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09622A1 -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09622A1
WO2020209622A1 PCT/KR2020/004816 KR2020004816W WO2020209622A1 WO 2020209622 A1 WO2020209622 A1 WO 2020209622A1 KR 2020004816 W KR2020004816 W KR 2020004816W WO 2020209622 A1 WO2020209622 A1 WO 20202096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elevator
fixed
chair
sa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48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지트
Publication of WO20202096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096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6Wall stools ; Stools hingedly mounted against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safety chair inside an elevator, and specifically relates to a foldable safety chair tha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a wall when not in use and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chair when necessary.
  • 1 is a view showing such a conventional example
  • 1A shows a state in which a movable chair is installed
  • 1B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olding chair is used
  • 1C to D show problems of these chairs.
  • FIG. 1A Conventionally, a movable chair as shown in FIG. 1A is placed inside an elevator so that the elderly can sit, or a folding chair is installed on the wall as shown in FIG. 1B so that it can be used as a chair if necessary.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such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when not in use, it is fixed in a state tha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at a distance of 50 mm or more from the handrail, preventing the use of space inside without violating elevator related law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folding safety chair inside an elevator that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to passenger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part of the body from getting caught in the fold when folding or unfolding the folding chair.
  • a saddle frame 40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that is attached to the elevator wall 12 at the above interval and is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20 when used as a chair;
  • a plurality of arcuate stoppers 52, 54, 56 surrounding the rotation shaft 30 are alternately formed on the fixing frame 20 and the saddle frame 40 so as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a chair is formed.
  • a stopper means 50 configured to abut and support the end portions of each of the stoppers against the surface of the counterpart member,
  • the fixing frame 20 and the saddle frame 40 form the same plane and provide a folding safety chair inside the elevator that is completely attached to the wall of the elevator cage.
  • a rotating frame 60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frame 20 and the saddle frame 40, and the rotating frame 60 is both the fixed frame 20 and the saddle frame 40
  • the stopper means 50 around the rotation shaft 30 for both the fixing frame 20 and the saddle frame 40 by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and being fix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 two-stage foldable safety chair. It is formed, and in the unused state, the fixing frame 20, the saddle frame 40, and the rotating frame 60 may all be fixed in a form completely attach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cage while forming the same plane.
  • the outermost stopper 56 of the stopper means 50 may take a tapered shape whose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the distal end.
  • the folding safety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ver (C)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rround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30 or the entire external exposed portion.
  • one or more magnets 70 ar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saddle frame 40 or on the surfaces of both the saddle frame 40 and the rotation frame 60, so that when not in use, the magnet 70 It would be good if the saddle frame 40 or the rotating frame 60 is attached to the elevator wall by magnetic force.
  • the foldable safety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injury due to part of the body being caught in the folded portion when folded or unfolded.
  • 1A to D are side views showing examples of use of a conventional movable chair and a folding chair, respectively;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case of the single-stage folding safety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 3A to 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four examples of the stopper means 50 at the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30;
  • Figures 4A to B are side views showing the use and unused state of the single-stage folding safety chair
  •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case of the two-stage folding safety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wo-stage folding chair is folded or unfolded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o-stage folding chair
  •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is boarded in an elevator when the two-stage folding chair is not in use.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frame 20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a saddle frame 40 and a stopper means 50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xing frame 20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12 under the handrail 10 of the elevator cage. Specifically, it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12 inside the elevator cage. -You can use fasteners such as nuts.
  • the saddle frame 4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30 of the upper end of the fixed frame 20, and when not normally used as a chair, the handrail 10 of the elevator cage forms the same plane as the fixed frame 20 It is fixed to the lower wall surface 12, and is fixed so that the distance d of one end of the handrail 10 and the saddle frame 40 is 50mm or more (see Fig. 4B), and when used as a chair, the fixed frame 20 is It is fixed while achieving a predetermined angle (see Fig. 4A).
  • FIG. 3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30 and shows four examples of the stopper means 50.
  • arcuate three stoppers 52, 54, and 56 surrounding the rotation shaft 30 are alternately formed on the fixing frame 20 and the saddle frame 40 so as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 two stoppers 52 and 56 are formed on the saddle frame 40, and a stopper 54 disposed therebetween may be formed on the fixing frame 20.
