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798B1 -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 Google Patents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798B1
KR102633798B1 KR1020230164734A KR20230164734A KR102633798B1 KR 102633798 B1 KR102633798 B1 KR 102633798B1 KR 1020230164734 A KR1020230164734 A KR 1020230164734A KR 20230164734 A KR20230164734 A KR 20230164734A KR 102633798 B1 KR102633798 B1 KR 10263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slider
pillars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노윤상
박은영
Original Assignee
김현호
노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호, 노윤상 filed Critical 김현호
Priority to KR102023016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E04H17/004Unstable, e.g. rotatory or resiliently mounted fence panels, spik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덱의 저 면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케이지에 있어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을 상하로 클램핑 하되, 상기 교량의 외부를 향하는 단부에, 상기 플레이트가 수평 이동하지 않도록, 양 모서리를 차단하는 수평 차단부를 포함하고, 보행자가 상기 교량에서 추락방지 케이지가 설치된 위치에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수평 차단부가 해제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이동의 차단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수평 이동하게 작동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단순히 보행자가 교량으로부터 추락의 시도를 방지하는 것을 너머, 추락이 실제 이뤄지더라도 낮은 높이에서 낙하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케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FALL PROTECTION CAGE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보행자가 교량에서 낙하하더라도 낮은 높이에서 착지할 수 있는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설치돼 있는 자살방지 시설 중에는 투신을 어렵게 하기 위해 도로 또는 보도 측 전면으로 기울기를 주는 시설이 있다. 이 경우 '도로안전시설 및 관리지침'에 따른 차량과 보행자의 안전운행을 고려한 도로시설한계 저촉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교량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정기적으로 점검, 보수·보 강 등 유지관리를 해야 하는 시설물로, 이러한 점검, 보수·보강을 시행하는 경우 교량점검차를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자살방지 시설의 높이가 너무 높으면 교량점검차 이용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어 사전에 투신자살 방지시설의 높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특히, 투신자살 방지시설로 인해 교량의 운영 시설 점검이나 고장처리에 지장을 준다거나 또는 운영시설이 투신자살을 용이하도록 발판의 역할을 해서는 안 된다. 투신자살 방지시설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고정하중, 풍하중의 증가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구조물의 안정성을 검토해야 하며, 특히 케이블 교량의 경우 풍하중 증가에 따른 내풍안정성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투신자살 방지시설도 디자인과 미학적인 요소를 고려해 기존 교량과의 조화성을 이뤄야 하며, 지주, 중간 지지대를 이용해 투신자살이 이뤄지지 않도록 충분히 고려할 필요도 있다.
최근에는 설치 전 단계부터 설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항을 고려해 투신자살 방지 시설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91772호(2018.08.20. 공고)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히 보행자가 교량으로부터 추락의 시도를 방지하는 것을 너머, 추락이 실제 이뤄지더라도 낮은 높이에서 낙하하는 보행자를 받을 수 있는 추락방지용 케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덱의 저면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케이지에 있어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을 상하로 클램핑 하되, 상기 교량의 외부를 향하는 단부에, 상기 플레이트가 수평 이동하지 않도록, 양 모서리를 차단하는 수평 차단부를 포함하고, 보행자가 상기 교량에서 추락방지 케이지가 설치된 위치에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수평 차단부가 해제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이동의 차단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수평 이동하게 작동할 수 있다. \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펜스가 더 설치되고, 상기 펜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메시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하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둥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후,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힌 상태에서 직립하여 상기 펜스가 세워지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의 상기 하단부는 핀스프링이 설치되되, 접힌 상태의 상기 복수의 기둥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한 차단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의 하단부가 접힌 상태의 이웃하는 기둥의 상단부에 의하여 덮여져, 직립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의 상단부에는 상단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가 슬라이더 내에 위치할 때, 상기 하부 롤러 및 상기 상단 롤러가 슬라이더 내에 접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기둥 차단부가 더 설치되고, 기둥 차단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복수의 기둥의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하고,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 상에 보행자가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면, 기둥 차단부가 기동하여 접힌 상태의 상기 복수의 기둥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여 직립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보행자가 교량으로부터 추락의 시도를 방지하는 것을 너머, 추락이 실제 이뤄지더라도 보행자를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추락방지용 케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추락방지 케이지가 설치된 교량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 케이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 케이지의 배면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 케이지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추락방지 케이지(10)가 설치된 교량(20)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추락방지 케이지(10)는 교량(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추락방지 케이지(10)는 모듈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교량(20)의 길이에 따라 개수를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추락방지 케이지(10)가 동작하여, 교량(20)에서 사람의 추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량(20)은 교각(21), 캐피탈(22), 덱(23) 및 난간(24)을 포함할 수 있다.
