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713B1 -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713B1
KR102283713B1 KR1020190107942A KR20190107942A KR102283713B1 KR 102283713 B1 KR102283713 B1 KR 102283713B1 KR 1020190107942 A KR1020190107942 A KR 1020190107942A KR 20190107942 A KR20190107942 A KR 20190107942A KR 102283713 B1 KR102283713 B1 KR 102283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ure frame
door
control
frame
ca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731A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주)에스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스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0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7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야생동물을 포획하도록 설치되는 포획틀; 포획틀의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포획틀을 제어하는 감시 제어장치;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포획틀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포획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관제센터; 및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포획틀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포획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단말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CAPTURE APPARATUS REMOTE ADMINISTRATING SYSTEM}
본 발명은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포획틀의 도어 이상유무와 포획틀내에 멧돼지와 같은 야생동물의 진입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조치하도록 한 것이다.
최근 농가에서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야생동물들이 마을 한복판까지 출몰하여 농작물 뿐만 아니라 비닐하우스를 파괴시키고 있으며, 심지어는 간혹 인명피해를 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야생동물들은 먹이를 구하기 위하여 주택가의 하수구나 쓰레기장 등 먹이가 있는 곳에 출몰하여 각종 전염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야생동물들이 증가함에 따라 농가에서는 총기를 이용해 야생동물들을 사냥하고 있지만, 총기사용은 소음이나 안전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덫을 이용해 동물의 발목을 잡는 방법과 이동통로에 설치된 철사 올가미를 이용하여 포획하는 방법 등은 동물에 치명적인 상처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야생동물 포획틀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1384212호가 있다.
이 등록기술은 동물 포획틀에 관한 것으로써, 야생동물을 포획하기 위해 구비된 포획틀 본체; 상기 포획틀 본체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방과 후방을 관통하는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조립되되, 상기 결합공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대가 좌측과 우측에서 서로 대응되게 후방으로 연장되고, 결합대는 연결대로 연결되며, 연결대의 전방에는 손잡이대가 형성되고, 연결대의 하부에는 바퀴가 설치된 운반구; 및 상기 운반구에 설치되어 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대의 하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에 배치되며, 하면에는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받침브라켓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부링크와 하부링크가 서로 핀결합으로 연결되어 핀을 중심으로 상하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링크의 상단은 고정브라켓에 핀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하부링크의 하단은 받침브라켓에 핀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 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의 연결되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의 연결되는 부분이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브라켓과 받침브라켓이 서로 벌어지도록 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의 연결되는 부분이 바깥쪽으로 이동하면서 고정브라켓과 받침브라켓이 서로 모이도록 하여 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스크류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1883556호가 있다.
이 등록기술은 유해동물 포획틀에 관한 것으로써,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다면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출입을 차단하도록 설치된 차폐판과, 상기 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유해동물이 밟도록 설치된 발판으로 이루어져, 유해동물을 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인하여 유해동물이 발판을 밟게 되면, 차폐판이 개구부를 차단함으로써 유해동물을 몸체의 내부공간에 포획하는 유해동물 포획틀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차폐판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이 몸체의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있되,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의해 몸체의 상부로 승강된 차폐판의 하면에는 차폐판이 하강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쇠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판과 걸림쇠 간에는 와이어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발판을 유해동물이 밟게 되면 와이어로 연결된 걸림쇠가 후방으로 후퇴하게 됨으로써 차폐판은 가이드프레임으로 따라 하강하여 몸체의 개구부를 차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예를 들어, 도어 상태의 원격 관리가 불가능하므로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진입하여 장기간이 경과함에도 그대로 방치하거나, 도어의 이상유무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1. 한국특허등록 제10-1384212호 2. 한국특허등록 제10-188355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지에서 포획틀 도어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에서 야생동물 포획틀 도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야생동물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 지진, 전도, 포획틀에 진입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 감지가 가능하고, 그 정보를 관제센터 및 관리자 단말기가 서로 공유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원격지에서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야생동물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은,