  • the stoppers 52 and 56 are supported by the fixing frame 20 at their distal ends while the chair is formed, and the other stoppers 54 function as a double stop by having the distal ends supported by the saddle frame 40, Safety can be ensured when passengers are seated in a chair. In other words, a chair that supports a considerable weight can be configured.
  • two stoppers 52 and 56 may be formed on the fixing frame 20, and the remaining stoppers 54 may be formed on the saddle frame 40.
  • the outermost stopper 56 of the three stoppers constituting the stopper means 50 may take a tapered shape whose cross section becomes narrower toward the distal end. In the case of this structure, even without a protective cover (C) to be described later, it is advantageous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fingers from being pinched between the stoppers.
  • the number of stoppers is 3, depending on the required strength or support load, the number of stoppers may be further reduced or increased.
  •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on shaft 30 or the entire external exposed portion may be surrounded by a protective cover C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 This protective cover (C) serves to block the body parts such as fingers from accessing the folded part of the chair.
  •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used state and an unused state of the chair configured in this way.
  • the saddle frame 40 when used as a chair, the saddle frame 4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nd is fixed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to the wall to form a chair.
  • the fixing frame 20 as well as the saddle frame 40 are completely fixed to the wall surface 12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passenger is not disturbed at all.
  • the method of fixing the saddle frame 40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may be any conventional method such as ring coupling or male and female coupling, but a fixing method using a magnet to be described later would be preferable.
  •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use case of a two-stage folding 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rectangular plate-shaped rotating frame 60 is installed between the fixed frame 20 and the saddle frame 40, and the rotating frame 60 is both a fixed frame 20 and a saddle frame 40 It is possible to form a two-stage folding safety chair by being fixed while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predetermined angle.
  • a stopper means 50 may be formed around the rotating shaft 30 for both the fixed frame 20 and the saddle frame 40, and in the unused state, the fixed frame 20 and the saddle frame 40 and the rotating frame All 60 are fixed on the same plane and completely adhered to the wall of the elevator cage.
  • the saddle frame 40 since the saddle frame 40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more from the wall surface 12 than the embodiment of FIG. 2,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assenger can sit more comfortably.
  • the one-stage or two-stage saddle frame 40 that forms a chair in this way can be used not only as a person but also as a cradle on which cargo can be placed.
  •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wo-stage folding chair is folded or unfolded. As shown, when the saddle frame 40 is folded or unfold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since the folded portion is covered by the protective cover (C),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in which fingers are caught.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o-stage folding chair.
  • the saddle is sea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70 when not in use.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frame 40 or the rotating frame 60 can be attached to the elevator wall. It is preferable to install magnets at the four corners of the saddle frame or rotating frame, but the number of magnets may be more or less than that.
  • the fixing frame 40 may be fixed to the elevator wall by a bolt nut method as shown.
  •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rides an elevator when the two-stage folding chair is not in use, and is compared with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C.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assenger in a wheelchair to move more freely in an elevator than in the prior art, thereby greatly improving convenience.
