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843B1 -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843B1
KR101654843B1 KR1020150095651A KR20150095651A KR101654843B1 KR 101654843 B1 KR101654843 B1 KR 101654843B1 KR 1020150095651 A KR1020150095651 A KR 1020150095651A KR 20150095651 A KR20150095651 A KR 20150095651A KR 101654843 B1 KR101654843 B1 KR 101654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walking
fixing
b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이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희 filed Critical 이환희
Priority to KR102015009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843B1/ko
Priority to PCT/KR2016/006024 priority patent/WO20170071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리가 불편한 노약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용자인 노약자와 보행장애인의 체중을 넓게 분산시켜 의지할 수 있도록 하박거치대를 구비하여 노약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하박거치대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을 위한 바퀴(11')가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1)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2)과; 사용자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에 장착되는 하박거치대(13)와;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핸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일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20)와; 상기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제동부재(28)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부재(2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Walking Aids for Elderly Disabled People with Forearm Support}
본 발명은 다리가 불편한 노약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노약자와 보행장애인의 체중을 넓게 분산시켜 의지할 수 있도록 하박거치대를 구비하여 노약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하박거치대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보조기는 보행이 불편한 노약자들이나 다리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비교적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보조기구로서, 보행중 착좌를 위한 의자나 보행 안전을 위한 제동 브레이크 및 필요한 소지품을 담을 수 있는 수납바구니와 같은 편의 장치를 구비하는 등 다양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보행보조기에 부가되는 각종 편의장치가 다수 개발되는 것에 비해 보행보조기 자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보행보조기는 그 사용자인 노약자나 보행장애인들 개개인의 체형과 보행습관에 알맞게 조절할 수 있는 개인 맞춤조절기능이 없어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보행시 체중을 의지할 곳이 없어 손과 손목 그리고 허리 등에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므로 보행시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307223호에서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박거치대를 구비하며, 노약자 및 보행장애인 개개인의 체형과 보행습관에 알맞게 세밀하게 개인맞춤형으로 조절이 가능한 보행보조기를 개시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 10-1307223호에 의한 보행기는 개인맞춤형을 위한 세부 조절장치들과 하박거치대가 추가로 구비됨으로 해서 제조 비용이 많이 상승하는 단점과, 특히 기계장치의 사용능력이 떨어지는 노약자 및 보행 장애인들이 자신의 신체에 딱 맞도록 세밀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행보조기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다음의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문헌은 모두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KR 20-0456241 Y1 KR 10-0817723 B1 KR 10-0821641 B1 KR 10-12224361 B1 KR 10-2012-0131884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노약자와 보행장애인의 체중을 넓게 분산시켜 의지할 수 있는 하박거치대를 구비하되 그 기능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낮춤과 아울러 하박거치대의 설치가 용이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노약자 및 보행장애인 개개인의 체형과 보행습관에 알맞게 개인맞춤형으로 핸들의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맞춤조절 기능을 구비하되 누구나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기능을 단순화하여 누구라도 조절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를 이용하여 이용하는 도중에 몸이 불편한 경우에는 보행보조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보행보조기에 구비된 좌대를 이용하여 편안하고 안전하게 쉴 수 있도록 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을 위한 바퀴가 장착되는 하부프레임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과; 사용자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하박거치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핸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박거치대가 일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와; 상기 바퀴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제동부재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부재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는 후단부가 상기 하박거치대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이 연결되며, 선단부는 폭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핸들부를 형성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된 핸들겸용 거치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는 후단부에 상기 하박거치대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가 형성되고 선단부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핸들거리조절부를 구성하며 중간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거치봉과,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되어 일측은 핸들부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거치봉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되 상기 거치봉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봉과, 상기 핸들부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핸들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상부프레임과 핸들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위치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핸들봉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핸들봉에 형성되는 고정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핸들봉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은 연결끈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 또는 거치봉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핸들봉에 형성된 결합홀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볼과, 상기 