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025B1 -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 Google Patents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025B1
KR101172025B1 KR1020110120310A KR20110120310A KR101172025B1 KR 101172025 B1 KR101172025 B1 KR 101172025B1 KR 1020110120310 A KR1020110120310 A KR 1020110120310A KR 20110120310 A KR20110120310 A KR 20110120310A KR 101172025 B1 KR101172025 B1 KR 10117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ost
panel
inner support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주)준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준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준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1012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의자의 지지기반을 확충하여 의자가 파손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보행 신호등을 대기할 수 있으며, 의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함과 아울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는, 지상에 세워지며 상부에 신호기가 장착되는 포스트 본체(10)와; 통 구조이며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저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내부 지지패널(30)과; 통 구조이며 상기 내부 지지패널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외부 보호패널(40)과;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지지패널과 외부 보호패널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 또는 상기 내부 지지패널 또는 상기 외부 보호패널에 지지되는 의자(20)와; 상기 의자의 단부에 하향 절곡 성형된 가이드부(22)를 감싸면서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의자를 상기 포스트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밴드(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TRAFFIC LIGHTS POST HAVING CHAIR}
본 발명은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지지기반을 확충하여 의자가 파손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보행 신호등을 대기할 수 있으며, 의자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함과 아울러 미관을 해치지 않는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주변에는 도로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위험사항을 운전자와 보행자에게 알림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도록 함과 동시에 도로구조의 보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도로의 이용에 필요한 각종사항을 알려주는 도로표지와, 운전자와 보행자의 편의를 위해 도로에 관련한 각종 정보, 예컨대 도로의 진행방향이나 거리 또는 장소 등에 대한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안내표지,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도로 시설물(표지판, 신호등)은 포스트를 통해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된다.
신호등은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하도록 한 신호기로서, 지상에 세워지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에 설치되며 적색, 황색, 녹색을 표시하는 신호기로 구성된다.
신호등은 차량과 보행자의 적절한 통행을 위하여 일정 시간을 주기로 하여 점소등되며, 따라서, 보행자는 횡단보도를 건너기 위하여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젊은 사람은 횡단을 대기하는데 어려움이 없겠지만, 노약자는 짧은 시간이지만 대기하는 동안 힘이 들기 때문에 앉아서 기다릴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맞춰 포스트에 의자가 설치된 선행기술이 있으며,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102901호가 있다.
종래 기술은 의자부재가 지주에 설치된 것으로, 노약자가 상기 의자부재에 앉아서 보행자 신호등의 녹색등이 점등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상기 의자부재의 단부의 지지기반이 약하기 때문에 상기 의자부재에 앉아 있을 때 착석한 노약자의 체중을 견디지 못하여 의자부재가 부러질 수 있다.
그리고, 의자부재가 고정식이기 때문에 다수의 노약자가 앉을 경우 옆에 앉은 사람과 부딪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자부재에 앉아서 대기할 때 등을 편하게 받칠 수 있도록 등받이가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등받이가 지주에 고정되어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또한, 의자부재가 절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의자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의자부재를 지주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나, 의자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간에 의자부재를 확인하기 어려워 보행자가 상기 의자부재에 부딪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10290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자의 지지기반을 확충하여 의자가 파손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편안한 자세로 앉아서 대기할 수 있는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자의 위치를 편안한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키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자에 앉아 대기할 때 편안한 자세로 등을 받칠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미관을 훼손하지 않으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지 않도록 수납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간에 의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는, 지상에 세워지며 상부에 신호기가 장착되는 포스트 본체와; 통 구조이며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저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내부 지지패널과; 통 구조이며 상기 내부 지지패널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외부 보호패널과;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지지패널과 외부 보호패널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 또는 상기 내부 지지패널 또는 상기 외부 보호패널에 지지되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단부에 하향 절곡 성형된 가이드부를 감싸면서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의자를 상기 포스트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에 의하면, 의자는 일측이 고정밴드를 통해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에 고정되면서 타측이 내부 지지패널과 외부 보호패널의 지지를 받아 고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설치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노약자가 편안한 자세로 신호등을 대기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다. 특히, 내부 지지패널은 포스트 본체와 외부 보호패널 모두에 지지됨으로써 다른 보강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의자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의자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의자를 편안한 자세로 이동시켜 옆사람과 부딪치지 않도록 앉을 수 있으므로 옆사람으로 인한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의자가 수납부에 수납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의자의 미사용시에는 의자가 포스트 본체 둘레부의 수납부에 수납되어 미관을 해치지 않고 보행자의 보행을 간섭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에 적용된 의자가 이동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에 적용된 의자의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에 적용된 의자가 수납식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는, 지상에 세워지며 상부에 신호기가 장착되는 포스트 본체(10)와; 포스트 본체(10)의 둘레부에 설치되는 의자(20)로 구성된다.
