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600B1 -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600B1
KR101031600B1 KR1020090029417A KR20090029417A KR101031600B1 KR 101031600 B1 KR101031600 B1 KR 101031600B1 KR 1020090029417 A KR1020090029417 A KR 1020090029417A KR 20090029417 A KR20090029417 A KR 20090029417A KR 101031600 B1 KR101031600 B1 KR 101031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plate
base plate
slip plat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047A (ko
Inventor
성정곤
윤덕근
고만기
김기동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600B1/ko
Priority to CA2665742A priority patent/CA2665742C/en
Priority to US12/464,466 priority patent/US7955023B2/en
Publication of KR2010011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3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pecially adapted for breaking, disengaging, collapsing or permanently deforming when deflected or displaced, e.g. by vehicle impact
    • E01F9/64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pecially adapted for breaking, disengaging, collapsing or permanently deforming when deflected or displaced, e.g. by vehicle impact by connection of the "slide-sho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에 차량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슬립(slip)이 발생하여 지주본체(100)의 파손이 방지되는 도로용 지주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떠 있도록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부면에 슬립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립플레이트(300);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상부면 중앙부에서 상향돌출되어 지주본체(100)의 하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몸체(320);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 또는 "C"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테두리를 함께 수용하는 다수 개의 클립(400); 및, 상기 클립(400) 각각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고정볼트(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주본체, 슬립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 클립, 고정볼트

Description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Slip Base Structure with Clip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슬립(slip)이 발생하여 지주본체(100)의 파손이 방지되는 도로용 지주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본체(100)가 일체로 결합되는 슬립플레이트(300)와 슬립플레이트(300)의 하부에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200)를 클립(400)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차량 충돌시의 충격으로 클립(400)으로 조립되어 있던 슬립플레이트(300)가 베이스플레이트(200)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됨으로써, 차량과 지주의 충격량을 최소화 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고 지주본체(100)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차량의 안전을 위해서는 도로변에 가이드레일을 제외한 기타 구조물들은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표지판, 조명시설, 신호등, 비상전화, 전신주 등 기능상 혹은 지형 여건상 도로변에 꼭 필요한 시설들이 있는데, 도로변의 이러한 고정 시설물들은 졸음운전, 음주운전, 운전미숙 및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거나 눈 비 얼음 등으로 포장면이 미끄러울 때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운전자가 컨트롤을 못하는 상황 등으로 차량이 제대로 운행되지 못할 경우 차량충돌에 따른 교통사고의 요인이 되기 쉽다. 따라서, 도로 설계시에는 주어진 조건에서 도로변에 설치되는 고정 시설물에 대한 안전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도로용 지주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의 소형 지주의 경우 지주가 휘어지면서 차량쪽으로 쓰러지기 때문에 차량의 전면 유리 파괴 및 이로 기인한 2차피해(차량 탑승자의 인명피해)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지주의 강성이 큰 경우에는 지주가 차량쪽으로 휘어지면서 쓰러지기 보다는 차량을 파고들면서 차량에 심각한 파손을 유발하고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주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반에 고정된 상태의 지주가 분리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 전방으로 이탈하도록 제작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평상시 풍하중에 대한 대한 구조적 안전성은 확보하면서 차량충돌이 발생하여 충격 하중이 어느 수준 이상으로 지주에 작용할 경우 지주의 하단부가 지반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하면서 충격 하중의 상당 부분을 흡수하여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차량의 파손과 지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지지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도로용 지주의 분리 이탈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주본체(100)가 일체로 결합되는 슬립플레이트(300)와 지반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둘레에 다수 개의 절개홈부(11)를 형성하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슬립플레이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를 조립하 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방식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력만으로 슬립플레이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를 결합하게 되는데, 볼트와 너트를 제대로 체결하더라도 도로용 지주가 장시간 풍압력에 노출될 경우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볼트와 너트를 너무 과도하게 체결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슬립플레이트(300)의 분리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일정 크기 이상의 외부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분리 이탈이 발생될 수 있는 새로운 지지구조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주본체(100)와 하나로 결합되는 슬립플레이트(300)와 지반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결합 상태를 풍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 하중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슬립플레이트(300)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지주본체(100)가 직립할 수 있도록 슬립플레이트(30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지지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량 및 차량 운전자의 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지주본체(100)의 손상도 최소화하여 지주본체(100)의 재활용 비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지지구조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차량 충돌시 슬립(slip)이 발생하여 지주본체(100)의 파손이 방지되는 도로용 지주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떠 있도록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부면에 슬립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립플레이트(300);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상부면 중앙부에서 상향돌출되어 지주 본체(100)의 하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몸체(320);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테두리를 함께 수용하는 다수 개의 클립(400); 및, 상기 클립(400) 각각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상부면을 압착지지하는 고정볼트(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주본체(100)와 하나로 결합되는 슬립플레이트(300)와 지반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결합 상태를 풍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 하중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슬립플레이트(300)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볼트와 너트만을 이용하여 슬립플레이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를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표지판과 지주에 작용하는 풍하중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클립(400)을 체결하여 평상시에는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차량 충돌시에는 충격 하중을 적절히 흡수하면서 분리되어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고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지주본체(100)가 직립할 수 있도록 슬립플레이트(300)의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슬립플레이트(300)의 세 귀퉁이 또는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테 이퍼롤러(600)의 삽입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슬립플레이트(300)의 수평 기울기를 맞출 수 있다.
