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37028A1 -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37028A1
WO2014137028A1 PCT/KR2013/003708 KR2013003708W WO2014137028A1 WO 2014137028 A1 WO2014137028 A1 WO 2014137028A1 KR 2013003708 W KR2013003708 W KR 2013003708W WO 2014137028 A1 WO2014137028 A1 WO 20141370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bicycle
shaft
coaxial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37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엄시내
나경석
신유나
윤용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41370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370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2Coupling parts for attaching cars or the like to cycle;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3Wheelchairs attached to a cycle steerable by an attend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4Large wheels, e.g. higher than the seat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10Other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62K27/12Coupling parts for attaching cars or the like to cycle; Arrangements thereof
    • B62K27/14Resilient coup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7/00Sidecars; Forecars; Trailer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cycles
    • B62K27/003Trail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to each other.
  • Wheelchairs which are frequently 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a patient, an elderly person or a disabled person, who are inconvenient to move,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to reduce inconvenience of a user and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 the development of wheelchairs has not been actively made due to the limitation of demand, and as a result, the technical improvement is lacking in comparison with other products.
  • automatic wheelchairs have been developed but are not widely distributed due to high prices.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49465 has been developed a wheelchair transport device of the wheelchair mounted structure in the front of the bicycl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that simplifie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improves user convenience.
  • Bicycle-wheel chair docking apparatus includes a Shanghai coaxial, a buffer, a left and right moving shaft, a wheelchair width adjustment unit and a wheelchair side connection.
  • the Shanghai coaxial is connected to the saddle shaft connecting the pedal and the saddle of the bicycle.
  • the shock absorbing part absorbs an impact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Shanghai coaxial.
  •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hanghai coaxial shaft.
  • the wheelchair width adjustment unit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wheelchair.
  •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width control part.
  • the shank coaxial may be coupl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addle shaft.
  •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and the Shanghai coaxial is connected through a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can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hanghai coaxial.
  • the rear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may be coupled to change the height.
  •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and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via a second connection portion, it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and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ortion.
  •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s by a ball joint.
  • the height of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may be different.
  • the wheelchair may further comprise a wheelchair extension fixed to the front wheel shafts of the pair of wheelchairs.
  • the wheelchair width adjusting part may include an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art and a horizontal part connected to the wheelchair extension part.
  • the extension and the horizontal portion may be connected vertically.
  • the extension portion is coupled to change the length with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ortion
  • the horizontal portion may be coupled to change the length with the wheelchair extension
  • the buffer connecting shaft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shaft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saddle shaft and the rear wheel of the bicycle, the buffer supporting shaft fixed to the Shanghai coaxial,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uffer connecting shaft and the other end
  • the shock absorber may further include a shock absorber connected to the shock absorbing part supporting shaft to absorb an impact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shank coaxial.
  • the buffer support shaft fixed to the Shanghai coaxial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shaft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ear wheel of the saddle shaft and the bicycl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uffer support shaft, the movement of the Shanghai coaxial
  • the shock absorber may further include a shock absorber.
  • it may include a hinge joint between the clamp portion and the buffer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inclined shaft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rear wheel and the saddle shaft.
  •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are connected through the Shanghai coaxial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hock absorbing portion absorbs the shock of the Shanghai coaxial, so that the comfort and stability of the wheelchair occupant Is improved.
  •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can rotat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hanghai coaxial, the shock applied to the bicycle is alleviated and transmitted to the wheelchair, so that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can travel the curve more stably.
  •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and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via a ball joint so as to be rot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heelchair does not fall at the same time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bicycle falls,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the wheelchair occupant.
  •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by changing the height of both ends.
  •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can adjust the degree of lifting the front wheel of the wheelchair and can compensate for the height difference of various wheelchairs and bicycl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versatility of the wheelchair occupants.
  • the wheelchair width adjustment unit is coupled to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to adjust the length can vary the distance between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coupled with the length of the wheelchair extension can be combined to vary the length of the combination to fit a variety of wheelchair wid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xcellence and versatility of the assemb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wheelchair d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bicycle in FIG. 1.
  •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bicycle in FIG. 1.
  •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ft and right moving shaft in FIG. 1.
  •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FIG. 3.
  •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wheelchair in FIG. 1.