포스트 본체(10)는 공지의 보행자 신호등이나 신호등 또는 교통 표지판의 포스트이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일 수 있고, 물론,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의자(20)는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는 판상이며 포스트 본체(10)의 둘레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다. 포스트 본체(10)는 도로변의 보도에 설치될 것이며, 따라서, 노약자가 도로측을 향해 앉으면 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의자(20)는 보도측을 향해서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에서 구체적인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의자(20)의 설치를 위하여 내부 지지패널(30)과 외부 보호패널(40) 및 고정밴드(50)가 적용된다.
내부 지지패널(30)은 통 구조이며 포스트 본체(10)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이 간격은 의자(20)의 설치, 이동을 위한 공간으로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을 두고 배치되면서 저부가 지면에 지지된다.
내부 지지패널(30)은 도면에서처럼 6각형뿐만 아니라 원통형, 4각형도 가능하며, 포스트 본체(10)와 외부 보호패널(40)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설치되면서 의자(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외부 보호패널(40)에 면접하여 고정되는 보호패널측 고정부(31) 및 보호패널측 고정부(31)로부터 안쪽으로 절곡되어 포스트 본체(10)의 둘레부에 고정되는 포스트측 고정부(32)로 구성된다. 보호패널측 고정부(31)는 체결구(볼트와 너트일 수 있음)(33)를 통해 외부 보호패널(40)에 고정되고, 포스트측 고정부(32)는 고정밴드(34)를 통해 포스트 본체(10)의 둘레부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내부 지지패널(30)은 포스트 본체(10)와 외부 보호패널(40)에 함께 지지되어 지지기반이 증대됨에 따라 의자(2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내부 지지패널(30)은 포스트 본체(1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신규 포스트뿐만 아니라 기존 포스트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지지패널(30)은 합성수지, 스틸, 알루미늄,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보호패널(40)은 통(원형, 각형 등) 구조이며 내부 지지패널(30)의 둘레부에 배치되며 내부 지지패널(3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외부 보호패널(40)도 내부 지지패널(30)과 마찬가지로 신규는 물론 기존 포스트에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다수의 높이조정볼트(41)를 통해 지면에 대해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높이조정볼트(41)는 외부 보호패널(40)의 하단 둘레부에 외향지게 형성된 높이조정브래킷(42)에 나사 체결되면서 저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외부 보호패널(40)의 높이를 조정한다.
외부 보호패널(40)은 야간과 우천시와 같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조건에서도 쉽게 확인될 수 있도록 조명등(43)이 설치된다. 조명등(43)은 LED 등이 사용 가능하며, 또한, 태양광 에너지를 전원으로 하여 점등될 수 있다.
의자(20)는 판상의 좌판부(21) 및 좌판부(21)의 일측 단부(설치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포스트 본체(10)측)에 하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22)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2)는 고정밴드(50)를 통해 포스트 본체(10)의 둘레부에 고정된다. 고정밴드(50)에 의한 고정력 증대를 위하고 고정밴드(50)가 이탈되지 않도록 홈(22a)(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밴드(50)는 홈(22a)에 삽입되면서 마주하는 단부가 체결되어 가이드부(22)를 포스트 본체(10)의 외주면에 고정한다.
의자(20)의 고정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의자(20)를 외부 보호패널(40)에 고정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고정앵글(44)의 일측을 외부 보호패널(40)의 외주면에 용접이나 체결구(볼트와 너트)로 고정하고, 고정앵글(44)의 상부를 의자(20)의 저면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구(45)(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의자(20)는 등받이(23)가 갖추어질 수 있다. 등받이(23)는 판상이며 일측이 힌지를 통해 좌판부(21)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시에만 포스트 본체(10)측으로 펼쳐져 사용된다.
고정밴드(50)는 의자(20)를 고정하는 기능외에 의자(20)가 포스트 본체(10)의 둘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밴드(50)는 레일(51)이 구비된다. 의자(20)는 가이드부(22)가 레일(5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레일(5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사용된다. 단, 레일(5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의자(20) 또는 레일(51)에는 걸림턱 등이 구성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도로서, 포스트 본체(10)와 내부 지지패널(30) 사이의 간격을 수납부(35)로 하고, 의자(20)의 미사용시에는 의자(20)를 수납부(35)에 수납하고 의자(20)의 사용시에는 의자(20)를 수납부(35)에서 인출한 후 사용 위치로 회전시킨다.
의자(20)가 수납부(35)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의자(20)와 내부 지지패널(30) 간에는 이탈방지구조(예컨대 이탈방지턱(36))가 적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전술한 레일(51)을 갖는 고정밴드(50)를 통해서도 가능하다.