  • folding safety chair installed in the elevator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such a folding safety chair can be installed and used on a general wall surface, not an elevator, with or without a hand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었다가 필요시 의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안전의자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핸드레일(10)의 하부에 엘리베이터 벽면(12)에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고정프레임(20);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안장프레임(40); 및 회전축(30)을 감싸는 아치형의 다수의 스토퍼들(52,54,56)의 말단부가 의자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대방 부재의 표면에 맞닿아 지지하도록 된 스토퍼 수단(50)을 포함한다. [대표도] 도 2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었다가 필요시 의자 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안전의자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들 중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포함한 노약자를 위해 엘리베이터 내부에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이런 종래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1A는 이동식 의자를 설치한 상태를, 1B는 접이식 의자를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고, 1C~D는 이런 의자들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종래에는 도 1A와 같이 이동 가능한 의자를 엘리베이터 내부에 배치해두고 노약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거나, 도 1B와 같이 벽면에 접이식 의자를 설치해 필요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1A의 경우, 도 1C에 도시된 것처럼, 평상시에도 엘리베이터의 공간을 상당부분 차지하여 승객들의 원할한 이동을 방해함은 물론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B의 경우, 도 1D와 같이 승객, 특히 어린이가 의자를 접거나 펼 때 X로 표시한 부분에서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가 끼여 다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엘리베이터 관련 법규상, 안전을 위해 엘리베이터 벽면의 부착물은 핸드레일로부터 50mm 이상의 간격을 두고 부착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1B의 실시예의 경우, 이런 규정을 위반하여 의자를 완전히 접은 상태에서 벽면에서 상당한 두께로 돌출하여 승객에게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핸드레일로부터 50mm 이상 간격을 두고 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엘리베이터 관련 법규를 위반하지 않으면서도 내부의 공간활용을 방해하지 않고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접이식 의자를 접거나 펼칠 때 접히는 부분에 신체의 일부가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핸드레일(10)의 하부에 엘리베이터 벽면(12)에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상단부의 회전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평상시 고정프레임(2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핸드레일(10)에서 안장프레임(40)의 일단부까지 50mm 이상의 간격을 두고 엘리베이터 벽면(12)에 부착되어 있으며, 의자로 사용할 때는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안장프레임(40); 및
상기 회전축(30)을 감싸는 아치형의 다수의 스토퍼들(52,54,56)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에 교대로 형성되어, 의자를 형성한 상태에서 스토퍼들 각각의 말단부가 상대방 부재의 표면에 맞닿아 지지하도록 된 스토퍼 수단(50);을 포함하여,
미사용 상태에서는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이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면에 완전히 부착된 형태로 고정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 사이에 사각판 형태의 회전프레임(60)이 설치되고, 이 회전프레임(60)은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 둘다에 대해 회전 가능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룬채 고정되어 2단 접이식 안전의자를 형성할 수 있고,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 둘다에 대한 회전축(30) 둘레에 상기 스토퍼 수단(50)이 형성되며, 미사용 상태에서는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과 회전프레임(60)이 모두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면에 완전히 부착된 형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 스토퍼 수단(50) 중의 가장 외측에 있는 스토퍼(56)가 말단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접이식 안전의자는 회전축(30)의 하부나 외부 노출부위 전체를 둘러싸는 탄성 재질의 보호커버(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안장프레임(40)의 표면 또는 안장프레임(40)과 회전프레임(60) 둘다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70)이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자석(70)의 자력에 의해 안장프레임(40)이나 회전프레임(60)이 엘리베이터 벽면에 부착되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이식 안전의자에 의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의자의 모든 부분이 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엘리베이터 내부의 승객의 움직임을 전혀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접이식 안전의자는 접거나 펼칠 때 접히는 부분에 신체의 일부가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D는 각각 종래의 이동식 의자와 접이식 의자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1단 접이식 안전의자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A~D는 회전축(30) 부위의 스토퍼 수단(50)의 4가지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B는 1단 접이식 안전의자의 사용상태와 미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2단 접이식 안전의자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2단 접이식 의자를 접거나 펼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2단 접이식 의자의 사시도;
도 8은 2단 접이식 의자가 미사용 상태일 때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의 사용례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각판 형태의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과 후술하는 스토퍼 수단(50)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20)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핸드레일(10) 하부의 벽면(12)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부의 벽면(12)에 밀착 형태로 고정되고, 고정할 때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안장프레임(40)은 고정프레임(20)의 상단부의 회전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평상시 의자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고정프레임(2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핸드레일(10) 하부의 벽면(12)에 고정되고, 핸드레일(10)과 안장프레임(40)의 일단부의 간격 d가 50mm 이상이 되도록 고정되고(도 4B 참조), 의자로 사용할 때는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고정된다(도 4A 참조).
도 3은 회전축(30) 부위의 상세 단면도로서 스토퍼 수단(50)의 4가지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0)을 감싸는 아치형의 3개의 스토퍼들(52,54,56)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에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3A와 같이, 2개의 스토퍼(52,56)가 안장프레임(40)에 형성되고, 그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54)는 고정프레임(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52,56)는 의자를 형성한 상태에서 말단부가 고정프레임(20)에 지지되고, 다른 스토퍼(54)는 말단부가 안장프레임(40)에 지지되어 이중 스토핑 기능을 함으로써, 승객이 의자에 앉았을 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당한 무게를 지지하는 의자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B와 같이, 고정프레임(20)에 2개의 스토퍼(52,56)가 형성되고, 안장프레임(40)에 나머지 스토퍼(5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C~D와 같이, 스토퍼 수단(50)을 이루는 3개의 스토퍼들 중의 가장 외측에 있는 스토퍼(56)가 말단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런 구조의 경우, 후술하는 보호커버(C) 없이도, 스토퍼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리하다.
