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760B1 -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1760B1 KR101451760B1 KR1020140094695A KR20140094695A KR101451760B1 KR 101451760 B1 KR101451760 B1 KR 101451760B1 KR 1020140094695 A KR1020140094695 A KR 1020140094695A KR 20140094695 A KR20140094695 A KR 20140094695A KR 101451760 B1 KR101451760 B1 KR 1014517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strut
- main
- auxiliary
- barbed wi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체적인 가시 철조망을 논둑 등에 설치하여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논둑에 통행로를 확보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유발하지 아니하며 지지기반의 확충을 통해 힘이 세고 큰 동물의 침입도 효과적으로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며 저부가 논둑의 지중에 정착되는 다수의 메인 지주(10)와; 상기 메인 지주에 연결되는 지주 연결부, 상기 지주 연결부의 둘레부에 상단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저부로 가면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지중에 정착되는 2개 이상의 지지대(22)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지주를 지지하는 보조 지주와; 폭보다 높이가 긴 장방형의 코일 형태로 감기는 가시 윤형(31), 상기 가시 윤형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선되면서 상기 가시 윤형에 고정되는 가시 철선(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지주를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 지주와 보조 지중 중 일측 이상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철조망(3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지주는 지중에 정착되는 고정말뚝(23)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며, 상기 고정말뚝은 상기 보조 지주의 지지대의 저부에 형성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기초판(24)을 관통하면서 지중에 정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며 저부가 논둑의 지중에 정착되는 다수의 메인 지주(10)와; 상기 메인 지주에 연결되는 지주 연결부, 상기 지주 연결부의 둘레부에 상단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저부로 가면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지중에 정착되는 2개 이상의 지지대(22)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지주를 지지하는 보조 지주와; 폭보다 높이가 긴 장방형의 코일 형태로 감기는 가시 윤형(31), 상기 가시 윤형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선되면서 상기 가시 윤형에 고정되는 가시 철선(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지주를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 지주와 보조 지중 중 일측 이상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철조망(3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지주는 지중에 정착되는 고정말뚝(23)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며, 상기 고정말뚝은 상기 보조 지주의 지지대의 저부에 형성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기초판(24)을 관통하면서 지중에 정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적인 가시 철조망을 통해 동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좁은 폭의 논둑 등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해동물이 논과 밭 및 과수원 등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구수의 증가로 인해 산속 또는 들판을 농경지로 개간하거나 또는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인하여 전국을 일일 생활권으로 바꾸기 위해 산속 또는 들판에 도로가 개설되게 되었다.
그리고 산속 또는 들판을 도로 또는 농경지로 개간함에 따라서 야생 동물들이 서식하는 장소가 줄어들게 되었으며, 또한 서식 장소가 작아짐에 따라서 야생 동물들이 농경지로 침입하여 농작물에 큰 피해를 입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또한 야생동물들이 도로를 가로질러 가면서 도로 위에는 많은 야생 동물들이 차량에 부딪혀 사망하는 이른바 로드킬(Road Kill) 현상이 빈번해 지자 야생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고안되었다.
