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991Y1 - 보행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991Y1
KR200466991Y1 KR2020130001420U KR20130001420U KR200466991Y1 KR 200466991 Y1 KR200466991 Y1 KR 200466991Y1 KR 2020130001420 U KR2020130001420 U KR 2020130001420U KR 20130001420 U KR20130001420 U KR 20130001420U KR 200466991 Y1 KR200466991 Y1 KR 200466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ar wheel
longitudinal direction
pair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이지 filed Critical (주)스마트이지
Priority to KR2020130001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991Y1/ko
Priority to PCT/KR2013/001583 priority patent/WO201412969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9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전륜이 장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프레임과,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후륜이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증대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후륜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이 일측간 거리가 증대되도록 벌어질 때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의 일측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수평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완충기능이 구비되어 사용감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체중이 전륜과 후륜 사이의 지점으로 인가되므로 기울어짐이나 전복의 우려 없이 사용자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행보조기{Walking supporter}
본 고안은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완충기능이 구비되어 사용감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생활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의 수명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노령인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노령인구는 증가하고 있는 반면, 가족의 구성단위는 핵가족화 되면서 노령자를 돌봐줄 가족이 없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부부가 동시에 직장을 가지는 경우의 증가와 저출산으로 인하여 가구 내에서 생활하는 가족이 거의 없어 노약자를 돌보아 줄 수 없는 가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농촌의 경우에는 자식은 도회지에서 생활하고 부모는 농촌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혼자서 생활을 영위하는 독거노인이 농촌과 도시에 관계없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노약자가 혼자서 외출을 하는 등 이동이 필요할 시는 혼자서 자신을 지탱하고 이동하기가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에 지팡이, 유모차, 휠체어 등과 같은 보행보조기에 의지하여 이동을 하여야만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보행보조기가 지팡이인 경우에는 그 무게나 운용이 거의 자유로워 사용자의 이동에 지장을 거의 주지 않는 반면 그 기능이나 역할이 단편적일 수밖에 없는 관계로 사용에 불편함이 대단히 많아 많은 대다수의 노인이나 고령자가 바퀴를 가지는 보행보조기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노약자들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보조기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대표적으로는 유모차를 변형한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보행보조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보행보조기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행보조기(1)는, 주행을 위한 바퀴(2)가 4개 장착된 프레임(3)과, 노약자의 신체에 맞게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프레임(3)의 후미 상방에 결합되는 손잡이(4)와, 이용자의 소지품 등과 같은 소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의 중간위치에 마련되는 수납공간(5)과, 상기 수납공간(5)을 커버 하면서 필요 시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좌판(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4)에는 바퀴(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브레이크 작동을 위한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4)를 손으로 잡아 자신의 체중을 어느 정도 보행보조기(1)에 실음으로써, 하체에 인가되는 하중 일부를 상체로 분산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안하게 보행을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보행보조기(1)는, 사용자의 체중 일부가 실어지는 손잡이(4)가 한 쌍의 뒷바퀴 상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손잡이(4)에 과다한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앞바퀴가 들려질 수 있고, 더 나아가 보행보조기(1) 전체가 뒤로 회전되어 뒤집어지는 경우도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행보조기(1)에는 별도의 완충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노면상태가 불량한 경우 사용자에게 큰 진동이나 충격이 인가되며,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컴팩트화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859890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6481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완충기능이 구비되어 사용감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전륜이 장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프레임과,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후륜이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증대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후륜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이 일측간 거리가 증대되도록 벌어질 때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의 일측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수평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은, 상호 간의 사이 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핸들프레임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부위는, 전륜과 한 쌍의 후륜을 연결한 