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908A -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 Google Patents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908A
KR20080102908A KR1020070049966A KR20070049966A KR20080102908A KR 20080102908 A KR20080102908 A KR 20080102908A KR 1020070049966 A KR1020070049966 A KR 1020070049966A KR 20070049966 A KR20070049966 A KR 20070049966A KR 20080102908 A KR20080102908 A KR 2008010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ir
coupled
support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의
옥윤선
Original Assignee
황보의
옥윤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의, 옥윤선 filed Critical 황보의
Priority to KR102007004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2908A/ko
Publication of KR2008010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지주 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가 개시된다. 가로등주, 신호등 기둥, 전봇대 기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돌출되어 결합된 지주용 의자부재와, 상기 지주에 결합된 등받이판을 포함하는 지주 의자는 곳곳에 휴식처를 마련한다.
지주, 밀착부재, 결합부재

Description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chair}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주 의자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주용 의자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절개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주 의자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주 의자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주 의자 11: 지주
12: 지주용 의자부재 121: 받침판
122: 결합부재 123: 조임부재
124: 밀착부재 125: 지지부재
13: 등받이판
본 발명은 지주 의자 및 지주 의자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전봇대 기둥, 가로등주, 신호등 기둥 등의 지주는 거리의 곳곳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주는 본래의 목적 이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려는 시도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지주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지주를 이용하여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지주 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일측면에 따르면,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돌출되어 결합된 지주용 의자부재를 포함하는 지주 의자가 제공된다. 상기 지주에는 등받이판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주용 의자부재는 상기 지주와 결합시 돌출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말단과 교차되어 결합하되, 상기 받침판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지주와 밀착하여 결합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지주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힌지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받침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받침판을 상기 지주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부재가 더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과 일단이 결합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말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보조다리를 더 포함하는 지주 의자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과 일단이 결합하며, 타단은 상기 받침판의 말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보조다리를 더 포함하는 지주 의자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에는 조임부재가 더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주와 접촉하는 상기 결합부재에는 밀착부재가 더 결합하여 밀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밴드일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밴드의 외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지지부재를 결합부재에 끼움결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주 의자 사시도이며,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주용 의자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a,1b를 참조하면, 지주 의자(10), 지주(11), 지주용 의자부재(12), 받침판(121), 결합부재(122), 조임부재(123), 밀착부재(124), 지지부재(125), 등받이판(13)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주(11)는 가로등주, 전봇대 기둥, 신호등 기둥 등과 같이 거리에 곳곳에 세워진 기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주(11)에 지주용 의자부재(12)를 돌출되어 결합하여 지주 의자(10)를 구성한다. 또한, 등받이판(13)이 추가적으로 지주(11)에 결합하여 안락함을 더할 수 있다.
지주용 의자부재(12)는 지주(11)와 결합시 돌출되는 받침판(121), 받침판(121)과 교차되어 결합되며 지주(11)와 밀착되는 지지부재(125), 지지부재(125)에 결합하여 지주(11)에 지지부재(125)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122), 결합부재(122)를 조여주는 조임부재(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용 의자부재(12)는 간단히 받침판(121)이 지주(11)에 고정결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받침판(121)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지주(11)와 결합시 도1과 같이 돌출된다. 받침판(121)은 지주(11)의 하단에 결합한다. 여기서 "하단"은 사람이 앉을 때 편안한 높이로서, 지상으로 부터 60cm~1m정도 사이인 것이 좋다. 따라서, 받침판(121)에는 사람이 앉기에 적합하다.. 이때,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받침판(121)의 말단에는 지지부재(125)가 결합한다. 지지부재(125)는 지주(11)와 동일하게 지면에 닿는 것이 좋다. 지지부재(125)는 판의 형상일 수도 있고, 봉의 형상일 수도 있다. 지지부재(125)는 받침판(121)과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힌지부재를 개재하여 유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지지부재(125)에는 결합부재(122)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결합부재(122)는 밴드 모양이다. 그러나, 지주(11)에 지지부재(125)를 안정적으로 고정결합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결합부재(122)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일 수 있다. 지지부재(125)에 결합된 결합부재(122)는 지지부재(125)를 지주(11)에 밀착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재(125)는 밴드 모양뿐만 아니라, 스크류로 지지부재(125)와 지주(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못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결합부재(122)의 양단에는 조임부재(123)가 결합되어 있다. 조임부재(123)는 볼트, 너트, 이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122)에 형성된 홀 등으로 구성되어, 지주(11)에 결합부재(122)를 조여준다. 결과적으로 조임부재(123)에 의해서 보다 단단하게 지주(11)와 지주용 의자부재(12)가 결합하게 된다.