야생동물을 포획하도록 설치되는 포획틀;
상기 포획틀의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포획틀을 제어하는 감시 제어장치;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포획틀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포획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관제센터; 및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포획틀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포획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감시 제어장치는
상기 감시 제어장치는
포획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들 정보를 관제센터와 공유하며, 이들 정보들을 처리한 결과에 따라 포획틀에 대한 조치를 관제센터의 제어에 의해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포획틀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는 수신부;
초음파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와,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신호와,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하면 그 처리된 값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포획틀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포획틀에 대한 진동 및 전도와, 포획틀 내부에 들어가 있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와, 도어의 개방유무를 촬영하는 CCTV;
상기 도어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상기 관제센터와 공유하는 포획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포획틀에 제어를 수행하는 도어제어부;
상기 진동센서, CCTV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포획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D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관제센터 및 단말기는
각 포획틀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감시 제어장치와 공유하도록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들을 처리하며, 상기 포휙틀이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신호와, 영상촬영을 통한 포획틀 전도, 포획틀 내부에 진입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에 대한 영상신호와, 도어에 대한 영상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함에 따라 각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도록 상기 감시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포획틀에 대한 진동 및 전도 신호와 포획틀에 진입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와 도어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는 수신부;
상기 포획틀에 대한 진동 및 전도 신호와 포획틀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와 도어에 대한 영상신호를 제어부에서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에 따라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진동센서, CCTV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포획틀에 대한 정보들과, 진동, 지진신호와, 영상신호들을 처리하여 각 포획틀에 대한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D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포획틀에 대한 제어는
도어가 개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획틀 내부에 야생동물이 진입한 경우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며,
도어가 폐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획틀 내부에 야생동물이 진입하지 않았을 경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며,
도어가 개방되어 있고 포획틀 내부에 야생동물이 진입하였지만, 그 야생동물이 농작물에 피해를 끼치지 않는 동물인 것으로 설정된 동물이라면 포획틀 도어 상황을 현 상태로 유지하는 동작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야생동물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에 따르면, 포획틀 도어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격지에서 포획틀 도어 제어가 가능하여 야생동물의 포획틀 내부 진입 유무에 따라 확실한 포획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원격지에서 포획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여, 개별 포획틀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토대로 관리자가 굳이 현장에서 제어하지 않더라도 각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진동, 지진, 전도, 포획틀에 진입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 감지가 가능하고, 그 정보를 관제센터 및 관리자 단말기가 서로 공유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원격지에서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야생동물 포획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틀 관리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야생동물 포획틀 제어장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관제센터 및 단말기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도어를 제어하는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신호 및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어하는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포획틀은 야생동물이 농작물 등이 있는 논 또는 밭으로 침입하여 농작물을 해치는 것에 대응하기 위한 장치로써, 포획틀내에 예를 들어, 일정무게 이상의 야생동물이 진입하면 도어가 닫힘으로써 야생동물이 포획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획틀 도어의 이상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포획틀 도어가 이상일 경우, 원격지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야생동물 포획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도어 제어는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솔레노이드가 동작하여 도어를 하부로 잡아당김으로써 도어가 하부로 이동하여 출입구를 폐쇄시키는 원리로 수행된다. 이를 위해 솔레노이드 상부에 솔레노이드 플런저로 동작할 수 있는 부재를 도어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획틀이 설치된 장소가 평지일 수도 있고, 경사지일 수도 있음을 감안하여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적절하게 포획틀을 제어한다. 