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734A -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 Google Patents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734A
KR20200136734A KR1020190062682A KR20190062682A KR20200136734A KR 20200136734 A KR20200136734 A KR 20200136734A KR 1020190062682 A KR1020190062682 A KR 1020190062682A KR 20190062682 A KR20190062682 A KR 20190062682A KR 20200136734 A KR20200136734 A KR 20200136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support member
unit
suppor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수
Original Assignee
한성정밀강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정밀강관(주) filed Critical 한성정밀강관(주)
Priority to KR102019006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6734A/ko
Publication of KR2020013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8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대기중 상태에서 노약자나 장애인이 앉아서 보행신호를 기다릴 수 있도록 된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는 도로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지주에 고정되는 지주고정유닛과, 상기 지주고정유닛을 통해 상기 지주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시트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시트유닛은 상기 받침부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앉는 안착면이 상방을 향하거나 상기 안착면이 지주와 인접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력이 없으면 상기 안착면이 지주와 인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CHAIR FOR PEDESTRIANS WITH TRAFFIC LIGHT POLE}
본 발명은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 대기중 상태에서 노약자나 장애인이 앉아서 보행신호를 기다릴 수 있도록 된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차량간 또는 보행자와의 충돌시 심각한 상해를 입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통행이 많고 충돌 위험이 높은 도로에는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교통 신호등은 통상적으로 차량용, 보행자용 또는 가변 차선용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교통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하여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 등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신호등은 지상에 세워지는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며 적색, 황색, 녹색을 표시하는 신호기로 구성된다.
신호등은 차량과 보행자의 적절한 통행을 위하여 일정 시간을 주기로 하여 점소등되며, 따라서,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하여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젊은 사람은 횡단을 대기하는데 어려움이 없겠지만, 노약자나 신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경우 짧은 시간이지만 대기하는 동안 힘이 들기 때문에 앉아서 기다릴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맞춰 지주에 의자가 설치된 선행기술이 있으며,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102908호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의자부재가 지주에 설치된 것으로, 노약자가 상기 의자부재에 앉아서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상기 의자부재의 단부의 지지기반이 약하기 때문에 상기 의자부재에 앉아 있을 때 착석한 노약자의 체중을 견디지 못하여 의자부재가 부러질 수 있다. 그리고 의자부재가 고정식이기 때문에 다수의 노약자가 앉을 경우 옆에 앉은 사람과 부딪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경우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의자가 지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있어 보행자의 보행에 방해가 되거나 충돌로 인한 부상 발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받침부재를 지주에 밀착 가능한 형태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등록특허 제10-11720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받침부재를 지주쪽으로 회동시켜 지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조절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받침부재를 회동시켜 상태 변화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수행하지 않으면 지주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되어 고정식 받침대와 같은 위험이 있게 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102908호 :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한국 등록특허 제10-1172025호 :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보행자가 신호대기 중 앉아서 쉴 수 있도록 신호등의 지주에 설치되며, 비 사용시에는 자동으로 지주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는 도로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지주에 고정되는 지주고정유닛과, 상기 지주고정유닛을 통해 상기 지주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시트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시트유닛은 상기 받침부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앉는 안착면이 상방을 향하거나 상기 안착면이 지주와 인접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력이 없으면 상기 안착면이 지주와 인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시트유닛은 상기 지주고정유닛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상기 회동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받침부재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펼침상태일 때,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받침부재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펼침상태일 때 상기 지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착영역을 제공하는 안착부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지주를 향해 연장되는 편심부를 포함하되, 상기 편심부가 상기 안착부보다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워 외력이 없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는 자동으로 상기 편심부가 하방을 향할 수 있도록 회동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며, 외력이 없어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편심부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동할 때, 상기 편심부의 하면과 충돌하여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호 결합되며 상기 지주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각각 상기 지주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단부에 방사상의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가 상기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플랜지부를 모두 관통하는 결합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앉는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열선이 형성되어 있는 히팅부와,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신호등의 신호가 보행신호로 바뀌었을 때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알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등의 신호 상태에 따라 상기 진동알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야간에 상기 