영역의 무게중심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과 상기 후륜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수직방향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전륜 완충수단과 후륜 완충수단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핸들프레임은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핸들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방핸들과, 상기 핸들프레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었다가 상향으로 연장되는 전방핸들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거치대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중단이 절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되, 일자로 펴진 상태에서 상기 전륜이 상기 후륜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만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륜과 후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림(rim)과 이격 및 접촉 가능하되 상기 림과의 접촉압력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회전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완충기능이 구비되어 사용감이 우수하며, 사용자의 체중이 전륜과 후륜 사이의 지점으로 인가되므로 기울어짐이나 전복의 우려 없이 사용자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행보조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한 쌍의 후륜프레임 회전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동레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전방프레임의 절첩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전방프레임이 절첩된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회전속도 조절부의 장착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회전속도 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의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한 쌍의 후륜프레임 회전동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사용자가 보행 시 손으로 잡고 밀고 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구로서, 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전륜(110)이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타측 즉, 메인프레임(100)의 상측에 결합되는 핸들프레임(200)과,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후륜(310)이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 즉, 상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과,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을 연결하도록 장착되는 수평완충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프레임(20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핸들프레임(2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측방핸들(230)이 구비되고, 상기 핸들프레임(200)의 중단에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전방핸들(210)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핸들프레임(200)을 단순히 손으로 잡고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핸들프레임(2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된 측방핸들(230)을 손으로 잡는 방식을 선택하고, 보행보조기에 체중을 싣고자 하는 경우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핸들(210)을 손으로 잡고 팔뚝 부위를 핸들프레임(200)에 거치시키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자신의 팔을 더욱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자전거 핸들프레임(20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핸들프레임(200)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거치대(22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사람의 팔 근육은 손바닥이 아래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팔을 좌우로 움직일 때보다 손바닥이 측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팔을 좌우로 움직일 때 더 큰 힘을 낼 수 있으므로, 상기 전방핸들(210)은 사용자가 손바닥이 측방을 향한 상태로 잡을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연장되었다가 상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핸들프레임(20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메인프레임 체결부(130)가 형성되고, 핸들프레임(200)의 중단 하측에는 상기 메인프레임 체결부(13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는 핸들프레임 체결부(240)가 형성되며, 핸들프레임 체결부(240)가 메인프레임 체결부(13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14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높이조절수단(140)이 메인프레임 체결부(130)와 핸들프레임 체결부(240)를 관통하도록 체결되어 메인프레임 체결부(130)와 핸들프레임 체결부(240)를 체결시키는 체결나사 구조로 적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높이조절수단(140)은 핸들프레임(200)의 장착높이를 조절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근력이 부족하여 자신의 체중 일부를 보행보조기에 실은 상태에서 보행보조기를 밀어가면서 보행을 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체중을 싣는 핸들프레임(200)은 통상적으로 강성이 큰 금속파이프로 제작되는바, 사용자가 핸들프레임(200)에 체중을 싣는 과정에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특히, 사용자가 자신의 팔뚝을 핸들프레임(200)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자신의 체중을 핸들프레임(200)에 싣는 경우, 사용자의 팔뚝 부위의 뼈가 순간적으로 핸들프레임(200)과 부딪히게 되므로 부상의 우려가 더욱 증대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이 길이방향 일측(후륜(310)이 결합된 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증대되는 구조 즉,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이 사이 각을 갖도록 길이방향이 교차하는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이 일측(후륜(310)이 장착된 측)간 거리가 증대되도록 벌어질 때 수평완충수단(330)이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의 일측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가능한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이 