교각(21)은 교량이 지면에 고정시키는 부분으로서 하단에 콘크리트 또는 강철이 사용되는 기초(found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기초는 하중을 지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교각(21)(column)은 기초 위에 설치되어 교량의 주요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교각(21)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강철, 또는 이들의 복합재료로 만들어진다. 교각(21)의 형태는 실린더형, 사각형 또는 복합 형태로 다양할 수 있다.
캐피탈(22)(capital)은 교각(2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캐피탈(22)은 교각(21)과 덱(23)을 연결하여 전체 구조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캐피탈(22)은 덱(23) 상의 하중을 교각(21)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교량(20)의 모양 및 종류에 따라 헤더(header) 등 다양한 형태와 명칭을 가질 수 있다.
덱(23)은 교량(20) 상에서 차량이나 보행자가 다니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또는 강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난간(24)은 교량(20)의 양 옆을 둘러싸는 부분으로, 안전을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난간(24)의 재료로는 강철, 알루미늄, 유리, 나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디자인적으로도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추락방지 케이지(10)는 교량(20)에 있어서 덱(23)의 저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추락방지 케이지(10)는 덱(23)에서 난간(24)이 설치되는 가장자리의 저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락방지 케이지(10)는 모듈 형식으로 교량(2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추락방지 케이지(10)가 교량(20)의 가장자리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추락방지 케이지(10)가 교량(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모든 가장자리 영역에서 추락방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추락방지 케이지(10)는 교량(20)의 일 측 가장자리에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추락방지 케이지(10)는 교량(20)의 양 측 가장자리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교량(20) 위의 보행자가 만약 교량(20)의 외부로 추락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위치의 추락방지 케이지(10)가 작동할 수 있다. 추락방지 케이지(10)는 플레이트(100)를 포함하고, 플레이트(100)는 교량(20)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보행자가 난간(24)을 넘어 떨어지더라도 추락방지 케이지(10)의 플레이트(100)에 상에 떨어짐으로써 교량(20)으로부터 완전히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락방지 케이지(10)는 슬라이더(200)를 포함하며, 슬라이더(200)는 플레이트(100)가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더(200)는 플레이트(100)의 양측 모서리를 클램핑 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은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교량(20) 위에 보행자가 위치하는 경우, 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된 펜스(300)가 직립하려 설치될 수 있다. 펜스(300)가 세워짐으로써, 플레이트(100) 상의 보행자가 플레이트(100)로부터 다시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펜스(300)는 플레이트(100)가 교량(20)의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후 또는 수평이동과 동시에 세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펜스(300)는 플레이트(100) 상에 보행자가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세워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펜스(300)의 세워지는 동작 중에 보행자가 떨어짐으로써, 펜스(300)로 인해 보행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게 위함이다.