즉 평지에 설치되는 포획틀은 진동 등에 비교적 강하게 버틸 수 있고, 전도(기울어짐) 등도 비교적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경사지에 설치되는 포획틀은 진동에 취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도가 더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 등을 모두 포획틀 또는 포획틀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정보로 분류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포획틀에 대하여 일정기간 동안 야생동물 등의 접근이 이루어지는 회수, 접근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 체류시간 등을 포획틀에 대한 정보로 분류 저장하여 관리하면서 개별적으로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평지, 경사지, 진동, 지진, 전도, 일정기간 동안의 야생동물 접근회수, 접근한 야생동물 종류 및 수, 체류시간 등의 정보들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되, 이들 정보들을 적어도 두 개 이상씩 서로 조합하여 처리함으로써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진동, 지진, 전도 등은 감지수단에 의해서 감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예를 들어, 진동은 진동센서 및 카메라에 의해 감지 가능하고, 지진 및 전도 등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에 의해 판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일정기간 동안의 야생동물 접근회수, 접근한 야생동물 종류 및 수는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 시간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에 의해 판별 가능하고, 체류시간은 카운터에 의한 카운트 시간으로 판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획틀에 대한 각종 정보와, 센서 및 카메라에 의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 등은 제어수단에서 처리되며, 관리자 등 필요한 사람들이 모두 공유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포획틀에 대한 제어는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도어의 이상여부에 따라 도어 제어,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진입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 도어의 이상여부에 따라 도어 제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의 이상여부 등 포획틀의 상황을 감시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획틀 도어가 개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진입한 경우, 그 야생동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예를 들어, 멧돼지 등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입하는 종류일 경우에는 이를 관리자에게 즉각 인지시키지만, 예를 들어, 토끼, 다람쥐 등 농작물에 많은 피해를 입히는 종류가 아니라면 관리자에게 인지시키는 등의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포획틀 상황 감시는 포획틀 및 포획틀이 설치된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진동은 진동센서 및 카메라에 의해 감지 가능하고, 지진 및 전도 등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에 의해 판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어의 이상여부는 도어에 설치된 감지수단에 의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감지수단은 예를 들어, 초음파송수신 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획틀에 대한 각종 정보와 센서 및 카메라에 의한 감지신호 및 영상신호는 제어수단에서 처리되며, 관리자 등 필요한 사람들이 모두 공유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야생동물 포획틀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 포획틀 관리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야생동물 포획틀 감시 제어장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제센터 또는 단말기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획틀(100)은 도어(11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야생동물이 내부에 진입하면 도어(110)가 레일(115)을 따라 폐쇄됨으로써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도어(110)는 평상시에는 출입구가 개방되도록 상부에 위치하되, 포획틀 본체의 상부 좌우측에 형성된 걸림부(도시 생략)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야생동물이 포획틀 내부로 진입하여 포획틀이 흔들리면 그 충격에 의해 걸림부에 걸려 있던 도어가 레일(115)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출입구가 폐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도어 개폐 원리는 단순히 예시한 것뿐이며, 다른 여러 가지 방법을 적절하게 채택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포획틀(100)은 도어(110)의 상하부에 각각 초음파센서(260)가 설치되며, 예를 들어 상부에 설치된 초음파센서는 송신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하부에 설치된 초음파센서는 수신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초음파센서에서 송수신된 초음파신호는 후술하는 제어장치(200)로 전송되어 처리된 후, 포획틀(100) 내부 상황 및 도어 개방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관리자에게 인지시켜 야생동물 포획 또는 도어 수리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 개방은 상부의 초음파센서(260)에서 송신된 초음파신호가 하부에 설치된 초음파센서에서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즉 예를 들어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경우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초음파신호에 상응하여 환산된 거리 등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초음파센서는 예를 들어 송신부는 상하로 개폐되는 도어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고, 수신부는 도어가 폐쇄될 경우 도어의 하부 바닥면이 접촉되는 도어 프레임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하면 도어 개방은 도어 폐쇄에 비해 초음파수신 거리가 긴 것으로 판단되며, 도어 폐쇄는 도어 개방에 비해 초음파수신 거리가 짧은 것으로 판단될 것이다. 상기 초음파신호 거리는 초음파 신호 세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포획틀(100)은 또한, 도어의 하부가 접촉되는 프레임부분에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도어 제어부(270)가 구성된다. 도어 제어부(270)는 솔레노이드 및 전원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제어는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인가시키면 솔레노이드가 동작하여 도어를 하부로 잡아당김으로써 도어가 하부로 이동하여 출입구를 폐쇄시키는 원리로 수행된다. 