핸들봉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탄성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하박거치대의 저면 일측에 상기 거치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원형회전걸개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거치부재가 삽입되되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칸막이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가 막히지 않은 오픈걸개가 형성되어, 상기 하박거치대가 상기 원형회전걸개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거치부재에는 상기 원형회전걸개 또는 오픈걸개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결합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상기 제동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중간 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제동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선단부의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에 접촉되어 바퀴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주차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후단부가 바퀴에 접촉되어 바퀴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신체조건에 따라 조절기능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어 노약자 및 보행장애인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하박거치대가 상부프레임에 연결된 거치부재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거치부재가 하박거치대가 결합되고 상부프레임에 연결된 거치봉과 핸들봉으로 분할 형성되고 핸들위치 조절부재를 통해 핸들봉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이나 보행 습관 등을 고려하여 핸들봉의 위치를 조절하여 최적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따르면, 브레이크 레버가 핸드 브레이크 기능과 함께 주차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동 중 좌대에 앉아서 쉬는 동안 보행보조기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안전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거치부재의 일례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거치부재의 다른 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핸들위치 조절부재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핸들위치 조절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하박거치대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하박거치대와 거치수단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하박거치대의 회전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인 제동부재 주변을 나타낸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는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을 위한 바퀴(11')가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1)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2)과; 사용자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에 장착되는 하박거치대(13)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쉴 수 있도록 하는 좌대(14)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되어 소지품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수납바구니(15)와;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핸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일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20)와; 상기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제동부재(28)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부재(2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20)는 도 2와 같이, 후단부가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21a)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이 연결되며, 선단부는 폭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핸들부(21b)를 형성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된 핸들겸용 거치봉(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핸들겸용 거치봉(21)의 핸들부(21b)를 잡은 상태로 보행보조기를 주행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핸들겸용 거치봉(21)의 후단부에 설치된 하박거치대(13)에 하박을 위치시켜 편안한 상태로 보행보조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부재(20)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에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22a)가 형성되고 선단부는 복수의 고정홀(22')이 형성된 핸들거리조절부(22b)를 구성하며 중간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거치봉(22)과,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되어 일측은 핸들부(23a)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거치봉(22)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3b)를 형성하되 상기 거치봉(22)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봉(23)과, 상기 핸들부(23a)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과 핸들부(23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위치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를 거치봉(22)과 핸들봉(23)으로 분할 형성한 후, 핸들봉(23)의 결합 위치를 핸들위치 조절부재로 조절하게 되면, 핸들부(23a)의 위치를 사용자가 직접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형태로 핸들부(23a)의 위치를 조절하여 최적화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도 5와 같이, 상기 핸들봉(23)에 형성되는 결합홀(23c)과 상기 거치봉(22)에 형성되는 고정홀(22')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핀(24)을 뺄 경우에는 상기 핸들봉(23)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핸들봉(23)의 위치가 결정된 후 상기 고정핀(24)을 거치봉(22)의 고정홀(22')을 통해 삽입하여 핸들봉(23)의 관통홀(23c)에까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핀(24)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끈(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핀(24)을 상기 상부프레임(12) 또는 거치봉(22)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로는 도 6과 같이, 상기 핸들봉(23)에 형성된 결합홀(23c)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볼(25a)과, 상기 핸들봉(23)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25a)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5b)로 이루어진 탄성 스토퍼(25)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볼(25a)을 눌러 고정볼이 결합홀의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핸들봉(23)을 전후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핸들봉(23)의 위치가 결정된 후 상기 핸들봉(23)을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볼(25a)이 탄성부재(25b)에 의해 상기 결합홀(23c)의 외측으로 돌출된 후 상기 거치봉(22)의 고정홀(22')에 삽입되어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박거치대(13)는 거치부재(20)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박거치대(13)의 저면 