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720B1 -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720B1
KR101278720B1 KR1020110050362A KR20110050362A KR101278720B1 KR 101278720 B1 KR101278720 B1 KR 101278720B1 KR 1020110050362 A KR1020110050362 A KR 1020110050362A KR 20110050362 A KR20110050362 A KR 20110050362A KR 101278720 B1 KR101278720 B1 KR 10127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frame
main frame
chair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884A (ko
Inventor
이건호
백금순
Original Assignee
백금순
이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금순, 이건호 filed Critical 백금순
Priority to KR1020110050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72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파이프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상측에서 상기 주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과, 상기 의자의 하부에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자를 지지하는 제2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과 인접되게 상기 의자의 하부에서 상기 주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일단이 일측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중심에서 연장된 중심축의 일측에 외주연이 결합되고, 상기 주프레임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관; 상기 슬라이드관의 상부에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주프레임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밀착되고 상기 주프레임이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조절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나사를 회전하여 상기 조절나사와 상기 슬라이드관의 상부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바퀴는 상기 중심축의 상하부에 대칭되어 형성되되, 상기 바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절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WALKING FRAME WITH BRAKE}
본 발명은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세가 많은 노인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로 하여금 보행 보조기의 지지프레임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보행보조기를 밀면서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바퀴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세가 많은 노인들이나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혼자서 걷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보행을 보조하는 보조기구로는 지팡이와 보행기가 있다. 지팡이는 통상적으로 소정 각도로 굴절된 막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보행기는 일정 높이 상방으로 연장된 프레임의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고, 프레임의 상부에는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보행자가 손잡이를 잡고 프레임에 의지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사용할 때 후방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보행보조기를 어느 정도 들어올린 상태에서 앞으로 밀어야 전륜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전진하지만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와 장애인의 경우에는 후방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로 밀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후방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아 실외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방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사용함으로써 힘이 많이 들고, 방향을 전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사가 있는 길을 내려갈 경우에는 바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가 어려워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정한 프레임을 갖는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큰 부피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동시에 전.후방의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아서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해결한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사가 있는 길을 내려갈 경우에 바퀴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한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상측에서 상기 주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과, 상기 의자의 하부에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자를 지지하는 제2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과 인접되게 상기 의자의 하부에서 상기 주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일단이 일측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중심에서 연장된 중심축의 일측에 외주연이 결합되고, 상기 주프레임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관; 상기 슬라이드관의 상부에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주프레임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밀착되고 상기 주프레임이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조절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나사를 회전하여 상기 조절나사와 상기 슬라이드관의 상부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바퀴는 상기 중심축의 상하부에 대칭되어 형성되되, 상기 바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절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림부는 상기 바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직삼각형 단면을 갖고,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원형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외주연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돌출부가 형성된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연을 감싸며 일측이 상기 지지기둥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되어 승하강하는 높이조절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관의 연장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높이조절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관의 외주연에는 탄성을 갖는 걸림바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과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관의 연장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걸림버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프레임은 상기 조절나사의 상부에서 상기 주프레임의 외주연을 감싸며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퀴의 외측에서 절곡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자는 절첩가능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경첩이 설치되고, 상기 의자가 절첩되는 경우에 상기 경첩이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자는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의자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고정되는 지지봉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프레임과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보강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주프레임의 외주연을 감싸며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클립은 일측이 고리형상으로 상기 지지봉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타측도 고리형상으로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에서 이동과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의자는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의자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고정되는 지지봉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프레임과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의 외주연을 감싸며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은 일측이 고리형상으로 상기 지지봉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개방된 상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보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상으로 결합되어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외주연에 삽입홀이 형성된 상기 주프레임에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걸림볼트로 결합되는 연장프레임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시에 전.후방의 보조다리가 지면에 닿아서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해결한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경사가 있는 길을 내려갈 경우에 바퀴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한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와 주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바퀴, 주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분해도.
도 7은 도 4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절첩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클립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변형된 클립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의 절첩된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와 주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바퀴, 주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다른변형예에 따른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4의 분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절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클립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변형된 클립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의 절첩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프레임(100)과, 상기 주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200)와, 상기 의자(200)의 상측에서 상기 주프레임(100)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300)과, 상기 의자(200)의 하부에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300)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자(200)를 지지하는 제2연결프레임(400)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400)과 인접되게 상기 의자(200)의 하부에서 상기 주프레임(10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보강프레임(500)과, 상기 주프레임(100)의 일단이 일측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바퀴(600)로 구성되는 보행보조기(10)에 있어서, 상기 바퀴(600)의 중심에서 연장된 중심축(620)의 일측에 외주연이 결합되고, 상기 주프레임(100)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관(650); 상기 슬라이드관(650)의 상부에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주프레임(100)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660); 및 상기 스프링(660)의 타단에 밀착되고 상기 주프레임(100)이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조절나사(670)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나사(670)를 회전하여 상기 조절나사(670)와 상기 슬라이드관(650)의 상부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660)의 압축력을 조절하고, 상기 바퀴(600)는 상기 중심축(620)의 상하부에 대칭되어 형성되되, 상기 바퀴(6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림부(61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500)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절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주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수평바(120)와 파이프가 하부로 절곡하되어 양단이 지면에 닿는 수직바(140)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1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주프레임(100)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직바(140)가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주프레임(100)의 수평바(120)에는 사용자의 손에 압박이 덜 가해지도록 쿠션재질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주프레임(100) 수직바(140)의 하부 일단에는 사용자의 하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180)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주프레임(1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주프레임(100)의 양측면으로 연장절곡됨으로써 상기 주프레임(100)과 같이 지면을 지지하는 보조프레임(160)이 하나 이상 설치된다.