이를 위해 솔레노이드 상부에 솔레노이드 플런저로 동작할 수 있는 부재를 도어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야생동물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은, 포획틀(100)과 포획틀 감시 제어장치(200)가 유무선 인터넷망(N)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감시 제어장치(200)에 구성된 제어장치 또는 관제센터(300)에 구성된 제어장치 및 단말기(400)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포획틀(100)의 상황을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제어장치(200)는 현장 또는 근거리에 구비된 제어장치일 수 있으며, 관제센터(300)는 복수 개의 감시 제어장치(200)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중앙통제소일 수 있고, 단말기(400)는 관리자가 소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 제어장치(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거나 관제센터(3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단말기(400), 예를 들어 관리자 스마트폰을 통해 포획틀(100)의 상황을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감시 제어장치(200),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가 모두 포획틀(100)의 상황 데이터를 공유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감시 제어장치(200)는 현장 또는 일정거리 이격된 장소에 구성될 수 있고, 관제센터(300)는 원격지에 구성된 서버일 수 있으며, 단말기(400)는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제어장치(200), 관제센터(300)와 스마트폰(400)이 서로 유무선 인터넷망으로 네트워킹되어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그 데이터를 토대로 관리자는 언제 어디서나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구성은 관리자가 언제 어느 장소에 있더라도 즉각적인 보고가 가능하여 신속한 대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만일 관리자가 상기 관제센터(300)의 점검 시에도 공백없이 포획틀(100)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센터(300)와 단말기(400)가 통신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인증번호 등을 통해 접속된 단말기(400)만 관제센터(300)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포획틀(1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감시 제어장치(200)는, 상기와 같이 포획틀에 대한 제어를 위하여 포획틀에 대해 입력된 정보를 처리한 후, 이를 관제센터(300)로 전송하여 서로 공유한다. 상기 포획틀에 대한 정보는, 개별 포획틀에 대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포획틀 고유 아이디 정보, 지역 정보, 관리자 정보, 도어 이상여부 정보 등등이 있을 수 있다.
감시 제어장치(200)는 또한, 진동, 지진, 전도, 포획틀 내부 상황, 도어 이상여부에 따라 포획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감시 제어장치(200)와 함께 공유하는 포획틀(100)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개별 포획틀에 대한 제어신호와, 진동, 지진, 포획틀에 진입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에 따른 제어신호를 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들을 토대로 발생하고 이를 감시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또한, 감시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영상신호를 토대로 예를 들어, 포획틀(100)의 전도(기울어짐)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제어신호를 감시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획틀에 대한 진동, 지진 및 전도에 대응하도록 발생하는 제어신호의 한 종류로는, 예를 들어 경보음 발생, 안내방송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포획틀(100)마다 제어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소정 포획틀(100)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면, 그 동작이 제어장치(200),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에서 모두 공유된다.
한편, 상기에서 관제센터(3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를 제어장치(200)가 수신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관제센터(3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가 제어장치(2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포획틀(100)로 수신되어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포획틀에 대한 정보와, 진동, 지진, 전도 등의 감지정보를 관제센터(300)와 공유하면서, 자체적으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격지에 위치한 관제센터(300)는 제어장치(200)와 상기 정보들을 공유하되, 제어장치(200)와는 별개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별개의 제어동작은, 예를 들어 비상상황 발생에 따른 응급복구를 위한 조치 등이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200)의 구성도이다.
제어부(210)는 포획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와 공유하며, 이들 정보들을 처리한 결과에 따라 포획틀에 대한 제어를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의 제어에 의해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또한, 포획틀이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등으로 인한 포획틀의 진동신호, 그리고 영상촬영을 통한 진동, 지진, 전도 등의 영상신호를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와 공유하며, 이러한 경우에는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의 제어에 의해 포획틀 전체 차원에서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또한, 영상촬영을 통하여 포획틀에 진입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판단하여 이를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와 공유한다.
수신부(220)는 상기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포획틀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10)에 입력하는 수단이다.
송신부(230)는 포획틀의 도어 이상여부,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들어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포획틀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들어가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포획틀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 등을 처리한 신호와, 진동, 지진 및 전도 신호를 상기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에 송신하는 수단이다.
송신부(230)는 또한, 영상촬영을 통해 판단된 포획틀에 진입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상기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에 송신하는 수단이다.
진동센서(240)는, 포획틀이 설치된 소정 구역의 진동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진동센서(240)는 포획틀의 진동을 감지하여 지진을 판단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진동센서(240)는 제어장치(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CCTV(250)는 포획틀이 설치된 소정 구역 등의 상황을 촬영하는 수단이다.
