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07135A1 -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07135A1
WO2017007135A1 PCT/KR2016/006024 KR2016006024W WO2017007135A1 WO 2017007135 A1 WO2017007135 A1 WO 2017007135A1 KR 2016006024 W KR2016006024 W KR 2016006024W WO 2017007135 A1 WO2017007135 A1 WO 20170071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andle
elderly
mounting
walking aid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60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이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희 filed Critical 이환희
Publication of WO20170071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071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for helping the elderly to walk safely with inconvenient legs,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Habakjak cradle so that the weight of the elderly and walking disabled using the walking aid can be widely distributed It relates to a walking aid having a low bed cradle that the elderly can use more conveniently.
  • walking aids are assistive devices that help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or those with disabilities to walk relatively safely.
  • a walking aid is a chair for seating, a walking brake, a braking brake, and a storage basket to store necessary belongings.
  • Various developments have been made, such as having a convenient device.
  • the existing gait aids are uncomfortable because there is no personalized adjustment function that can be adjusted to fit the body shape and walking habits of the elderly or pedestrians with disabilities, and there is no place to rely on weight when walking hand, wrist and Since a lot of power is entered into the wais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fatigue is easily felt when walking.
  • the present applicant is provided with a Habakkudae stand so as to disperse the user's weight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07223, and can be adjusted to the personalized and walking habits of the elderly and pedestrians with fine personalized walking aids It has been disclosed.
  • the walker according to the Patent No. 10-1307223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due to the additional adjustment device and the lower base stand for the personalized type, in particular, the weakness of the elderly and the walking ability of the machi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disabled to finely adjust to fit their body.
  • Patent Document 1 KR20-0456241 Y1
  • Patent Document 2 KR10-0817723 B1
  • Patent Document 3 KR10-0821641 B1
  • Patent Document 4 KR10-12224361 B1
  • Patent Document 5 KR10-2012-0131884 A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provided with a low bed cradle that can rely on the weight of the elderly and pedestrians with a wide range of disability, while simplifying the function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and lower the bed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which is easy to install.
  •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personalized adjustment function that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dle and the like personalized to fit the body shape and walking habits of the elderly and pedestrians with a disability, so that anyone can easily adjust the adjustment function so that anyone can easily adjust the adjustment function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which is equipped with a Habakgak cradl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with a low bed cradle to rest comfortably and secured by using the seat provided in the walking aid by fixing the walking aid so as not to move when the body is inconvenient while using the walking aid.
  • the purpose is to provide.
  • the lower frame is mounted wheel for driving;
  • a pair of upper frames form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mount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frame; Habakjadae mounted on the upper frame so as to depend on the weight of the user;
  • a pair of mounting member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to perform a steering wheel function, and the lower supporter is integrally formed;
  • a brake lever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to operate the braking member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such that the wheels do not rotate.
  • the mounting member has a lower end crab mounting portion is formed, the rear end is installed the lower bed cradle, the mi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the front end width To form a handle portion that is bent inwardly to handle th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handle bar mounting bar bent in a "-" shape.
  • the mounting member is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lower bed cradle mounting portion is installed the lower bed cradle, the front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xed hole handle distance adjustment unit
  • the mounting rod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mi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bent to form a "b" shape to form a handle portion on one side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mounting rod, but the mounting rod
  • the handle bar is install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o,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handle portion is determin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position adjusting member for fixing the handle bar so as not to mov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handle portion .
  • the handle position adjusting member is to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andle bar and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handle bar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handle bar does not move.
  • the fixing p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or mounting rod by a connecting strap.
  • the handle position adjustment member, the fixed ball is installed to be accessible 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handle bar, and is inserted into the handle bar fixed to the fixed An elastic stopper made of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all.
  • a circular rotary hook through which the mounting member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bed cradle, and the moun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bottom side and shakes from side to side.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so that the separation is prevented without being formed in the open hook is not clogg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Habakdae cradle can rotate around the circular rotating hook.