셋째,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량 및 차량 운전자의 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지주본체(100)의 손상도 최소화하여 지주본체(100)의 재활용 비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4 및 도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6 및 도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경우 하부롤러수용홈부(210)와 상부롤러수용홈부(310) 및, 그 사이에 수용되는 슬립롤러(500)나 테이퍼롤러(60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이고, 제2실시예의 경우 하부롤러수용홈부(210), 상부롤러수용홈부(310) 및 슬립롤러(500)가 구비된 경우이고, 제3실시예의 경우 하부롤러수용홈부(210), 상부롤러수용홈부(310) 및 슬립롤러(500)가 구비된 경우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실시예는 베이스플레이트(200), 슬립플레이트(300), 결합몸체(320), 클립(400), 및 고정볼트(410)로 구성된다.
베이스플레이트(200)는 지면에 떠 있도록 지반에 고정설치되고 슬립플레이 트(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플레이트(200)의 평면 형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과 원형과 같은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타원형, 마름모, 사다리꼴 그 밖의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슬립플레이트(300)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부면에 슬립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슬립플레이트(300)의 평면 형태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평면 형태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립플레이트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지주본체(100)의 하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몸체(320)가 상향돌출되어 있는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몸체(32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지주본체(100)의 하단부 내부에 결합몸체(320)가 삽입될 수도 있고, 반대로 결합몸체(32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지주본체(100)의 하단부가 결합몸체(32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지주본체(100)와 결합몸체(320)는 반드시 원형의 단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단면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주본체(100)는 튜브 형태일 수도 있으나 H형강과 같은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결합몸체(320)는 H형강을 삽입할 수 있는 사각형 튜브 형태가 바람직하다.
삽입결합된 지주본체(100)의 하단부와 결합몸체(3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본체(100)와 결합몸체(320)를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데, 고정 방법은 반드시 도2에 도시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주 본체(100)를 통과한 볼트가 결합몸체(320)에 구비된 암나사에 체결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고, 핀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클립(400)은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슬립플레이트(300)의 테두리를 함께 수용하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 또는 "C"자 형태를 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3개 이상이 사용되며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슬립플레이트(300)의 테두리를 따라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클립은 풍하중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크기와 재료 강도가 확보 되어야 한다.
고정볼트(410)는 클립(400)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슬립플레이트(300)의 상부면을 눌러주어 풍하중에 의하여 슬립플레이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클립(400)을 베이스플레이트(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슬립플레이트(300)의 테두리가 클립(40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410)를 체결하여 조여주면 고정볼트(410)와 클립의 하단부 사이에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슬립플레이트(300)가 압착되어 슬립플레이트(300)가 베이스플레이트(200) 상부에 고정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410)를 조여줌에 따라 클립(40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미세하게 벌어지면서 텐션(탄성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텐션은 고정볼트(410)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슬립플레이트(300)가 적절한 힘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평상시 지주본체(100)와 하나로 결합되는 슬립플레이트(300)와 지반 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유사시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 하중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슬립플레이트(300)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어 차량의 손상과 지주본체(100)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고정볼트(410)는 일반적인 육각형의 머리부를 가지는 헥스볼트가 될 수도 있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머리부 상부에 육각형 단면으로 함몰된 렌찌수용부(411)가 구비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각렌찌를 사용하여 고정볼트(410)를 체결할 수 있는데, 반드시 육각형 단면으로 함몰될 필요는 없으며, 사각형 이나 그 밖의 다각형 단면으로 함몰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형태의 렌찌를 사용하면 된다.
도4 및 도5의 경우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하여만 검토한다.
