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772B1 -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772B1
KR101891772B1 KR1020170094620A KR20170094620A KR101891772B1 KR 101891772 B1 KR101891772 B1 KR 101891772B1 KR 1020170094620 A KR1020170094620 A KR 1020170094620A KR 20170094620 A KR20170094620 A KR 20170094620A KR 101891772 B1 KR101891772 B1 KR 101891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otation
transmission
sup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만
Original Assignee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772B1/ko
Priority to SG10201806240VA priority patent/SG10201806240VA/en
Priority to AU2018206838A priority patent/AU2018206838B2/en
Priority to US16/043,095 priority patent/US20190032290A1/en
Priority to EP18185153.6A priority patent/EP3434849B1/en
Priority to CA3012367A priority patent/CA3012367C/en
Priority to JP2018139000A priority patent/JP683655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772B1/ko
Priority to US17/693,398 priority patent/US2022019567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04H17/004Unstable, e.g. rotatory or resiliently mounted fence panels,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하여 상기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저지하는 회전부; 및 첨단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회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축과,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톱니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보조축과, 탄성소재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상기 보조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베어링에 접촉하여 상기 베어링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파이프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파이프의 회전을 저지하다가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파이프 주변에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 해제되어 상기 파이프의 회전을 허여하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회전부가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며 배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홈이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부는, 상기 설치홈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 또는 회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시부에 따라, 투신시도자의 투신 및 추락이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FALLING AND DEATH LEAP DEFENSE ROTATING CYLINDER SYSTEM}
본 발명은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 또는 회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시부를 이용하여, 투신시도자의 투신 및 추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자살 사망률은 2011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31.7명으로 지난 2003년 이후 현재까지 OECD 국가들 중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정부에서 2004년과 2009년에 각각 자살예방 종합대책을 두 차례나 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자살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교량, 고층건물 등에서 투신하는 투신자살의 비율이 특히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투신자살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로는 교량, 고층건물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펜스가 있다.
하천이나 해상에 시공된 교량의 난간으로써 설치되는 펜스의 경우, 교량에 인가되는 풍하중 및 주변 경관과의 조화나 디자인 및 관망성 등을 고려하여 1m 내외의 비교적 낮은 높이로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펜스는 설치되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투신시도자가 펜스를 타고 올라가 고의적으로 투신하는 것을 방지하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한편, 대형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펜스의 경우,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2 내지 3m 가량의 높이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비용 및 미관상의 이유로 1 내지 1.2m 남짓 되는 높이로 펜스가 설치되고 있어, 건물에 설치되는 펜스의 경우에도 교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의적인 투신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1813호는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1813호의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은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투신시도자가 회전부를 파지하는 경우 회전부가 회전하는 것을 이용하여 투신시도자의 투신시도를 저지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1813호의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따르면, 지지부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투신시도자가 기타 도구 및 장치 등을 이용하여 회전부의 회전을 저지시킨 다음, 회전부 및 지지부를 파지한 상태로 오르면, 투신을 성공할 확률이 매우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지지부 또는 회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시부를 이용하여, 투신시도자의 투신 및 추락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하여 상기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저지하는 회전부; 및 첨단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회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축과,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톱니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보조축과, 탄성소재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상기 보조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베어링에 접촉하여 상기 베어링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파이프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파이프의 회전을 저지하다가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파이프 주변에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 해제되어 상기 파이프의 회전을 허여하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회전부가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며 배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홈이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부는, 상기 설치홈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투신시도자가 상기 회전부를 파지함으로써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투신시도자의 무게중심이 교란되도록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구조물의 외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되 상기 기설정된 간격에 배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일부분이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 또는 회전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시부에 따라, 투신시도자의 투신 및 추락이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결합부를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투신을 시도하기 위해 회전부를 파지하는 경우, 지지부의 자세가 변화되기 때문에, 투신시도자의 무게중심이 교란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투신시도자가 지지부를 넘어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신시도자의 투신이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투신시도자가 아닌자가 추락하는 것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추락 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어린이, 아동 또는 기타 어른 등의 부주의로 인한 추락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가 지면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결합부에 설치됨으로써, 투신시도자가 회전부 및 본체부를 파지하여 오르려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에 의해서, 지지부의 제작시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에 