 지주(35) 하부의 기초 콘크리트(36)와, 지부(35) 상부에 설치되는 통체 내부에 야생동물(17)이 마실 수 있는 물(37)이 수용되는 소정 용적의 수용실(38)과, 수용실(38)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39) 바깥으로 연장설치되는 받침부(40)와, 배출구(39)에 설치되고 받침부(40)의 물(37)이 소모되지 않고 적정 수위가 유지되도록 수용실(38)의 물(37)을 받침부(40)로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41)와, 수용실(38) 상부에 개폐되는 뚜껑(42)으로 구성되어 야생동물(17)이 물(37)를 마셔 받침부(40)의 물이 소모되더라도 일정 수위로 정량 공급된다.
상기 배출구(39)에는 반사식 또는 투수광식, 또는 접촉식으로 물(37)의 소모 여부를 감지한 다음 제어기(9)로 입력하는 급수센서(43)가 설치되며, 따라서 수용실(38)의 물(37)이 전량 소모되어 배출되지 않는 경우 물 소모신호가 제어기(9)로 입력되면, 제어기(9)는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스마트폰(23)으로 물 보충신호를 전달함으로써 물(37)을 보충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이통(18)과 급수통(19)은 우리(4)의 하부 프레임(3a)에 용접이나 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6)는 도면과 같이 여닫이 식으로 개폐되거나, 또는 상하 승강구조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6)는 도 5와 같이 상부에 설치되는 잠금수단(7)과 작동봉(8)의 펼쳐짐에 의해 평소(포획 전)에는 개방 및 열려있는 상태이며, 스마트폰(23)으로부터 전달되는 포획신호에 의해 제어부(47)로부터 동작신호가 출력되면 도 4와 같이 도어락킹부(10)가 동작하면서 펼쳐진 작동봉(8)이 신속히 접혀지면서 폐쇄 및 닫히게되고, 잠금장치(11)의 잠금쇠(12)는 도 4와 같이 우리(4)에 고정된 걸림고리(13)에 결합 및 걸림되면서 견고하게 잠금되므로 야생동물(17)이 산채로 포획된다.
상기 우리(4)에 포획된 야생동물(17)을 우리(4)로부터 끄집어내고자 하는 경우, 잠금장치(11)에 설치된 잠금해제부(14)를 이용하여 수동(스프링 탄지방식 또는 걸림방식) 또는 전기(솔레노이드 방식인 경우)로 잠금 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도어(6)를 열어 출입구(6a) 바깥으로 야생동물(17)을 끄집어내어 처리하면 된다.
상기 포획실(4a)은, 여러 마리의 야생동물(17)이 출입하여 유인물인 먹이(28) 및/또는 물(37)을 취할 수 있는 소정 용적의 크기로 구성되며, 이탈하거나 파손되지않도록 견고한 금속이나 구조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가금류나 유해 조수를 포획하는 경우, 우리(4) 상부에 소정 메쉬의 철망(2)을 그물을 씌워 도망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에서 잠금장치(11)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잠금장치(11)에 설치된 잠금해제부(14)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11)는 방화문이나 타산업분야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잠금장치(11)의 자세한 구성이나 동작원리, 동작상태 등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전원부(34)는 상부 프레임(3a)에 설치되는 태양전지(45)와, 태양전지(45)로 얻은 기전력을 배터리(47)에 충전하는 충전부(46)와, 충전(充電)된 전원(電源)을 제어기(9) 등으로 공급하는 배터리(47)로 구성되어 전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자가(自家) 공급되므로, 항시(상시) 동작 상태가 유지된다.
도 8은 제어기(9)의 회로 블럭도로, 마이컴(Micom)이나 중앙처리장치(CPU)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47)의 입력에 카메라(20)와, 영상처리부(48)가 접속되어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신호(촬상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47)의 다른 입력에 마이크(49)와 오디오처리부(50)가 접속되어 소리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47)의 다른 입력에 먹이(28)의 소모를 감지하는 급이센서(34)와 물37)의 소모를 감지하는 급수센서(43)가 각각 접속되어 먹이(28) 소모상태와 물(37) 소모 상태가 감지되고, 제어부(47)의 또 다른 입력에는 열감지센서(51)가 접속되어 접근하는 야생동물(17)의 체온을 이용하여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7)의 출력에는 카메라(20)의 줌(확대/축소)과 전/후/좌/우 촬영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카메라 구동부(21)가 접속되고, 제어부(47)의 입/출력에는 안테나(7a)가 구비된 무선통신부(52)가 접속되며, 따라서 열감지신호와 영상신호와 소리(오디오)신호와 먹이보충신호와 물보충신호 등이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과 연계하여 통신 설정된 해당 스마트폰(23)으로 전달되며, 또한, 해당 스마트폰(23)으로 조작되는 포획신호와 카메라(20) 구동신호는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제어부(47)로 전달되어 도어락킹부(10)가 원격으로 동작되거나, 카메라(20)의 줌 및 방향이 원격으로 제어된다.