  • the moun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mber of the cylindrical shape to be firmly coupled to the circular rotary hook or open hook.
  • the brake member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frame hinged to move the brake lever in the braking direction of the brake shoes or brake pads of the front wheel
  • the wheel is fixed so that the wheel does not rotate, and when the brake lever is moved in the parking direction, the rear end contacts the wheel to fix the wheel so that the wheel does not rotate.
  • the walking aid for the elderly with a low bed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its structure, not only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but also to easily operate a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thereby making it easier for the elderly and walking disabled. There is.
  • the walking aid for the elderly with a lower cradle since the lower cradle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mounting member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 the mounting member is divided into a cradle rod and a handle rod coupled to the lower cradle and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dle rod through the handle position adjusting member.
  • the user can optimiz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bar in consideration of his or her body shape or walking habits.
  • the brake lever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parking stopper together with the hand brake function, so that the walking aid does not move while sitting and resting on the seat while rest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take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king aid for the elderly with a lower bed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mounting member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alking aid for the elderly with a low bed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mounting member that is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handle position adjusting member that is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handle position adjusting member that is the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lower base stand that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upling form of the lower base cradle and the mounting means.
  • FIG. 9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of the Habakkudae,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surrounding of the brake member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er frame 11 is mounted wheel (11 ') for driving;
  • a pair of upper frames 12 forme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and mount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frame 11;
  • a lower stand 13 attached to the upper frame 12 so as to rely on the weight of the user;
  • a seat 14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frame to allow the user to sit and relax;
  • a storage basket 15 provided in the lower frame and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to contain belongings;
  • a pair of mounting members 2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2 to perform a handle function, and the lower supporter 13 is integrally formed;
  • a brake lever 26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20 to operate the braking member 28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11 so that the wheel 11 'does not rotate.
  • the front end portion may be formed of a handle-compatible mounting rod 21 that is bent in a "-" shape to form a handle portion 21b that is bent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to serve as a handle.
  • the user can run the walking aid while holding the handle portion 21b of the handle combined rod 21, the lower base mount 13 is installed on the rear end of the handle combined rod 21.
  • the walking aid By placing Habakkuk you can use the walking aid in a comfortable state.
  • the mounting member 20 is formed with a lower mounting bracket 22a on which the lower mounting bracket 13 is installed at a rear end thereof, and the front e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holes 22 '.
  • a handle distance adjusting part 22b and the mounting rod 22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mi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frame 12, and one side is bent in a "b" shape
  • Handle bar 23a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portion 23b of the mounting rod 22, the handle rod 23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rod 22 to move back and forth, and the
  • the position of the handle portion 23a is determined to include a handle position adjusting member for fixing the handle bar 23 so as not to mov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12 and the handle portion 23a. Can be.
  • the handle portion 23a is provided.
  • the position of the user can be adjusted directly. Therefore, the user can use the optimized state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andle portion 23a in a form suitable for him.
  • the handle position adjusting member simultaneously penetrates the coupling hole 23c formed in the handle bar 23 and the fixing hole 22 'formed in the mounting rod 22 to simultaneously handle the handle bar 23.
  • a fixing pin 24 for fixing it to not move. Accordingly, when the fixing pin 24 is pulled out, the handle bar 23 can be moved or rot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fter the position of the handle bar 23 is determined, the fixing pin 24 is mounted. The handle bar 23 is fixed so as not to move by being inserted through the fixing hole 22 ′ of the rod 22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3 c of the handle bar 23.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fixing pin 24,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fixing pin 24 to the upper frame 12 or the mounting rod 22 using a connecting string (not shown).
  • the fixing ball (25a) is installed to be accessible to the engaging hole (23c) formed in the handle bar 23 and is inserted into the handle bar (23)
  • An elastic stopper 25 made of an elastic member 25b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xing ball 25a may be used.