지주(11)와 결합부재(122)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결합부재(122)의 내측에는 밀착부재(124)가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밀착부재(124)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주용 의자부재(22), 결합홀(225a), 지지부재(225), 받침판(221)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부재를 생략한 지주용 의자부재(22)의 측면도를 보여준다. 지주용 의자부재(22)의 지지부재(225)에는 결합홀(225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225a)에는 밴드 형태의 결합부재가 끼워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지주용 의자부재(22)는 결합부재가 지지부재(225)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225a)을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지지부재(225)에 결합부재가 끼워지면, 도 1a와 같이 지주(11)에 지지부재(225)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주용 의자부재(32), 결합홀(325a), 지지부재(325), 받침판(321)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홀(325a)이 지지부재(325)에 그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홀(325a)에는 도 1의 결합부재(122)가 끼워질 수 있다.지지부재(325)에 결합부재가 끼워지면, 도 1a와 같이 지주(11)에 지지부재(325)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이며, 도4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주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4a, 4b, 4c를 참조하면, 지주 의자(40), 지주(41), 지주용 의자부재(42), 받침판(421), 결합부재(422), 결합돌기(422a), 조임부재(423), 지지부재(425), 결합홈(425b)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주용 의자부재(42)는 지지부재(425)와 결합부재(422)가 끼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탈부착이 자유롭다. 지지부재(425)는 도 4a와 같이 결합홈(42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도록 결합부재(422)에는 결합돌기(422a)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422a)에 결합홈(425a)이 결합할 경우 가이드 결합이 되어 도 4c와 같이 지주(41)에 결합된 이후, 지주(4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이미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주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주 의자(50), 지주(51), 지주용 의자부재(52), 받침판(521), 결합부재(522), 조임부재(523), 지지부재(525), 힌지부재(526),걸림턱(52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지주용 의자부재(52)는 지지부재(525)와 받침판(521)의 사이에 힌지부재(526)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지부재(525)를 기준으로 받 침판(521)이 회전이 가능하다. 받침판(521)과 지지부재(525)이 결합하는 지점에 인접한 지지부재(525)에 걸림턱(527)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527)은 받침판(521)에 형성되어도 좋고, 지지부재(525)에 형성되어도 좋다. 걸림턱(527)은 받침판(521)의 유동범위를 제한한다. 의자가 되기 위해서는 받침판(521)이 아래로 처지지 않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지주(51)와 받침판(521)이 수직이 되도록 걸림턱(527)이 받침판(521)의 회전을 제한한다.
받침판(521)이 지주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지주(51)와 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받침판(521)이 돌출되지 않아 공간을 줄일 수 있어, 받침판(521)이 사람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걸림턱(527)은 지지부재(525)에 형성할 경우 받침판(521)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걸림턱(627)은 받침판(521)에 형성할 경우, 지지부재(525)와 인접한 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지지부재(525)와 결합부재(522)의 결합방식은 이미 설명한 도 1내지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주용 의자부재(62), 받침판(621), 지지부재(625), 가이드홀(625a), 힌지부재(627), 보조다리(628), 탄성부재(629)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주용 의자부재(62)는 받침판(621)과 지지부재(625)의 사이에 힌지부재(627)가 결합되어 있어, 소정의 범위로 회전가능하다. 또한, 탄성부 재(625)가 받침판(621)과 지지부재(625) 사이에 결합되어 있어, 받침판(621)을 강제적으로 상부로 회전하도록 한다.(도 6의 경우 시계 반대방향) 따라서, 지주용 의자부재(62)가 지주에 결합시, 자연스럽게 받침판(621)이 지주와 밀착된다. 결과적으로 받침판(621) 때문에 사람의 보행이 방해되지 않게 된다.
인위적인 힘으로 받침판(621)을 당기면, 도 6과 같은 형태가 된다. 따라서, 지주와 결합시, 앉을 수 있는 형태가 된다. 이때,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보조다리(628)을 추가적으로 받침판(621)과 지지부재(625) 사이에 결합하였다. 특히, 보조다리(628)의 일단은 받침판(62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지지부재(625)에 형성된 가이드홀(625a)에 결합하여 직선운동을 한다. 따라서, 받침대(621)가 제한된 범위에서 회전할 때, 자연스럽게 보조다리(628)가 움직인다. 한편, 받침판(621)이 도 6과 같은 형태를 유지할 경우, 보조다리(628)은 더 이상 슬라이드되지 않게되며, 받침판(621)의 하중을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다리는(628)는 제한된 범위에서 회전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성과 전반적으로 동일하다. 차이점은 가이드홀(721a)을 받침판(721)을 형성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제외한 지주용 의자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주용 의자부재(82), 받침판(821), 지지부재(825) 힌지부재(827), 보조다리(828), 탄성부재(629)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보조다리(828)는 받침판(821)의 말단에 결합하며, 받침판(821)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이다. 소정의 범위에서 보조다리(828)은 회전가능하다. 보조다리(828)는 받침판(821)을 지면으로 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람의 체중을 보조적으로 지탱해주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지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으로부터,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지주를 의자로 활용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도시 곳곳이 휴식처가 될 수 있다.