상기 열감지센서(51)는 카메라(20)의 측면에 부착 설치하여 본 발명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1) 부근으로 접근하거나 출입구(6a)를 통하여 포획실(4a)로 출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열감지센서(53)의 경우 야생동물(17)이 출입하는 출입구(6a) 상부에 설치하여 하향 감지되게 구성함으로써 출입구(6a)를 통하여 포획실(4a)로 출입하는 야생동물(17)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열감지센서(51)(53)는 카메라(20)의 케이스나 출입구(6a)를 향하는 상부 프레임(3a), 또는 출입구(6a) 상부에 각각 설치하여 본 발명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1) 부근으로 접근하는 것과 출입구(6a)를 통하여 포획실(4a)로 출입하는 것을 구분하여 확실하게 감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폰(23)에는 영상 및 음성 출력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거나 설치되며, 도어락킹부(10)를 제어하고 카메라 구동부(21)를 제어하거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거나 설치된다.
상기 무선통신부(52)는 이동통신망(22)과 통신(호) 연결되어 영상, 소리(소리), 각종 데이터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구성이며, 안테나(52a)가 구비되어 신호 이득이나 감도가 향상된다. 상기 무선통신부(52)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망(22)과 연결되는 수단일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20)가 적외선 카메라(20)인 경우 주변이 어둡거나 야간인 경우에도 야생동물(17)의 접근이나 출입 동영상을 수신받아 실시간 감시할 수 있으며, 감시자(사용자)가 스마트폰(23)으로 감시모드를 실행시키면 본 발명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1)을 원하는 시간에 실시간 감시할 수 있다.
예컨대 감시자가 스마트폰(23)으로 감시모드를 실행시켜 본 발명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1)의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과 마이크(49)에 의해 감지되는 소리를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는 방법으로 전송받아 실시간 감시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스마트폰(23)의 카메라 조작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카메라(20)의 줌(Zoom)이나 전/후/좌/우 각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1) 주변을 확장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야생동물(17)이 원격 포획 시스템(1)으로 접근하거나 평소에 열려 있는 출입구(6a)로 출입하면 열감지센서(51)(53)에 의해 먼저 감지되어 제어기(9)의 제어부(47)로 입력되면, 제어부(47)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과 마이크(49)에 의해 감지되는 소리신호가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해당 스마트폰(23)로 전달되어 경보 및 표출되므로 감시자는 다른 작업중에도 야생동물(17)의 접근이나 출입을 인지할 수 있게 되며, 영상 및 소리를 실시간 감시하다가 집단 생활을 하는 멧돼지와 같이 여러 마리의 야생동물(17)들이 먹이(28) 및/또는 물(37)을 취하기 위하여 포획실(4a)로 완전히 진입한 경우 스마트폰(23) 조작으로 포획신호(포획 이벤트)를 전송하면 제어부(47)에 의해 도어 폐쇄신호가 출력되고, 도어락킹부(10)가 동작하면서 도어(6)가 신속히 폐쇄 및 잠금되므로 여러 마리의 야생동물(17)이 생포된다.