  • the handle bar 23 can be moved back and forth or rotated, but after the position of the handle bar 23 is determined, the handle When the rod 23 is rotated, the fixing ball 25a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hole 23c by the elastic member 25b, and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2 'of the mounting rod 22.
  • the handle bar 23 is fixed so as not to move.
  • the lower base 13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member 20, as shown in Figure 7 to 9, rotatably coupled to any one of the mounting member 20 and detachable to the other It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 a circular rotary hook 13a through which the mounting member 20 is insert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tand 13, and the mounting member 20 is inserted at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but is not separated from side to side.
  • An open hook 13b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rtition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Accordingly, the lower gourd stand 13 is one side is separated from the open hook (13b) to be able to rotate around the circular rotating hook (13a).
  • the mounting member 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ylindrical coupling hole 27 to be firmly coupled to the circular rotating hook (13a) or open hook (13b).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lar rotary hook 13a and the partition of the open hook 13b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ounting member 20 to facilitate the circular rotary hook 13a and the open hook 13b.
  • the coupling member 27 having the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lar rotating hook 13a and the partition of the open hook 13b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member 20.
  • the mounting member 20 is firmly fixed to the circular rotating hook and the open hook by inserting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coupling sphere 27 between the partitions of the circular hanging hook 13a or the open hanging hook 13b.
  • the cradle 13 is to be fixed so as not to move.
  • the brake member 28 when the brake member 28 is hing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ower frame 11 to move the brake lever 26 in the braking direction, the brake shoe or the brake pad of the front end portion 28a is wheel 11 '. ) And the wheels 11 'are fixed so as not to rotate, and when the brake lever 26 is moved in the parking direction, the rear end 28b contacts the wheels 11' and the wheels 11 'are rotated. Fix it so as not to.
  • the brake lever 26 when the walking aid is traveling, the brake lever 26 is placed in the neutral state so that the brake member 28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wheel 11 ', and the brake lever 26 is braked during braking.
  • Direction that is, pulling towards the handle, causes the braking member 28 to rotate and contact the wheel 11 '.
  • the brake lever 26 since the wheel 11 'is stopped without rotating, the brake lever 26 performs the hand brake function. In this case, braking is applied only while the brake lever 26 is continuously held, and the brake member 28 connected through the brake lever 26 and the brake cable 26 'while the brake lever 26 is being pulled and held.
  • the brake shoe or the brake pad provided at the tip portion 28a of the brake is strongly maintained because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heel.
  • the brake lever 26 is moved to a neutral state, and the brake shoe or brake pad of the brake member 28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heel 11 '.
  • the wheel 11 ' is freely rotated while being held.
  • the brake lever 26 when sitting on the seat 14 of the walking aid, the brake lever 26 is pushed to the parking direction, that is, to the lower end in the middle neutral state, and a jam occurs, which causes the wheel 11 'to brake and the wheel 11 Since ') does not move, the brake lever 26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parking stopper. That is, when the brake lever 26 is pushed downward to the end, the brake lever 26 is fixed, and the rear end 28b of the brake member 28 connected to the brake lever 26 by a cable 26 'is wheeled. It is locked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closely adhered t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가 불편한 노약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용자인 노약자와 보행장애인의 체중을 넓게 분산시켜 의지할 수 있도록 하박거치대를 구비하여 노약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하박거치대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을 위한 바퀴(11')가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1)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2)과; 사용자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에 장착되는 하박거치대(13)와;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핸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일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20)와; 상기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제동부재(28)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부재(2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본 