일측에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 관통되는 원형회전걸개(13a)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되되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칸막이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가 막히지 않은 오픈걸개(13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박거치대(13)는 일측이 상기 오픈걸개로(13b)부터 분리되어 상기 원형회전걸개(13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20)에는 상기 원형회전걸개(13a) 또는 오픈걸개(13b)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결합구(2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원형회전걸개(13a)의 내경과 상기 오픈걸개(13b)의 칸막이 사이의 거리를 상기 거치부재(20)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원형회전걸개(13a) 및 오픈걸개(13b)에 쉽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거치부재(20)에 상기 원형회전걸개(13a)의 내경과 상기 오픈걸개(13b)의 칸막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상기 결합구(27)를 설치하고 이 결합구(27)가 설치된 부분이 상기 원형회전걸개(13a) 또는 상기 오픈걸개(13b)의 칸막이 사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20)가 원형회전걸개 및 오픈걸개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동부재(28)는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중간 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제동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선단부(28a)의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11')에 접촉되어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주차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후단부(28b)가 바퀴(11')에 접촉되어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보행보조기가 주행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레버(26)를 중간의 중립 상태에 둠으로써 제동부재(28)가 바퀴(11')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제동시에는 브레이크 레버(26)를 제동 방향, 즉 핸들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동부재(28)가 회전하여 바퀴(11')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바퀴(11')가 회전하지 않고 멈추게 되므로, 브레이크 레버(26)가 핸드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계속 잡고 있는 동안에만 제동이 걸리게 되는데, 브레이크 레버(26)를 당기는 잡고 있는 동안에는 브레이크 레버(26)와 브레이크 케이블(26')을 통해 연결된 제동부재(28)의 선단부(28a)에 구비된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에 강하게 밀착하게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제동이 걸리게 된다. 이후, 손으로 잡은 브레이크 레버(26)를 놓게 되면 브레이크 레버(26)가 중립 상태로 이동함과 아울러 제동부재(28)의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원위치로 돌아가 바퀴(11')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로 바퀴(11')의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이때, 제동부재(28)의 브레이크 슈 혹은 브레이크 패드에 스프링장치를 추가하여 브레이크의 제동에 필요한 힘을 줄이고 탄성에 의한 제동력을 제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행보조기의 좌대(14)에 앉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중간의 중립 상태에서 주차 방향, 즉 아래쪽으로 끝까지 밀면 걸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바퀴(11')에 제동이 걸려 바퀴(11')가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브레이크 레버(26)가 주차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아래쪽으로 끝까지 밀게 되면 브레이크 레버(26)가 고정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26)에 케이블(26')로 연결된 제동부재(28)의 후단부(28b)가 바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잠금상태(locking)가 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레버(26)에서 손을 놓더라도 바퀴(11')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좌대(14)에 앉아 있더라도 보행보조기가 앞뒤로 밀리지 않아 안전하게 앉아 쉴 수 있게 된다. 물론, 다시 주행 시에는 브레이크 레버(26)를 앞으로 당겨 중립 상태로 원위치시키면 걸림이 풀리고 주차 스토퍼 기능이 해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1...하부프레임
11'...바퀴
12...상부프레임
13...하박거치대
14...좌대
15...수납바구니
20...거치부재
21...핸들겸용 거치봉
21a...하박거치대 설치부
21b...핸들부
22...거치봉
22'...고정홀
22a...하박거치대 설치부
22b...핸들거리 조절부
23...핸들봉
23a...핸들부
23b...삽입부
23c...결합홀
24...고정핀
25...탄성 스토퍼
25a...고정볼
25b...탄성부재
26...브레이크 레버
26'...브레이크 케이블
27...결합구
28...제동부재
28a...선단부
28b...후단부

Claims (9)

  1. 주행을 위한 바퀴(11')가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1)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의 좌우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프레임(12)과;
    사용자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2)에 장착되는 하박거치대(13)와;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핸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일체로 구성되는 한 쌍의 거치부재(20)와;
    상기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되는 제동부재(28)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거치부재(20)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레버(26);를 포함하며,
    상기 하박거치대(13)의 저면 일측에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 관통되는 원형회전걸개(13a)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삽입되되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이탈이 방지되도록 칸막이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가 막히지 않은 오픈걸개(13b)가 형성되어,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상기 원형회전걸개(13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0)는 후단부가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21a)를 형성하고, 중간부는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이 연결되며, 선단부는 폭 방향 안쪽으로 절곡되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하는 핸들부(21b)를 형성하도록,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된 핸들겸용 거치봉(2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0)는 후단부에 상기 하박거치대(13)가 설치되는 하박거치대 설치부(22a)가 형성되고 선단부는 복수의 고정홀(22')이 형성된 핸들거리조절부(22b)를 구성하며 중간 부분이 상기 상부프레임(12)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거치봉(22)과, "ㄱ" 자 형상으로 굴곡 성형되어 일측은 핸들부(23a)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거치봉(22)의 선단부에 삽입되는 삽입부(23b)를 형성하되 상기 거치봉(22)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봉(23)과, 상기 핸들부(23a)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2)과 핸들부(23a)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위치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핸들봉(23)에 형성되는 결합홀(23c)과 상기 거치봉(22)에 형성되는 고정홀(22')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핸들봉(23)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24)은 연결끈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임(12) 또는 거치봉(2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위치 조절부재는, 상기 핸들봉(23)에 형성된 결합홀(23c)에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볼(25a)과, 상기 핸들봉(23)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고정볼(25a)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5b)로 이루어진 탄성 스토퍼(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20)에는 상기 원형회전걸개(13a) 또는 오픈걸개(13b)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원통 형상의 결합구(27)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9.