형성되는 돌기에 의해서, 투신시도자가 지지부를 파지하여 오르려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회전부 사이의 기설정된 간격에 배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에 의해서, 경관성이 확보되는 동시에, 구조물에 가해지는 풍하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로 마련되며 일부분이 상호 마주하도록 지지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부에 의해서,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추가적으로 확보되며, 이에 의해서, 구조물에 가해지는 풍하중이 더욱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배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본체부의 제1동작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본체부의 제2동작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부가 구조물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베어링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베어링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관제부에 연결되는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부 및 회전부에 가시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에 형성된 설치홈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의 설치홈에 슬라이딩형태로 가시부를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부를 지면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결합부를 구조물에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배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배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본체부의 제1동작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본체부의 제2동작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와 지지부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부가 구조물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베어링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베어링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관제부에 연결되는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작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부 및 회전부에 가시부가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에 형성된 설치홈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회전부의 설치홈에 슬라이딩형태로 가시부를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지지부를 지면에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의 결합부를 구조물에 설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100)은 지지부(110)와 회전부(120)와 감시카메라(130)와 스피커(140)와 관제센터(150)와 가시부(160)을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회전부(1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지면이란, 지지부(110)가 설치될 바닥면, 즉, 아파트, 고층건물, 일반주택의 옥상의 가장자리의 시설물 또는 교량, 고속화도로, 보도육교, 선박 등의 바닥면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구조물이란, 아파트, 고층건물, 일반주택의 옥상의 가장자리의 시설물 또는 교량, 고속화도로, 보도육교, 선박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된 기존의 난간 또는 공연장, 관광지, 운동장에 설치된 난간, 기타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된 H 빔등의 물체 등일 수 있다.
즉, 지지부(110)는 앙카를 이용하여 단독으로 지면에 설치(도 17 참조)되거나, 토공 방식으로 지면에 설치되거나, 지면에 설치된 H 빔의 상단에 설치(도 17 참조)되거나, 기존의 난간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가 기존의 난간에 설치되는 경우, 투신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있어, 기존의 난간을 전체적으로 제거하는 불편함이 감소 되며, 투신 방지 시스템의 시공시, 기존의 난간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시공시간 단축 및 시공단가 절약되는 이점이 있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 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투신시도자가 후술하는 회전부(120)를 파지함으로써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투신시도자의 무게중심이 교란되도록 자세가 변화되는 것으로써, 일단부가 구조물에 설치되며, 타단부는 후술하는 회전부(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주물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현장의 상황에 따라, 여러 길이로 제조될 수 있는데, 제조되는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뒤틀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는 상술한 뒤틀림 문제가 방지되도록 일측면에 돌출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결합부(111)와 본체부(112)를 포함한다.
결합부(111)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본체부(112)가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부(111)는 체결부재에 의해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11)가 볼팅결합 등의 방법(구조물 자체를 손상시키는 형태로 결합)으로 구조물에 결합되는 경우, 기존의 구조물의 안전 등급과 관련하여 문제된다. 따라서, 결합부(111)가 구조물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부(11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외면을 압박함으로써 구조물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구조물의 등급에 영향을 주지 않음.)
본체부(112)는 후술하는 회전부(120)가 일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타단부는 상술한 결합부(111)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부(112)는 결합부(11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즉, 본체부(112)는 결합부(111)가 구조물에 설치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부(111)의 상면에 설치되는데, 이때, 본체부(112)의 폭이 결합부(111)의 폭보다 좁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부(112)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본체부(112)의 제작시에 재료가 적게 투입되므로, 본체부(112)의 제조 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체부(112)는 지면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x)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설정된 각도(x)는 40도 내지 75도 사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지면을 기준으로 예각 또는 둔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각도(x)는 지면을 기준으로 예각 또는 둔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각도(x)가 예각인 경우 본체부(111)는 투신시도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기설정된 각도(x)가 둔각인 경우 본체부(111)는 투신시도자가 위치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도 3 및 도 6 참조)
또한, 이러한 본체부(112)는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주변환경에 어울리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이러한 본체부(112)에는 돌기(112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12d)에 의해서, 투신시도자가 지지부(110)를 파지하여 오르려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2)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설치홈에는 후술하는 가시부(16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가시부(160)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본체부(112)를 파지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투신시도자의 투신 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2)에는 본체부(112)의 상단에 기설정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본체부(112)의 상단이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졌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복원될 수 있게 하는 탄성수단(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수단(미도시)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본체부(111)의 상단에 설치된 파이프(121)를 파지하는 경우, 파이프(121)가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투신시도자의 무게중심이 교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탄성수단(미도시)에 따르면, 투신시도자의 투신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회전부(120)는 상술한 본체부(11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써,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하여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저지한다.