한편, 주프레임(100)은 사용자의 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외주연에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미도시)에 대응되는 홀에 걸림볼트(미도시)를 결합함으로써 길이조절이 가능한 연장프레임(미도시)이 상기 주프레임(100)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의자(200)는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고, 소정의 위치에서 절첩이 가능하며, 일측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의자(200)는 절첩가능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경첩(220)이 설치되고, 상기 의자가 절첩되는 경우에 상기 경첩(220)이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의자(200)는 후술하는 보강프레임(5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의자(200)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고정되는 지지봉(260)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프레임(500)과 결합하는 클립(280)을 포함하되, 상기 보강프레임(500)의 일단은 상기 주프레임(100)의 외주연을 감싸며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클립(280)은 일측이 고리형상으로 상기 지지봉(260)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타측도 고리형상으로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지지봉(260)은 보강프레임(5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의자(200)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된 소정의 장홈(240)에 설치되고, 상기 장홈(240)의 양측면에 상기 지지봉(260)의 양단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260)의 외주연에는 클립(280)의 일단인 제1이동고리(282)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260)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클립(280)은 상기 지지봉(26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상기 제1이동고리(282)의 일측과 일측이 결합되는 회전체(284), 상기 회전체(284)의 타측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이동고리(286)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이동고리(282)는 상기 지지봉(260)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2이동고리(286)는 상기 보강프레임(500)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클립(28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진 보강프레임(50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이동고리(286)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직부(286a)와 상기 수직부(286a)의 중심에서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부(286b)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평부(286b)의 양단이 상기 보강프레임(500)의 상부에 걸쳐서 상기 보강프레임(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제1연결프레임(300)은 상기 주프레임(100)의 일측면 상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주프레임(100)과 결합되어 보행보조기(10)의 형상을 유지한다.
상기 제2연결프레임(400)은 상기 의자(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의자(200)를 지지한다.
상기 보강프레임(500)은 상기 제2연결프레임(400)과 인접되게 상기 의자(200)의 하부에서 상기 주프레임(100)과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자(200)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500)은 원형의 봉이나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앵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500)을 내측으로 회전함으로써 보행보조기(10)를
절첩할 수 있어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하다.
상기 바퀴(600)는 상기 주프레임(100)이 관통되어 삽입되는 슬라이드관(650)과 결합하고, 상기 슬라이드관(650)은 상기 바퀴(600)의 중심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심축(620)과 일측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바퀴(600)는 상기 중심축(620)의 상하부에 대칭되어 형성되되, 상기 바퀴(6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직각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림부(6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림부(610)는 상기 바퀴(6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직삼각형의 단면을 갖고,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홈을 갖는 원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림부(610)는 상기 바퀴(6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직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하나 이상의 림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퀴(600)는 슬라이드관(650)의 타측에 상기 중심축(620)을 연장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두 개의 바퀴(60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바퀴(600)는 하나의 주프레임(100)과 두 개의 보조프레임(160)과 결합하여 지면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160)은 상기 바퀴(600)의 외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보조보행기(10)가 전방과 측면으로 기울어져 쓰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보조프레임(160)의 하부 일단에는 주프레임(100)과 같이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고무패드(18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심축(620)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외주연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돌출부(632)가 형성된 지지기둥(630)과, 상기 지지기둥(630)의 외주연을 감싸며 일측이 상기 지지기둥(630)의 상기 돌출부(632)에 대응되도록 연장부(642)가 형성되어 승하강하는 높이조절관(6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관(640)의 연장부(642)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644)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644)에는 상기 높이조절관(6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관(640)의 외주연에는 탄성을 갖는 걸림바(648)가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기둥(630)은 바퀴(600)의 중심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중심축(6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기둥(630)의 상부면은 밀폐된 상태이며, 외주연 일측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돌출부(632)가 마주보며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32)의 사이에는 소형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고, 소형스프링(미도시)의 일단에는 소형스프링(미도시)의 탄성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며, 상기 돌출부(632)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는 걸림버튼(646)이 높이조절장치로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관(640)은 상기 지지기둥(630)의 돌출부(632)에 대응되도록 연장부(64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642)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버튼(646)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644)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644)에 볼트를 결합하여 상기 높이조절관(640)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관(640)의 외주연 일측에는 상기 바퀴(600)의 중심축(620)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걸림바(648)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관(640)의 걸림버튼(646)이 해제되어 상기 높이조절관(64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관(640)과 일체로 상기 걸림바(648)도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660)은 상기 슬라이드관(650)의 상부에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주프레임(100)이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절나사(670)는 상기 스프링(660)의 타단에 밀착되고 상기 주프레임(100)이 관통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조절나사(670)는 주프레임(100)의 외주연을 회전함으로써 상기 스프링(660)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바 상기 스프링(660)의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10)의 작동원리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보행을 하기 위해 상기 주프레임(100)의 수평바(120)를 잡고 하중을 가하면 지면에 닿은 바퀴(600)에 하중이 전달되어 슬라이드관(650)이 상부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드관(650)에 삽입된 상기 주프레임(100)의 수직부(286a)가 하부로 이동한다. 또한, 보조프레임(160)이 상기 주프레임(100)에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프레임(160)은 상기 주프레임(100)과 일체로 하부로 이동하여 지면에 지지된다.