본 발명에서 한, 두마리의 멧돼지가 포획실(4a)로 출입하여 유인물인 먹이(28) 및 물(37)을 취하거나 확인한 다음 출입문(6a)을 빠져 나가 동료, 가족 멧돼지를 데려올 때 까지 기다렸다가, 동료 및 가족 멧돼지가 포획실(4a)로 모두, 또는 대부분 출입한 상태에서 도어(6)를 신속히 폐쇄시키면 여러 마리의 멧돼지를 한꺼번에 생포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야생동물(17) 포획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 감시수단, 이를테면 열감지센서(51), 카메라(20), 마이크(49)를 동작시켜 야생동물(17)에 의해 감지되거나 촬영되는 열신호, 영상신호, 소리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S1 단계), 상기 감시수단동작에 의해 야생동물(17)이 감지되면(S2 단계), 야생동물(17) 동영상신호 및 소리신호를 신호처리한 다음 무선통신부(51)와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통신 설정된 당해 스마트폰(23)으로 전달되어 촬영 및 포착되는 동영상과 소리가 출력되므로(S3 단계) 안방이나 사무실 등의 원격지에서도 야생동물(17)의 접근 상황이나 포획실(4a) 출입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며, 야생동물(17)이 먹이(28) 및/또는 물(37)을 노려 도어(6)가 열려 있는 출입구(6a)를 통하여 포획실(4a)로 진입하면(S4 단계), 감시자가 스마트폰(23) 조작으로 포획신호(포획 이벤트)가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무선통신부(52) 및 제어부(47)로 전송되고, 제어부(47)는 도어 폐쇄신호를 출력하고, 도어락킹부(10)가 동작하면서(S6 단계) 도 3과 같이 열려 있던 도어(6)가 신속히 닫혀 폐쇄되면서 잠금장치(11)의 잠금쇠(12)가 걸림고리(13)에 걸림되어 견고한 락킹(잠금)이 이루어지고(S7 단계), 포획실(4a)의 야생동물(17)은 포획(생포)된다(S8 단계).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것처럼, 멧돼지와 같이 무리지어 집단 생활하거나 활동하는 야생동물을 유인한 다음 한꺼번에 원격 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야생동물(17)이 자주 출몰하는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원격제어지(안방)에서 야생동물(17)의 접근 상황이나 포획실(4a) 출입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스마트폰(23)의 간단한 조작(포획 이벤트)에 따라 적어도 한 마리 이상의 야생동물(17)을 산채로 안전하게, 확실히 생포할 수 있어서 야생동물(17)로부터 농작물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야생동물(17)과의 직접 접촉에 따른 인명 상해 등을 예방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급이 및 급수 소진이 감지되면 스마트폰으로 급이/급수 보충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의 흐름도로, 급이통(18)의 급이센서(34) 및/또는 급수통(19)의 급수센서(43)에 의해 먹이(28) 및/또는 물(37) 감지신호가 제오부(47)로 실시간으로 입력되며(S11 단계), 제어부(47)는 급이센서(34) 및/또는 급수센서(4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설정된 신호 미만이면 먹이(28) 및/또는 물(37)이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여(S12 단계), 급이/급수 보충신호가 출력되며, 상기 급이/급수 보충신호는 무선통신부(52)와 이동통신망(22)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에 연계 설정된 해당 전화번호의 스마트폰(23)으로 전송되므로(S3 단계), 감시자는 이를 인식하여 본 발명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1)으로 이동한 다음 급이통(18)에는 먹이(28)를 보충 공급하고, 급수통(19)에는 물(37)을 보충 공급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포획 시스템 (2)--철망
(3)--프레임 (3a)--상부 프레임
(3b)--하부 프레임 (4)--우리
(4a)--포획실 (5)--힌지
(6)--도어 (6a)--출입구
(7)--잠금수단 (8)--작동봉
(9)--제어기 (10)--도어락킹부
(11)--잠금장치 (12)--잠금쇠
(13)--걸림고리 (14)--잠금해제부
(15)--앵커 (16)--고정부
(17)--야생동물 (18)--급이통
(19)--급수통 (20)--카메라
(21)--카메라 구동부 (22)--이동통신망(또는 유무선 인터넷망)
(23)--스마트폰 (24)--전원부
(25)--지면 (26)(35)--지주
(27)(36)--기초 콘크리트 (28)--먹이
(29)(38)--수용실 (30)(39)--배출구
(31)(40)--받침부 (32)(41)--정량공급장치
(33)(42)--뚜껑 (34)--급이센서
(37)--물(水) (43)--급수센서
(45)--태양전지 (46)--충전부
(47)--배터리 (48)--영상처리부
(49)--마이크 (50)--오디오처리부
(51)(53)--열감지센서 (52)--무선통신부
(52a)--안테나

Claims (3)

  1. 소정 용적의 포획실(4a)이 구성되는 우리(4);
    상기 우리(4) 일측에 힌지(5)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6) 및 출입구(6a);
    상기 도어(6) 상부에 설치되는 잠금수단(7);
    상기 잠금수단(7)과 우리(4)를 연결하는 작동봉(8);
    상기 잠금수단(7)에 설치되고 제어기(9)의 제어를 받아 도어(6)를 폐쇄시키는 도어락킹부(10);
    상기 도어(6) 일측 상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잠금장치(11);
    상기 잠금장치(11)에 설치되는 잠금해제부(14);
    상기 포획실(4a)에 설치되고 야생동물(17)을 유인하는 급이통(18);
    상기 우리(4) 상부에 설치되고 우리(4)와 야생동물(17)을 촬영하여 제어기로 입력하는 카메라(20);
    상기 우리(4) 상부에 설치되고 이동통신망(22)이나 유무선 인터넷망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스마트폰(23)과 통신하는 제어기(9); 및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
    를 포함하는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카메라(20)의 케이스나 출입구(6a)를 향하는 상부 프레임(3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열감지센서(51);