제2실시예의 경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부면에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하부롤러수용홈부(210)가 구비되고, 슬립플레이트(300)의 하부면에 하부롤러수용홈부(210)에 대응하도록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상부롤러수용홈부(310)가 구비된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슬립플레이트(300)가 결합되면 하부롤러수용홈부(210)와 상부롤러수용홈부(310)가 원통 형상의 빈 공간을 이루게 되는데, 이렇게 만들어지는 빈 공간에 원기둥 형상의 슬립롤러(5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클립(400)과 함께 슬립롤러(500)가 설치되면 도5에 도시된 단면 구조를 이루게 되어 평상시 슬립플레이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결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차량 충돌시에는 슬립플레이트(300)가 슬립롤러(500)를 타고 넘어가면서 원활한 분리 이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6 및 도7에는 제3실시예가 되시되어 있는데, 제2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만 검토한다.
제3실시예의 경우 제2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단지 슬립롤러(500) 대신에 테이퍼롤러(600)가 사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롤러수용홈부(310)와 하부롤러수용홈부(210)가 원통 형상의 빈 공간을 이루게 되고, 이렇게 형성된 빈 공간에 테이퍼핀 형태의 테이퍼롤러(600)가 설치된다.
테이퍼롤러(600)가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200) 상부에 거치되는 슬립플레이트(300)의 높이가 조절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슬립플레이트(300)의 수평 기울기를 맞추고 지주본체(100)가 직립되도록 똑바로 세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테이퍼롤러(600)가 상부롤러수용홈부(310)와 하부롤러수용홈부(210)가 형성하는 공간 내부로 깊이 진입할수록 슬립플레이트(300)의 높이가 높아지고(슬립플레이트(300)의 상부면과 베이스플레이트(200)의 하부면 사이의 거리가 멀어짐), 테이퍼롤러(600)가 외부로 노출될수록 슬립플레이트(300)의 높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플레이트(300)의 네 귀퉁이에 설치되는 테이퍼롤러(600)의 삽입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슬립플레이트(300)의 수평 기울기를 맞출 수 있고, 슬립플레이트(300)와 일체로 결합된 지주본체(100)의 수직 기울기를 맞추어 똑바로 세울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 공지 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 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종래의 슬립플레이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도2)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도4)의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도6)의 단면도이다.
도8은 클립(400)과 고정볼트(410)의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주본체
200:베이스플레이트
210:하부롤러수용홈부
300:슬립플레이트
310:상부롤러수용홈부
320:결합몸체
400:클립
410:고정볼트
411:렌찌수용부
500:슬립롤러
600:테이퍼롤러
11:절개홈부

Claims (4)

  1. 차량 충돌시 슬립(slip)이 발생하여 지주본체(100)의 파손이 방지되는 도로용 지주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떠 있도록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부면에 슬립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립플레이트(300);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상부면 중앙부에서 상향돌출되어 지주본체(100)의 하단부가 삽입결합되는 결합몸체(320);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 또는 "C"자 형태를 하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테두리를 함께 수용하는 다수 개의 클립(400); 및,
    상기 클립(400) 각각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상부면을 눌러주는 고정볼트(4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부면에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하부롤러수용홈부(2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하부면에 상기 하부롤러수용홈부(210)에 대응하도록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상부롤러수용홈부(3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롤러수용홈부(210)와 상기 상부롤러수용홈부(310)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설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슬립롤러(5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부면에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하부롤러수용홈부(2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하부면에 상기 하부롤러수용홈부(210)에 대응하도록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진 상부롤러수용홈부(31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00)와 상기 슬립플레이트(300)의 양측 단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롤러수용홈부(210)와 상기 상부롤러수용홈부(310)로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삽입설치되는 테이퍼핀(taper pin) 형상의 테이퍼롤러(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고정볼트(410)의 상단부에는 렌찌(wrench)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다각형 단면의 렌찌수용부(411);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 조.
KR1020090029417A 2009-04-06 2009-04-06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KR101031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17A KR101031600B1 (ko) 2009-04-06 2009-04-06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CA2665742A CA2665742C (en) 2009-04-06 2009-05-08 Slip base structure with clip device
US12/464,466 US7955023B2 (en) 2009-04-06 2009-05-12 Slip base structure with cli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417A KR101031600B1 (ko) 2009-04-06 2009-04-06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047A KR20100111047A (ko) 2010-10-14
KR101031600B1 true KR101031600B1 (ko) 2011-04-27

Family

ID=4282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417A KR101031600B1 (ko) 2009-04-06 2009-04-06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55023B2 (ko)
KR (1) KR101031600B1 (ko)
CA (1) CA266574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93860B1 (es) * 2007-10-01 2009-02-01 Hierros Y Aplanaciones, S.A. (Hiasa) Sistema de anclaje fusible directo para poste de soporte de una barrera de seguridad o pretil en un terreno rigido.