상기 주프레임(100)의 수평부(286b)에 전달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기 주프레임(100)에 결합된 조절나사(670)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조절나사(670)의 하부에 상기 주프레임(100)이 관통하도록 결합된 스프링(660)의 압축력이 조절된다. 즉, 하중이 무거운 경우에는 상기 조절나사(670)를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660)을 압축을 강하게 하여 상기 슬라이드관(650)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조절하고, 하중이 가벼운 경우에는 상기 조절나사(670)를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660)의 압축을 약하게 함으로써 슬라이드관(650)이 작은 힘에도 상기 스프링(660)의 압축력을 극복하여 상부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사용자가 보행을 하는 경우에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바퀴(600)의 회전이 달라지고, 상기 바퀴(600)의 회전에 따라 보행보조기(10)의 움직임이 달라지는 바, 사용자가 보행보조기(10)의 움직임에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에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퀴(6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바퀴(600)의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바퀴(600)의 일측면에 상기 바퀴(600)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삼각형의 폭이 넓어지는 직각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림부(610)를 하나 이상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바퀴(600)의 중심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중심축(620)의 상부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관(640)을 설치하고, 상기 높이조절관(640)의 외주연에 상기 림부(610)와 마찰되는 탄성재질의 걸림바(648)를 장착한다.
상기 높이조절관(640)이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림부(610)와 상기 걸림바(648)의 마찰력은 크게 발생하고, 상기 바퀴(600)의 회전속도는 상기 걸림바(648)의 방해로 줄어든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높이조절관(640)의 걸림버튼(646)을 해제하여 걸림바(648)와 림부(610)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바퀴(6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안전하게 보행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행보조기(10)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절첩함으로써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의자(200)는 소정의 위치에서 절첩될 수 있도록 경첩(220)을 하나 이상 설치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500)과 인접하는 의자(200)의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장홈(240)을 형성하여 지지봉(260)의 양단이 고정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봉(260)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한 클립(280)을 장착하여 상기 클립(280)이 상기 보강프레임(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보강프레임(500)과 결합한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50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단면의 앵글로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클립(280)은 상기 보강프레임(500)의 상부에 양단이 걸쳐서 상기 보강프레임(5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의자(200)를 절첩하게 되면 상기 클립(280)이 상기 보강프레임(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의자(200)가 절첩된 상태에서는 경첩(220)이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보강프레임(500)이 내측으로 회전함에 따라 클립(280)의 제1이동고리(282)는 지지봉(260)의 외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클립(280)의 제2이동고리(286)는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보강프레임(500)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보행보조기(10)가 포개어지면 사용자는 부피가 줄어든 보행보조기(1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즉, 그러한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보행보조기 100:주프레임
120:수평바 140:수직바
160:보조프레임 180:고무패드
200:의자 220:경첩
240:장홈 260:지지봉
280:클립 282:제1이동고리
284:회전체 286:제2이동고리
286a:수직부 286b:수평부
300:제1연결프레임 400:제2연결프레임
500:보강프레임 600:바퀴
610:림부 620:중심축
630:지지기둥 632:돌출부
640:높이조절관 642:연장부
644:관통홀 646:걸림버튼
648:걸림바 650:슬라이드관
660:스프링 670:조절나사

Claims (9)

  1. 파이프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의자와, 상기 의자의 상측에서 상기 주프레임 상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과, 상기 의자의 하부에서 상기 제1연결프레임과 평행하게 결합되어 상기 의자를 지지하는 제2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연결프레임과 인접되게 상기 의자의 하부에서 상기 주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주프레임의 일단이 일측에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바퀴로 구성되는 보행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중심에서 연장된 중심축의 일측에 외주연이 결합되고, 상기 주프레임이 관통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관;
    상기 슬라이드관의 상부에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주프레임이 관통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밀착되고 상기 주프레임이 관통되도록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조절나사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나사를 회전하여 상기 조절나사와 상기 슬라이드관의 상부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바퀴는 상기 중심축의 상하부에 대칭되어 형성되되, 상기 바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이 내측으로 회전하여 절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림부는,
