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6947A -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06947A KR20230006947A KR1020210087547A KR20210087547A KR20230006947A KR 20230006947 A KR20230006947 A KR 20230006947A KR 1020210087547 A KR1020210087547 A KR 1020210087547A KR 20210087547 A KR20210087547 A KR 20210087547A KR 20230006947 A KR20230006947 A KR 202300069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bar
- bar
- connecting bar
- safety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10144 Completed suicide Diseas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42464 Suicide attempt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2—Pedestrian barriers; Barriers for channelling or controlling crow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3—Anti-climbing devices, e.g. fixed spik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지지바과, 복수의 상기 지지바 사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되,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 사람의 보행시 실족을 유도하는 그물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투신 자살을 기도하는 월담자의 보행을 제한하여 자살시도를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방호울타리를 넘어 자살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교량이나 대교에는 차량이 부딪혔을 때 다리 밑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방호울타리가 설치된다. 이로 인해 인명사고를 줄일 수 있으나,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높이의 제한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방호울타리의 높이는 1m 전후로 형성된다. 이는 차량의 추락을 막을 수 있는 높이로는 충분하나, 사람의 월담을 저지하기에는 낮은 높이에 해당한다. 특히, 자살을 기도하는 사람들이 다리를 지나다가 차량방호울타리를 넘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3739호(2015년 5월 21일 등록)는 자살방지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직립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부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부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와, 내부가 중공된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베어링과,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체의 양 측면의 관통된 영역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볼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차량방호울타리와 함께 사용할 수 없으며, 일정한 높이로 형성시 대교의 경관을 해친다는 의미에서 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도시의 경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차량방호울타리를 넘은 사람이 보행하지 못하도록 하여 자살시도를 지연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그물망을 이용하여 투신 자살을 기도하는 월담자의 보행을 제한하여 자살시도를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바를 수평으로 지지하면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월담자의 하중을 감지시 지지바가 상향하여 월담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지지바과, 복수의 상기 지지바 사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되,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 사람의 보행시 실족을 유도하는 그물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앵커플레이트와, 상기 삽입공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연결바와, 상기 지지바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연결바와,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바의 단턱진 제1 돌기가 삽입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연결바의 단턱진 제2 돌기가 삽입되는 제1 압축스프링과, 일측이 상기 제1 연결바를 관통하여 고정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연결바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공에 슬라이딩 결합하면서 상기 제1 연결바의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가 수평위치에서 잠금설정이 되고, 상기 지지바에 기 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여 감지되면 상기 잠금설정이 해제되면서 상기 지지바를 기 설정된 각도로 상향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에 형성된 광섬유로 조명을 출력하여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물망을 이용하여 투신 자살을 기도하는 월담자의 보행을 제한하여 자살시도를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바를 수평으로 지지하면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월담자의 하중을 감지시 지지바가 상향하여 월담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의 사시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3 및 4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중 고정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서 지지바가 회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 구동부가 추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서 고정부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 조명부 및 경고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의 측면구성도이다.
도 3 및 4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중 고정부의 세부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서 지지바가 회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 구동부가 추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서 고정부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 조명부 및 경고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의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3 및 4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중 고정부의 세부구성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서 지지바가 회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100)는 고정부(110), 지지바(120) 및 그물망(130)을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 경우, 고정부(110)는 차량방호울타리(10)의 지주가 설치된 경우 동일한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차량방호울타리(10)와는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바닥면에 고정된다. 