  •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ortion with a bicycle in a bicycle-wheelchair d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with a wheelchair in a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icycle 10 first fixing part
  • buffer portion support shaft 31 second connection por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icycle-wheelchair d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icycle-wheelchair docking apparatus 1000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10, a shank coaxial 20, a buffer part supporting shaft 30, a buffer part 40, and a buffer part connection.
  • the bicycle-wheel chair docking device 100 is show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icycle (1),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100).
  • the wheelchair 100 is also moved by the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100.
  • the bicycle 1 has a saddle 2, a rear wheel 3, a pedal 6, a saddle shaft 4 extending from the saddle to the pedal 6, and the saddle shaft 4. It may include an inclined shaft (5)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rear wheel (3) to the central portion.
  • the wheelchair 100 is a chair portion 110, the handle portion 13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hair portion, the front wheel portion 140, the rear wheel portion 150, and the front wheel portion from the handle portion 130 It may include a wheelchair shaft 120 extended to 140.
  • the bicycle 1 and the wheelchair 100 may includ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other than those shown in FIG. 1, and the bicycle-wheelchair dock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so includes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 the application to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is not limited.
  •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bicycle in FIG. 1.
  •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bicycle in FIG. 1.
  • the first fixing part 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hanghai coaxial 20 to fix the Shanghai coaxial 20 and the saddle shaft 4.
  • the first fixing part 10 may be coupled to the saddle shaft 4 in the form of a clamp.
  • the Shanghai coaxial 20 is fixed to enable the ro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by the first fixing portion 10 and the arrow. Therefore, the shank coaxial 20 is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the bicycle 1 as a whole, the movement o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icycle 1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heelchair 100 is limited. .
  • the buffer part connecting shaft 50 is fixed to the arbitrary position of the inclined shaft 5 through the second fixing part 13.
  • the second fixing part 13 is fixed to be adjacent to the central part of the rear wheel 3 of the inclined shaft 5, the same as the first fixing part 10 to be coupled in the form of a clamp. Can be.
  •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shaft is formed to include a hinge axis to be able to adjust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3).
  • the buffer connecting shaft 50 may extend in an upward direction, for example, may extend in an upwa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 the shanghai coaxial 20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buffer support shaft 30 is fixed on the shanghai coaxial 20.
  • the buffer part support shaft 30 has a 'c' shape as shown in FIG. 2, and the shank coaxial shaft 20 is inserted therein to fix the shank coaxial shaft 20.
  • the buffer support shaft 30 includes a pair of fixing pieces 17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shank coaxial 20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ieces 17. Is fixed.
  • a third fixing part 15 is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pieces 17, and the shank coaxial 15 is fixed by the third fixing part 15 between the fixing pieces 17. .
  • the shock absorbing part supporting shaft 30 is also simultaneous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shank coaxial shaft 20 moves up and down.
  • the buffer part 40 is fixed to the end of the fixing piece 17.
  • the end of the fixing piece 17 and the buffer portion 40 may be fixed to each other by the fourth fixing portion (16).
  • the other end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40 is fixed to the shock absorbing portion connecting shaft 50 described above.
  • the shock absorbing portion 40 has a spring fixed to the outside and the pneumatic pressure is filled inside,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to absorb the external shock.
  • the buffer part 40 is fixed between the buffer part support shaft 30 and the buffer part connecting shaft 50, and is transferred between the buffer part supporting shaft 30 and the buffer part connecting shaft 50. Absorb the shock.
  • the buffer part 40 extend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us mainly absorbs the impac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ft and right moving shaft in FIG. 1.
  •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60 i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hanghai coaxial 2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ortion 70.
  •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60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hanghai coaxial 20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ortion 70.
  •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60 may have a bar shape inclined obliquely toward the wheelchair side connecting portion 70 from the shanghai coaxial shaft 20.
  • the height of the bicycle (1) is higher than the wheelchair (100), by varying the height of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60),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in height.
  •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s are divided in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so th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Therefore, the height difference of various bicycles and wheelchairs can be compensated and the degree of lifting the front wheel of the wheelchair can be adjusted, thereby improving the versatility and convenience of the wheelchair occupant.
  •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6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hank coaxial 20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60 is based 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2 with respect to the shanghai coaxial 20. It is possible to move from side to side.
  •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can be moved stably during the curve driving.
  •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60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side connecting portion 70 through a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FIG. 3.