10 : 포스트 본체, 20 : 의자
21 : 좌판부, 22 : 가이드부
23 : 등받이, 30 : 내부 지지패널
40 : 외부 보호패널, 50 : 고정밴드

Claims (7)

  1. 지상에 세워지며 상부에 신호기가 장착되는 포스트 본체(10)와;
    통 구조이며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저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내부 지지패널(30)과;
    통 구조이며 상기 내부 지지패널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외부 보호패널(40)과;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지지패널과 외부 보호패널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와 상기 내부 지지패널과 상기 외부 보호패널에 지지되는 의자(20)와;
    상기 의자의 단부에 하향 절곡 성형된 가이드부(22)를 감싸면서 마주하는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의자를 상기 포스트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밴드(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2. 지상에 세워지며 상부에 신호기가 장착되는 포스트 본체(10)와;
    통 구조이며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저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내부 지지패널(30)과;
    통 구조이며 상기 내부 지지패널의 둘레부에 배치되며 체결구를 통해 상기 내부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외부 보호패널(40)과;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 지지패널과 외부 보호패널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와 상기 내부 지지패널과 상기 외부 보호패널에 지지되는 의자(20)를 포함하며,
    상기 의자는 상기 내부 지지패널과 상기 포스트 본체 사이 간격의 수납부(35)에 수납되며 필요시 인출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지지패널은 상기 외부 보호패널에 면접하여 체결구(33)로 고정되는 보호패널측 고정부(31) 및 상기 보호패널측 고정부로부터 안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에 고정되는 포스트측 고정부(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레일(51)이 구비되고, 상기 의자의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밴드의 레일에 상기 포스트 본체의 둘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판상의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 힌지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장착되는 등받이(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호패널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등(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보호패널은 높이조정볼트(41)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높이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KR1020110120310A 2011-11-17 2011-11-17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KR10117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310A KR101172025B1 (ko) 2011-11-17 2011-11-17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310A KR101172025B1 (ko) 2011-11-17 2011-11-17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025B1 true KR101172025B1 (ko) 2012-08-07

Family

ID=4688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310A KR101172025B1 (ko) 2011-11-17 2011-11-17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1030A (zh) * 2015-06-24 2015-11-11 中冶天工上海十三冶建设有限公司 一种拼装式仓体的安装方法
KR102056174B1 (ko) * 2019-02-01 2019-12-16 홍정규 높이가 조절되는 꽃모양 의자가 설치된 볼라드
KR20200136734A (ko) 2019-05-28 2020-12-08 한성정밀강관(주)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672A (ja) 2001-01-16 2002-07-30 Matsukinrii:Kk 壁収納式折り畳み椅子及び折り畳み椅子に使用するヒンジユニット
KR200415944Y1 (ko) 2006-02-03 2006-05-10 배한기 삼각대 겸용 휴대의자
KR101046412B1 (ko) 2010-09-02 2011-07-04 조규택 의자가 구비된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672A (ja) 2001-01-16 2002-07-30 Matsukinrii:Kk 壁収納式折り畳み椅子及び折り畳み椅子に使用するヒンジユニット
KR200415944Y1 (ko) 2006-02-03 2006-05-10 배한기 삼각대 겸용 휴대의자
KR101046412B1 (ko) 2010-09-02 2011-07-04 조규택 의자가 구비된 가로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41030A (zh) * 2015-06-24 2015-11-11 中冶天工上海十三冶建设有限公司 一种拼装式仓体的安装方法
KR102056174B1 (ko) * 2019-02-01 2019-12-16 홍정규 높이가 조절되는 꽃모양 의자가 설치된 볼라드
KR20200136734A (ko) 2019-05-28 2020-12-08 한성정밀강관(주)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14B1 (ko) 무단횡단금지용 차선분리대
KR101172025B1 (ko) 의자가 갖추어진 도로 시설물용 포스트
KR101031600B1 (ko)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KR101009538B1 (ko) 충격흡수 안전휀스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101850872B1 (ko) 트랜스포머 볼라드
US20120305871A1 (en) Construction site fence panel foot boot
KR101166683B1 (ko) 야간 통행의 안전성과 친환경이 고려된 난간
KR20200136734A (ko)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GB2125863A (en) Supporting road signs
GB2541372A (en) Display posts
KR20140145292A (ko) 도로의 시선유도봉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102189664B1 (ko) 엘이디가 탑재된 중앙 분리대
KR200390571Y1 (ko) 안전 펜스
KR101586298B1 (ko) 차선 규제봉
CN209011040U (zh) 一种市政绿化隔离防护栏
CN212714704U (zh) 一种人行道隔离带
KR102281984B1 (ko) 기울기 각도 조절형 안전 볼라드
KR20130002098U (ko) 전주용 슬라이딩 사다리
KR102645791B1 (ko) 난간대
KR102186454B1 (ko) 가드 펜스
KR20110085169A (ko) 보행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led 볼라드
CN211900009U (zh) 一种市政工程用组合型可调节式防护栏
KR101808030B1 (ko) 공사현장용 안전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