이러한 회전부(12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본체부(112)에 경사를 이루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120) 사이의 간격은 투신시도자가 빠져나갈 수 없도록, 일반적인 성인의 머리의 좁은 측의 폭(13cm 내지 15cm)보다 더 작은 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적인 성인의 신장이 170cm 라고 할 때, 회전부(120)는 상술한 간격을 고려하면, 3개로 마련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회전부(120)는 파이프(121)와 축(122)과 베어링(123)과 압력센서(124)를 포함한다.
파이프(121)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내부공간에는 후술하는 축(122)과 베어링(123)이 설치된다. 이러한 파이프(121)는 투신시도자가 파지하는 경우 내부의 베어링(123)에 접촉하며 회전함으로써,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를 파지하며 오르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한다.
이러한 파이프(121)는 투신시도자가 쉽게 파지할 수 없도록 일반적인 사람의 손뼘 보다 더 큰 직경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파이프(121)는 중량은 감소 되면서 강도는 커지도록 알루미늄(Aluminum)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파이프(121)에는 압력센서(124)가 설치될 수 있고, 파이프(121) 부근에는 후술하는 감시카메라(130) 및 스피커(140) 등의 시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센서(124), 감시카메라(130), 스피커(140) 등의 시설에 의해서,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를 파지하는 경우, 관제센터(150)에서 이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스피커(140)로 경고음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관리인력을 즉시 투입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투신시도자의 투신이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파이프(121)의 외주면에는 파이프(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블레이드(121a)가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21a)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을 파지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되어, 투신시도자의 투신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블레이드(121a)는 도 7에 확대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21)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에 대해 기울기를 가지며, 단부측에서 절곡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21a)의 형상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를 파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므로, 투신시도자의 투신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21a)가 파이프(121)에 설치되는 경우, 파이프(121)는 블레이드(121a)가 설치되지 않을 때의 파이프(121)의 직경 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에 따르면, 파이프(121)의 제작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블레이드(121a)가 파이프(121)에 설치되는 경우, 바람에 의해서 파이프(121)가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회전하는 파이프(121)에 전력충전모듈을 연결하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이프(121)에는 파이프(121)의 회전을 저지하는 브레이크수단(미도시)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크수단(미도시)은 파이프(121) 주변에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미도시)에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파이프(121) 주변에 투신시도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수단(미도시)이 작동하여 파이프(121)가 회전되지 않다가, 파이프(121) 주변에 투신시도자가 접근하면, 근접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브레이크수단(미도시)을 해제함으로써 파이프(121)가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따르면, 바람의 영향에 의해서, 파이프(121)가 회전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바람에 의해 파이프(121)가 회전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예방된다.