발명은 다리가 불편한 노약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노약자와 보행장애인의 체중을 넓게 분산시켜 의지할 수 있도록 하박거치대를 구비하여 노약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하박거치대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보조기는 보행이 불편한 노약자들이나 다리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비교적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기구로서, 보행중 착좌를 위한 의자나 보행 안전을 위한 제동 브레이크 및 필요한 소지품을 담을 수 있는 수납바구니와 같은 편의 장치를 구비하는 등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보행보조기에 부가되는 각종 편의장치가 다수 개발되는 것에 비해 보행보조기 자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보행보조기는 그 사용자인 노약자나 보행장애인들 개개인의 체형과 보행습관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개인 맞춤조절기능이 없어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보행시 체중을 의지할 곳이 없어 손과 손목 그리고 허리 등에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므로 보행시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307223호에서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박거치대를 구비하며, 노약자 및 보행장애인 개개인의 체형과 보행습관에 알맞게 세밀하게 개인맞춤형으로 조절이 가능한 보행보조기를 개시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10-1307223호에 의한 보행기는 개인맞춤형을 위한 세부 조절장치들과 하박거치대가 추가로 구비됨으로 해서 제조 비용이 많이 상승하는 단점과, 특히 기계장치의 사용능력이 떨어지는 노약자 및 보행 장애인들이 자신의 신체에 딱 맞도록 세밀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행보조기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다음의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은 모두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KR20-0456241 Y1
(특허문헌 2) KR10-0817723 B1
(특허문헌 3) KR10-0821641 B1
(특허문헌 4) KR10-12224361 B1
(특허문헌 5) KR10-2012-0131884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노약자와 보행장애인의 체중을 넓게 분산시켜 의지할 수 있는 하박거치대를 구비하되 그 기능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낮춤과 아울러 하박거치대의 설치가 용이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노약자 및 보행장애인 개개인의 체형과 보행습관에 알맞게 개인맞춤형으로 핸들의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맞춤조절 기능을 구비하되 누구나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기능을 단순화하여 누구라도 조절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를 이용하여 이용하는 도중에 몸이 불편한 경우에는 보행보조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보행보조기에 구비된 좌대를 이용하여 편안하고 안전하게 쉴 수 있도록 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을 위한 바퀴가 장착되는 하부프레임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과; 사용자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하박거치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핸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박거치대가 일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와; 상기 바퀴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제동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부재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는 후단부가 상기 하박거치대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이 연결되며, 선단부는 폭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핸들부를 형성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된 핸들겸용 거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는 후단부에 상기 하박거치대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가 형성되고 선단부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핸들거리조절부를 구성하며 중간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거치봉과,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되어 일측은 핸들부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거치봉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되 상기 거치봉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봉과, 상기 핸들부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핸들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상부프레임과 핸들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위치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핸들봉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핸들봉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핸들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은 연결끈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거치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핸들봉에 형성된 결합홀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볼과, 상기 핸들봉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탄성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하박거치대의 저면 일측에 상기 거치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원형회전걸개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거치부재가 삽입되되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칸막이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가 막히지 않은 오픈걸개가 형성되어, 상기 하박거치대가 상기 원형회전걸개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에는 상기 원형회전걸개 또는 오픈걸개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결합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중간 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제동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선단부의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에 접촉되어 바퀴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주차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후단부가 바퀴에 접촉되어 바퀴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기능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어 노약자 및 보행장애인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하박거치대가 상부프레임에 연결된 