  • the second connection part 31 includes a first end 28 and a second end 29, and the first end 28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art 70.
  • the second end 29 i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60.
  • the first end 28 is not connected to the wheelchair side connecting portion 70 so as to enable a separate movement, and serves to fix the wheelchair side connecting portion 7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 the second end 29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60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60 is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 the second end 29 may have, for example, a ball-joint shape.
  • the second end 29 may be coupled to be rotatable, for example, in the range of 5 to 10 degrees.
  •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60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so as to be rotatable, even if an urgent situation such as the bicycle 1 is rolled over or moves rapidl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60 )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1 to compensate for the impact and movement, the impact and movement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wheelchair (100).
  • the wheelchair 100 is not overturned or moved abruptly at the same time, thereby ensuring safety of the wheelchair occupant.
  •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with the wheelchair in FIG. 1.
  • the wheelchair side connecting part 70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60 is further connected to the wheelchair width adjusting part 80 and the wheelchair extension part 90, and the wheelchair 100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100.
  • the bicycle 1 is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wheelchair 100 is manufactured in various types and sizes, and in many cases, the wheelchair 100 is manufactured in a customized manner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body size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refore, the width between the rear wheel parts 150 of the wheelchair 100 may also vary.
  • the wheelchair width adjustment unit 80 and the wheelchair extension unit 9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change the overall coupling length.
  • one end of the wheelchair extension unit 90 is fixed to the front wheel shaft 141 extending from the front wheel unit 140 of the wheelchair 100. That is, the wheelchair extension unit 90 is connected through the front wheel shaft 141 and the third connection unit 25.
  • the third connection part 25 may be, for example, a clamp.
  • the wheelchair extension 90 is connected to the pair of front wheel shafts 141 and extends from the pair of front wheel shafts 141, respectively, but the center portion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us, it can be connected to fit the width of the wheelchair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wheelchair width adjustment unit 80 to be described later.
  • the wheelchair width adjusting part 80 includes an extension part 81 and a horizontal part 82, and the extension part 81 and the horizontal part 8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 ⁇ ' shape.
  • the extension part 81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art 70 and the sixth fixing part 23.
  •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art 70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part 81 and is fixed by the sixth fixing part 23.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wheelchair 100 and the bicycle 1 may be adjusted as a whole according to the length of inserting the extension 81 into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art 70.
  • the horizontal portion 82 is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eventh fixing portion 24 so that the length of the wheelchair extension portion 90, the horizontal portion 82 and the entire wheelchair extension portion 90 is changed. . That is, after the horizontal portion 82 is position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wheelchair extension 90, the wheelchair extension 9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portion 82, and the seventh fixed portion is provided. The wheelchair extension part 90 and the horizontal part 82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24. Thus,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heelchair extension portion 90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portion 82, the wheelchair extension portion 90 and the horizontal portion 82 to match the width of the wheelchair 100 Can be fixed to each other.
  •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ortion with a bicycle in a bicycle-wheelchair d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110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10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except that the shock absorbing portion connecting shaft 50 is omitted, Use the same reference numbers and omit duplicate descriptions.
  • one end of the shock absorbing portion 41 is fixed through the fixing piece 17 and the fourth fixing portion 16, and the shock absorbing portion ( The other end of 41 is directly fixed to the inclined shaft 5 by the second fixing part 13. Therefore, since the separate shock absorbing portion connecting shaft 50 is omitted,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impact of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Shanghai coaxial 20 in a simple structure.
  • the shock absorbing portion 41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more effectively absorb shock.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with a wheelchair in a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part with the wheelchair shows another form of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wheelchai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the connection part with the wheelchair shown in FIG. 7 may be applied to both the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in the previous embodiment. Of course it is. Therefore, illustration of other parts except for the connection with the wheelchair is omitted.
  •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art 70 is further connected to the wheelchair width adjusting part 180 and the wheelchair extension part 190 so that the wheelchair 100 and the bicycle 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Figure 7 shows that the end of the wheelchair extension 190 is bent to extend the date without extending to the top, which can be modifi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rear wheels 150 of the wheelchair 100, Naturally, as shown in FIG. 5, the ends may be bent to extend upward.
  • the wheelchair width adjustment unit 180 mediates the length adjustment unit 191. It is coupled with the wheelchair extension 190. That is, since the seventh fixing part 124 can be coupl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length adjusting part 191 at any position, the length of the wheelchair extension part 190 can be adjusted as a whole.