또한, 파이프(12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설치홈에는 후술하는 가시부(160)가 탈부착가능하게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가시부(160)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를 파지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투신시도자의 투신 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21)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마련되어 내부가 투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한 파이프(121)의 내부에 조명(미도시)이 설치되는 경우, 미적인 효과 및 교통 유도등으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한 파이프(121)를 이용하면, 파이프(121) 내부에 투신시도를 방지하는 문구, 사진, 영상, 홀로그램 등을 표시함으로써, 투신시도자에게 도움이 되는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축(122)은 본체부(112)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내부공간에 설치된 베어링(123)에 연결된다. 이러한 축(122)은 베어링(123)에서 본체부(112)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직경이 증가 되도록 형성되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테이퍼(Taper)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상측이 수평하고 하측이 기울기를 가지는 형상)
이러한 축(122)의 형상에 따르면, 외부에서 축(122)의 상측면으로 유입되는 유체가 축의 하측의 경사면을 따라 본체부(112) 측으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외력에 의해 축(122)이 회전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축(122)의 하측 부분의 자중에 의해서 축(122)은 상측이 수평하고 하측이 기울기를 가지는 형태로 자연스럽게 재배치 됨)
이러한 축(122)의 형상에 의하면, 외부에서 물질, 즉, 빗물, 습기, 눈 등이 축(122)을 따라 내부공간으로 침투하는 경우, 축(122)의 직경의 변화에 의해서, 즉, 축(122)의 경사면에 의해서, 외부의 물질이 내부공간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경사면을 따라 다시 외부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겨울철 베어링(123)이 결빙되어 파이프(121)가 회전되지 못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베어링(123)은 내부공간에서 회전가능도록 축(122)에 연결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파이프(121)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베어링(123)에 의해서,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의 외면을 파지하는 경우, 파이프(121)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123)은 내부공간에 배치된다. 즉, 베어링(123)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파이프(121)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외부의 물질, 즉, 빗물, 습기, 눈 등에 의해서 결빙될 확률이 크게 떨어진다. 이에 의해서, 겨울철에도 파이프(121)가 회전되지 못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러한 베어링(123)은 파이프(121)가 회전하는 경우, 파이프(121)가 도로 측 방향으로만 향하도록 외면에 복수개의 보조축(123a)과, 탄성력 있는 소재로 마련되며 복수개의 보조축(123a)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걸림부재(123b)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2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걸림부재(123b)는 베어링(123) 내부에 형성된 모양에 간섭을 받지 않으므로 그대로 회전된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23)이 시계방향을 회전되는 경우, 걸림부재(123b)는 베어링(123) 내부에 형성된 모양에 간섭을 받아 걸리게 되며, 이에 의해서, 파이프(121)의 회전이 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만 파이프(121)를 회전시키는 베어링(123)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파이프(121)를 파지하는 경우, 파이프(121)가 내측, 즉, 투신시도자 측 방향으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투신시도자의 투신 시도 및 추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작업자 등이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파이프(121) 근처에서 작업을 진행하다가 파이프(121)를 발로 밟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에도 파이프(121)가 내측으로 회전되므로, 작업자가 도로 측으로 추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베어링(123)에 따르면, 작업자의 안전이 효과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압력센서(124)는 베어링(123)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투신시도자가 베어링(123)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촉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접촉정보를 관제센터(150)로 전달한다. 한편, 이러한 압력센서(124)는 외부의 먼지, 빗물 등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술한 파이프(1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이프(121)와 축(122)과 베어링(123)과 압력센서(124)를 포함하는 회전부(120)에 의하면, 회전부(120)가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부(120)가 회전하여 투신시도자의 투신이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감시카메라(130)는 구조물 측에 설치되어 투신시도자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써, 생성된 영상정보를 후술하는 관제센터(150)로 전달하도록 관제센터(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감시카메라(130)에 의해서, 투신시도자가 투신을 시도하는 경우, 관제센터(150)에서 이를 즉시 감지함으로써, 투신시도자에게 관리인력을 즉각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스피커(140)는 구조물 측에 설치되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관제센터(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관제센터(150)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러한 스피커(140)에 의해서, 투신시도자에게 투신시도를 저지하는 경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관제센터(150)는 감시카메라(130)에서 촬영되는 정보를 기초로 투신시도자를 모니터링하는 것으로써, 압력센서가 파이프(121)에 외력이 인가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스피커(140)를 작동시키며 관리인력을 투신시도자 측으로 투입시킨다.