거치부재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거치부재가 하박거치대가 결합되고 상부프레임에 연결된 거치봉과 핸들봉으로 분할 형성되고 핸들위치 조절부재를 통해 핸들봉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이나 보행 습관 등을 고려하여 핸들봉의 위치를 조절하여 최적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브레이크 레버가 핸드 브레이크 기능과 함께 주차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동 중 좌대에 앉아서 쉬는 동안 보행보조기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안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거치부재의 일례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거치부재의 다른 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핸들위치 조절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핸들위치 조절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하박거치대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하박거치대와 거치수단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하박거치대의 회전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동부재 주변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는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을 위한 바퀴(11')가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1)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2)과; 사용자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에 장착되는 하박거치대(13)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쉴 수 있도록 하는 좌대(14)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소지품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수납바구니(15)와;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핸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일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20)와; 상기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제동부재(28)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부재(2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20)는 도 2와 같이, 후단부가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21a)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이 연결되며, 선단부는 폭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핸들부(21b)를 형성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된 핸들겸용 거치봉(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핸들겸용 거치봉(21)의 핸들부(21b)를 잡은 상태로 보행보조기를 주행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핸들겸용 거치봉(21)의 후단부에 설치된 하박거치대(13)에 하박을 위치시켜 편안한 상태로 보행보조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부재(20)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에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22a)가 형성되고 선단부는 복수의 고정홀(22')이 형성된 핸들거리조절부(22b)를 구성하며 중간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거치봉(22)과,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되어 일측은 핸들부(23a)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거치봉(22)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3b)를 형성하되 상기 거치봉(22)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봉(23)과, 상기 핸들부(23a)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과 핸들부(23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위치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를 거치봉(22)과 핸들봉(23)으로 분할 형성한 후, 핸들봉(23)의 결합 위치를 핸들위치 조절부재로 조절하게 되면, 핸들부(23a)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형태로 핸들부(23a)의 위치를 조절하여 최적화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도 5와 같이, 상기 핸들봉(23)에 형성되는 결합홀(23c)과 상기 거치봉(22)에 형성되는 고정홀(22')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핀(24)을 뺄 경우에는 상기 핸들봉(23)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핸들봉(23)의 위치가 결정된 후 상기 고정핀(24)을 거치봉(22)의 고정홀(22')을 통해 삽입하여 핸들봉(23)의 관통홀(23c)에까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핀(24)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끈(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핀(24)을 상기 상부프레임(12) 또는 거치봉(22)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로는 도 6과 같이, 상기 핸들봉(23)에 형성된 결합홀(23c)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볼(25a)과, 상기 핸들봉(23)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25a)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5b)로 이루어진 탄성 스토퍼(25)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볼(25a)을 눌러 고정볼이 결합홀의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핸들봉(23)을 전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핸들봉(23)의 위치가 결정된 후 상기 핸들봉(23)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볼(25a)이 탄성부재(25b)에 의해 상기 결합홀(23c)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상기 거치봉(22)의 고정홀(22')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박거치대(13)는 거치부재(20)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박거치대(13)의 저면 일측에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 관통되는 원형회전걸개(13a)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되되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칸막이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가 막히지 않은 오픈걸개(13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박거치대(13)는 일측이 상기 오픈걸개로(13b)부터 분리되어 상기 원형회전걸개(13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20)에는 상기 원형회전걸개(13a) 또는 오픈걸개(13b)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결합구(2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원형회전걸개(13a)의 내경과 상기 오픈걸개(13b)의 칸막이 사이의 거리를 상기 거치부재(20)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원형회전걸개(13a) 및 오픈걸개(13b)에 