야생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도로와 산의 경계면 또는 농경지의 주위에 냄새에 의해 야생 동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피제(천적의 변 등)를 뿌리는 방법, 또는 도로와 산의 경계면 또는 농경지 주위에 말뚝을 고정시키고 말뚝에 철조망이 고정된 울타리를 설치되고, 그 설치된 철조망에 전기를 보내어 야생 동물의 침입을 막거나 또는 절도범의 침입을 방지하는 전기 울타리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기피제를 뿌리는 종래 방법은 기피제를 뿌리기 때문에 그 효과는 하루, 이틀에 지나지 않는 등 효과가 미미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 울타리를 설치하여 야생 동물의 접근을 차단하는 방법은 전기 울타리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용 전원 또는 대용량의 축전지, 또는 태양 전지가 필요하고, 상기 상용 전원은 농가에서 떨어진 농지나 과수원등 상용전원이 없는 곳에서는 울타리 설치가 불가능 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용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곳에서는 태양 전지 또는 대용량의 축전지를 사용하여 철조망에 전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철조망에 수 키로 볼트의 높은 전원이 공급됨으로서 어린 야생 동물, 어린이, 노인 등이 철조망에 닿았을 경우 전기 충격에 의한 인명 손실을 가져 올 수 있으며, 또한 나뭇가지 또는 풀 등이 닿으면 누전이 발생되어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한편, 전기 울타리가 설치되는 지면이 흙이 아닌 시멘트나 아스팔트, 부직포등인 경우에는 야생 동물 또는 절도범이 철조망에 닿아도 전기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야생 동물 또는 절도범에 의해 농작물의 피해가 발생 되는 문제점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철조망을 이용한 방식은 원형의 코일 형태로 감긴 철조망을 사용함에 따라 좁은 논둑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자의 통로를 막게 되어 현실적이지 못하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공보 제10-1354823호)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앵커수단을 통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주관; 상기 지주관의 상단에 전지케이스를 통하여 설치되는 태양광 전지판에 의해 발전하여 축전지에 축전하고, 내부의 제어기를 통하여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를 제어하는 태양전지유닛;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측부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에 의해 공급 제어되는 전원을 통하여 발광하는 복수의 조명;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로부터 출력 제어되는 출력신호에 따라 다양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하나의 상기 지주관과 다른 하나의 상기 지주관 내부에 일측이 힌지 설치되는 각 감지봉을 복수의 와이어로 상호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를 통하여 전달되는 장력에 의해 유동하는 감지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기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지주관의 내부 중심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지주관에 힌지 연결되는 감지봉; 상기 전지 케이스의 하단 중심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봉의 상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각 지주관을 관통하여 상기 감지봉의 상부 일측, 중앙, 하부 일측을 양측으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감지봉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에 양측으로 각각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감지봉의 상부 일측과 상기 지주관의 내주면 사이에 양측으로 배치되는 수평 스프링; 및 상기 감지봉의 하단과 상기 지주관의 하면 사이에 연결되는 수직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유해동물의 접근시 천적의 울음소리에 의한 음향과 조명을 통해 유해동물의 침입을 막는 것으로, 일시적인 효과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상용전원을 사용하는 단점 등이 있다.
또한, 기존의 철조망을 이용한 방식은 지중에 저부를 정착하여 말뚝을 설치하고 이 말뚝에 철조망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철조망을 논둑 등을 따라 펼쳐 설치하는 것만을 고려하여 멧돼지 등이 충돌할 때 논둑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고 결과적으로 철조망이 설치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철조망 전체가 유해동물의 침입 방지 시설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큰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2(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2887호)는 철조망이 걸려지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 쇠가 전면부에 등 간격으로 결합된 말뚝을 구비하여 철조망 설치 지역의 지면에 박아 설치하고, 가시침이나 압착 칼이 부착된 철조망을 말뚝의 상단부에 결합 된 고정 쇠에 걸어 설치하며, 상기 말뚝의 하단에는 토끼 또는 뱀 또는 개구리 등과 같이 작은 야생 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격자망을 결합한 것으로, 가시 철조망을 통해 동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하지만 고정 쇠의 지지기반이 약하여 멧돼지 등의 충돌시 지면에서 이탈되어 철조망이 붕괴되고 평면적인 철조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물의 침입을 막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체적인 가시 철조망을 논둑 등에 설치하여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논둑에 통행로를 확보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유발하지 아니하며 지지기반의 확충을 통해 힘이 세고 큰 동물의 침입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며 저부가 지중에 정착되는 다수의 지주수단과; 폭보다 높이가 긴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주수단을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지주수단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철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며 저부가 지중에 정착되는 다수의 지주수단으로 메인 지주 및 보조 지주와; 상기 메인 지주와 보조 지주를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 지주와 보조 지주 중 하나 이상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철조망(장방형의 철조망, 원형 철조망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지주는 지중에 정착되는 고정말뚝을 매개로 하여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말뚝에 설치되며 종방향과 횡방향 중 한 방향 이상의 토압에 대한 버팀력을 발생하는 토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에 의하면, 장방형으로 감긴 가시 윤형과 가시 철선으로 이루어진 입체적인 철조망을 통해 동물의 침입시 여러 곳에서 동물에게 고통을 줌으로써 동물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아울러 장방형의 구조를 통해 좁은 폭의 농경지의 논둑 등에 설치되어도 농경지의 출입과 통행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므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로 인한 불편함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유기적 연결 관계를 갖는 메인 지주와 보조 지주와 고정말뚝과 토압판을 통해 멧돼지와 같이 큰 동물이 충돌 및 침입하더라도 이를 차단하여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로서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농경지 등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에 적용된 고정말뚝의 분리 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에 적용된 고정말뚝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에 적용된 철조망의 고정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에 적용된 철조망의 고정수단이 보조 지주에 적용된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와 종래 원형 철조망 펜스를 비교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에 적용된 고정말뚝의 분리 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에 적용된 고정말뚝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에 적용된 철조망의 고정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에 적용된 철조망의 고정수단이 보조 지주에 적용된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와 종래 원형 철조망 펜스를 비교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는,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면서 지중에 삽입 정착되는 메인 지주(10), 메인 지주(10)를 지지하는 보조 지주(20), 메인 지주(10)를 따라 설치되며 유해동물이 논과 밭 등의 농경지에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철조망(30)(윤형 철조망)으로 구성된다.