받침부재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발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받침부재로부터 일어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받침부재를 상방으로 승강 구동하는 기립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고,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유닛의 회동스토퍼는 상기 지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립가이드유닛은 상기 승강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지지부를 상방으로 승강 구동하는 메인액추에이터와, 상기 승강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스토퍼를 상기 지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전진시키거나 상기 지주를 향하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보조액추에이터와, 상기 받침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를 측정하는 하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립가이드유닛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메인액추에이터와 보조액추에이터의 구동이 제어되되,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의 제어신호가 보행 가능 신호이고, 상기 하중센서에서 측정되는 하중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상기 승강지지부가 상승하도록 메인액추에이터를 구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스토퍼가 지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상기 보조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는 비 사용시에는 받침이 지주를 향해 회동되어 지주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영역이 최소화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중 충돌 발생등의 위험이 방지되며,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는 의자에 앉은 보행자가 신호를 놓치지 않도록 도울 수 있으며, 동절기나 야간에도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부가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의 측단면도,
도 5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의 구성을 표시한 블럭도,
도 7 및 도 8은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의 제3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의 제1 실시예가 사시도와 분리사시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는 지주(1)에 설치되는 지주고정유닛(100)과, 지주고정유닛(100)에 연결되는 시트유닛(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는 도로시설물 특히 신호대기중인 노약자가 앉을 수 있도록 신호등이 설치되는 신호등 지주(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신호등의 지주(1)에 상기 지주고정유닛(10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신호등의 지주(1)에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 외에도 신호 대기중인 노약자가 앉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면 가로등 지주(1)나, 기타 지주(1) 형태의 다양한 도로시설물에 적용될 수 있다.
지주고정유닛(100)은 지주(1)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 및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를 상호 연결하여 결합하는 결합볼트(140) 및 너트(150)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는 지주(1)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지주(1)가 원통형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도 지주(1)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도록 내주면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의 양 단에는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호 맞닿을 수 있는 플랜지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호 맞닿은 플랜지부(130)를 관통하도록 상기 결합볼트(140)가 체결되어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를 지주(1)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 및 고정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는 지주(1)와 접촉하는 내주면에 지주(1)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의 접촉부재가 내주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로부터 지주(1)를 향해 소정길이 돌출되어 지주(1)에 소정 깊이 삽입될 수 있는 별도의 삽입돌기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시트유닛(200)은 지주고정유닛(100)에 형성되며 노약자가 신호 대기 중 앉아서 쉴 수 있는 안착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시트유닛(200)은 제1 고정부재(110)로부터 연장된 두 개의 지지부재(210)와, 지지부재(210)에 회동축(2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230)와, 지지부재(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동스토퍼(2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210)는 두 개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제1 고정부재(110)에 설치되는데, 지지부재(210) 사이의 이격거리는 후술하는 받침부재(230)의 폭 길이에 대응한다.
상기 받침부재(230)는 지지부재(210)의 사이에 회동축(22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받침부재(230)가 노약자가 앉을 수 있도록 펼침상태일 때,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지주(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노약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을 형성하는 안착부(231)와, 상기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지주(1)를 향해 연장되는 측의 편심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재(230)는 회동축(2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안착부(231)의 단부가 지주(1)와 인접하게 되어 받침부재(230) 전체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의 접힘상태가 될 수도 있고, 노약자가 앉을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펼침상태가 될 수도 있다.
안착부(231)에는 다수의 통공(232)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눈이나 비가 내린 후에 앉착부의 상면에 잔류하는 수분이 신혹하게 제거될 수 있다. 아울러 안착부(231)의 하부에는 노약자가 앉으면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심부(233)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받참부재가 자동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상태가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편심부(233)는 상술한 것처럼 회동축(220)으로부터 지주(1)를 향해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받침부재(230)가 회동축(220)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지주(1)에 간섭되지 않도록 편심부(233)의 단부는 지주(1)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축(220)을 기준으로 회동축(220)과 안착부(231)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회동축(220)과 편심부(233)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되지만 편심부(233)가 상기 안착부(231)보다 더 무게가 무겁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편심부(233)는 안착부(231)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거나 하중 증가를 위한 별도의 웨이트부재를 더 장착할 수 있다.
편심부(233)가 안착부(231)보다 상대적으로 더 무겁기 때문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편심부(233)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받침부재(230)는 자동으로 회동하여 접힘상태가 된다. 따라서 노약자는 신호 대기 상태일 때 접힘상태의 받침부재(230)를 회동시켜 펼침상태가 되게한 후 안착부(231) 상에 앉아 신호가 바뀌는 것을 기다린다.
