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678B1 - 방범용 펜스 - Google Patents

방범용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678B1
KR101726678B1 KR1020170011971A KR20170011971A KR101726678B1 KR 101726678 B1 KR101726678 B1 KR 101726678B1 KR 1020170011971 A KR1020170011971 A KR 1020170011971A KR 20170011971 A KR20170011971 A KR 20170011971A KR 101726678 B1 KR101726678 B1 KR 101726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ecurity
fence
bars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성우
Original Assignee
(주)아루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루미존 filed Critical (주)아루미존
Priority to KR1020170011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678B1/ko
Priority to PCT/KR2018/001044 priority patent/WO20181398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펜스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복수의 상기 수직바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외면에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방범바와, 복수의 상기 수직바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복수의 상기 방범바를 고정지지하는 복수의 수평바와, 외면에 상기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어 상기 방범바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하되, 상기 방범바로부터 상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방범바를 따라 하향하는 이동바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침입자가 펜스를 월담을 시도시 손으로 펜스를 파지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하중이 가해지면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월담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범용 펜스{SECURITY FENCE}
본 발명은 방범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입자가 펜스를 월담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최근 들어 항만시설의 펜스를 넘어 밀입국을 시도하는 외국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해안가 등에 설치된 펜스는 국가의 안보와도 관련되고, 밀입국된 외국인에 의한 범죄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히 관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펜스는 크게 철조망 구조와 프레임 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펜스를 뛰어 넘거나 일부분을 절단하고 침입하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80495호(2003. 10. 17 공개)는 "철조망 구조물의 보안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시 철조망의 설치 위치에 추가적인 구조물의 설치 없이도 간편하게 담장의 상단부나 울타리등에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침입을 차단하고 침입이 발생했을 경우 사용자의 전화 또는 휴대폰 등으로 경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철조망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3자의 침입을 감지하고 있으나, 철조망의 경우 절단기 등에 의해 절단되는 경우 제대로 침입을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입 감지를 위한 구성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설치 등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침입자가 펜스를 월담을 시도시 손으로 펜스를 파지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하중이 가해지면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월담을 방지하는 방범용 펜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펜스의 중단에 설치된 감지바를 통해 하중이 가해지면 감지바가 펜스로부터 이탈하면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방범용 펜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펜스의 상단에 설치된 감지바를 통해 하중이 가해지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방범용 펜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펜스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바와, 복수의 상기 수직바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외면에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방범바와, 복수의 상기 수직바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복수의 상기 방범바를 고정지지하는 복수의 수평바와, 외면에 상기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어 상기 방범바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하되, 상기 방범바로부터 상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방범바를 따라 하향하는 이동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바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향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바와 평행하게 배열되되, 연결구에 의해 상기 방범바의 삽입공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방범바로부터 외력에 의해 이탈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에 의해 알람이 발생하는 제1 감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측에 상기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하중이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에 의해 알람이 발생하는 제2 감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각 외측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방범바의 삽입공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측면부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감지바의 단면과 볼트 결합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침입자가 펜스를 월담을 시도시 손으로 펜스를 파지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하중이 가해지면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월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펜스의 중단에 설치된 감지바를 통해 하중이 가해지면 감지바가 펜스로부터 이탈하면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월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펜스의 상단에 설치된 감지바를 통해 하중이 가해지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월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펜스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방범용 펜스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방범용 펜스 중 이동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방범용 펜스 중 방범바 및 이동바의 위치에 따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따른 방범용 펜스 중 방범바 및 제1 감지바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방범용 펜스 중 제2 감지바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펜스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방범용 펜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펜스(100)는 수직바(110), 방범바(120), 수평바(130) 및 이동바(140)를 포함한다.