  • the wheelchair width adjustment unit 180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181 and the horizontal portion 182, it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 ⁇ ' shape.
  • the extension part 181 may be fix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of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art 70 is changed through the sixth fixing part 123.
  • the horizontal portion 182 may be fix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length is changed through the seventh fixing portion 124 with the wheelchair extension 190 and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91 interposed therebetween. .
  • connection member is fixed to the handle portion 126 is fix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25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wheelchair extension 190. That is, the handle portion 126 includes a portion extending to facilitate the handle unlike the fixing portion of the general screw type.
  •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are connected through the Shanghai coaxial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hock absorbing portion of the Shanghai coaxial absorbs the shock absorber, the comfort of the wheelchair occupant And stability is improved.
  •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can rotat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hanghai coaxial, the shock applied to the bicycle is alleviated and transmitted to the wheelchair, so that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can travel the curve more stably.
  •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and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via a ball joint so as to be rota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heelchair does not fall at the same time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bicycle falls,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the wheelchair occupant.
  • the left and right movement shaft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by changing the height of both ends.
  •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shaft can adjust the degree of lifting the front wheel of the wheelchair and can compensate for the height difference of various wheelchairs and bicycl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versatility of the wheelchair occupants.
  • the wheelchair width adjustment unit is coupled to the wheelchair side connection to adjust the length can vary the distance between the bicycle and the wheelchair, coupled with the length of the wheelchair extension can be combined to vary the length of the combination to fit a variety of wheelchair widt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xcellence and versatility of the assembly.
  • the bicycle-wheelchair docking device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for connecting a bicycle and a wheelchair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Nurs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는 상하이동축, 완충부, 좌우이동축, 휠체어폭조절부 및 휠체어측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이동축은 자전거의 안장부와 페달을 연결하는 안장축에 연결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축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휠체어폭조절부는 휠체어의 아래 부분에서 휠체어 폭을 고려하여 연결된다. 상기 휠체어측연결부는 일단은 상기 좌우이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휠체어폭조절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본 발명은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와 휠체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 등의 이동 수단으로 많이 사용되는 휠체어는, 최근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이고 이동 수단의 신속성 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휠체어의 개발은 수요의 한계 등의 이유로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 다른 제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술 향상이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자동식 휠체어도 개발된 상황이긴 하지만 높은 가격 등을 이유로 많이 보급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휠체어 사용자들은 직접 바퀴를 굴려 이동하거나 보조자가 밀어주는 수동식 휠체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수동식 휠체어의 경우 장시간 이동시, 또는 경사진 길의 이동시 등에는 사용자 또는 보조자 모두 쉽게 피로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동 거리 및 이동 환경에 제약이 있다.
이러한 수동식 휠체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49465호에서는 자전거의 앞부분에 휠체어를 탑재하는 구조의 휠체어 운송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자전거에 탑재된 휠체어의 경우, 자전거 운전의 어려움이나 자전거가 넘어지는 등의 사고시 휠체어에 탑승한 탑승자가 위험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 관계를 단순화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는 상하이동축, 완충부, 좌우이동축, 휠체어폭조절부 및 휠체어측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이동축은 자전거의 안장부와 페달을 연결하는 안장축에 연결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축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휠체어폭조절부는 휠체어의 아래 부분에서 휠체어 폭을 고려하여 연결된다. 