메인 지주(10)는 본 발명을 위하여 신규로 제작된 것은 물론 폐기 철근, 봉 등의 폐자재 등도 사용이 가능하고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지주(10)는 유해동물의 침입을 막기 위한 높이로 설치될 것이며 대형의 장비(천공 장비, 항타 장비 등)를 사용하지 않고 소형의 공구로도 저부가 지중에 정착되어 세워 설치된다.
보조 지주(20)는 메인 지주(10)가 연결되는 지주 연결부로서 메인 지주(10)가 관통 연결되는 지주 삽입링(21), 지주 삽입링(21)의 둘레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서 상단부가 연결되며 저부가 지중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정착되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 3개의 지지대(22)로 구성된다. 다수의 지지대(22)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3개의 경우 120°)으로 형성되어 메인 지주(10)를 모든 방향에서 지지하여 메인 지주(10)가 어떠한 방향으로도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다.
지주 삽입링(21)은 메인 지주(10)와 연결을 위한 구성을 총칭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메인 지주(10)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열린 링도 가능하도 가능하다.
지지대(22)는 지주 삽입링(21)에 축핀으로 연결되어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면적의 설치 장소에 맞는 각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논둑의 폭에 상관없이 일정 공간의 통로를 제공한다.
보조 지주(20)는 지지대(22)가 각각 지중에 삽입 정착될 수 있고, 또는 지중에 삽입 정착되는 별도의 고정말뚝(23)을 매개로 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보조 지주(20)의 지지대(22)의 저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말뚝홀이 구비된 기초판(24)이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고정말뚝(23)은 기초판(24)의 말뚝홀을 관통하면서 지중에 정착되어 기초판(24)이 지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대(22)를 고정한다.
도면에서 하나의 기초판(24)에 하나의 고정말뚝(23)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기초판(24)에 복수의 고정말뚝(23)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지지대(22)와 별개인 고정말뚝(23)을 통해 지지대(22)를 고정함으로써 지반 상태에 적합한 최적의 고정말뚝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교체가 필요한 부분만 교체하여 저렴하게 유지하는 이점 등이 있다.
고정말뚝(23)은 토압에 대항하는 버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토압판(25)이 적용된다.
토압판(25)은 횡방향의 토압과 종방향의 토압 모두에 대한 버팀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횡방향 토압부(25a)와 종방향 토압부(25b)로 구성된다.
횡방향 토압부(25a)는 고정말뚝(23)의 둘레부에 종방향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말뚝(23)을 지중에 해머 등으로 설치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저부로 가면서 면적이 좁아지는 판상이 바람직하다.
종방향 토압부(25b)는 횡방향 토압부(25a)의 상부에서 절곡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형태가 바람직하고 종방향의 토압에 대항하기 위하여 횡방향 토압부(25a)의 상단부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나 직각방향은 고정말뚝(23)의 설치를 간섭하므로 직각보다 작은 예각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방향 토압부(25a)와 종방향 토압부(25b)는 지반과의 마찰력 증대를 위하여 다수의 엠보싱형태의 돌기 또는 구멍이 구성될 수 있다.
고정말뚝(23)은 두부 또는 전체적으로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기초판(24) 상부에서 록너트(23a)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철조망(30)은 동물이 농경지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펜스를 형성하는 것이며, 면적이 좁은 농경지의 논둑 등에 설치될 때 작업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동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폭보다 높이가 긴 장방형(직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구성된다.