CCTV(250)는 제어장치(200)에 대하여 위해를 가하는 상황, 더 나아가서는 포획틀이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 전도 등을 촬영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CCTV(250)는 도어의 개방여부를 촬영하는 수단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CCTV(250)는 감시 제어장치(2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감지부(260)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이상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도어감지부(260)는 초음파송수신 수단일 수 있다.
도어제어부(270)는 상기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와 공유하는 포획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포획틀의 도어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표시부(280)는 상기 진동센서, CCTV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이다.
DB(290)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은 포획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이 입력되는 정보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이들 정보는 포획틀을 제어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가공되어 저장된다.
한편,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가 포획틀로 직접 전송되어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도 4의 구성이 포획틀마다 설치된 장치에 구성된 것으로 보면 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의 구성도이다.
제어부(310)는, 각 포획틀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제어장치(200)와 공유하도록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들을 처리하며, 포획틀이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신호와, 영상촬영을 통한 영상신호를 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함에 따라 각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도록 제어장치(200)를 제어한다.
수신부(320)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포획틀 상황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10)에 입력하는 수단이다.
송신부(330)는 포획틀의 도어 이상여부,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진입함에도 불구하고 포획틀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진입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포획틀 도어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와, 진동, 지진 및 전도가 발생된 경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장치(200)에 송신하는 수단이다.
표시부(340)는 상기 진동센서, CCTV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수단이다.
DB(350)는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포획틀에 대한 정보들과, 진동, 지진신호와, 영상신호들을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은, 제어장치(200)를 통해 각 포획틀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며, 이 정보는 제어장치(200), 관제센터(300), 단말기(400)가 서로 공유한다.
따라서 각 포획틀에 대한 제어는 프로그램하기에 따라 제어장치(200) 또는 관제센터(300) 또는 단말기(4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각 포획틀에 대한 제어는 여러 가지 조건들이 개별적으로 반영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들 조건들이 상호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진동, 지진, 전도 등에 따른 포획틀 제어는 이러한 비상 상황으로 인해 이미 포획틀이 정상적인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을 수도 있으므로, 실시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포획틀이 이미 비정상적인 위치인 경우에는 포획틀 제어는 의미가 없는 것으로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도어를 제어하는 동작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신호 및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도어를 제어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따르면, CCTV(2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는 제어부(210)에서 처리되어 DB(290)에 저장 관리되면서 송신부(230)를 통해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로 전송된다.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포획틀내에 야생동물이 진입하였는지, 만일 진입하였다면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를 판단한다.
또한,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상기 영상신호를 분석한 결과, 포획틀내에 야생동물이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도어(110)가 개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상기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포획틀에 대한 진동 및 지진, 전도 등이 발생되었는지 또는 현재 발생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이를 표시부(280)(340)를 통해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인지함으로써 적절하게 조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310)는 제어장치(2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어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도어(110)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야생동물의 포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포획틀내에 야생동물이 진입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인지함으로써 적절하게 조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310)는 제어장치(2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어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도어(110)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야생동물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포획틀에 대한 진동, 지진 및 전도가 발생되었거나 발생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인지시킴으로써 적절하게 조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포획틀 도어가 개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진입하였을 경우, 그 야생동물의 종류를 판단하고, 예를 들어, 멧돼지 등 농작물에 막대한 피해를 입하는 종류일 경우에는 이를 관리자에게 즉각 인지시킴과 동시에 도어 제어부(270)를 제어하여 출입구가 폐쇄되도록 하지만, 예를 들어, 토끼, 다람쥐 등 농작물에 많은 피해를 입히는 종류가 아니라면 관리자에게 인지시키는 등의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 진동과 전도는 서로 연관되어 판단되며, 예를 들어 DB(290)(350)에 저장 관리되는 진동 최대값과 전도 최대값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 최대값과 전도 최소값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 중간값과 전도 중간값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 최소값과 전도 최대값을 만족하면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이를 즉각 관리자에 인지시키지만, 진동 최소값과 전도 최소값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 중간값 이하와 전도 중간값 이하를 만족하면서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는 포획틀 동작에 영향이 없다고 판단하여 이를 관리자에게 인지시키지 않는다.