쉽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거치부재(20)에 상기 원형회전걸개(13a)의 내경과 상기 오픈걸개(13b)의 칸막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상기 결합구(27)를 설치하고 이 결합구(27)가 설치된 부분이 상기 원형회전걸개(13a) 또는 상기 오픈걸개(13b)의 칸막이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20)가 원형회전걸개 및 오픈걸개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동부재(28)는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중간 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제동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선단부(28a)의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11')에 접촉되어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주차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후단부(28b)가 바퀴(11')에 접촉되어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보행보조기가 주행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레버(26)를 중간의 중립 상태에 둠으로써 제동부재(28)가 바퀴(11')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레버(26)를 제동 방향, 즉 핸들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동부재(28)가 회전하여 바퀴(11')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바퀴(11')가 회전하지 않고 멈추게 되므로, 브레이크 레버(26)가 핸드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계속 잡고 있는 동안에만 제동이 걸리게 되는데, 브레이크 레버(26)를 당기는 잡고 있는 동안에는 브레이크 레버(26)와 브레이크 케이블(26')을 통해 연결된 제동부재(28)의 선단부(28a)에 구비된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에 강하게 밀착하게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제동이 걸리게 된다. 이후, 손으로 잡은 브레이크 레버(26)를 놓게 되면 브레이크 레버(26)가 중립 상태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동부재(28)의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원위치로 돌아가 바퀴(1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로 바퀴(11')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이때, 제동부재(28)의 브레이크 슈 혹은 브레이크 패드에 스프링장치를 추가하여 브레이크의 제동에 필요한 힘을 줄이고 탄성에 의한 제동력을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행보조기의 좌대(14)에 앉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중간의 중립 상태에서 주차 방향, 즉 아래쪽으로 끝까지 밀면 걸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바퀴(11')에 제동이 걸려 바퀴(11')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브레이크 레버(26)가 주차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아래쪽으로 끝까지 밀게 되면 브레이크 레버(26)가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26)에 케이블(26')로 연결된 제동부재(28)의 후단부(28b)가 바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잠금상태(locking)가 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26)에서 손을 놓더라도 바퀴(11')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좌대(14)에 앉아 있더라도 보행보조기가 앞뒤로 밀리지 않아 안전하게 앉아 쉴 수 있게 된다. 물론, 다시 주행 시에는 브레이크 레버(26)를 앞으로 당겨 중립 상태로 원위치시키면 걸림이 풀리고 주차 스토퍼 기능이 해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1...하부프레임
11'...바퀴
12...상부프레임
13...하박거치대
14...좌대
15...수납바구니
20...거치부재
21...핸들겸용 거치봉
21a...하박거치대 설치부
21b...핸들부
22...거치봉
22'...고정홀
22a...하박거치대 설치부
22b...핸들거리 조절부
23...핸들봉
23a...핸들부
23b...삽입부
23c...결합홀
24...고정핀
25...탄성 스토퍼
25a...고정볼
25b...탄성부재
26...브레이크 레버
26'...브레이크 케이블
27...결합구
28...제동부재
28a...선단부
28b...후단부

Claims (9)

  1. 주행을 위한 바퀴(11')가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1)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2)과;
    사용자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에 장착되는 하박거치대(13)와;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핸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일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20)와;
    상기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제동부재(28)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부재(2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26);를 포함하며,
    상기 하박거치대(13)의 저면 일측에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 관통되는 원형회전걸개(13a)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되되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칸막이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가 막히지 않은 오픈걸개(13b)가 형성되어,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상기 원형회전걸개(13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0)는 후단부가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21a)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이 연결되며, 선단부는 폭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핸들부(21b)를 형성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된 핸들겸용 거치봉(2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0)는 후단부에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22a)가 형성되고 선단부는 복수의 고정홀(22')이 형성된 핸들거리조절부(22b)를 구성하며 중간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거치봉(22)과,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되어 일측은 핸들부(23a)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거치봉(22)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3b)를 형성하되 상기 거치봉(22)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봉(23)과, 상기 핸들부(23a)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과 핸들부(23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위치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핸들봉(23)에 형성되는 결합홀(23c)과 상기 거치봉(22)에 형성되는 고정홀(22')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24)은 연결끈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12) 또는 거치봉(2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핸들봉(23)에 형성된 