철조망(30)은 코일 모양으로 감긴 가시 윤형(가시, 압착면 등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31), 가시 윤형(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면서 횡방향으로 설치[가시 윤형(31)에 고정 등]되어 가시 윤형(31)을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가시 철선(가시, 압착면 등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32)으로 구성되어 입체적으로 구성되며, 입체적인 구성을 통해 동물의 침입시 가시 윤형(31)과 가시 철선(32)의 여러 곳에서 동물에게 고통을 주므로 동물의 침입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가시 윤형(31)의 간격과 가시 철선(32)들의 간격은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크기로 제작된다.
장방형의 철조망(30)은 원형 철조망에 비해 폭이 좁기 때문에 논둑을 점유하는 면적이 작아 논둑의 통행에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
철조망(30)은 종래 원형의 철조망을 장방형으로 가공하는 것, 공장에서 장방형으로 권선 및 제조하는 것 모두가 가능하다.
철조망(30)은 접힌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되고 시공 현장에서 펼쳐져 사용된다.
철조망(30)의 가시 윤형(31)과 가시 철선(32)은 동일한 자재 즉 가시 윤형(31)은 가시 철선(32)을 코일 형태로 감은 것이며, 단선 또는 2가닥 이상의 철선을 꼬아 제조된 철선에 가시편을 꼬아 고정하거나 철선들 사이에 끼움 및 꼬아 고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고 규격품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철조망(30)은 고정수단을 통해 메인 지주(10) 및/또는 보조 지주(20)에 고정된다.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40)은 후크 고정판(41), 메인 지주(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후크 고정판(41)에 각각 너트(42)로 고정되고 선단부의 제1,2후크(43a,44a)를 통해 철조망(30)의 가시 철선(32)을 고정하는 한 쌍 즉 제1,2후크봉(43,44)으로 구성된다
제1,2후크봉(43,44)은 제1,2후크(43a,44a)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즉 제1후크(43a)는 가시 철선(32)을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고정하고 제2후크(44a)는 가시 철선(32)을 하부에서 받쳐 고정함으로써 가시 철선(32)이 동물의 침입시 움직이면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철조망(30)의 가시 철선(32)을 보조 지주(20)에 고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전술한 고정수단(40)은 보조 지주(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고정수단(4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볼트도 가능하고, 즉 철조망(30)을 메인 지주(10)와 보조 지주(20) 중 일측 이상에 고정할 수 있는 모든 것이 포함된다.
철조망(30)은 가시 윤형(31)과 가시 철선(32)에 의해 감긴 상태를 유지하며, 메인 지주(10)는 철조망(30)의 농경지쪽 단부에 설치되고, 3개의 지지대(22) 중에서 하나는 메인 지주(10)의 앞쪽(논둑쪽)에 설치되면서 나머지 2개의 지지대(22)는 철조망(30)으로부터 농경지쪽으로 이격된 곳에 설치되어 메인 지주(10)를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메인 지주(10)와 철조망(30)을 농경지쪽(유해동물의 침입 방향의 반대쪽)에서 지지함으로써 유해동물의 침입시 지주(10)와 철조망(30)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2개의 지지대(22)가 메인 지주(10)와 일정 각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유해동물이 다양한 각도에서 침입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메인 지주(10)는 철조망(30)의 높이와 동일 내지 유사하고, 보조 지주(20)는 메인 지주(10)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농경지 주변의 논둑 등에 설치되며, 이때, 철조망(30)이 장방형 구조이기 때문에 논둑에는 편안한 자세로 통행할 수 있는 통로가 제공되어 농작인 등의 관리자는 본 발명의 펜스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통행 및 작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펜스와 종래 원형 철조망의 펜스를 비교한 것이며, 동일한 크기의 논둑(1)에 설치되는 경우 본 발명의 펜스는 종래 원형 철조망의 펜스보다 더 큰 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유해동물이 본 발명 펜스를 통과하여 농경지에 침입하려는 경우 유해동물은 철조망(30)의 가시 윤형(31)과 가시 철선(32)에 있는 좁은 공간을 통과하지 못하여 농경지에 침입하지 못한다.