또한, 야생동물이 포획틀 내에 진입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이 진동과 지진으로 인한 포획틀의 흔들림으로 인해 도어가 닫힐 수 있으므로 야생동물이 포획틀내에 진입하지 않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획틀의 도어가 폐쇄되었으며, 진동 및 지진신호가 도어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라고 판단되면, 도어 고장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도어감지부(260)에 의한 감지신호와, CCTV(25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는 제어부(210)에서 처리되어 DB(290)에 저장 관리되면서 송신부(230)를 통해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로 전송된다.
관제센터(300) 및 단말기(400)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된 도어 감지신호와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포획틀에 대한 상황을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포획틀이 정상적인 상황인 경우, 즉 포획틀내에 야생동물이 진입하지 않고,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또한 감지신호를 처리한 결과와 영상신호를 처리한 결과가 동일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관리 상황을 유지한다.
반면, 감지신호가 정상이 아니면서 영상신호도 정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포획틀내에 야생동물이 진입한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인지시켜 조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310)는 제어장치(2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어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도어(110)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야생동물의 포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포획틀내에 야생동물이 진입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인지함으로써 적절하게 조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310)는 제어장치(2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어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도어(110)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야생동물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단결과 포획틀에 대한 진동, 지진 및 전도가 발생되었거나 발생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인지시킴으로써 적절하게 조치하도록 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 진동이나 전도 발생시에는 도어(115)를 하부로 이동시켜 출입구가 폐쇄되도록 하여 흔들림이나 다른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한 포획틀 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평상시에는 도어가 본체 상부로 돌출되어 다소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진동 발생시 도어를 하부로 이동시켜 돌출된 부분 없이 본체와 함께 대체로 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만일 야생동물이 포획틀 내부에 진입하여 있을 경우 자연스럽게 포획이 가능하여 일거 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획틀 내부에 대한 야생동물 진입유무, 도어 이상유무, 진동 및 전도 발생 유무 등을 개별적으로 고려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요소를 결합하여 판단함으로써 포획틀 보호는 물론, 야생동물의 확실한 포획이 가능하도록 한다.
야생동물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중에서 일부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100 : 포획틀 200 : 제어장치
300 : 원격 관제센터 400 : 단말기
210, 310 : 제어부 220, 320 : 수신부
230, 330 : 송신부 240 : 진동센서
250 : CCTV 260 : 도어감지부
270 : 도어제어부 280, 340 : 표시부
290, 350 : DB

Claims (4)

  1. 야생동물을 포획하도록 설치되는 포획틀;
    상기 포획틀의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포획틀을 제어하도록, 포획틀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이들 정보를 관제센터와 공유하며, 이들 정보들을 처리한 결과에 따라 포획틀에 대한 조치를 관제센터의 제어에 의해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포획틀에 대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는 수신부; 초음파센서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와,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동신호와, CCTV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하면 그 처리된 값을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포획틀에 대한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포획틀에 대한 진동 및 전도와, 포획틀 내부에 들어가 있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와, 도어의 개방유무를 촬영하는 CCTV; 상기 도어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상기 관제센터와 공유하는 포획틀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관제센터에서 발생한 제어신호에 의해 포획틀에 제어를 수행하는 도어제어부; 상기 진동센서, CCTV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포획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DB로 구성된 감시 제어장치;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포획틀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포획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관제센터; 및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포획틀에 대한 상황신호를 수신하여 포획틀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단말기로 구성되고,
    상기 포획틀에 대한 제어는
    도어가 개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획틀 내부에 야생동물이 진입한 경우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며,
    도어가 폐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포획틀 내부에 야생동물이 진입하지 않았을 경우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며,