상기 휠체어측연결부는 일단은 상기 좌우이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휠체어폭조절부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이동축은 상기 안장축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은 제1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축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단부로 상기 후단부가 삽입되어 높이가 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휠체어측연결부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은 볼조인트(ball-joint)로 상기 좌우이동축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이동축의 양 끝단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휠체어의 앞바퀴축들에 고정된 휠체어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휠체어폭조절부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와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수평부는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와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는 상기 휠체어연장부와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의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는 완충부연결축, 상기 상하이동축에 고정되는 완충부지지축, 및 일단은 상기 완충부연결축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부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이동축에 고정되는 완충부지지축, 및 일단은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의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부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는 클램프 부위와 완충지지부 사이에 힌지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전거와 휠체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축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축을 통해 연결하고, 상하이동축의 충격을 완충부가 흡수하여,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이 상기 상하이동축에 대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자전거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휠체어로 전달되므로, 자전거와 휠체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곡선을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과 휠체어측연결부는 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므로, 자전거가 넘어지는 등의 비상상황에서 휠체어가 동시에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은 양 끝단의 높이를 달리하여, 자전거와 휠체어의 높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휠체어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휠체어와 자전거의 높이차를 보상해 줄 수 있어,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휠체어폭조절부는 휠체어측연결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자전거와 휠체어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할 수 있고, 휠체어연장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다양한 휠체어 폭에 맞도록 결합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어, 조립의 우수성 및 범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자전거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좌우이동축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서 자전거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부호의 설명
1 : 자전거 10 : 제1 고정부
13 : 제2 고정부 15 : 제3 고정부
16 : 제4 고정부 17 : 고정편
18 : 제5 고정부 20 : 상하이동축
22 : 제1 연결부 23, 123 : 제6 고정부
24, 124 : 제7 고정부 25, 125 : 제3 연결부
28 : 제1 끝단 29 : 제2 끝단
30 : 완충부지지축 31 : 제2 연결부
40, 41 : 완충부 50 : 완충부연결축
60 : 좌우이동축 70 : 휠체어측연결부
80, 180 : 휠체어폭조절부 81, 181 : 연장부
82, 182 : 수평부 90, 190 : 휠체어연장부
191 : 길이 조절부 126 : 손잡이부
1000 :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0)는 제1 고정부(10), 상하이동축(20), 완충부지지축(30), 완충부(40), 완충부연결축(50), 좌우이동축(60), 휠체어측연결부(70), 휠체어폭조절부(80) 및 휠체어연장부(90)를 포함한다. 상기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끝단은 자전거(1)와 연결되며, 다른쪽 끝단은 휠체어(100)와 연결된다. 그리하여, 자전거 탑승자가 상기 자전거(1)를 이동시키면, 상기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에 의해 상기 휠체어(100)도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자전거(1)는 안장부(2), 뒷바퀴(3), 페달(6), 상기 안장부로부터 상기 페달(6)까지 연장된 안장축(4), 및 상기 안장축(4)의 상부에서 상기 뒷바퀴(3)의 중앙부까지 연장된 경사축(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체어(100)는 의자부(110), 상기 의자부의 양 측면에 연결된 손잡이부(130), 앞바퀴부(140), 뒷바퀴부(150), 및 상기 손잡이부(130)로부터 상기 앞바퀴부(140)까지 연장된 휠체어축(12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자전거(1) 및 상기 휠체어(10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 외의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0)도 상기 자전거 및 상기 휠체어의 형태 및 구조에 적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자전거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부(10)는 상기 상하이동축(20)의 일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상기 안장축(4)을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고정부(10)는 상기 안장축(4)과는 클램프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이동축(20)은 상기 제1 고정부(10)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이동축(20)은 전체적으로 상기 자전거(1)의 움직임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자전거(1)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이 상기 휠체어(10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완충부연결축(50)은 상기 경사축(5)의 임의의 위치에 제2 고정부(13)를 통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고정부(13)는 상기 경사축(5) 중, 상기 뒷바퀴(3)의 중앙부와 인접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1 고정부(10)와 동일하게 클램프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 연결축은 상기 제2 고정부(13)에 대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축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연결축(50)은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며,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축(20)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완충부지지축(30)이 상기 상하이동축(20) 상에 고정된다. 상기 완충부지지축(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상하이동축(20)이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상하이동축(20)을 고정한다.
즉, 상기 완충부지지축(30)은 상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고정편들(17)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편들(17) 사이에 상기 상하이동축(2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편들(17) 사이에는 제3 고정부(15)가 위치하여, 상기 상하이동축(15)은 상기 고정편들(17) 사이의 제3 고정부(15)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부지지축(30)이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서로 고정되므로, 상기 상하이동축(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완충부지지축(30)도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된다.
상기 고정편(17)의 끝단에는 상기 완충부(40)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편(17)의 끝단과 상기 완충부(40)는 제4 고정부(16)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40)의 다른 끝단은 앞서 설명한 상기 완충부연결축(50)에 고정된다. 상기 완충부(40)는 외부에는 스프링이 고정되며 내부에는 공압이 채워져 있어,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을 한다.