    상기 바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직삼각형 단면을 갖고,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된 원형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고 외주연의 일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돌출부가 형성된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연을 감싸며 일측이 상기 지지기둥의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연장부가 형성되어 승하강하는 높이조절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관의 연장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높이조절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관의 외주연에는 탄성을 갖는 걸림바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과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관의 연장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걸림버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은,
    상기 조절나사의 상부에서 상기 주프레임의 외주연을 감싸며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퀴의 외측에서 절곡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절첩가능하도록 소정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경첩이 설치되고, 상기 의자가 절첩되는 경우에 상기 경첩이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의자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고정되는 지지봉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프레임과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보강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주프레임의 외주연을 감싸며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클립은 일측이 고리형상으로 상기 지지봉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타측도 고리형상으로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지봉에서 이동과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의자의 가장자리에 소정의 길이로 삽입고정되는 지지봉에 결합되어 상기 보강프레임과 결합하는 클립을 포함하되,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의 외주연을 감싸며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클립은 일측이 고리형상으로 상기 지지봉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개방된 상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기 보강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상으로 결합되어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외주연에 삽입홀이 형성된 상기 주프레임에 상기 삽입홀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어 걸림볼트로 결합되는 연장프레임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키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20110050362A 2011-05-26 2011-05-26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27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62A KR101278720B1 (ko) 2011-05-26 2011-05-26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362A KR101278720B1 (ko) 2011-05-26 2011-05-26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884A KR20120131884A (ko) 2012-12-05
KR101278720B1 true KR101278720B1 (ko) 2013-06-25

Family

ID=4751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362A KR101278720B1 (ko) 2011-05-26 2011-05-26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843B1 (ko) 2015-07-06 2016-09-06 이환희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CN106361545A (zh) * 2016-09-14 2017-02-01 武汉软工硕成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康复助步车
CN109966120A (zh) * 2017-12-28 2019-07-05 姜坡 一种医疗护理稳固助行器
KR102102076B1 (ko) * 2019-05-07 2020-05-12 주식회사 다지트 노약자용 안전보행기
KR102279128B1 (ko) * 2019-12-06 2021-07-19 최재혁 보행기 지지대
KR102630601B1 (ko) * 2021-04-30 2024-01-29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보행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734U (ko) * 1990-03-05 1991-11-18
JP2008132194A (ja) * 2006-11-29 2008-06-12 Eisaku Saito 歩行器
KR100872037B1 (ko) * 2007-06-21 2008-12-05 김홍기 보행보조기
KR20100124904A (ko) * 2009-05-20 2010-11-30 백금순 보행 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734U (ko) * 1990-03-05 1991-11-18
JP2008132194A (ja) * 2006-11-29 2008-06-12 Eisaku Saito 歩行器
KR100872037B1 (ko) * 2007-06-21 2008-12-05 김홍기 보행보조기
KR20100124904A (ko) * 2009-05-20 2010-11-30 백금순 보행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884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720B1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061563B1 (ko) 보행 보조기
US9016297B2 (en) Wheeled support cane
US8708363B1 (en) Folding walker
KR101224361B1 (ko) 보행보조기
US9283136B2 (en) Walking aid
KR102045427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EP2116218A1 (en) Walking aid adapted for mounting a height obstacle
JP2008132194A (ja) 歩行器
KR102043282B1 (ko) 보행보조기
US5113887A (en) Mobility assisting devices
KR200466991Y1 (ko) 보행보조기
US5217033A (en) Mobility assisting device
JP4105731B2 (ja)
KR101630665B1 (ko) 비대칭 발판을 이용한 힌지 목발
KR20120022474A (ko) 보행보조장치
KR101900418B1 (ko) 접어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보행 보조기
KR102054340B1 (ko) 회전형 목발
KR200463663Y1 (ko) 보행 보조기
KR200490857Y1 (ko) 손잡이 간격조절기능을 갖는 보행기
KR101887459B1 (ko) 레버를 이용한 편리한 보행 보조차
KR101389575B1 (ko) 완충 지팡이
KR100796781B1 (ko) 보행보조기
KR101961561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KR200466342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지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