위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서, 추락방지 케이지(10)는 플레이트(100)를 이용하여, 교량(20)에서 보행자가 추락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고, 플레이트(100)는 펜스(300)가 세워짐으로써, 보행자의 2차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위 설명에서, 추락방지 케이지(10)는 교량(20)에서 보행자가 1차적으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고, 또한, 보행자가 플레이트(100) 상에 낙하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모션 센서가, 교량(20) 상의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추락 가능성이 있는 위치의 추락방지 케이지(10)가 작동하도록 트리거(trigger) 할 수 있다. 압력감지센서는 보행자가 난간(24)나 플레이트(100)에 접촉했을 때, 무게변화를 감지하여, 추락방지 케이지(10)를 작동시키거나 플레이트(100) 상의 펜스(300)를 세우도록 야기할 수 있다. 진동센서는 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어, 임계 값을 넘어서는 진동이 감지될 경우, 플레이트(100) 상에 보행자가 낙하한 것으로 보고 펜스(300)를 세우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교량(20)의 덱(23)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을 촬상하는 카메라 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카메라 장치가 획득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량(20)에서 추락이 예상되는 보행자의 위치에 추락방지 케이지(10)가 작동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상술한 센서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유기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여러 센서를 조합하여 더 정확하고 다양한 추락 감지 방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 케이지(1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 케이지(10)의 배면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 케이지(10)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추락방지 케이지(10)의 구조 및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추락방지 케이지(10)는 플레이트(100), 슬라이더(200), 펜스(300) 및 스프링 메커니즘(40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는 교량(20)에서 추락하는 보행자가 낙하되는 영역일 수 있다. 플레이트(100)가 교량(20)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하여 돌출되었을 때, 적어도 2 m 이상의 교량(20)의 외부로 돌출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플레이트(100)를 교량(2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플레이트(100)의 양단을 상하로 클램핑 할 수 있다. 플레이트(100)의 양 단이 슬라이더(200)에 의해 개재되어, 슬라이더(200) 사이에서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200)는 플레이트(100)의 양 측면을 막는 측면부(201)를 포함하고, 측면부(201)의 상부와 하부에 플레이트(100)의 가장자리의 상부와 하부를 개재하는 상부(202) 및 하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측면부(201), 상부(202) 및 하부(203)가 구성하는, 실질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200)는 교량(20)의 외부를 향하는 단부에, 플레이트(100)의 모서리를 차단하는 수평 차단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차단부(210)는 슬라이더(200)의 단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더(200)는 수평 차단부(210)의 하단(예를 들어 하부(203))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차단부(210)는 슬라이더(200)의 하부(203)에 힌지구조를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서 좌측의 슬라이더(200)는 수평 차단부(21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우측의 슬라이더(200)는 수평 차단부(210)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수평 차단부(210)가 슬라이더(200)의 단부를 차단한 경우,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200)에서 슬라이딩 되어 교량(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평 차단부(210)가 개방되면,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20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교량(2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펜스(300)는 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며,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20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100)가 교량(20)에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펜스(300)는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200)에서 슬라이딩 하여 교량(2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접힌 상태가 펴져 세워질 수 있다.
스프링 메커니즘(400)은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200)에서 슬라이딩 하여 교량(20)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프링 메커니즘(400)은 플레이트(10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메커니즘(400)은 플레이트(100)의 스프링 플레이트 지지부(110) 및 슬라이더(200)의 스프링 슬라이더 차단부(220)의 양 단에 개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플레이트 지지부(110)는 플레이트(10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프링 슬라이더 차단부(220)는 슬라이더(200)의 후반을 연결하는 부재일 수 있다.
스프링 메커니즘(400)은 스프링 플레이트 지지부(110)와 스프링 슬라이더 차단부(220)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200)의 수평 차단부(210)가 플레이트(100)가 돌출하도록 슬라이딩 이동을 차단하고 있는데, 수평 차단부(210)의 차단이 해제되면, 압축된 스프링 메커니즘(400)이 복원되면서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200)를 따라 교량(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메커니즘(400)은 플레이트(100)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스프링 메커니즘(400)의 복원력이 점진적으로 적용되도록 댐퍼(damp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메커니즘(400)은 코일 스프링, 리프 스프링, 가스 스프링, 고무 스프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보행자가 상기 교량에서 추락방지 케이지가 설치된 위치에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수평 차단부(210)가 해제되어 상기 플레이트(100)의 수평이동의 차단을 해제함으로써, 스프링 메커니즘(40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00)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 케이지(10)에서 슬라이더(200)의 절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의 (a)는 슬라이더(200)의 수평 차단부(210)가 개방된 직후를 도시한다. 도 6a의 (b)는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200)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외측으로 돌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100)의 배면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130)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롤러(130)는 슬라이더(200) 내에서 플레이트(100)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하부 롤러(130)는 슬라이더(200)의 하부(203)에 접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펜스(300)는 복수의 기둥(310)을 포함할 수 있다.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기둥(310) 사이에는 메시(320)가 설치될 수 있다. 메시(320)는 그물 또는 네트로 지칭될 수 있다. 메시(320)는 펜스(300)가 세워 졌을 때, 플레이트(100)에 낙하한 보행자가 2차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310)은 플레이트(100)에 연결되는 하단부(311)가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기둥(310)은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200)의 내부에 위치할 때는 접힌 상태로 함께 슬라이더(2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접힌 상태는 기둥(310)이 플레이트(100)와 평행하도록 눕혀진 상태일 수 있다.