즉, 상기 완충부(40)는 상기 완충부지지축(30) 및 상기 완충부연결축(50)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완충부지지축(30) 및 상기 완충부연결축(50) 사이에 전다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 경우, 상기 완충부(40)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충격을 주로 흡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부(40)에 의해, 자전거의 상하방향의 진동, 즉 안장축(4)에 가해지는 상하방향의 진동이 상기 상하이동축(20)으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상하이동축(20)의 상하방향의 진동, 및 상기 자전거의 뒷바퀴(3)에 가해지는 상하방향의 진동이 흡수된다. 그리하여, 상기 상하이동축(20)에 직접 전달되는 상하방향의 진동은 최소화되어,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연결된 상기 휠체어(100)로 전달된다.
도 3은 도 1에서 좌우이동축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일단은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연결되며, 반대쪽인 타단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에 연결된다.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상하이동축(20)으로부터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를 향해 비스듬하게 경사진 바(ba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1)의 높이가 휠체어(100) 보다 높으므로, 상기 좌우이동축(60)의 양 끝단의 높이를 달리하여, 이러한 높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다양한 자전거와 휠체어의 높이차를 보상해 주며 휠체어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범용성 및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상하이동축(20)과 제1 연결부(22)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상하이동축(20)에 대하여 상기 제1 연결부(22)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자전거와 휠체어가 곡선 주행시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는 제2 연결부(31)를 통해 연결된다.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서 제2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연결부(31)는 제1 끝단(28) 및 제2 끝단(29)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끝단(28)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끝단(29)은 상기 좌우이동축(60)과 연결된다.
상기 제1 끝단(28)은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별도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지 않고,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상기 제2 연결부(3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상기 제2 끝단(29)은 상기 좌우이동축(6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좌우이동축(60)은 상기 제2 연결부(3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끝단(29)은 예를 들어, 볼조인트(ball-joint)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끝단(29)은, 예를 들어, 5~10도의 범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축(60)이 상기 제2 연결부(31)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상기 자전거(1)가 전복되거나 급격하게 이동하는 등의 긴박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좌우이동축(60)이 상기 제2 연결부(31)에 대하여 회전하여 충격 및 이동을 보상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휠체어(100)에 충격 및 이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상기 자전거(1)의 전복이나 급격한 움직임이 있더라도, 상기 휠체어(100)가 동시에 전복되거나 급격하게 움직이지 않게 되어, 상기 휠체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이동축(60)과 연결된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는 상기 휠체어폭조절부(80)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90)와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100)와 상기 자전거(1)가 서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휠체어(100)는 다양한 종류 및 크기로 제작되며, 사용자의 체구나 장애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제작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상기 휠체어(100)의 뒷바퀴부들(150) 사이의 폭도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폭의 휠체어에 모두 연결이 가능하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체어폭조절부(80)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90)가 전체 결합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된다.
우선, 상기 휠체어연장부(90)는, 휠체어(100)의 앞바퀴부(140)로부터 연장된 앞바퀴축(141)에 일 끝단이 고정된다. 즉, 상기 휠체어연장부(90)는 상기 앞바퀴축(141)과 제3 연결부(25)를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결부(25)는, 예를 들어, 클램프일 수 있다.
상기 휠체어연장부(90)는 한 쌍의 앞바퀴축(141)과 연결되어 한 쌍의 앞바퀴축(141)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지만, 중앙부가 서로 연결되지는 않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하여, 후술할 상기 휠체어폭조절부(80)와의 연결을 통해 휠체어 폭에 맞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휠체어폭조절부(80)는 연장부(81) 및 수평부(82)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81) 및 상기 수평부(82)는 'ㅗ'자 형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81)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제6 고정부(2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는 상기 연장부(81)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6 고정부(23)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81)를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 내부로 삽입하는 길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휠체어(100)와 상기 자전거(1)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부(82)는 상기 휠체어연장부(90)와, 상기 수평부(82)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90) 전체의 길이가 변화되도록 제7 고정부(24)를 통해 서로 고정된다. 즉, 상기 휠체어연장부(90)의 중앙의 이격부를 통해 상기 수평부(82)가 위치한 후, 상기 휠체어연장부(90)가 상기 수평부(8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7 고정부(24)를 통해 상기 휠체어연장부(90) 및 상기 수평부(82)가 서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휠체어연장부(90)가 상기 수평부(82)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휠체어(100)의 폭에 맞도록 상기 휠체어연장부(90) 및 상기 수평부(82)를 서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서 자전거와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100)에서는 상기 완충부연결축(50)이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0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1100)에서는, 완충부(41)의 일 끝단은 상기 고정편(17)과 상기 제4 고정부(16)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완충부(41)의 다른 끝단은 상기 제2 고정부(13)에 의해 상기 경사축(5)에 직접 고정된다. 그리하여, 별도의 완충부연결축(50)이 생략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상기 상하이동축(20)의 상하방향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부(41)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와의 연결부는 도 5에서 설명한 휠체어와의 연결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휠체어와의 연결부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휠체어와의 연결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는 휠체어폭조절부(180) 및 휠체어연장부(190)와 추가로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100)와 상기 자전거(1)가 서로 연결된다.