수직바(110)는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고정설치된다. 복수의 수직바(110)는 방범용 펜스(100)의 지주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직바(110)는 단면이 'ㅍ'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곡면 형태의 요철이 세로줄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발로 수직바(110)를 밟아 기어오르려고 시도하는 경우 미끄러지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수직바(110)의 양 측면에는 후술하는 수평바(130)가 결합된다. 수직바(110)의 내부에는 단면이 사각형인 보조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수직바(110)의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방범바(120)는 복수의 수직바(110)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하여 형성된다. 방범바(120)는 외면에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차단돌기는 '▷'와 같은 형태로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돌기는 사람이 손으로 방범바(120)를 잡고 기어오르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방범바(120)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이격된 공간으로는 차단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범바(120)는 단면이 직육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방범바(120)에는 차단돌기가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방범바(120) 중 일정 높이까지만 차단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수평바(130)는 복수의 수직바(110)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복수의 상기 방범바(120)를 고정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수평바(130)는 단면이 '┗┛'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바(130)의 일 측은 수직바(110) 및 방범바(120)와 볼트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수평바(130)는 복수의 수직바(110)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상부 수평바(130)의 외측면에는 '△'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부 수평바(130)의 외측면에는 '▽' 형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방범용 펜스(100)의 상부로 사람이 기어오르지 못하게 하고, 방범용 펜스(100)의 하부로도 사람이 지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이동바(140)는 외면에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어 방범바(120)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이동바(140)는 방범바(120)의 외측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면서 방범바(120)로부터 상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이동바(140)는 외력이 가해지면 방범바(12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바(140)에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다시 방범바(120)를 따라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바(140)는 방범바(120)의 상단부에 위치하므로 사람이 이동바(140)를 잡고 기어오르는 경우 아래로 미끄러져 이동을 어렵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동바(140)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펜스(100)는 알람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50)는 이동바(140)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향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외력에 의해 이동바(140)가 하향한 것이므로 침입자 발생을 감지하게 된다. 알람부(150)는 접촉센서나 감지선(162)을 통해 이동바(140)가 하향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알람부(150)는 외부의 관제센터와 통신이 연결되어 알람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알람부(150)는 방범바(120)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알람부(150)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또는 경광등(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어 경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방범용 펜스 중 이동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방범용 펜스 중 방범바 및 이동바의 위치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방범바(120)는 단면이 육각형 모양으로 내측에 가이드홈(120-1) 및 볼트홈(120-2)이 형성된다. 방범바(120)의 가이드홈(120-1)은 일측이 외부로 개방되어 제1 차단돌기(121)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된다. 제1 차단돌기(121)는 '▷'와 같은 형태로 사람이 손으로 파지하지 못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차단돌기(121)는 방범바(120)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는 이동바(140)가 방범바(120)의 제1 차단돌기(121)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방범바(120)의 제1 차단돌기(121)는 이동바(140)의 이동경로 상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범바(120)의 가이드홈(120-1)에는 스프링(141)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4의 방범바(120)의 중단부 위에는 (a)와 같이 제1 차단돌기(121)가 삽입되지 않은 영역으로 스프링(141)이 삽입되고, 방범바(120)의 중단부 아래에는 (b)와 같이 제1 차단돌기(121)가 삽입된다. 스프링(141)은 가이드홈(120-1)에 고정되어 이동바(140)를 상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바(140)는 단면이 육각형 모양으로 방범바(120)의 외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동바(140)는 외면에 제2 차단돌기(140-1)가 형성된다. 이 경우, 탈착형인 제1 차단돌기(121)와 다르게 제2 차단돌기(140-1)는 이동바(140)에 고정형으로 형성된다. 제2 차단돌기(140-1)는 단면이 '―○'와 같이 형성된다. 제2 차단돌기(140-1)의 단면 중 '―' 부분은 '▷'와 같은 형태로 사람이 손으로 파지하지 못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차단돌기(140-1)의 단면 중 '○' 부분은 내측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스프링(141)이 고정되는 영역이다. 제2 차단돌기(140-1)와 스프링(141)은 고정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되거나, 스프링(141)이 제2 차단돌기(140-1)의 '○'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의 (a)는 이동바(140)의 상단을 나타내고, (b)는 이동바(140)의 하단을 나타낸다. 