이러한 관제센터에 의해서, 투신시도자의 투신시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가시부(160)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첨단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지지부(110) 및 회전부(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 설치홈에 슬라이딩 형태로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술한 가시부(160)에 따르면, 투신시도자가 지지부(110) 또는 회전부(120)를 파지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투신시도자의 투신 시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10)와 회전부(120)와 감시카메라(130)와 스피커(140)와 관제센터(150)와 가시부(1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100)에 따르면, 지지부(110) 또는 회전부(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시부(160)에 따라, 투신시도자의 투신 및 추락이 더욱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고,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고, 결합부를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100)에 따르면, 투신시도자의 투신 시도시, 무게중심이 교란되기 때문에, 투신시도자의 투신이 효과적으로 저지될 수 있고, 투신시도자가 아닌자가 추락하는 것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추락 위험이 높은 지역에서, 어린이, 아동 또는 기타 어른 등의 부주의로 인한 추락 안전사고도 예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200)은 지지부(110)와 회전부(120)와 감시카메라(130)와 스피커(140)와 관제센터(150)와 플레이트부(260)와 연결부(270)와 조명부(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110)와 회전부(120)와 감시카메라(130)와 스피커(140)와 관제센터(15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100)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배면에서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260)는 지지부(110)에 설치되되 한쌍의 회전부(120)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는 것으로써, 유체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플레이트부(260)에 형성된 관통홀에 의해서, 바람이 유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풍하중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관통홀은 플레이트부(26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이 통과하여 풍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관통홀을 로고, 도형, 그림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 시야성의 증대와 함께 미적인 부분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관통홀을 로고, 도형, 그림 등으로 형성시킨 다음, 관통홀의 하단부에 후술하는 조명부(280)가 설치되는 경우, 관통홀의 절단면을 따라 빛이 맺혀 야간에 경관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플레이트부(260)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일부분이 상호 마주하도록 지지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부(260)에 의하면, 유체, 즉, 바람이 유동되는 유동로가 추가적으로 확보되며, 이에 의해서, 구조물에 가해지는 풍하중이 더욱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부(260)는 관통홀의 형성이 용이하고, 전체 중량이 감소되도록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70)는 플레이트부(260)를 지지부(110)에 설치시키는 것으로써, 일단부가 플레이트부(260)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지지부(110)에 설치된다.
조명부(280)는 관통홀의 절단면을 따라 빛이 맺히도록 관통홀로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써, 플레이트부(260)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이 로고, 도형, 그림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술한 조명에 따르면, 관통홀의 절단면을 따라 빛이 맺혀 야간에 경관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지지부(110)와 회전부(120)와 감시카메라(130)와 스피커(140)와 관제센터(150)와 플레이트부(260)와 연결부(270)와 조명부(28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200)에 따르면, 투신시도자의 투신이 효과적으로 저지되면서도, 경관성이 확보되는 동시에, 구조물에 가해지는 풍하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구조물
1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110 : 지지부
111 : 결합부
112 : 본체부
112a : 제1부
112b : 제2부
112c : 제3부
112d : 돌기
120 : 회전부
121 : 파이프
121a : 블레이드
122 : 축
123 : 베어링
123a : 보조축
123b : 저지부재
124 : 압력센서
130 : 감시카메라
140 : 스피커
150 : 관제센터
160 : 가시부
200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향상된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260 : 플레이트부
270 : 연결부
280 : 조명부

Claims (11)

  1.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신시도자에 의해 파지되는 경우 회전하여 상기 투신시도자의 투신을 저지하는 회전부; 및