수평완충수단(330)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면,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 각도가 커지도록 즉,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이 벌어지도록 외력이 인가될 때,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은 수평완충수단(330)의 탄성력을 반력으로 받으면서 천천히 벌어지게 되고,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에 인가되는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은 수평완충수단(33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핸들프레임(200)에 체중이 실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이 좌우로 벌어지면서 핸들프레임(200)이 하강되는데,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와 같이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을 연결하는 수평완충수단(33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 체중이 핸들프레임(200)에 인가될 때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은 수평완충수단(330)의 탄성력을 받아 천천히 벌어지고, 이에 따라 핸들프레임(200) 역시 천천히 하강되면서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사용자의 체중을 인가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충격력은 충격량 크기와 비례하고 충격량이 인가되는 시간에 반비례하게 되므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사용자의 체중을 인가 받더라도 오랜 시간에 걸쳐 사용자 체중을 인가받으면 사용자의 신체(더 명확하게는 핸들프레임(200)에 접촉되는 팔뚝부위)와 핸들프레임(200) 간의 충격력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부상 우려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이 수평완충수단(330)에 의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구조로 구성되면, 지면에 요철이 있어 주행 도중 후륜(310)이 지면 위로 튀어 올랐을 때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은 도 4에 도시된 원상태로 오므려지고, 지면 위로 튀어 올랐던 후륜(310)이 지면에 안착될 때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이 벌어지면서 핸들프레임(20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인가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외에도,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 사이에 수평완충수단(330)이 구비되면, 상기 후륜프레임(300)에 수평방향 충격력이 인가될 때 상기 수평완충수단(300)이 수평방향 충격력을 일부 흡수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인가되는 수평방향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타측(후륜(310)이 결합된 반대측)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되어, 핸들프레임(200)에 하향 하중이 인가될 때 사이 각이 커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후륜프레임(300)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후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타측은 메인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후륜프레임(300)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도록 제작되면, 후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타측이 메인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어 있더라도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일측 간 거리는 증대될 수 있으므로, 핸들프레임(200)이 하강되는 효과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후륜프레임(300)이 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면 사용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후륜프레임(300)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되 상호 간의 사이 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메인프레임(100)에 핸들프레임(200)이 결합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전륜(110)이 전방에 위치되고 후륜(310)이 후방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어, 핸들프레임(200)으로 인가된 사용자의 체중은 전륜(110)과 한 쌍의 후륜(310)을 연결한 영역 내에 위치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보행보조기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중이 후륜(2)측으로 집중되므로 앞쪽이 위로 들리거나 전복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지만,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이 전륜(110)과 후륜(310) 사이에 인가되면 앞쪽이 위로 들리거나 전복되는 경우가 현저히 감소된다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체중이 전륜(110)과 후륜(310) 각각에 고르게 인가되도록, 사용자의 체중이 인가되는 부위 즉, 핸들프레임(200)이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부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110)과 한 쌍의 후륜(310)을 연결한 영역의 무게중심 수직선상에 위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륜(110)이 하나만 구비되고 후륜(310)이 두 개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전륜(110) 및 후륜(310)의 개수는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륜(110)이 전방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후륜(310)이 후방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전륜(110)과 후륜(310)을 연결한 영역이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전륜(110)이 두 개 구비되되 두 개의 전륜(110)이 포개어지도록 겹쳐져 전륜(110)과 후륜(310)을 연결한 영역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각각의 전륜(110)과 후륜(310)에 인가되는 충격을 독립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전륜 완충수단(120)이 구비되고, 후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후륜 완충수단(3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륜 완충수단(120)과 후륜 완충수단(320)은 수직방향의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하향으로 인가되는 사용자의 체중을 일정 부분 흡수할 뿐만 아니라, 지면을 통해 전륜(110) 및 후륜(310)으로 인가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포장상태가 불량한 도로를 보행하더라도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느끼지 