고정부(110)는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후술하는 지지바(120)가 삽입시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고정부(110)는 지지바(120)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앵커볼트(117)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0)는 앵커플레이트(111), 제1 연결바(112), 제2 연결바(113), 제1 압축스프링(114) 및 고정와이어(11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의 앵커플레이트(111)는 삽입공(111-1)이 형성되어 바닥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삽입공(111-1)은 'O'자 형태 또는 'oo'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삽입공(111-1)의 내부에는 제1 연결바(112)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공(111-1) 내측은 각진 면으로 형성되며, 제1 연결바(112)가 삽입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앵커플레이트(111)는 전체적인 단면이 '오'자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바(120)를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110)의 제1 연결바(112)는 앵커플레이트(111)에서 삽입공(111-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1 연결바(112)는 후술하는 제2 연결바(113)와 함께 제1 압축스프링(114)에 의해 연결된다. 제1 연결바(112)는 외측면이 각진 형태로 형성되어, 단면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연결바(112)가 삽입공(1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제1 연결바(112)의 길이는 앵커플레이트(111)의 삽입공(111-1)의 길이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바(112)는 일측이 단차진 제1 돌기(1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112-1)의 외주면으로는 제1 압축스프링(114)이 결합한다. 다시 말해, 제1 돌기(112-1)는 제1 연결바(112)와 제1 압축스프링(114)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고정부(110)의 제2 연결바(113)는 지지바(12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제2 연결바(113)는 제1 연결바(112)와 함께 제1 압축스프링(114)에 의해 연결된다. 제2 연결바(113)는 외측면이 각진 형태로 형성되어, 단면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연결바(113)가 지지바(120)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제2 연결바(113)의 길이는 제1 연결바(11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바(113)는 일측이 단차진 제2 돌기(1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113-2)의 외주면으로는 제1 압축스프링(114)이 결합한다. 다시 말해, 제2 돌기(113-2)는 제2 연결바(113)와 제1 압축스프링(114)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고정부(110)의 제1 압축스프링(114)은 일측이 제1 연결바(112)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연결바(113)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압축스프링(114)의 일측은 제1 연결바(112)의 단턱진 제1 돌기(112-1)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연결된다. 제1 압축스프링(114)의 타측은 제2 연결바(113)의 단턱진 제2 돌기(113-2)의 외주면으로 삽입되어 연결된다. 제1 압축스프링(114)은 지지바(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압축스프링(114)의 길이 및 탄성력은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제1 압축스프링(114)의 일부는 앵커플레이트(111)의 삽입공(111-1)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고정부(110)의 고정와이어(115)는 일측이 제1 연결바(112)를 관통하여 고정하고, 타측이 제2 연결바(113)를 관통하여 고정한다. 고정와이어(115)는 [제1 연결바(112)]-[제1 압축스프링(114)]-[제2 연결바(113)]의 연결을 고정시켜 충격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고정와이어(115)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연결바(112)와 제2 연결바(113)를 관통한 상태에서 결합되는 와셔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와이어(115)는 제1 연결바(112), 제1 압축스프링(114), 제2 연결바(113)를 관통한 상태로 이들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와이어(115)의 길이 및 인장강도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0)는 고정핀(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116)은 삽입공(111-1)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고정핀(116)은 삽입공(111-1)에 삽입되면서 동시에 제1 연결바(112)의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고정핀(116)은 앵커플레이트(111)의 삽입공(111-1)에 삽입되면서 제1 연결바(112)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앵커플레이트(111)의 삽입공(111-1)은 복수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바(112)가 삽입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제1 연결바(112)가 삽입되는 경우 그 사이에 고정핀(116)이 삽입되면서 양측으로 각각의 제1 연결바(112)의 삽입홈(112-2)에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바(112)의 회전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지지바(120)는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고정부(110)에 삽입된다. 지지바(120)는 단면이 'O'자 형태 또는 'oo'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120)는 차량방호울타리(10)가 설치된 교량이나 대교의 외측으로 수평방향 또는 기 설정된 기울기로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된다. 지지바(120)는 고정부(110)에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된다. 복수의 지지바(120) 사이에는 후술하는 그물망(130)이 연결된다. 지지바(120)의 길이는 사용자의 설계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120)는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텔레스코프(telescope)와 같이 접이식 길이 가변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교량의 형태나 주변의 풍속 등 환경요소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함이다. 복수의 지지바(120)는 미관을 위해 물결(wave) 형태로 보여지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조절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바(120)는 일정한 길이로 인출 또는 인입된 상태에서 잠금장치로 그 길이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투신방지장치(100)는 지지바(120)의 일측과 차량방호울타리(10)의 일측을 연결하는 지지와이어(12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와이어(121)는 주변의 시설물과 지지바(120)를 연결시켜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주변의 바람 등의 영향으로 지지바(120)가 흔들리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지지와이어(121)의 일측에는 롤러(미도시)가 형성되어 지지와이어(12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는 잠금상태로 관리되며, 관리자의 작업키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와이어(121)의 길이가 늘어나면 지지바(120)의 각도는 수평에 가깝게 이동한다. 지지와이어(121)의 길이가 짧아지면 지지바(120)의 각도는 수직에 가깝게 이동한다.