    첨단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 또는 상기 회전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파이프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축과, 상기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톱니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보조축과, 탄성소재로 마련되어 복수개의 상기 보조축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베어링에 접촉하여 상기 베어링의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파이프 주변의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파이프의 회전을 저지하다가 상기 근접센서가 상기 파이프 주변에 물체를 감지하는 경우 해제되어 상기 파이프의 회전을 허여하는 브레이크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지면 또는 구조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회전부가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며 배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홈이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부는,
    상기 설치홈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투신시도자가 상기 회전부를 파지함으로써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투신시도자의 무게중심이 교란되도록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구조물의 외면을 압박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면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되 상기 기설정된 간격에 배치되며 유체가 통과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일부분이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1020170094620A 2017-07-26 2017-07-26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101891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620A KR101891772B1 (ko) 2017-07-26 2017-07-26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SG10201806240VA SG10201806240VA (en) 2017-07-26 2018-07-20 Falling and death leap defense rotating cylinder system
AU2018206838A AU2018206838B2 (en) 2017-07-26 2018-07-20 Falling and death leap defense rotating cylinder system
US16/043,095 US20190032290A1 (en) 2017-07-26 2018-07-23 System for preventing fall and suicide
EP18185153.6A EP3434849B1 (en) 2017-07-26 2018-07-24 Falling and death leap defense rotating cylinder system
CA3012367A CA3012367C (en) 2017-07-26 2018-07-24 Falling and death leap defense rotating cylinder system
JP2018139000A JP6836555B2 (ja) 2017-07-26 2018-07-25 墜落防止及び飛び降り自殺防御回転体システム
US17/693,398 US20220195677A1 (en) 2017-07-26 2022-03-13 System for preventing fall and suic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620A KR101891772B1 (ko) 2017-07-26 2017-07-26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772B1 true KR101891772B1 (ko) 2018-08-24

Family

ID=6316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620A KR101891772B1 (ko) 2017-07-26 2017-07-26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90032290A1 (ko)
EP (1) EP3434849B1 (ko)
JP (1) JP6836555B2 (ko)
KR (1) KR101891772B1 (ko)
AU (1) AU2018206838B2 (ko)
CA (1) CA3012367C (ko)
SG (1) SG10201806240V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99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안전 난간
KR20210040658A (ko) * 2019-10-04 2021-04-14 (주)월드비텍 교량 난간용 투신방지장치
KR102277634B1 (ko) 2020-01-15 2021-07-14 신광출 교량용 투신방지장치
KR102434746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20220145523A (ko) * 2021-04-22 2022-10-31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구조성능이 향상된 투신자살 방어를 위한 회전 원통형 시스템
KR102470259B1 (ko) 2022-07-22 2022-11-28 (주)대한엔지니어링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KR102633798B1 (ko) 2023-11-23 2024-02-05 김현호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KR102662378B1 (ko) * 2023-05-31 2024-05-02 (주)케이에이 투신방지 안전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47656B (zh) * 2020-12-22 2022-02-11 黄靖航 一种具有防攀爬结构的楼梯扶手
CN112942979A (zh) * 2021-02-01 2021-06-11 陈磊 一种家养小型犬防逃脱的开放式围栏
USD1005521S1 (en) * 2021-05-28 2023-11-21 Bite Me Enterprises, Inc. Fence attachment assembly for canine contain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85Y1 (ko) * 2003-06-30 2003-09-19 박동인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KR100595482B1 (ko) * 2005-10-18 2006-07-03 (주)에스디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추락 방지용 베란다 건축용 난간 구조
KR101631813B1 (ko) * 2015-11-30 2016-06-24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101714973B1 (ko) * 2016-05-25 2017-03-09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91A (en) * 1896-07-28 Fence
GB612265A (en) * 1946-05-22 1948-11-10 Thomas Sinclair An improved arrangement or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scaling of walls, fences and like barriers
JPS4851135U (ko) * 1971-10-12 1973-07-04