아니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평 완충수단 및 수직 완충수단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탄성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면 가스실린더를 구비하는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또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등 다양한 종류의 충격흡수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핸들프레임(200) 아래 공간에 사용자의 짐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부(500)는 필요시에만 설치되고 불필요시에는 간단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전체 평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되 각각의 꼭짓점이 메인프레임(100)의 중단과 후륜프레임(300)의 중단에 각각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망 또는 시트 구조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제동레버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보행 중 긴급하게 정지를 해야 하는 경우를 위해, 핸들프레임(200) 부위에 제동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동레버는 핸들프레임(2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레버 브라켓(420)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도 6에 도시된 가상선과 같이 회동이 되었을 때 브레이크 와이어(410)를 당김으로써, 전륜(110)이나 후륜(310)에 설치된 제동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측방핸들(230)이나 전방핸들(210)을 손으로 잡고 보행하는 도중에 긴급사태가 발생되는 경우 제동레버를 손으로 움켜쥐어 회전시킴으로서, 보행보조기를 급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전륜(110)이나 후륜(310)에 설치된 제동장치는, 종래의 보행보조기에 적용되는 제동장치뿐만 아니라 유모차에 적용되는 제동장치나 자전거에 적용되는 제동장치 등 어떠한 종류의 제동장치로도 대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장치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구조로 상용화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전방프레임의 절첩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10은 전방프레임이 절첩된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즉, 필요에 따라 제품의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00)의 중단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중단이 접혔을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륜(110)이 상기 후륜(310)과 가까워져 제품의 전체 부피가 줄어들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제1 힌지부(102)를 구비하는 제1 메인프레임(101)과, 체결핀(109)에 의해 상기 제1 힌지부(102)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2 힌지부(106)를 구비하는 제2 메인프레임(105)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로 펴졌을 때 상기 전륜(110)이 상기 후륜(3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전륜(110)이 위로 올라가는 방향으로 제2 메인프레임(105)이 접혀진다면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가 지면에 직립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 메인프레임(10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제2 메인프레임(105)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10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한부(103)는 제1 메인프레임(101)의 일단(제2 메인프레임(105)을 향하는 끝단)으로부터 상기 제2 메인프레임(105)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프레임(101)과 제2 메인프레임(105)이 일자로 연장되었을 때 상기 회전제한부(103)의 끝단이 제2 메인프레임(105)에 접촉되는바, 제2 메인프레임(10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시계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만 절첩 가능한 메인프레임(100)의 절첩구조는 접이식 자전거에 적용되고 있는 프레임 절첩구조나 유모차에 적용되고 있는 프레임 절첩구조 등 다양한 종류의 절첩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중단이 절첩되는 프레임 구조는 본 고안이 해당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회전속도 조절부의 장착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회전속도 조절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 보행보조기가 자중에 의해 빠르게 굴러 내려가게 되어 사용자가 보행보조기를 놓치거나 넘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보행보조기는 전륜(110)이나 후륜(310)의 회전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전륜(110)이나 후륜(310)의 림(312)(rim)에 접촉되어 전륜(110)이나 후륜(310)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회전속도 조절부(6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전륜(110) 및 후륜(310)의 회전속도는 상기 회전속도 조절부(600)가 림(312)에 접촉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회전속도 조절부(6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림(312)과의 접촉압력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륜(110)이나 후륜(310)에 회전속도 조절부(600)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내리막길에서도 보행보조기의 구름속도를 자신이 원하는 속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전한 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속도 조절부(600)가 후륜(310)에 장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속도 조절부(600)는 전륜(110)에만 장착될 수도 있고, 전륜(110)과 후륜(310)에 모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메인프레임 101 : 제1 메인프레임
102 : 제1 힌지부 103 : 회전제한부
105 : 제2 메인프레임 106 : 제2 힌지부
109 : 체결핀 110 : 전륜
120 : 전륜 완충수단 130 : 메인프레임 체결부
140 : 높이조절수단 200 : 핸들프레임
210 : 전방핸들 220 : 팔거치대
230 : 측방핸들 240 : 핸들프레임 체결부
300 : 후륜프레임 310 : 후륜
312 : 림 320 : 후륜 완충수단
330 : 수평완충수단 400 : 제동레버
410 : 브레이크 와이어 420 : 레버 브라켓
500 : 적재부 600 : 회전속도 조절부

Claims (7)