그물망(130)은 복수의 지지바(120) 사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그물망(130)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아노줄과 같은 미세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월담자가 육안으로 이를 식별하고 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물망(130)은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 사람의 보행시 실족을 유도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물망(130)의 폭이 남성의 신발이 빠질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월담자의 발이 빠져 더 이상 보행을 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물망(130)은 지지바(12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 구동부가 추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서 고정부의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100)는 구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지지바(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지바(120)에 기 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여 감지되면 지지바(120)를 기 설정된 각도로 상향시킨다. 구동부(140)는 일종의 푸쉬-풀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동부(140)는 지지바(120)가 수평위치에서 잠금설정이 된다. 이 경우, 구동부(140)에는 제2 압축스프링(141)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140)가 잠금설정시 제2 압축스프링(141)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구동부(140)는 지지바(120)에 기 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여 감지되면 잠금설정을 해제한다. 이 경우, 구동부(140)의 제2 압착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지지바(120)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로 인해 지지바(120)는 제2 연결바(113)에 연결된 상태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상향될 수 있다. 이는 월담자가 지지바(120)나 그물망(130)을 밟음으로써 하중이 감지되면 지지바(120)를 상향시켜 더 이상 움지이지 못하도록 포획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10)는 앵커플레이트(111)와 제1 연결바(112)가 힌지(hinge)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140)가 잠금해제되는 경우 제2 압축스프링(141)이 제2 연결바(113)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바(112)와 연결된 지지바(120)가 함께 상승하는 상승하게 된다. 고정부(110)와 제1 연결바(112)는 힌지구조로 연결되므로 지지바(120)는 기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상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월담자의 보행을 최대한 저지하면서 안전하게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100)는 조명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50)는 그물망(130)에 형성된 광섬유로 조명을 출력한다. 이 경우, 그물망(130)에는 광섬유가 포함되어 있어 조명에 따라 색상이 표출될 수 있다. 조명부(150)는 그물망(130)을 통해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과 같은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조명부(15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조도 이하에서는 조명을 온시키고, 기 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면 조명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월담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를 제공하여 자살심리를 낮추고, 주변의 경관을 아름답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도 1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에 조명부 및 경고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100)는 경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부(160)는 경광등 또는 사이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경고부(160)는 지지바(120)에 기 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여 감지되면 경고신호를 출력한다. 경고부(160)는 외부의 관제센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경고부(160)는 지지바(120)를 통해 기 설정된 하중을 초과한 상태로 감지되면 지지바(120)를 통해 진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소자가 지지바(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지지바(120) 또는 그물망(130)으로 진동신호를 보내 월담자가 보행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자살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경고부(160)는 관리자에 의해 이벤트 종료신호가 감지되면 경고신호를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월담자에게 심리적인 압박과 물리적인 저항을 가해 자살의지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투신방지장치
110 : 고정부
111 : 앵커플레이트
111-1 : 삽입공
112 : 제1 연결바
112-1 : 제1 돌기
112-2 : 삽입홈
113 : 제2 연결바
113-2 : 제2 돌기
114 : 제1 압축스프링
115 : 고정와이어
116 : 고정핀
117 : 앵커볼트
120 : 지지바
121 : 지지와이어
130 : 그물망
140 : 구동부
141 : 제2 압축스프링
150 : 조명부
160 : 경고부
110 : 고정부
111 : 앵커플레이트
111-1 : 삽입공
112 : 제1 연결바
112-1 : 제1 돌기
112-2 : 삽입홈
113 : 제2 연결바
113-2 : 제2 돌기
114 : 제1 압축스프링
115 : 고정와이어
116 : 고정핀
117 : 앵커볼트
120 : 지지바
121 : 지지와이어
130 : 그물망
140 : 구동부
141 : 제2 압축스프링
150 : 조명부
160 : 경고부
Claims (5)
-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부(110);
기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10)에 연결되는 지지바(120); 및
복수의 상기 지지바(120) 사이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되, 기 설정된 폭 이상으로 형성되어 사람의 보행시 실족을 유도하는 그물망(130)을 포함하는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0)는,
삽입공(111-1)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는 앵커플레이트(111);
상기 삽입공(11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연결바(112);
상기 지지바(1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 연결바(113);
일측에 상기 제1 연결바(112)의 단턱진 제1 돌기(112-1)가 삽입되고, 타측에 상기 제2 연결바(113)의 단턱진 제2 돌기(113-1)가 삽입되는 제1 압축스프링; 및