이후 신호가 바뀌어 일어나게 되면 받침부재(230)에 작용하던 외력이 사라지게 되며 편심부(233)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받침부재(230)가 회동하면서 자동으로 접힘상태가 되도록 복귀하게 된다.
상기 회동스토퍼(240)는 받침부재(230)가 펼침상태가 되도록 회동할 때, 받침부재(2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침부재(230)의 회동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동스토퍼(240)는 지지부재(210)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장하도록 설치되며, 펼침상태가 되도록 받침부재(230)가 회동하면 편심부(233)의 상면이 회동스토퍼(240)의 하면에 접촉하여 받침부재(230)가 더 회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회동스토퍼(240)는 지지부재(210)에 용접과 같은 결합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나, 회동스토퍼(240)와 지지부재(2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주(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지지부재(210)의 단부에는 지지부재(21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는 걸림판(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판(211)에는 완충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250)는 편심부(233)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230)가 자동으로 접힘상태가 되도록 회동할 때, 상기 편심부(233)의 하면이 걸림판(211)과 충돌하는 충돌위치에 마련되는 것이며, 편심부(233)가 부딪힐 때, 편심부(233) 또는 걸림판(211)에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돌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발생을 차단한다. 상기 완충부(250)는 고무재나 탄력 변형이 가능한 합성수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는 노약자가 신호 대기 중에 앉아서 신호 변경을 기다릴 수 있는 좌석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없을 때에는 자동으로 접힘상태가 되도록 회동함으로써 비사용 중 안전사고의 발생이나 심미성 저하의 문제 발생을 최소화한다.
도 5 및 도 6에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는 받침부재(230)에 설치되는 히팅부(310)와 진동알람부(320) 및 발광부(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히팅부(310)는 받침부재(230)에 형성되며, 동절기와 같이 외부 온도가 낮을 때,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안착부(231)에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히팅부(310)는 안착부(231) 상에 설치되는 열선이며, 신호등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받침부재(230)에는 받침부재(230)가 펼침상태가 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센서(341)에 의해 히팅부(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히팅부(310)는 노약자가 받침부재(230)를 펼쳐 앉을 때 발열하고, 비사용시에는 전원이 차단된다. 제어부(340)는 또한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42)로부터 온도정보를 전달받으며, 기준 온도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히팅부(310)를 구동한다.
아울러 진동알람부(320)도 구비되는데, 상기 진동알람부(320)는 신호가 바뀐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바이브레이터이다. 진동알람부(320)는 받침부재(23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34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340)는 신호등의 제어신호 정보를 전달받아, 신호등이 보행자가 건널 수 있는 보행신호로 바뀌었을 때, 받침부재(23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340)는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알람부(32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나, 신호등의 발광색상을 감지하는 별도의 영상 또는 이미지센서를 통해 신호 변환 여부를 판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받침부재(230)에는 또한 발광부(3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재(230)의 측면이나 하면에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발광부(330)가 부착되며, 야간에 노약자가 본 발명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광부(330)도 제어부(3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제어부(340)는 특정 시간에 발광부(330)가 발광하도록 구동시킬 수도 있으나, 조도센서(343)를 통해 외부 조도가 낮을 때 발광부(330)를 구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히팅부(310)재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230)가 펼침상태이거나 접힘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를 통해 상기 받침부재(230)가 접힘상태일 때에만 발광부(330)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는 사용자가 받침부재(230)에 앉았다가 일어날 때, 기립을 도울 수 있는 기립가이드유닛(400)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는 노약자가 주로 사용하는 것이며, 노약자의 경우 근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설 때 무릎이나 허리 통증 또는 하체 근력의 부족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신호대기 중에 받침부재(230)에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사용자의 기립을 도울 수 있도록 기립가이드유닛(400)이 더 마련되어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지주고정유닛(100)은 상기 지주(1)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에 지지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지지부(1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승강지지부(160)는 제1 고정부재(110)와 제2 고정부재(120)에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로드(17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후술하는 메인액추에이터(410)에 연결되어 메인액추에이터(410)의 구동에 따라 승강 이동한다.