유해동물이 철조망(30)의 사이를 뚫고 침입하려는 경우 가시 윤형(31)과 가시 철선(32)의 가시에 찔리게 되어 고통을 받게 되므로 더 이상 침입을 못하고 돌아가게 될 것이며, 철조망(30)이 평면적으로 구성되지 않고 입체적으로 구성되므로 유해동물이 철조망(30)의 입구쪽 일부분을 통과한다 하여도 앞쪽에 있는 가시 윤형(31)과 가시 철선(32)에 걸리게 되므로 유해동물의 침입을 봉쇄한다.
지금까지 장방형(사각형, 타원형 등)의 철조망(30)과 이 철조망(30)을 지지하는 지주[메인 지주(10), 보조 지주(20), 철조망의 고정수단]가 함께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장방형의 철조망(30)과 상기 지주는 독립적으로도 실시 가능하다. 즉 장방형의 철조망(30)은 다른 지주와도 사용 가능하고, 메인 지주(10)와 보조 지주(20) 등은 원형의 철조망과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지주 설치.
펜스의 시공 위치에 맞춰 다수의 메인 지주(10)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보조 지주(20)의 지지대(22)의 저부를 논둑에 삽입 정착하고, 고정수단(40)의 고정말뚝(23)을 기초판(24)에 관통 및 논둑에 삽입하여 정착함으로써 보조 지주(20)를 설치한다.
이어서 보조 지주(20)의 지주 삽입링(22)에 메인 지주(10)를 삽입 결합하고 메인 지주(10)의 저부를 논둑에 삽입 정착함으로써 세워 설치한다.
보조 지주(20)를 먼저 설치하고 메인 지주(10)를 나중에 설치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지주(10)를 먼저 설치한 후 메인 지주(10)에 맞춰 보조 지주(2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철조망 설치.
메인 지주(10)와 보조 지주(20)를 따라 철조망(30)을 펼치되, 가시 윤형(31)의 간격을 동물이 침입하지 못하는 간격으로 맞춰 펼친다.
철조망(30)을 펼친 후 고정수단(40)을 통해 철조망(30)을 메인 지주(10) 및/또는 보조 지주(20)에 고정한다.
이로써 본 발명 펜스의 시공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은 먼저 철조망(30)을 펼친 후 메인 지주(10)와 보조 지주(20)를 논둑에 설치하고 철조망(30)과 메인 지주(10) 등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메인 지주, 20 : 보조 지주
21 : 지주 삽입링, 22 : 지지대
23 : 고정말뚝, 24 : 기초판
25 : 토압판, 30 : 철조망
40 : 고정수단,
21 : 지주 삽입링, 22 : 지지대
23 : 고정말뚝, 24 : 기초판
25 : 토압판, 30 : 철조망
40 : 고정수단,
Claims (10)
- 삭제
-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며 저부가 논둑의 지중에 정착되는 다수의 메인 지주(10)와;
상기 메인 지주를 지지하는 보조 지주와;
코일 형태로 감기는 가시 윤형(31), 상기 가시 윤형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선되면서 상기 가시 윤형에 고정되는 가시 철선(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지주를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 지주와 보조 지중 중 일측 이상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철조망(3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주는, 상기 메인 지주에 연결되는 지주 연결부, 상기 지주 연결부의 둘레부에 상단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저부로 가면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지중에 정착 내지 지면에 안착되는 2개 이상의 지지대(22)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며 저부가 논둑의 지중에 정착되는 다수의 메인 지주(10)와;
상기 메인 지주를 지지하는 보조 지주와;
폭보다 높이가 큰 장방형의 코일 형태로 감기는 가시 윤형(31), 상기 가시 윤형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선되면서 상기 가시 윤형에 고정되는 가시 철선(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지주를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메인 지주와 보조 지중 중 일측 이상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철조망(3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지주는, 상기 메인 지주에 연결되는 지주 연결부, 상기 지주 연결부의 둘레부에 상단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저부로 가면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지중에 정착 내지 지면에 안착되는 2개 이상의 지지대(22)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주는, 상기 메인 지주에 연결되는 지주 연결부, 상기 지주 연결부의 둘레부에 상단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저부로 가면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지중에 정착되는 2개 이상의 지지대(22)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주는 지중에 정착되는 고정말뚝(23)을 매개로 하여 설치되며, 상기 고정말뚝은 상기 보조 지주의 지지대의 저부에 형성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기초판(24)을 관통하면서 지중에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말뚝에 설치되어 종방향과 횡방향의 토압에 대한 버팀력을 통해 상기 고정말뚝을 지지하는 토압판(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철조망의 고정수단은, 후크 고정판(41), 상기 메인 지주와 보조 지주 중 하나 이상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기 후크 고정판에 각각 너트(42)로 고정되고 선단부의 후크를 통해 상기 철조망을 고정하는 한 쌍의 후크봉(43,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봉은 상기 후크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철조망을 양쪽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 삭제