한편, 도 7에서는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의 끝단이 휘어져 상부로 연장되지 않고 일자로 연장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상기 휠체어(100)의 뒷바퀴부들(150)의 구조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며, 도 5에서와 같이 끝단이 휘어져 상부로 연장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뒷바퀴부들(150) 사이의 폭의 변화에 따라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휠체어폭조절부(180)는 길이조절부(191)를 매개로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와 결합된다. 즉, 제7 고정부(124)는 상기 길이조절부(191)에 형성된 홈과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으로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폭조절부(180)는 연장부(181) 및 수평부(182)를 포함하며, 'ㅗ'자 형상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장부(181)는 제6 고정부(123)를 통해 상기 휠체어측연결부(70)와 길이가 변하도록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82)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와 상기 길이조절부(19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7 고정부(124)를 통해 길이가 변하도록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휠체어연장부(190)의 양 끝단에 고정된 제3 연결부(125)에 손잡이부(126)가 고정된 연결부재가 고정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126)는 일반적인 나사형태의 고정부와 달리 손잡이가 용이하도록 연장된 부분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대적으로 동작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의 사용자가 상기 휠체어연장부(190)를 상기 휠체어(100)에 고정하는 경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전거와 휠체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하이동축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동축을 통해 연결하고, 상하이동축의 충격을 완충부가 흡수하여,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이 상기 상하이동축에 대하여 좌우 회전이 가능하므로, 자전거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휠체어로 전달되므로, 자전거와 휠체어가 보다 안정적으로 곡선을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과 휠체어측연결부는 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볼조인트를 통해 연결되므로, 자전거가 넘어지는 등의 비상상황에서 휠체어가 동시에 넘어지지 않도록 하여,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은 양 끝단의 높이를 달리하여, 자전거와 휠체어의 높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축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휠체어 앞바퀴를 들어올리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휠체어와 자전거의 높이차를 보상해 줄 수 있어, 휠체어 탑승자의 편의성 및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휠체어폭조절부는 휠체어측연결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자전거와 휠체어 사이의 간격을 다르게 할 수 있고, 휠체어연장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다양한 휠체어 폭에 맞도록 결합 길이를 다르게 할 수 있어, 조립의 우수성 및 범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는 자전거와 휠체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13)

  1. 자전거의 안장부와 페달을 연결하는 안장축에 연결되는 상하이동축;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
    상기 상하이동축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좌우이동축;
    휠체어의 아래 부분에서 휠체어 폭을 고려하여 연결되는 휠체어폭조절부; 및
    일단은 상기 좌우이동축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휠체어폭조절부에 연결되는 휠체어측연결부를 포함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축은 상기 안장축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상하이동축은 제1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축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좌우이동축은 상기 상하이동축과 연결되는 전단부 및 상기 휠체어 연장부와 연결되는 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로 상기 후단부가 삽입되어 높이가 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휠체어측연결부는 제2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좌우이동축과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의 일단은 볼조인트(ball-joint)로 상기 좌우이동축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축의 양 끝단의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휠체어의 앞바퀴축들에 고정된 휠체어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폭조절부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및
    상기 휠체어연장부와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수평부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휠체어측연결부와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는 상기 휠체어연장부와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의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는 완충부연결축;
    상기 상하이동축에 고정되는 완충부지지축; 및
    일단은 상기 완충부연결축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부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축에 고정되는 완충부지지축; 및
    일단은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의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완충부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축의 움직임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축과 자전거의 뒷바퀴 중앙을 연결하는 경사축에 연결되는 클램프 부위와 완충지지부 사이에 힌지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휠체어 도킹장치.