스토퍼의 갯수가 3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필요한 강도나 지지하중에 따라서는 스토퍼의 갯수를 더 줄이거나 늘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A~B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축(30)의 하부나 외부 노출부위 전체를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의 보호커버(C)로 둘러쌀 수 있다. 이런 보호커버(C)는 손가락 등의 신체 부위가 의자가 접히는 부분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이렇게 구성된 의자의 사용상태와 미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A와 같이, 의자로 사용할 경우, 화살표(A) 방향으로 안장프레임(40)이 움직여 벽면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고정되어 의자를 형성한다. 미사용 상태에서는, 도 4B와 같이, 고정프레임(20)은 물론 안장프레임(40)이 완전히 벽면(12)에 밀착 상태로 고정되어, 승객의 움직임을 전혀 방해하지 않게 된다. 안장프레임(40)을 벽면에 밀착 상태로 고정하는 방식은 고리결합이나 암수결합 등 기존의 어떤 방식도 사용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자석을 이용한 고정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2단 접이식 의자의 사용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 사이에 사각판 형태의 회전프레임(60)이 설치되고, 이 회전프레임(60)은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 둘다에 대해 회전 가능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룬채 고정되어 2단 접이식 안전의자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 둘다에 대한 회전축(30) 둘레에 스토퍼 수단(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미사용 상태에서는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과 회전프레임(60)이 모두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5의 실시예는 안장프레임(40)이 도 2의 실시예보다 벽면(12)에서 더 돌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승객이 더 편안하게 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의자를 형성하는 1단이나 2단 방식의 안장프레임(40)은 사람은 물론 화물을 얹어놓을 수 있는 거치대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2단 접이식 의자를 접거나 펼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 방향으로 안장프레임(40)을 접거나 펼칠 때 보호커버(C)에 의해 접히는 부분이 가려지기 때문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2단 접이식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안장프레임(40)의 표면 또는 안장프레임(40)과 회전프레임(60) 둘다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70)을 설치하면, 사용하지 않을 때 자석(70)의 자력에 의해 안장프레임(40)이나 회전프레임(60)을 엘리베이터 벽면에 부착할 수 있어 편리하다. 안장프레임이나 회전프레임의 4 모서리에 자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시 자석수는 그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40)은 도시된 것처럼 볼트너트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2단 접이식 의자가 미사용 상태일 때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로서, 기존의 도 1C의 실시예와 대비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휠체어를 탄 승객이 엘리베이터에서 종래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편의성이 대폭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상 엘리베이터에 설치되는 접이식 안전의자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런 접이식 안전의자는 엘리베이터가 아닌 일반 벽면에 핸드레일 유무에 상관없이 설치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핸드레일(10)의 하부에 엘리베이터 벽면(12)에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고정프레임(20);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상단부의 회전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평상시 고정프레임(20)과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핸드레일(10)에서 안장프레임(40)의 일단부까지 50mm 이상의 간격(d)을 두고 엘리베이터 벽면(12)에 부착되어 있으며, 의자로 사용할 때는 고정프레임(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안장프레임(40); 및
    상기 회전축(30)을 감싸는 아치형의 다수의 스토퍼들(52,54,56)이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에 교대로 형성되어, 의자를 형성한 상태에서 스토퍼들 각각의 말단부가 상대방 부재의 표면에 맞닿아 지지하도록 된 스토퍼 수단(50);을 포함하여,