    도어가 개방되어 있고 포획틀 내부에 야생동물이 진입하였지만, 그 야생동물이 농작물에 피해를 끼치는 동물인 것으로 설정된 동물이라면 도어가 폐쇄되도록 하고, 농작물에 피해를 끼치지 않는 동물인 것으로 설정된 동물이라면 포획틀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고,
    야생동물이 포획틀 내에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동과 지진으로 인한 포획틀의 흔들림으로 인해 도어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진동 및 지진신호가 도어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라고 판단되면, 도어 고장으로 판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 및 단말기는
    각 포획틀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감시 제어장치와 공유하도록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정보들을 처리하며, 상기 포휙틀이 설치된 소정 구역에 대한 진동, 지진신호와, 영상촬영을 통한 포획틀 전도, 포획틀 내부에 진입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에 대한 영상신호와, 도어에 대한 영상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함에 따라 각 포획틀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도록 상기 감시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포획틀에 대한 진동 및 전도 신호와 포획틀에 진입한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와 도어에 대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는 수신부;
    상기 포획틀에 대한 진동 및 전도 신호와 포획틀에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종류 및 수와 도어에 대한 영상신호를 제어부에서 처리하여 그 처리결과에 따라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진동센서, CCTV에 의해 감지되어 처리된 신호를 경보음 또는 디스플레이로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감시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각 포획틀에 대한 정보들과, 진동, 지진신호와, 영상신호들을 처리하여 각 포획틀에 대한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D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4. 삭제
KR1020190107942A 2019-09-02 2019-09-02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KR102283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42A KR102283713B1 (ko) 2019-09-02 2019-09-02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942A KR102283713B1 (ko) 2019-09-02 2019-09-02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31A KR20210026731A (ko) 2021-03-10
KR102283713B1 true KR102283713B1 (ko) 2021-07-30

Family

ID=7514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942A KR102283713B1 (ko) 2019-09-02 2019-09-02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883B1 (ko) * 2023-05-24 2024-06-10 강병모 반려동물 보안출입장치가 구비된 펫하우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088B2 (en) 2014-03-03 2018-08-28 Joel S. Marks Animal trap with simplified, high speed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555B2 (en) * 2003-12-02 2004-08-10 Douglas K. Evans Modular large animal trap
JP2011083198A (ja) * 2009-10-13 2011-04-28 Yoshito Murakami 捕獲装置及び捕獲装置システム
KR101384212B1 (ko) 2013-01-24 2014-04-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동물 포획틀
KR101471876B1 (ko) * 2013-03-29 2014-12-12 주식회사 세스코 포획기용 제어장치
KR20150089543A (ko) *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디엠씨 야생동물 원격 포획 시스템
KR101883556B1 (ko) 2016-08-26 2018-08-31 조영식 유해동물 포획틀
KR102168760B1 (ko) * 2018-12-17 2020-10-22 제해영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8088B2 (en) 2014-03-03 2018-08-28 Joel S. Marks Animal trap with simplified, high speed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731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7187A1 (en) Remote Monitoring Of Live Catch Rodent Traps
US9380775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mmunicating the status of traps for vermin or pests
US7526105B2 (en) Security alarm system
EP36827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unting agricultural pests inside a trap
US117907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perty monitoring
KR100863112B1 (ko) 쥐 포획 상자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N112757300A (zh) 机器人的防护系统及方法
JP5130346B2 (ja) 野生動物捕獲システム
KR102283713B1 (ko) 포획틀 원격관리시스템
JP2012055232A (ja) 野生動物捕獲システム
KR20100006203A (ko) 문화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889774A (zh) 用于自动视频记录的系统和方法
US20200236920A1 (en) Animal trap detection system using a glue board
JP2006323709A (ja) 防犯監視装置
KR101471876B1 (ko) 포획기용 제어장치
CN117173847A (zh) 一种智能门窗防盗警报系统及其工作方法
US20230105933A1 (en) Remote Cattle Detection and Trapping System
KR102168760B1 (ko) 경작지를 이용한 동물 포획장치
KR101957445B1 (ko) 해충 포획장치
JP2004135538A (ja) 有害生物を集中捕獲するための捕獲用トラップ、捕獲用トラップを備えた有害生物監視装置及び有害生物監視システム
CN213241391U (zh) 一种基于红外探测器的智能家居防入侵监控系统
KR102283741B1 (ko) 목책기 원격관리시스템
AU2020103211A4 (en) Machine learning based rodent detection and control device
KR20240088234A (ko)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한 시설온실 해충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063891A2 (en) Smart cage module and cage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