이동바(140)의 제2 차단돌기(140-1) 중 내측의 '○' 부분은 방범바(120)의 가이드홈(120-1)의 내측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바(140)는 방범바(120)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방범바(120)와 이동바(140)는 내측에 스프링(141)을 통해 연결되고, 이동바(140)는 상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방범바(120)에는 제1 차단돌기(121)가 형성되고, 이동바(140)에는 제2 차단돌기(140-1)가 형성되어 1차적으로 사람이 맨손으로 파지하기가 어렵고, 2차적으로 장갑을 착용한 사람이 이동바(140)를 잡고 위로 올라가려해도 이동바(140)가 하향으로 이동하여 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바(140)가 하향하면서 방범바(120)의 외측에 돌출된 접촉센서와 접촉하면서 알람부(150)가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바(140)의 하향 이동에 따라 침입자에 대한 경고 및 조치가 신속히 이뤄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펜스(100)는 제1 감지바(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바(160)는 수평바(130)와 평행하게 배열되되, 연결구(161)에 의해 일측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1 감지바(160)는 단면이 '|'자형 판의 외측으로 곡면의 'C'자 판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발로 밟고 올라서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감지바(160)는 연결구(161)에 의해 방범바(120)의 일측과 연결되며, 방범바(12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알람부(150)에 의해 알람이 발생한다. 이는 사람이 제1 감지바(160)를 발로 밟는 등 외력을 가하면 방범바(120)로부터 이탈하면서 알람부(150)에서 알람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제1 감지바(160)는 방범바(12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됨에 따라 결합방식이 단순하고, 사람의 하중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면 쉽게 방범바(120)로부터 이탈되어 월담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방범바(120)와 제1 감지바(160)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따른 방범용 펜스 중 방범바 및 제1 감지바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방범바(120)의 일측면에는 삽입공(122)이 형성된다. 삽입공(122)은 연결구(161)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감지바(160)는 연결구(161)와 볼트결합으로 고정되며, 연결구(161)에 의해 방범바(1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연결구(161)는 측면부(161-1) 및 바닥부(16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부(161-1)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각 외측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방범바(120)의 삽입공(12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측면부(161-1)에는 연결공(161-11)이 형성되어 감지선(162)이 삽입될 수 있다. 바닥부(161-2)는 한 쌍의 측면부(161-1)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161-22)이 형성되어 제1 감지바(160)의 단면과 볼트 결합한다.
도 7에서와 같이, 방범바(120)의 삽입공(122)으로 한 쌍의 측면부(161-1)가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면, 측면부(161-1)의 외측의 가압돌기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연결공(161-11)에는 감지선(162)이 삽입되어 알람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제1 감지바(160)를 발로 밟는 등의 하중이 가해지면 억지끼움된 연결구(161)가 삽입공(122)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 경우, 연결구(161)의 연결공(161-11)에 연결된 감지선(162)이 당겨지면서 알람부(150)에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침입자의 침입을 조기에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감지바(160)를 방범바(120)에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용 펜스(100)는 제2 감지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바(170)는 수직바(1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평바(130)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2 감지바(170)는 일측에 '△' 형상의 안전판이 반복되어 형성되어 사람이 손으로 파지하지 못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제2 감지바(170)는 '△' 형상의 안전판이 반복되어 형성된 상부덮개(171)가 수평바(13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측에는 감지센서(172)가 형성된다. 감지센서(172)는 상부덮개(171)와 수평바(130) 사이에 위치하고, 상부덮개(171)의 하중을 감지하면 알람부(150)를 통해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월담을 시도하는 침입자가 상부의 제2 감지바(170)에 하중을 가하는 경우 감지센서(172)에 의해 알람부(150)로 경고신호가 전달되어 조기에 침입경보 및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방범용 펜스
110 : 수직바
120 : 방범바
120-1 : 가이드홈
120-2 : 볼트홈
121 : 제1 차단돌기
122 : 삽입공
130 : 수평바
140 : 이동바
140-1 : 제2 차단돌기
141 : 스프링
150 : 알람부
160 : 제1 감지바
161 : 연결구
161-1 : 측면부
161-11 : 연결공
161-2 : 바닥부
161-22 : 볼트공
162 : 감지선
170 : 제2 감지바
171 : 상부덮개
172 : 감지센서

Claims (5)

  1.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으로부터 기립되도록 고정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바;
    복수의 상기 수직바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하며, 외면에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방범바;
    복수의 상기 수직바의 상부와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복수의 상기 방범바를 고정지지하는 복수의 수평바; 및
    외면에 상기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어 상기 방범바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하되, 상기 방범바로부터 상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외력에 의해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방범바를 따라 하향하는 이동바를 포함하는 방범용 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가 기 설정된 높이 이하로 하향하는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방범용 펜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와 평행하게 배열되되, 연결구에 의해 상기 방범바의 삽입공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방범바로부터 외력에 의해 이탈하는 경우 상기 알람부에 의해 알람이 발생하는 제1 감지바를 더 포함하는 방범용 펜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수평바의 상부에 위치하여, 일측에 상기 차단돌기가 반복되어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하중이 감지되면 상기 알람부에 의해 알람이 발생하는 제2 감지바를 더 포함하는 방범용 펜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고, 각 외측면에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방범바의 삽입공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측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면부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 감지바의 단면과 볼트 결합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방범용 펜스.