일측이 상기 제1 연결바(112)를 관통하여 고정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연결바(113)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고정와이어를 포함하는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11-1)에 슬라이딩 결합하면서 상기 제1 연결바(112)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12-2)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 연결바(112)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핀(116)을 더 포함하는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120)가 수평위치에서 잠금설정이 되고, 상기 지지바(120)에 기 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여 감지되면 상기 잠금설정이 해제되면서 상기 지지바(120)를 기 설정된 각도로 상향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130)에 형성된 광섬유로 조명을 출력하여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조명부(150)를 더 포함하는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7547A KR102522941B1 (ko) | 2021-07-05 | 2021-07-05 |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7547A KR102522941B1 (ko) | 2021-07-05 | 2021-07-05 |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6947A true KR20230006947A (ko) | 2023-01-12 |
KR102522941B1 KR102522941B1 (ko) | 2023-04-18 |
Family
ID=8492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7547A KR102522941B1 (ko) | 2021-07-05 | 2021-07-05 |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29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3798B1 (ko) * | 2023-11-23 | 2024-02-05 | 김현호 |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8328Y2 (ja) * | 1991-02-19 | 1995-08-30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高 欄 |
KR200268165Y1 (ko) * | 2001-12-17 | 2002-03-15 |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
JP2004197508A (ja) * | 2002-12-20 | 2004-07-15 | Ntt Advanced Technology Corp | 落下物捕獲装置 |
KR20040101126A (ko) * | 2004-10-28 | 2004-12-02 | 김길평 | 건축용 안전난간 |
KR100530011B1 (ko) * | 2005-08-16 | 2005-11-22 | (주)천일기술단 | 고소 및 교각의 작업안전망구조 |
KR101083318B1 (ko) * | 2011-03-25 | 2011-11-15 | 최석헌 | 자동난간 |
KR101150457B1 (ko) * | 2011-12-28 | 2012-05-29 | (주)한가람 | 교량의 이탈방지용 도로용 난간 |
KR20170000373U (ko) * | 2015-07-17 | 2017-01-25 | 위성의 | 투신 방지용 감시시스템 |
KR20200004981A (ko) * | 2018-07-05 | 2020-01-15 | 오성식 |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
KR102078510B1 (ko) * | 2019-08-23 | 2020-02-17 | 박상원 | 추락 방지 안전펜스 |
KR102082227B1 (ko) * | 2018-12-20 | 2020-02-27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낙하물 방지망 모니터링 장치 |
KR102151257B1 (ko) * | 2020-05-27 | 2020-09-02 | 김한기 | 낙하물방지망 |
-
2021
- 2021-07-05 KR KR1020210087547A patent/KR1025229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8328Y2 (ja) * | 1991-02-19 | 1995-08-30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高 欄 |
KR200268165Y1 (ko) * | 2001-12-17 | 2002-03-15 |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
JP2004197508A (ja) * | 2002-12-20 | 2004-07-15 | Ntt Advanced Technology Corp | 落下物捕獲装置 |
KR20040101126A (ko) * | 2004-10-28 | 2004-12-02 | 김길평 | 건축용 안전난간 |
KR100530011B1 (ko) * | 2005-08-16 | 2005-11-22 | (주)천일기술단 | 고소 및 교각의 작업안전망구조 |
KR101083318B1 (ko) * | 2011-03-25 | 2011-11-15 | 최석헌 | 자동난간 |
KR101150457B1 (ko) * | 2011-12-28 | 2012-05-29 | (주)한가람 | 교량의 이탈방지용 도로용 난간 |
KR20170000373U (ko) * | 2015-07-17 | 2017-01-25 | 위성의 | 투신 방지용 감시시스템 |
KR20200004981A (ko) * | 2018-07-05 | 2020-01-15 | 오성식 |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
KR102082227B1 (ko) * | 2018-12-20 | 2020-02-27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낙하물 방지망 모니터링 장치 |
KR102078510B1 (ko) * | 2019-08-23 | 2020-02-17 | 박상원 | 추락 방지 안전펜스 |
KR102151257B1 (ko) * | 2020-05-27 | 2020-09-02 | 김한기 | 낙하물방지망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3798B1 (ko) * | 2023-11-23 | 2024-02-05 | 김현호 |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2941B1 (ko) | 2023-04-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8510B1 (ko) | 추락 방지 안전펜스 | |
KR102522941B1 (ko) | 안전을 겸비한 투신방지장치 | |
AU2012202022B2 (en) | Modular Pedestrian Tunnel | |
US20130236246A1 (en) | Barrier | |
KR101083318B1 (ko) | 자동난간 | |
KR102148421B1 (ko) |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는 도로 전광판(vms) 시스템 | |
KR101969840B1 (ko) | 차량 통행 통제 설비 및 장치 | |
EP3762546A1 (en) | Vehicle anti-intrusion device for a traffic lane and vehicle anti-intrusion barrier formed by means of several of these devices | |
CA2464641A1 (en) | Temporary barrier | |
DK3130706T3 (en) | Barriers to crowd control. | |
KR20200136734A (ko) |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 |
US20040079930A1 (en) | Extending barrier on rollers with manual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pivoting elements | |
KR200422824Y1 (ko) |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 |
KR102298570B1 (ko) | 펜스와 지주의 순차적 충격흡수가 가능한 탄성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867433B1 (ko) | 지면고정식 설치물의 탈부착장치 | |
KR200439328Y1 (ko) | 내장 입(入)자형 접이 발판사다리 | |
KR100709108B1 (ko) | 건축단지의 무단횡단 방지시설 | |
CA2250302C (en) | Ladder safety device | |
CN212671363U (zh) | 一种具有防护功能的人群安全隔离装置 | |
GB2192218A (en) | Collapsible barrier assembly | |
KR102710969B1 (ko) | 좌석 가변형 볼라드 | |
KR200381752Y1 (ko) |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 |
KR102121656B1 (ko) |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 |
KR102633798B1 (ko) | 교량용 낙하방지 케이지 | |
KR101251954B1 (ko) | 상하 이동식 볼라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