상기 받침부재(2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10)는 상기 승강지지부(16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3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지지부재(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회동스토퍼(240)는 지주(1)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기립가이드유닛(400)은 지주고정유닛(100)에 마련되는 승강지지부(160)를 승강 구동하는 메인액추에이터(410)와, 상기 회동스토퍼(240)를 진퇴구동하도록 승강지지부(160)에 설치되는 보조액추에이터(4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액추에이터(410)는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일수도 있고, 리니어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메인액추에이터(410)는 지주(1)에 고정되거나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진퇴구동을 하는 진퇴로드가 승강지지부(160)에 연결되어 메인액추에이터(410)의 구동에 따라 승강지지부(16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보조액추에이터(420)는 상술한 것처럼 승강지지부(160)에 설치되는데, 보조액추에이터(420) 역시 공압이나 유압실린더가 적용될 수도 있고, 리니어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보조액추에이터(420)는 인출로드가 상기 회동스토퍼(240)에 연결되어 있어서 보조액추에이터(420)에 의해 회동스토퍼(240)가 지주(1)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진퇴구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액추에이터(410)와 보조액추에이터(420)는 제어부(340)에 의해 구동되는데, 사용자가 일어날 때, 상기 메인액추에이터(410)가 승강지지부(160)를 상승시킨다. 승강지지부(160)의 상승에 따라 받침부재(230)가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지지부(160)가 상승하는 동안 보조액추에이터(420)도 회동스토퍼(240)를 전방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회동스토퍼(240)에 의해 받침부재(230)는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회동이 제한되는데, 도 8에서와 같이 회동스토퍼(240)가 전진하게 되면서 받침부재(230)는 안착부(231)가 하방으로 내려가고 편심부(233)가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직 사용자가 받침부재(230)에 앉아 있는 상태에서 안착부(231)에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 8에서와 같이 받침부재(230)는 안착부(231)가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하게 되며, 받침부재(230)가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받침부재(230)의 단부가 하방으로 내려감에 따라 받침부재(230)에 앉아있던 사용자의 기립이 더욱 용이한 자세가 된다.
사용자가 일어선 후에는 메인액추에이터(410)와 보조액추에이터(420)가 승강지지부(160)와 회동스토퍼(24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동하며, 외력이 사라짐에 따라 받침부재(230)는 편심부(233)가 하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회동하여 접힘 상태가 된다.
상기 메인액추에이터(410)와 보조액추에이터(420)의 구동은 신호등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부(340)가 자동으로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보행신호 변경 상태에서 받침부재(2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에서 사용자의 기립시도에 의해 받침부재(230)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가 감소하면 자동으로 메인액추에이터(410)와 보조액추에이터(420)가 구동하도록 구동이 제어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메인액추에이터(410)와 보조액추에이터(420)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버튼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눌렀을 때 기립가이드유닛(400)이 구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10)는 노약자가 신호등이 설치된 지점에서 보행신호를 기다리는 동안 앉아서 기다릴 수 있는 대기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사용시에는 자동으로 받침부재(230)가 접힘상태가 됨으로써 보행자와의 충돌이나 파손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편심부(233)와 안착부(231)의 무게차를 통해 받침부재(230)가 자동으로 회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부재(230)의 회전 구동이 무동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지주
10: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100: 지주고정유닛 110: 제1 고정부재
120: 제2 고정부재 130: 플랜지부
140: 결합볼트 150: 너트
160: 승강지지부 170: 가이드로드
200: 시트유닛 210: 지지부재
211: 걸림판 220: 회동축
230: 받침부재 231: 안착부
232: 통공 233: 편심부
240: 회동스토퍼 250: 완충부
310: 히팅부 320: 진동알람부
330: 발광부 340: 제어부
341: 감지센서 342: 온도센서
343: 조도센서 400: 기립가이드유닛
410: 메인액추에이터 420: 보조액추에이터

Claims (10)

  1. 도로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지주에 고정되는 지주고정유닛과;
    상기 지주고정유닛을 통해 상기 지주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시트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시트유닛은 상기 받침부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사용자가 앉는 안착면이 상방을 향하거나 상기 안착면이 지주와 인접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외력이 없으면 상기 안착면이 지주와 인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유닛은 상기 지주고정유닛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며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두 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상기 회동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받침부재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펼침상태일 때,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받침부재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펼침상태일 때 상기 지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착영역을 제공하는 안착부와,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지주를 향해 연장되는 편심부를 포함하되, 상기 편심부가 상기 안착부보다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워 외력이 없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는 자동으로 상기 편심부가 하방을 향할 수 있도록 회동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에 마련되며, 외력이 없어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편심부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동할 때, 상기 편심부의 하면과 충돌하여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호 결합되며 상기 지주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각각 상기 지주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단부에 방사상의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가 상기 지주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의 플랜지부를 모두 관통하는 결합볼트 및 너트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5.