한편, 기둥(310)이 접힌 상태에서 상단부(312)가 이웃하는 기둥(310)의 하단부(311)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310)이 접힌 상태에서는 이웃하는 기둥(310)의 하단부(311)가, 상단부(312)에 의해 덮여서,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310)의 상단부(312)에는 상단 롤러(31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단 롤러(313)는 슬라이더(200) 내에서 플레이트(100) 및 펜스(300)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상단 롤러(313)는 슬라이더(200)의 상부(202)와 접하여 회전할 수 있다.
펜스(300)의 복수의 기둥(310)은 플레이트(100) 내에서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기둥(310)이 접힌 상태에서도 플레이트(100) 내에서 사각형을 이루는 변(또는 테두리)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플레이트(100)가 외부로 돌출하였을 때, 보행자가 펜스(300)가 감싸는 영역 내에 낙하하게 되는데, 보행자가 기둥(310)에 의해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310)의 하단부(311)에는 핀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핀 스프링은 기둥(310)이 접힌 상태에서, 직립 하게하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310)은 상단부(312)가 슬라이더(200)의 상부(202)로부터 가로 막힌 상태가 해제되면 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직립할 수 있다.
다만 이웃하는 기둥(310)들끼리 상단부(312)가 이웃하는 하단부(311)를 덮도록 접히기 때문에, 모든 기둥(310)이 직립하기 위해서는 모든 기둥(310)의 직립을 방해하는 부재가 없어야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락방지용 케이지(10)는 연결부재(240)에 의하여 교량(20) 또는 교량(20)의 덱(23)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240)는 복수개소에서 추락방지용 케이지(10)와 교량(2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240)의 높이만큼 추락방지용 케이지(10)는 덱(20)의 저면(23)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6a의 (b)를 참조하면, 슬라이더(200)의 단부에는 기둥 차단부(2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기둥 차단부(230)는 슬라이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다. 기둥 차단부(230)는 접힌 상태의 기둥(310)의 직립을 차단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도 6b의 (c)를 참조하면, 기둥 차단부(230)가 슬라이더(20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접힌 상태의 기둥(310)에 대한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b의 (d)와 같이 기둥(310)이 모두 직립하게 되고 메시(320)가 펴져 펜스(300)가 세워질 수 있다. 본원에서 도 3 및 도 6b의 (d)를 제외한 도면에서,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메시(320)는 생략되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 차단부(230)의 기동은 상술한 센서가 추락방지 케이지(10)로 보행자가 낙하한 것을 감지하면 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둥 차단부(230)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된 기둥(310)이 모두 슬라이더(200)의 상부(202)에 의해 차단이 해제되도록, 플레이트(100)가 돌출한 경우 자동으로 모두 직립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덱의 저 면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케이지(10)에 있어서, 플레이트(100); 상기 플레이트(100)를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슬라이더(200); 상기 슬라이더(200)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00)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스프링 메커니즘(400)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2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양단을 상하로 클램핑 하되, 상기 교량의 외부를 향하는 단부에, 상기 플레이트(100)가 수평 이동하지 않도록, 양 모서리를 차단하는 수평 차단부(210)를 포함하고, 보행자가 상기 교량에서 추락방지 케이지(10)가 설치된 위치에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수평 차단부(210)가 해제되어 상기 플레이트(100)의 수평이동의 차단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메커니즘(40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00)가, 상기 교량(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수평 이동하게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의 상부에는 펜스(3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펜스(3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310) 및 상기 기둥(310) 사이에 설치되는 메시(320)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310)에서 상기 플레이트(100)에 연결되는 하단부(311)는 상기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둥(310)은, 상기 플레이트(100)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후, 상기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접힌 상태에서 직립하여 상기 펜스(300)가 세워지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310)의 