- 상호 간에 일정 거리를 두고 메인 지주와 보조 지주를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를 통해 설치된 메인 지주와 보조 지주를 따라, 코일 형태로 감기는 가시 윤형(31), 상기 가시 윤형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배선되면서 상기 가시 윤형에 고정되는 가시 철선(32)으로 이루어진 철조망을 펼치고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철조망을 상기 메인 지주와 보조 지주 중 하나 이상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의 보조 지주는 상기 메인 지주에 연결되는 지주 연결부, 상기 지주 연결부의 둘레부에 상단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며 저부로 가면서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지중에 정착되는 2개 이상의 지지대(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4695A KR101451760B1 (ko) | 2014-07-25 | 2014-07-25 |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4695A KR101451760B1 (ko) | 2014-07-25 | 2014-07-25 |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1760B1 true KR101451760B1 (ko) | 2014-10-22 |
Family
ID=5199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4695A KR101451760B1 (ko) | 2014-07-25 | 2014-07-25 |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176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151B1 (ko) * | 2015-03-27 | 2015-07-22 | 현빈개발 주식회사 | 수평과 다양한 각도의 시공이 용이한 동물 유도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
KR102528409B1 (ko) * | 2021-11-09 | 2023-05-02 | 최주연 | 반려동물용 울타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0828B1 (ko) * | 2013-10-18 | 2014-06-23 | 도아기업주식회사 | 분해 조립 가능한 이동 울타리 |
-
2014
- 2014-07-25 KR KR1020140094695A patent/KR10145176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0828B1 (ko) * | 2013-10-18 | 2014-06-23 | 도아기업주식회사 | 분해 조립 가능한 이동 울타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151B1 (ko) * | 2015-03-27 | 2015-07-22 | 현빈개발 주식회사 | 수평과 다양한 각도의 시공이 용이한 동물 유도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
KR102528409B1 (ko) * | 2021-11-09 | 2023-05-02 | 최주연 | 반려동물용 울타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9720B1 (ko) |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가드 휀스 | |
US10694735B2 (en) | Land animal trap and barrier | |
US20150021532A1 (en) | Barrier fence assembly | |
KR20110101634A (ko) | 롤러형 방호 울타리 | |
CA3010037C (en) | Perforated fencing | |
KR101451760B1 (ko) | 유해동물 침입 방지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 |
US10721925B2 (en) | Land animal trap and barrier | |
KR200407504Y1 (ko) | 로드킬 방지구 | |
KR20090002887U (ko) | 야생 동물 침입 또는 절도 방지 및 로드킬 방지를 위한철조망 설치 구조. | |
US20110240939A1 (en) | Fence bottom security device | |
KR20130004161U (ko) | 야생동물 침입 방지용 펜스 | |
KR100774956B1 (ko) | 야생동물 보호 겸용 잡초 방지 펜스 | |
KR101364422B1 (ko) | 도로사면을 이용한 경사각이 구비된 로드킬 방지 펜스 | |
KR100638264B1 (ko) | 로드킬 방지구 | |
JP5192606B1 (ja) | 支柱延長部材 | |
JP3201125U (ja) | フェンスプロテクター | |
JP3588659B2 (ja) | 侵入防止用フェンス | |
US20130105754A1 (en) | Animal barrier | |
JP3507466B2 (ja) | 防獣フェンス用の補助フェンス体 | |
JP7172552B2 (ja) | 蹄行性有害獣の方向誘導装置および方法 | |
JP2012223102A (ja) | 害獣防護柵 | |
KR102613382B1 (ko) | 펜스용 방초시트 설치구조 | |
KR101258392B1 (ko) |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로드킬 방지용 펜스 | |
JP3226703U (ja) | 害獣の侵入を防ぐ忌避構造体 | |
KR102037776B1 (ko) | 조경수를 이용한 공동주택용 방범울타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