JPS5992709U (ja) * 1982-12-13 1984-06-23 株式会社エフエム鋳鉄 高欄用支柱
JPS6073952A (ja) * 1984-06-28 1985-04-26 青山 武夫 安全手摺
US5784932A (en) * 1996-06-20 1998-07-28 Gilberti; Joseph J. Rotary indexing table
DE19851202A1 (de) * 1998-11-06 2000-05-11 Maier Gmbh Peter Brücke
WO2004101910A1 (en) * 2003-05-19 2004-11-25 Chi-Moon Kim Handrail assembly
US20050189529A1 (en) * 2004-02-26 2005-09-01 Humphreys John C. Roller bar security device and fence
JP2010248771A (ja) * 2009-04-15 2010-11-04 Foodei Planning:Kk 乗越え防止手摺棒
DE102010042981A1 (de) * 2010-10-27 2012-05-03 Robert Bosch Gmbh Werkzeugmaschinenvorrichtung
GB2502042B (en) * 2012-03-16 2017-11-15 Peter Waite David Barrier with rotatable units for deterring intruders
KR101676481B1 (ko) * 2015-02-25 2016-11-15 김희섭 교량난간의 투신방지장치
US20160327080A1 (en) * 2015-05-07 2016-11-10 Albert J. Razzaboni Installation bol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7085Y1 (ko) * 2003-06-30 2003-09-19 박동인 추락 방지용 핸드레일 커버
KR100595482B1 (ko) * 2005-10-18 2006-07-03 (주)에스디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추락 방지용 베란다 건축용 난간 구조
KR101631813B1 (ko) * 2015-11-30 2016-06-24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101714973B1 (ko) * 2016-05-25 2017-03-09 김광석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199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안전 난간
KR102147107B1 (ko) * 2018-10-22 2020-08-24 주식회사 국제에스티 안전 난간
KR20210040658A (ko) * 2019-10-04 2021-04-14 (주)월드비텍 교량 난간용 투신방지장치
KR102249355B1 (ko) * 2019-10-04 2021-05-07 (주)월드비텍 교량 난간용 투신방지장치
KR102277634B1 (ko) 2020-01-15 2021-07-14 신광출 교량용 투신방지장치
KR20220145523A (ko) * 2021-04-22 2022-10-31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구조성능이 향상된 투신자살 방어를 위한 회전 원통형 시스템
KR102477828B1 (ko) * 2021-04-22 2022-12-15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구조성능이 향상된 투신자살 방어를 위한 회전 원통형 시스템
KR102434746B1 (ko) * 2022-04-25 2022-08-22 주식회사 예건 구조성능을 향상시킨 추락 및 투신자살 방지 안전장치
KR102470259B1 (ko) 2022-07-22 2022-11-28 (주)대한엔지니어링 투신자살 방지용 안전 펜스
KR102662378B1 (ko) * 2023-05-31 2024-05-02 (주)케이에이 투신방지 안전난간
KR102633798B1 (ko) 2023-11-23 2024-02-05 김현호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06838A1 (en) 2019-02-14
AU2018206838B2 (en) 2019-07-18
JP2019027275A (ja) 2019-02-21
JP6836555B2 (ja) 2021-03-03
SG10201806240VA (en) 2019-02-27
EP3434849B1 (en) 2020-09-23
US20190032290A1 (en) 2019-01-31
CA3012367C (en) 2021-01-26
EP3434849A1 (en) 2019-01-30
US20220195677A1 (en) 2022-06-23
CA3012367A1 (en) 2019-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772B1 (ko)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101714973B1 (ko)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ii
KR101631813B1 (ko)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AU2003304100B2 (en) Automatic detection and monitoring of perimeter physical movement
KR101886249B1 (ko)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KR102288906B1 (ko)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US10823383B1 (en) Low voltage light fixtures having articulating components for establishing blinding glare zones at selected distances from the fence lines of security fences
DK1234089T3 (da) Fangindretning til et stigningsbeskyttelsessystem
KR102249355B1 (ko) 교량 난간용 투신방지장치
KR102321195B1 (ko) 안전지대를 갖는 보안·월담·추락·투신자살 방지 원통형 회전체 시스템
US20070102241A1 (en) Net system
KR101851504B1 (ko) 순찰로가 겸비된 위장형 보안 경계 울타리
CN104832072A (zh) 一种无线防盗护栏连接件
CN101042788A (zh) 无人基站的安全防护方法
KR200443972Y1 (ko) 개폐식 방범창
CN204594341U (zh) 移动式多功能封控阻截墙
KR102341979B1 (ko)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모서리 보호 장치
CN218894497U (zh) 电梯井口的防护栏
KR200344387Y1 (ko) 신축건물의 발코니 안전난간 구조
KR102659045B1 (ko) 감지와 알람기능을 구비한 투신과 자살방지용 탄성 복원 기능의 관절형 펜스 및 이의 감시방법
FR2972359A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de biens immobiliers vis-a-vis d'un incendie dont l'origine est exterieure, quelles que soient la force et la direction du vent
KR200450445Y1 (ko) 발코니 난간의 방범장치
CN108183403A (zh) 一种配电柜的保护结构
GB2464928A (en) Safety line capture device
Mackay CCTV today- a layperson's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