KR1020170011971A 2017-01-25 2017-01-25 방범용 펜스 KR101726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71A KR101726678B1 (ko) 2017-01-25 2017-01-25 방범용 펜스
PCT/KR2018/001044 WO2018139844A1 (ko) 2017-01-25 2018-01-24 방범용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971A KR101726678B1 (ko) 2017-01-25 2017-01-25 방범용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678B1 true KR101726678B1 (ko) 2017-04-14

Family

ID=5857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971A KR101726678B1 (ko) 2017-01-25 2017-01-25 방범용 펜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6678B1 (ko)
WO (1) WO201813984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61B1 (ko) * 2020-05-19 2020-09-10 김성길 보안용 펜스
KR102460684B1 (ko) * 2022-04-15 2022-10-28 주식회사 태산 울타리 보강 방법 및 울타리 보강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8377B (zh) * 2022-04-15 2022-11-15 国网湖北省电力有限公司黄冈供电公司 一种电力施工用区域隔离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891A (ko) * 2008-06-03 2009-12-08 남중환 휀스 결합구조
KR101448051B1 (ko) * 2013-09-25 2014-10-10 (주)아루미존 월담 감지용 보안 울타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6052A (ja) * 1999-06-16 2000-12-2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フェンス用支柱及びフェンス
KR20030080495A (ko) * 2002-04-09 2003-10-17 정기관 철조망 구조물의 보안 경보장치
KR100730898B1 (ko) * 2006-09-01 2007-06-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조경용 방범울타리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891A (ko) * 2008-06-03 2009-12-08 남중환 휀스 결합구조
KR101448051B1 (ko) * 2013-09-25 2014-10-10 (주)아루미존 월담 감지용 보안 울타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61B1 (ko) * 2020-05-19 2020-09-10 김성길 보안용 펜스
KR102460684B1 (ko) * 2022-04-15 2022-10-28 주식회사 태산 울타리 보강 방법 및 울타리 보강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9844A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678B1 (ko) 방범용 펜스
KR101448051B1 (ko) 월담 감지용 보안 울타리
US1056581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balcony access status alert system
TW201237808A (en) Autonomous door defense system and method
US20120319858A1 (en) Emergency power-off button with proximity alarm
KR101851504B1 (ko)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JP4789185B2 (ja) フェンス
EP3341317B1 (en) Conveyor device
CN110135148A (zh) 用于装备安全系统的系统和方法
JP4968215B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装置の筐体
KR101574120B1 (ko) 건축물의 방범기능을 갖춘 창 구조물
KR101686731B1 (ko) 센서를 이용한 난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GB2128649A (en) Barriers with alarm device
KR10198825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JP2006263396A (ja) 徘徊・転落・転倒通報装置
KR20180005003A (ko) 스마트 텐트
KR100674591B1 (ko) 야외시설물 도난 방지 장치
JP2010168181A (ja) エレベーター用注意喚起装置
KR200358397Y1 (ko) 방범기능이 구비된 방범틀 구조
GB2469687A (en) Swimming pool alarm barrier system
KR102641483B1 (ko) 추락 방지 수단을 구비한 건축공사용 발판
KR20020070028A (ko) 건물용 비상탈출기
JP2005141592A (ja) 防犯装置
KR102587831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공동주택 발코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