PCT/KR2013/003708 2013-03-08 2013-04-30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WO20141370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760 2013-03-08
KR1020130024760A KR101339077B1 (ko) 2013-03-08 2013-03-08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7028A1 true WO2014137028A1 (ko) 2014-09-12

Family

ID=4998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3708 WO2014137028A1 (ko) 2013-03-08 2013-04-30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9077B1 (ko)
WO (1) WO201413702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3754A (ja) * 2015-07-06 2017-01-19 株式会社中條 カート
US9896147B2 (en) 2016-02-03 2018-02-20 Quan Pham Three wheeled velocipede
US11142278B2 (en) * 2018-09-01 2021-10-12 Matthijs van Leeuwen Tow arm assembly to detachably attach a trailer to a bicy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693B1 (ko) * 2014-05-19 2016-04-12 김창래 자전거 연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750A (ja) * 1995-08-18 1997-03-04 Yoshitaka Sanai 患者が乗っている車椅子を路上移送する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連結具。
WO2002064074A1 (en) * 2001-02-12 2002-08-22 Pdq Mobility Limited Wheelchair mobility unit
JP2011177475A (ja) * 2010-03-01 2011-09-15 Nobuhiro Aoki 車椅子ごと患者を移動させる三輪自転車
JP2012056363A (ja) * 2010-09-06 2012-03-22 Hideaki Nakamura 車椅子と自転車の連結装置
KR20120028768A (ko) * 2010-09-15 2012-03-23 모터웰 주식회사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750A (ja) * 1995-08-18 1997-03-04 Yoshitaka Sanai 患者が乗っている車椅子を路上移送する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連結具。
WO2002064074A1 (en) * 2001-02-12 2002-08-22 Pdq Mobility Limited Wheelchair mobility unit
JP2011177475A (ja) * 2010-03-01 2011-09-15 Nobuhiro Aoki 車椅子ごと患者を移動させる三輪自転車
JP2012056363A (ja) * 2010-09-06 2012-03-22 Hideaki Nakamura 車椅子と自転車の連結装置
KR20120028768A (ko) * 2010-09-15 2012-03-23 모터웰 주식회사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3754A (ja) * 2015-07-06 2017-01-19 株式会社中條 カート
US9896147B2 (en) 2016-02-03 2018-02-20 Quan Pham Three wheeled velocipede
US11142278B2 (en) * 2018-09-01 2021-10-12 Matthijs van Leeuwen Tow arm assembly to detachably attach a trailer to a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077B1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5028A1 (ko)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WO2014137028A1 (ko) 자전거-휠체어 도킹 장치
WO2011099717A2 (ko) 접철식 자전거
WO2014148721A1 (ko) 주행중 앉은 자세로 자전거의 안장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
WO2010147310A2 (ko) 수동 주행기구
WO2011102671A2 (ko) 팔운동을 병행하는 헬스 자전거
WO2017023145A1 (ko) 후방 조향 장치가 구비된 전동차
WO2017007114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11059155A1 (ko) 자전거의 안장 또는 조향핸들 높낮이 조절장치
WO2012118263A1 (en) Walking assistance system
WO2020256352A1 (ko) 무동력 차체용 구동유닛을 구비한 탑승장치
WO2009145599A2 (ko) 휴대용 자전거
WO2021256666A1 (ko) 틸팅 자동차의 앞 섀시 시스템
WO2017047874A1 (ko) 손가락 운동장치
WO2023090660A1 (ko) 사륜형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WO2017007135A1 (ko)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WO2018093039A2 (ko) 다양한 상지재활 훈련모드를 위한 댐핑 조절식 견관절 추종 장치
WO2021107324A1 (ko) 수직정렬 보조휠을 구비한 모터사이클용 랜딩장치
WO2021133146A1 (ko) 차량용 현가암
WO2014104572A1 (ko) 이륜차용 보조바퀴장치
KR100931524B1 (ko) 삼륜 자전거
WO2015167170A1 (ko) 랜딩 기어
WO2018066758A1 (ko) 원활한 균형유지를 위해 다축 연결체를 구비하는 운반기구
WO2016047978A1 (ko) 자전거 운동기구
WO2018194322A1 (ko) 스쿼트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768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768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