결합홀(23c)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볼(25a)과, 상기 핸들봉(23)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25a)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5b)로 이루어진 탄성 스토퍼(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박거치대(13)의 저면 일측에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 관통되는 원형회전걸개(13a)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되되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칸막이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가 막히지 않은 오픈걸개(13b)가 형성되어,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상기 원형회전걸개(13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0)에는 상기 원형회전걸개(13a) 또는 오픈걸개(13b)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결합구(27)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9.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28)는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중간 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제동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선단부(28a)의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11')에 접촉되어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주차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후단부(28b)가 바퀴(11')에 접촉되어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PCT/KR2016/006024 2015-07-06 2016-06-08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WO201700713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651A KR101654843B1 (ko) 2015-07-06 2015-07-06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KR10-2015-0095651 2015-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7135A1 true WO2017007135A1 (ko) 2017-01-12

Family

ID=5694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6024 WO2017007135A1 (ko) 2015-07-06 2016-06-08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4843B1 (ko)
WO (1) WO20170071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9563A (zh) * 2019-06-21 2019-09-27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防跌助行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030B1 (ko) 2017-12-26 2019-11-04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EP3524217B1 (en) * 2018-02-13 2021-11-17 LG Electronics Inc. Adaptive assistive and/or rehabilitative device and system
WO2019160205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핸들 구조를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KR102506950B1 (ko) 2020-06-23 2023-03-06 장병성 노약자용 보행 보조장치
KR102479107B1 (ko) 2020-10-26 2022-12-19 이재완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9877A (ja) * 2004-10-12 2006-04-27 Iura Co Ltd 歩行器
KR20080020866A (ko) * 2006-09-01 2008-03-06 김덕영 보조보행기
US7866677B1 (en) * 2009-10-27 2011-01-11 Polly Rothstein Rollator having a user-adjustable track width
KR20130057598A (ko) * 2011-11-24 2013-06-03 한상윤 자동속도 제어형 보행기
KR101307223B1 (ko) * 2013-02-04 2013-09-16 이환희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0112B2 (ja) 2005-06-30 2010-09-08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歩行補助器
KR100817723B1 (ko) 2006-11-01 2008-03-27 이두원 보행보조기
KR100821641B1 (ko) 2007-06-29 2008-04-1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KR200456241Y1 (ko) 2009-05-08 2011-10-20 이기백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KR101278720B1 (ko) 2011-05-26 2013-06-25 백금순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9877A (ja) * 2004-10-12 2006-04-27 Iura Co Ltd 歩行器
KR20080020866A (ko) * 2006-09-01 2008-03-06 김덕영 보조보행기
US7866677B1 (en) * 2009-10-27 2011-01-11 Polly Rothstein Rollator having a user-adjustable track width
KR20130057598A (ko) * 2011-11-24 2013-06-03 한상윤 자동속도 제어형 보행기
KR101307223B1 (ko) * 2013-02-04 2013-09-16 이환희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9563A (zh) * 2019-06-21 2019-09-27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防跌助行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843B1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07135A1 (ko)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WO2015064905A1 (ko) 카시트용 발받침
WO2015111810A1 (ko) 카트 및 이에 적용되는 바퀴 제어 시스템
US20070251560A1 (en) Orthopedic knee crutch
WO2017119544A1 (ko) 짐 볼 케이스
WO2019132108A1 (ko)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WO2017150783A1 (ko) 변기용 발판
CN105853156A (zh) 康复助行器
WO2021002638A1 (ko) 보행보조기
US9113757B2 (en) Toilet and support bars for the disabled
WO2017146285A1 (ko) 미끄럼방지와 선택적으로 무게조절이 가능한 밸런스보드
WO2016006808A1 (ko) 보행기 및 의자로도 사용되는 트랜스포머 지팡이
WO2016032073A1 (ko) 간이휠체어 겸용 성인보행기
WO2011136566A2 (ko)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WO2019117481A1 (ko) 킥보드 장치
WO2016003125A1 (ko) 보행 보조기
WO2012138206A2 (ko) 다리스트레칭 운동기구
CN208641212U (zh) 一种助行器
KR101339602B1 (ko) 목발 및 지팡이 거치가 가능한 발받이를 구비한 휠체어
WO2017073980A1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 방지 겨드랑이 지지대
WO2017111193A1 (ko) 관절 재활치료기
WO2018199532A1 (ko) 유소년용 카시트 장치의 발 받침 조립체
WO2018084389A1 (ko) 기울기 조절 및 다리 운동이 가능한 발판
WO2014025181A1 (ko) 다리 보조기구
WO2021015476A1 (ko) 목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215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5/03/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215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