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앉는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며 내부에 열선이 형성되어 있는 히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신호등의 신호가 보행신호로 바뀌었을 때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상기 받침부재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알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신호등의 신호 상태에 따라 상기 진동알람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야간에 상기 받침부재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발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9. 제 8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받침부재로부터 일어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받침부재를 상방으로 승강 구동하는 기립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유닛은 상기 지지부재가 연결되고,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유닛의 회동스토퍼는 상기 지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립가이드유닛은 상기 승강지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지지부를 상방으로 승강 구동하는 메인액추에이터와,
    상기 승강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스토퍼를 상기 지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전진시키거나 상기 지주를 향하는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보조액추에이터와,
    상기 받침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를 측정하는 하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립가이드유닛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메인액추에이터와 보조액추에이터의 구동이 제어되되,
    상기 제어부는 신호등의 제어신호가 보행 가능 신호이고, 상기 하중센서에서 측정되는 하중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우 상기 승강지지부가 상승하도록 메인액추에이터를 구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동스토퍼가 지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상기 보조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KR1020190062682A 2019-05-28 2019-05-28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KR20200136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82A KR20200136734A (ko) 2019-05-28 2019-05-28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82A KR20200136734A (ko) 2019-05-28 2019-05-28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34A true KR20200136734A (ko) 2020-12-08

Family

ID=7377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82A KR20200136734A (ko) 2019-05-28 2019-05-28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6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09A (ko) * 2021-04-30 2022-11-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 장착형 노약자용 의자기구
KR102572596B1 (ko) * 2023-05-09 2023-08-31 권기영 회동제어부를 구비한 중력식 절첩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908A (ko) 2007-05-22 2008-11-26 황보의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KR101172025B1 (ko) 2011-11-17 2012-08-07 (주)준코퍼레이션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2908A (ko) 2007-05-22 2008-11-26 황보의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KR101172025B1 (ko) 2011-11-17 2012-08-07 (주)준코퍼레이션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09A (ko) * 2021-04-30 2022-11-0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벽면 장착형 노약자용 의자기구
KR102572596B1 (ko) * 2023-05-09 2023-08-31 권기영 회동제어부를 구비한 중력식 절첩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6734A (ko)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EP2141676A1 (en) Pedestrian crossing with presence detector and warning
CN112252229B (zh) 障碍物系统
JPH04216706A (ja) 交通用障壁
AU2009248422A1 (en) Safety or alert device
KR102102271B1 (ko) 보행자 보호용 스크린 도어
CN109706805A (zh) 一种保护和阻止闯红灯的智能人行道装置及使用方法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US6065900A (en) Collapsible bollards
KR100997805B1 (ko) 차단구역 확대용 차단봉이 구비된 매설형 바리케이드
KR101172025B1 (ko)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KR200255636Y1 (ko)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안전 보호장치
CN210606098U (zh) 一种具有防倾倒防护结构的交通信号灯
KR102250927B1 (ko) 볼라드에 설치되는 대기용 의자
EP1327718A1 (en) Road light signs
JP2004250997A (ja) 視線誘導標識柱
KR20110085169A (ko)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led 볼라드
CN116434521B (zh) 一种用于交通安全的行人指引装置
CN216712838U (zh) 一种人行道行人红灯阻拦装置
KR20160091558A (ko) 차선 규제봉 및 그 활용방법
JP2001123422A (ja) 防護柵
CN211498580U (zh) 一种道路抢修用预警装置
CN211900009U (zh) 一种市政工程用组合型可调节式防护栏
KR102121656B1 (ko) 횡단보도 안전 보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