    미사용 상태에서는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이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 사이에 사각판 형태의 회전프레임(60)이 설치되고, 이 회전프레임(60)은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 둘다에 대해 회전 가능하면서 소정의 각도를 이룬채 고정되어 2단 접이식 안전의자를 형성할 수 있고,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 둘다에 대한 회전축(30) 둘레에 상기 스토퍼 수단(50)이 형성되며, 미사용 상태에서는 고정프레임(20)과 안장프레임(40)과 회전프레임(60)이 모두 동일 평면을 이루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벽면에 완전히 부착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50) 중의 가장 외측에 있는 스토퍼(56)가 말단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의 하부나 외부 노출부위 전체를 둘러싸는 탄성 재질의 보호커버(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프레임(40)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70)이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자석(70)의 자력에 의해 안장프레임(40)이 엘리베이터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프레임(40)과 회전프레임(60)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자석(70)이 설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자석(70)의 자력에 의해 안장프레임(40)과 회전프레임(60)이 엘리베이터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PCT/KR2020/004816 2019-04-09 2020-04-09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WO20202096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293A KR102046747B1 (ko) 2019-04-09 2019-04-09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KR10-2019-0041293 2019-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622A1 true WO2020209622A1 (ko) 2020-10-15

Family

ID=6877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4816 WO2020209622A1 (ko) 2019-04-09 2020-04-09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6747B1 (ko)
WO (1) WO2020209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747B1 (ko) * 2019-04-09 2019-11-19 주식회사 다지트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937A (en) * 1908-12-29 1909-11-09 Wesley G Winans Folding seat.
JP2003210279A (ja) * 2002-01-21 2003-07-29 Matsukinrii:Kk 壁収納式折り畳み椅子
KR20080102908A (ko) * 2007-05-22 2008-11-26 황보의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KR101008437B1 (ko) * 2008-06-17 2011-01-14 윤일식 엘리베이터용 간이의자
KR20170024691A (ko) * 2015-08-26 2017-03-08 허동구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KR102046747B1 (ko) * 2019-04-09 2019-11-19 주식회사 다지트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9937A (en) * 1908-12-29 1909-11-09 Wesley G Winans Folding seat.
JP2003210279A (ja) * 2002-01-21 2003-07-29 Matsukinrii:Kk 壁収納式折り畳み椅子
KR20080102908A (ko) * 2007-05-22 2008-11-26 황보의 지주의자 및 지주용 의자부재
KR101008437B1 (ko) * 2008-06-17 2011-01-14 윤일식 엘리베이터용 간이의자
KR20170024691A (ko) * 2015-08-26 2017-03-08 허동구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KR102046747B1 (ko) * 2019-04-09 2019-11-19 주식회사 다지트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747B1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9622A1 (ko) 엘리베이터 내부의 접이식 안전의자
WO2012067452A2 (ko) 비행기의 좌석 구조
WO2013012174A1 (ko) 측면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WO2018230837A1 (ko) 건축물에서의 화재·재난 피난 시설
WO2015002452A1 (ko) 자동 경사로 조절 장치
CA2152309A1 (en) Easy transport seat
CN112441491A (zh) 低顶层补偿措施
CA1084454A (en) Mechanism for transfer of wheelchair confined passengers to and from railway coaches at railway station platforms
US20040057823A1 (en) Redundant support systems for stowable passenger lift assemblies
WO2014137028A1 (ko)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WO2017010681A1 (ko) 시트의 리클라이닝 기구
WO2020036453A1 (ko) 휠체어 안전바와 연동된 발걸이대 자동 제어 장치
WO2017159893A1 (ko) 유아용 안전시트에 적용되는 유아용 어깨패드
US20180265331A1 (en) Elevator commuter boarding system and a method thereof
WO2018038468A1 (ko) 승하차가 용이한 회전식 차량 시트
WO2020045692A1 (ko) 안전 휠체어 장치
CN112551283A (zh) 一种医用电梯厅外vip运行控制方法
WO2013162154A1 (ko) 좌변기용 변좌
Brooks An investigation into aspects of bus design and passenger requirements
JP2859059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呼び登録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乗場呼び登録装置
WO2020091108A1 (ko) 하중보상 메커니즘을 적용한 모션플랫폼
JPH0812233A (ja) 車椅子等のエレベータ乗降用誘導ガイド
JPH07172744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20020088319A (ko) 전동차량 안전발판
WO2016148335A1 (ko) 복층 레일방식의 고관절 일치형 가상축형 안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879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8791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