Claims (11)

  1. 가로등주, 신호등 기둥, 전봇대 기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지주와;
    상기 지주의 하단에 돌출되어 결합된 지주용 의자부재와;
    상기 지주에 결합된 등받이판을 포함하는 지주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용 의자부재는,
    상기 지주와 결합시 돌출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말단과 교차되어 결합하되, 상기 받침판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지주와 밀착하여 결합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지주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지주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힌지부재가 더 결합되는 지주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받침판을 상기 지주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부재가 더 결합하는 지주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과 일단이 결합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말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보조다리를 더 포함하는 지주 의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과 일단이 결합하며, 타단은 상기 받침판의 말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보조다리를 더 포함하는 지주 의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말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을 지면으로 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보조다리를 더 포함하는 지주 의자.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에는 조임부재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의자.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와 접촉하는 상기 결합부재에는 밀착부재가 더 결합하는 지주 의자.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의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외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의자.
KR1020070049966A 2007-05-22 2007-05-22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KR20080102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966A KR20080102908A (ko) 2007-05-22 2007-05-22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966A KR20080102908A (ko) 2007-05-22 2007-05-22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908A true KR20080102908A (ko) 2008-11-26

Family

ID=4028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966A KR20080102908A (ko) 2007-05-22 2007-05-22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290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767A (ko) * 2015-03-23 2016-10-04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특성화길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101999633B1 (ko) * 2019-02-08 2019-07-12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휴게 의자
KR200492311Y1 (ko) * 2020-07-03 2020-09-15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접이식 간이의자
WO2020209622A1 (ko) * 2019-04-09 2020-10-15 주식회사 다지트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KR20200136734A (ko) 2019-05-28 2020-12-08 한성정밀강관(주)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KR102343833B1 (ko) 2021-06-09 2021-12-28 성광(주)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767A (ko) * 2015-03-23 2016-10-04 (주)씨엔에스 정보통신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특성화길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관리 방법
KR101999633B1 (ko) * 2019-02-08 2019-07-12 유한회사 아가페테크 휴게 의자
WO2020209622A1 (ko) * 2019-04-09 2020-10-15 주식회사 다지트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KR20200136734A (ko) 2019-05-28 2020-12-08 한성정밀강관(주) 지주 설치형 보행자용 의자
KR200492311Y1 (ko) * 2020-07-03 2020-09-15 주식회사 창대시스템 접이식 간이의자
KR102343833B1 (ko) 2021-06-09 2021-12-28 성광(주) 핸드레일용 접이식 간이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2908A (ko)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US6634704B1 (en) Portable seating device
KR20080102901A (ko) 지주 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US20060180729A1 (en) Leg support
CA2549210A1 (en) Atop localization mechanism of bell folding tent frame
US11447955B2 (en) Rail system for an outdoor shelter
JP2001187997A (ja) 垂直部材立設用台座
KR101805802B1 (ko) 마루틀 지지대
KR102029257B1 (ko) 텐트 설치용 분해 조립식 평상
US20230015230A1 (en) Post Engageable Table
ATE513784T1 (de) Verbesserte lagertank konstruktion
CN211340488U (zh) 一种地质灾害用滑坡拦截结构
US4740033A (en) Indoor or beach lounge chair
KR200275599Y1 (ko) 절첩되는 색소폰의 스탠드
KR920002347Y1 (ko) 파라솔 받침대
KR20080102909A (ko) 지주 의자 및 지주 의자용 부재
KR102263811B1 (ko) 휴대용 간이 파라솔장치
CN212929284U (zh) 一种新型四脚支架
KR200248199Y1 (ko) 야외용 그물 침대
KR101496144B1 (ko) 지지대 각도조절 장치
KR0119872Y1 (ko) 파라솔 테이블 받침대의 수평 조정장치
CN211691776U (zh) 一种市政施工用护栏
CN216767238U (zh) 一种伸缩稳定易安装的不锈钢伸缩梯
CN217501145U (zh) 一种用于房梁支撑的加固型建筑结构
CN209397669U (zh) 一种新型快速固定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