  1. 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전륜(110)이 장착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프레임(200);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방향 일측에 후륜(310)이 장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되되, 길이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증대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을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이 일측간 거리가 증대되도록 벌어질 때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의 일측간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수평완충수단(3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륜프레임(300)은, 상호 간의 사이 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프레임(200)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부위는, 전륜(110)과 한 쌍의 후륜(310)을 연결한 영역의 무게중심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일측과 상기 후륜프레임(30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수직방향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전륜 완충수단(120)과 후륜 완충수단(32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프레임(200)은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핸들프레임(2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측방핸들(230)과, 상기 핸들프레임(200)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었다가 상향으로 연장되는 전방핸들(210)과, 상기 핸들프레임(200) 상측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팔이 안착되는 팔거치대(22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중단이 절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되, 일자로 펴진 상태에서 상기 전륜(110)이 상기 후륜(31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만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110)과 후륜(3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전륜(110) 또는 후륜(310)의 림(312)(rim)과 이격 및 접촉 가능하되 상기 림(312)과의 접촉압력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회전속도 조절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KR2020130001420U 2013-02-25 2013-02-25 보행보조기 KR200466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20U KR200466991Y1 (ko) 2013-02-25 2013-02-25 보행보조기
PCT/KR2013/001583 WO2014129691A1 (ko) 2013-02-25 2013-02-27 보행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420U KR200466991Y1 (ko) 2013-02-25 2013-02-25 보행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991Y1 true KR200466991Y1 (ko) 2013-05-20

Family

ID=5139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420U KR200466991Y1 (ko) 2013-02-25 2013-02-25 보행보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6991Y1 (ko)
WO (1) WO201412969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459B1 (ko) * 2014-02-05 2014-12-2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형 보행보조기구
CN111032503A (zh) * 2017-10-12 2020-04-17 罗弼洙 自行车的推进装置
KR102226849B1 (ko) * 2019-10-21 2021-03-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 보조기
KR20210087715A (ko) 2020-01-03 2021-07-1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체중부하 피드백 워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199B2 (ja) * 1995-06-29 1998-06-04 株式会社ケンコーポレーション 歩行補助具
KR100713838B1 (ko) * 2006-09-29 2007-05-04 이광수 보행 운동 기구
KR100969461B1 (ko) * 2009-01-12 2010-07-14 이진교 보행 보조기
KR20110107052A (ko) * 2010-03-24 2011-09-30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보행보조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459B1 (ko) * 2014-02-05 2014-12-29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접이형 보행보조기구
CN111032503A (zh) * 2017-10-12 2020-04-17 罗弼洙 自行车的推进装置
KR102226849B1 (ko) * 2019-10-21 2021-03-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편마비 환자를 위한 보행 보조기
KR20210087715A (ko) 2020-01-03 2021-07-13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체중부하 피드백 워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9691A1 (ko)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767B1 (en) Walking aid apparatus
KR101629385B1 (ko) 카트 및 이에 적용되는 바퀴 제어 시스템
US6770040B2 (en) Rehabilitation device for persons with paresis of lower limbs enabling them to walk
US5640986A (en) Mobility assisting device
KR200466991Y1 (ko) 보행보조기
US7311319B1 (en) Therapeutic scooter system
US5555904A (en) Forearm crutch
EP3261898A1 (en) Rollator-trolley with adjustable handle position depending on use
JP4163731B2 (ja) 歩行器
KR101307223B1 (ko) 체형에 따라 하중분산과 운동성 조작이 가능한 개인 맞춤형 보행보조기
KR101278720B1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ITRM20060684A1 (it) Deambulatore con sedile e schienale regolabili
CA2437662A1 (en) Hand based weight distribution system
KR101342962B1 (ko) 접이형 보행보조 기구
CA2630318C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
US20110156374A1 (en) Rear support frame of baby stroller
CN207666783U (zh) 多功能转运担架车
KR20140002433A (ko) 보행보조기능을 가지는 쇼핑카트
JP2005230031A (ja) 歩行補助具
TWM499218U (zh) 多功能復健助行器
CN215193485U (zh) 一种便携式减震的多功能折叠手推车
US11059508B1 (en) Shopping cart assist handles
JP2004089340A (ja) 車椅子の転倒防止機構
CN209203974U (zh) 一种骨科护理助行装置
KR101100857B1 (ko) 적재판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3륜 바퀴의 쇼핑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