상기 하단부(311)는 핀스프링이 설치되되, 접힌 상태의 상기 복수의 기둥(31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슬라이더(200)에 의한 차단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310)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기둥(310) 각각의 하단부(311)가 접힌 상태의 이웃하는 기둥(310)의 상단부(312)에 의하여 덮여져, 직립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0)의 배면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130)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기둥(310) 각각의 상단부(312)에는 상단 롤러(31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0)가 슬라이더(200) 내에 위치할 때, 상기 하부 롤러(130) 및 상기 상단 롤러(313)가 슬라이더(200) 내에 접하여, 상기 플레이트(100)가 상기 슬라이더(20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200)에는 기둥 차단부(230)가 더 설치되고, 기둥 차단부(230)는 상기 플레이트(100)가 상기 슬라이더(200)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복수의 기둥(310)의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하고,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100) 상에 보행자가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면, 기둥 차단부(230)가 기동하여 접힌 상태의 상기 복수의 기둥(310)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여 직립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보행자가 교량으로부터 추락의 시도를 방지하는 것을 너머, 추락이 실제 이뤄지더라도 낮은 높이에서 낙하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케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 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용 추락방지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안전 장치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 : 추락방지 케이지 100 : 플레이트
110 : 스프링 플레이트 지지부 130 : 하부 롤러
20 : 교량 200 : 슬라이더
201 : 측면부 202 : 상부
203 : 하부 21 : 교각
210 : 수평 차단부 22 : 캐피탈
220 : 스프링 슬라이더 차단부 23 : 덱
230 : 기둥 차단부 24 : 난간
300 : 펜스 310 : 기둥
311 : 하단부 312 : 상단부
313 : 상단 롤러 320 : 메시
400 : 스프링 메커니즘

Claims (6)

  1. 교량의 덱의 저 면에 설치되는 추락방지 케이지에 있어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을 상하로 클램핑 하되, 상기 교량의 외부를 향하는 단부에, 상기 플레이트가 수평 이동하지 않도록, 양 모서리를 차단하는 수평 차단부를 포함하고,
    보행자가 상기 교량에서 추락방지 케이지가 설치된 위치에서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수평 차단부가 해제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이동의 차단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수평 이동하게 작동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펜스가 더 설치되고,
    상기 펜스는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 및 상기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메시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에서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하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둥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교량의 외측으로 수평이동한 후,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접힌 상태에서 직립하여 상기 펜스가 세워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복수의 기둥의 상기 하단부는 핀스프링이 설치되되,
    접힌 상태의 상기 복수의 기둥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한 차단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핀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직립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교량용 추락방지 케이지.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의 하단부가 접힌 상태의 이웃하는 기둥의 상단부에 의하여 덮여져, 직립하지 않는 것인,
    교량용 추락방지 케이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에는 복수의 하부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의 상단부에는 상단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가 슬라이더 내에 위치할 때, 상기 하부 롤러 및 상기 상단 롤러가 슬라이더 내에 접하여,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인,
    교량용 추락방지 케이지.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기둥 차단부가 더 설치되고,
    기둥 차단부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복수의 기둥의 접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하고,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상기 플레이트 상에 보행자가 추락하는 것을 감지하면, 기둥 차단부가 기동하여 접힌 상태의 상기 복수의 기둥에 대한 차단을 해제하여 직립하게 하는 것인,
    교량용 추락방지 케이지.