FR2954786B1 (fr) * 2009-12-29 2011-12-09 Renaud Rigomer Borne de type barriere
ES2404674B1 (es) * 2011-10-27 2014-08-08 Fulgencio PALAZÓN MARTÍNEZ Base desmontable para elementos verticales de mobiliario urbano
BR112014009696A2 (pt) * 2011-10-27 2019-07-30 Fulgencio Palazon Marinez base desmontável para elementos verticais de mobiliário urbano
CN102644248B (zh) * 2012-05-17 2014-06-18 北京交科公路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解体消能标志及其使用方法
WO2018006125A1 (en) * 2016-07-04 2018-01-11 Saferoads Pty Ltd Energy absorbing bollard assembly
KR102041529B1 (ko) * 2019-03-29 2019-11-06 (주)에스알디코리아 스마트 중앙분리대 비상회차시설
US11767649B1 (en) * 2020-01-17 2023-09-26 Flexstake, Inc. Flexible traffic control marker
US11459713B2 (en) * 2020-09-23 2022-10-04 Mark Evans Roadside delineato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1230A1 (de) * 1995-09-20 1997-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ndgerät, insbesondere beleuchtbares standgerät für flughäfen
KR200228238Y1 (ko) * 2000-12-16 2001-06-15 주식회사정도엔지니어링 도로 시설물용 충격흡수 기둥
WO2003021045A1 (en) 2001-09-06 2003-03-13 Ncc Norge As Column bas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2223A (en) * 1969-08-26 1971-03-23 Ralph L Vierregger Laterally-disengageable highway marker assembly
US4926592A (en) * 1989-02-10 1990-05-22 Unistrut International Corp. Breakaway sign post coupling
US5481835A (en) * 1989-05-12 1996-01-09 Adian Engineering Corporation Breakaway base and upper-separation joint
US4923319A (en) * 1989-06-22 1990-05-08 Dent Clifford M Breakaway connector
DE29516613U1 (de) * 1995-10-20 1995-12-14 Junker Wilhelm Fuß für eine als Leiteinrichtung für den Straßenverkehr dienende Bake
US5855443A (en) * 1997-05-16 1999-01-05 Board Of Regents Of University Of Nebraska Breakaway connection system for roadside use
US6422783B1 (en) * 2000-12-29 2002-07-23 Northwest Pipe Company Breakaway post slipbase
US6540196B1 (en) * 2002-02-06 2003-04-01 Western Highway Products, Inc. Break away support structure coupling
US7056056B2 (en) * 2004-07-30 2006-06-06 Wiegand Kenneth E Collision safety device having a breakaway shear coupl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1230A1 (de) * 1995-09-20 1997-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Standgerät, insbesondere beleuchtbares standgerät für flughäfen
KR200228238Y1 (ko) * 2000-12-16 2001-06-15 주식회사정도엔지니어링 도로 시설물용 충격흡수 기둥
WO2003021045A1 (en) 2001-09-06 2003-03-13 Ncc Norge As Column bas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55023B2 (en) 2011-06-07
CA2665742C (en) 2012-02-07
CA2665742A1 (en) 2010-10-06
US20100254760A1 (en) 2010-10-07
KR20100111047A (ko)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600B1 (ko) 클립장치를 이용한 슬립베이스 지지구조
KR101036416B1 (ko) 가드레일의 지지구조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KR100704365B1 (ko) 교통안전표지판용 충격흡수장치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083269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20120007395A (ko) 충격흡수성 및 형태복원성을 보강한 가드레일구조물
KR101103716B1 (ko) 지주본체 파단부 연결구조
KR100537227B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0608808B1 (ko) 산비탈도로의 추락 방지장치
JP4377868B2 (ja) 防護柵用支柱の立設構造
CN210216247U (zh) 一种市政道路防护栏
KR20070048316A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160105723A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KR20050113352A (ko) 가드레일의 충격완충장치
KR101040288B1 (ko) 조립식의 브레이크어웨이형 도로용 지주
KR101217832B1 (ko) 직, 간접 고정방식의 개방형 차량 방호 울타리
KR101190671B1 (ko) 방호 울타리
KR20090081600A (ko) 완충용 롤러가 설치된 가이드레일
KR100762977B1 (ko)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교통안전표지판
KR100864461B1 (ko) 도로정보시설물의 전도방지장치
KR200359999Y1 (ko) 가드레일의 충격완충장치
KR100515386B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시설
KR102186947B1 (ko) 안전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는 확장형 가드레일
KR200252807Y1 (ko) 도로곡선부 추락방지용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