    상기 출입구(6a) 상부에 설치되어 출입하는 야생동물(17)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53);
    를 더 포함하는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카메라(20)는,
    CCTV 카메라, 또는 웹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KR1020140010291A 2014-01-28 2014-01-28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KR20150089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291A KR20150089543A (ko) 2014-01-28 2014-01-28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291A KR20150089543A (ko) 2014-01-28 2014-01-28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543A true KR20150089543A (ko) 2015-08-05

Family

ID=5388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291A KR20150089543A (ko) 2014-01-28 2014-01-28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54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60501A1 (es) * 2016-07-20 2018-03-22 H-Cero Ingenieria Y Obras, S.L. Sistema y procedimiento de alarma y verificación en remoto para artes de atrapamiento de animales.
KR20190001198U (ko) * 2017-11-10 2019-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먹이 유인부가 구비된 유해 동물 트랩
KR102077622B1 (ko) * 2019-05-08 2020-02-14 성기웅 기능성 야생동물 포획장치
KR20200074604A (ko) * 2018-12-17 2020-06-25 제해영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KR102124812B1 (ko) * 2019-09-30 2020-07-07 주식회사 피스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KR20210026731A (ko) * 2019-09-02 2021-03-10 (주)에스콤코리아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US20230255191A1 (en) * 2010-01-11 2023-08-17 Jager Pro,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55191A1 (en) * 2010-01-11 2023-08-17 Jager Pro,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ES2660501A1 (es) * 2016-07-20 2018-03-22 H-Cero Ingenieria Y Obras, S.L. Sistema y procedimiento de alarma y verificación en remoto para artes de atrapamiento de animales.
KR20190001198U (ko) * 2017-11-10 2019-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먹이 유인부가 구비된 유해 동물 트랩
KR20200074604A (ko) * 2018-12-17 2020-06-25 제해영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KR102077622B1 (ko) * 2019-05-08 2020-02-14 성기웅 기능성 야생동물 포획장치
KR20210026731A (ko) * 2019-09-02 2021-03-10 (주)에스콤코리아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KR102124812B1 (ko) * 2019-09-30 2020-07-07 주식회사 피스 유해동물용 자동 포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9543A (ko)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US20160277688A1 (en) Low-light trail camera
US202302551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Trapping
JP6171144B2 (ja) 有害動物捕獲用の遠隔操作システム
AU2019324953B2 (en) A detection system
US20180125058A1 (en) Multifunctional animal repeller
US104704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pping animals
JP3215346U (ja) 複合型鳥獣忌避装置
KR20150118526A (ko) 야생동물 퇴치 시스템
JP2011083198A (ja) 捕獲装置及び捕獲装置システム
JP6405563B1 (ja) 個体識別式の野生動物捕獲システム
Pérez Aparicio et al. A cheap electronic sensor automated trap for monitoring the flight activity period of moths
JP2015035979A (ja) 野生動物追い込みシステム
CN113347353A (zh) 一种利用远程监控系统的捕捉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30105933A1 (en) Remote Cattle Detection and Trapping System
JP6421390B2 (ja) 動物の処分方法及び動物の処分装置
JP2016214114A (ja) 有害動物捕獲用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102168760B1 (ko)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KR20140119927A (ko) 포획기용 관리제어장치
KR101966898B1 (ko) 자율 방범 시스템
JP2017209057A (ja) 動物の処分装置
KR20210112928A (ko) 페로몬 트랩
DE202019000564U1 (de) Zuverlässige, transportable an Wildtiere individuell anpassbare Lebendfangfalle mit ausgezeichneter dauerhafter Funktionssicherheit
KR20160031070A (ko) 침입 방지 장치
CN102047870B (zh) 非触发式捕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