KR1020230164734A 2023-11-23 2023-11-23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KR10263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4734A KR102633798B1 (ko) 2023-11-23 2023-11-23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4734A KR102633798B1 (ko) 2023-11-23 2023-11-23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798B1 true KR102633798B1 (ko) 2024-02-05

Family

ID=8990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4734A KR102633798B1 (ko) 2023-11-23 2023-11-23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798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9857A (ja) * 1987-05-12 1988-11-16 株式会社 大氣社 救命設備
JPH0246376Y2 (ko) * 1985-07-04 1990-12-06
KR200428875Y1 (ko) * 2006-08-01 2006-10-16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접이식 점검대
KR20160080836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에코프랜 방음터널용 접이식 점검로 및 이 시공 방법
KR101891772B1 (ko) 2017-07-26 2018-08-24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CN109453480A (zh) * 2018-10-19 2019-03-12 徐州工程学院 一种智能防跳楼及拦截高空坠物装置系统
KR102078510B1 (ko) * 2019-08-23 2020-02-17 박상원 추락 방지 안전펜스
CN112942874A (zh) * 2021-01-27 2021-06-11 北京科技大学 一种高空坠物拦截预警回收装置及方法
KR102401106B1 (ko) * 2020-10-16 2022-05-23 서울특별시 교량 추락사고 방지장치
KR20230006947A (ko) * 2021-07-05 2023-01-12 김상옥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JP2023014994A (ja) * 2021-07-19 2023-01-31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落下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6376Y2 (ko) * 1985-07-04 1990-12-06
JPS63279857A (ja) * 1987-05-12 1988-11-16 株式会社 大氣社 救命設備
KR200428875Y1 (ko) * 2006-08-01 2006-10-16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접이식 점검대
KR20160080836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에코프랜 방음터널용 접이식 점검로 및 이 시공 방법
KR101891772B1 (ko) 2017-07-26 2018-08-24 시스템코리아 주식회사 추락 방지 및 투신 자살 방어 회전체 시스템
CN109453480A (zh) * 2018-10-19 2019-03-12 徐州工程学院 一种智能防跳楼及拦截高空坠物装置系统
KR102078510B1 (ko) * 2019-08-23 2020-02-17 박상원 추락 방지 안전펜스
KR102401106B1 (ko) * 2020-10-16 2022-05-23 서울특별시 교량 추락사고 방지장치
CN112942874A (zh) * 2021-01-27 2021-06-11 北京科技大学 一种高空坠物拦截预警回收装置及方法
KR20230006947A (ko) * 2021-07-05 2023-01-12 김상옥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JP2023014994A (ja) * 2021-07-19 2023-01-31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落下防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510B1 (ko) 추락 방지 안전펜스
US7862252B2 (en) Vehicle barrier system
US10428536B2 (en) Scaffold system
US8985890B2 (en) Vertically actuated vehicle barrier system
US8496395B2 (en) Vertically actuated vehicle barrier system
US20100012427A1 (en) Mobile anchoring and fall prevention device
JPWO2011024612A1 (ja) ゲート装置
JPH07504006A (ja) 折り畳み式の防御柵
US4690583A (en) Flat folding alternating barrier
KR102633798B1 (ko)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WO2007105940A1 (en) Road blocker
KR101969840B1 (ko)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EP1105191B1 (en) Safety unit
CN109610807A (zh) 一种折叠护栏以及包含其的高架作业台
KR102083815B1 (ko) 자바라식 출입문
WO2006058383A1 (en) Structural barrier system
JP5388725B2 (ja) 水平2次元方向に可動の自在手摺り構造
KR100988245B1 (ko) 제설 기능을 갖는 건축물 외벽 비상계단 및 그 시공방법
KR100930862B1 (ko) 항공기와 탑승교를 연결하는 이동식 경사로
NL1028245C2 (nl) Veiligheidsvoorziening voor het gecontroleerd doorlaten van voertuigen.
KR102522941B1 (ko)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RU206903U1 (ru) Мобильное раздвижное заграждение
US20130091771A1 (en) Safety Moving Gate
KR101912178B1 (ko) 접이식 2단구조를 갖는 안전난간
JP313997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