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28)는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중간 부분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제동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선단부(28a)의 브레이크 슈 또는 브레이크 패드가 바퀴(11')에 접촉되어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브레이크 레버(26)를 주차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후단부(28b)가 바퀴(11')에 접촉되어 바퀴(1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KR1020150095651A 2015-07-06 2015-07-06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KR101654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651A KR101654843B1 (ko) 2015-07-06 2015-07-06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PCT/KR2016/006024 WO2017007135A1 (ko) 2015-07-06 2016-06-08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651A KR101654843B1 (ko) 2015-07-06 2015-07-06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843B1 true KR101654843B1 (ko) 2016-09-06

Family

ID=5694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651A KR101654843B1 (ko) 2015-07-06 2015-07-06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4843B1 (ko)
WO (1) WO201700713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642A (ko) 2017-12-26 2019-07-04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WO2019160205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핸들 구조를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CN110151500A (zh) * 2018-02-13 2019-08-23 Lg电子株式会社 自适应辅助和/或康复装置
KR20210158143A (ko) 2020-06-23 2021-12-30 장병성 노약자용 보행 보조장치
KR20220055525A (ko) 2020-10-26 2022-05-04 이재완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9563A (zh) * 2019-06-21 2019-09-27 北京机械设备研究所 一种防跌助行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866A (ko) * 2006-09-01 2008-03-06 김덕영 보조보행기
KR100817723B1 (ko) 2006-11-01 2008-03-27 이두원 보행보조기
KR100821641B1 (ko) 2007-06-29 2008-04-1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KR200456241Y1 (ko) 2009-05-08 2011-10-20 이기백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KR20120131884A (ko) 2011-05-26 2012-12-05 이건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224361B1 (ko) 2005-06-30 2013-01-21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보행보조기
KR101307223B1 (ko) * 2013-02-04 2013-09-16 이환희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9877A (ja) * 2004-10-12 2006-04-27 Iura Co Ltd 歩行器
US7866677B1 (en) * 2009-10-27 2011-01-11 Polly Rothstein Rollator having a user-adjustable track width
KR101305909B1 (ko) * 2011-11-24 2013-09-06 한상윤 자동속도 제어형 보행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361B1 (ko) 2005-06-30 2013-01-21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보행보조기
KR20080020866A (ko) * 2006-09-01 2008-03-06 김덕영 보조보행기
KR100817723B1 (ko) 2006-11-01 2008-03-27 이두원 보행보조기
KR100821641B1 (ko) 2007-06-29 2008-04-14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보행 의지를 감지하는 핸들바가 구비된 보행보조기
KR200456241Y1 (ko) 2009-05-08 2011-10-20 이기백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KR20120131884A (ko) 2011-05-26 2012-12-05 이건호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1307223B1 (ko) * 2013-02-04 2013-09-16 이환희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642A (ko) 2017-12-26 2019-07-04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WO2019160205A1 (ko) * 2018-02-13 2019-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핸들 구조를 갖는 다기능 복합 지지 장치
CN110151500A (zh) * 2018-02-13 2019-08-23 Lg电子株式会社 自适应辅助和/或康复装置
KR20210158143A (ko) 2020-06-23 2021-12-30 장병성 노약자용 보행 보조장치
KR20220055525A (ko) 2020-10-26 2022-05-04 이재완 Ict 기반의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보행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07135A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843B1 (ko) 하박거치대가 구비된 노약자용 보행보조기
EP2090276B1 (en) Height adjustable rolling walker for transportation seating
US6921101B1 (en) Combined wheelchair, walker, and sitting chair
US5058912A (en) Combination chair/walker
US7040637B2 (en) Inwardly folding rollator with an upwardly pivotable seat
US20110187067A1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KR200478004Y1 (ko) 목욕의자
JPS60501196A (ja) 支持装置
JP3644926B2 (ja) 歩行補助車
KR101307223B1 (ko)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US9113757B2 (en) Toilet and support bars for the disabled
US7959545B2 (en) Walking aid
JP5672616B2 (ja) 身体起立支援支持具付き歩行器
KR101966342B1 (ko) 접이식 보행 보조기구
KR102182201B1 (ko) 목발 거치수단이 구비된 휠체어
WO2014029998A1 (en) Wheeled walking aid with sit to stand help
CN208641212U (zh) 一种助行器
KR20190139525A (ko) 팔걸이의 움직임이 가능한 휠체어
KR200490704Y1 (ko) 노약자를 위한 기립 보조장치
KR101100282B1 (ko) 노인용 휠체어워커
JP2008295656A (ja) 車椅子の走行姿勢の調整機構
KR101209830B1 (ko) 보행 보조기
KR100849268B1 (ko) 휠체어용 풋레스트 어셈블리
JPH09238988A (ja) 人体の移乗装置
US3063736A (en) Wheel chair at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