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461B1 - 보행 보조기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461B1
KR100969461B1 KR1020090002154A KR20090002154A KR100969461B1 KR 100969461 B1 KR100969461 B1 KR 100969461B1 KR 1020090002154 A KR1020090002154 A KR 1020090002154A KR 20090002154 A KR20090002154 A KR 20090002154A KR 100969461 B1 KR100969461 B1 KR 10096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wheel
stopper
front le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교
Original Assignee
이진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교 filed Critical 이진교
Priority to KR102009000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1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on steps or st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보행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 등이 평지에서의 보행은 물론 계단 오르기에 쉬운 복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바퀴부를 포함하는 보행보조기를 제공한다. 그 보행보조기는 손으로 잡아 몸을 지탱할 수 있는 손잡이부, 손잡이부와 연계되어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부 및 복수개의 바퀴가 일체화된 바퀴부를 포함한다. 또한, 다리부는 하단에 바퀴부를 부착하는 전방 다리부와 후방 다리부를 포함한다.
보행 보조기, 삼각형, 바퀴, 다리

Description

보행 보조기{Walking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바퀴부를 포함하여 보행자의 보행을 용이하게 하는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이나 척추, 다리 등에 질환이 있는 환자(이하, 사용자)는 보행 보조기의 도움을 받아 이동할 수 있다. 보행 보조기는 일반적으로 두 쌍의 다리와 이에 연결되는 손잡이에 의지해 걸을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 보조기는 평지를 걸을 때에는 두 쌍의 다리 전체를 들어 올려 옮겨놓아야 하고, 특히, 계단을 오를 때에는 보행 보조기가 전체적으로 기울어져 전방의 다리와 후방의 다리의 높이가 맞지 않아 보행 보조기의 기능을 충분히 살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행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 자가 평지에서는 물론 계단을 오를 때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는 손으로 잡아 몸을 지탱할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다리부와 연계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부착되며 복수개의 바퀴가 일체화된 바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앞으로 전진하는 방향의 전방 다리부와 상기 전방 다리부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된 후방 다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전방 다리부의 하단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퀴부는 세 개의 바퀴의 중심이 연결되어 삼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바퀴부의 중심축과 상기 복수개 바퀴 각각의 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완충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다리부 및 후방 다리부는 적어도 그 중 하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원통형의 전방 다리상부 및 상기 전방 다리상부에 그 일부가 삽입되는 전방 다리하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방 다리하부의 삽입되는 부분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전방 다리상부의 어느 한 곳에 상기 스토퍼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는 스토퍼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는 상기 전방 다리하부는 상기 바퀴부가 계단의 측면에 닿았을 때 상기 바퀴부를 부착한 상기 전방 다리하부의 일부가 상기 후방 다리부 쪽으로 굴절되도록 하는 탄성부를 장착한 굴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바퀴부는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전방 다리부가 후방 다리부 쪽으로 굴절되어 차지하는 공간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보조기는 두 쌍의 다리 중 전방의 다리 하부에 복수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바퀴부를 구비하고 있어 평지를 이동할 때 후방의 다리만을 들어 올려 이동할 수 있다. 특히, 계단을 오를 때에 사용자가 진행방향으로 밀어주면 계단의 표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전방의 다리가 위의 계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방의 다리부는 굴절부를 포함하여 계단과 바퀴가 맞닿을 때의 충격을 완화하고 위의 계단으로 진행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다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행이 용이하지 않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를 제시한다. 상기 보행 보조기는 삼각형의 허브축을 가진 바퀴부를 구비하는 전방의 다리부와 상기 바퀴부가 없는 후방의 다리부를 구비한 다. 사용자는 상기 바퀴부를 이용하여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 계단을 오를 수 있다. 또한, 평지를 걸을 때에 사용자는 후방의 다리부를 들어 옮기고, 상기 바퀴부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쉽게 보행할 수 있다. 또한, 굴절부에 의해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여 바퀴부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고, 다리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신장, 보행 자세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의 구조 및 기능을 살펴본 다음, 상기 보행 보조기의 사용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행보조기는 손잡이부(100), 다리부(200) 및 바퀴부(300)로 나뉘어져 있다. 보행 보조기의 재질은 여러 가지일 수 있으나 내구성과 자체 무게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고려하여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가 주로 이용된다. 특히, 무게로 인하여 사용자의 과도한 힘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00)는 측면 손잡이(110) 및 정면 손잡이(120)가 연결된 ㄷ자 모양의 봉 형태이며, 상기 손잡이들은 환자의 몸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사용자의 체형이나 사용의 요구에 따라 정면 손잡이(120)를 측면 손잡이(110)의 적절한 위치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들이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낮은 온도에서 금속성 재질로 인한 찬 느낌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 커버(130)를 씌울 수 있다. 이때, 커버(130)는 마찰력이 크며 따뜻한 소재의 천연소재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커버(130) 자체에 요철을 형 성할 수도 있다.
다리부(200)는 사용자의 진행방향(a)을 기준으로 전방 다리부(210), 후방 다리부(220) 및 상기 다리부들을 연결하는 다리 연결부(250)로 구성되며, 전방 다리부(210)에는 본 발명의 특징인 삼각형의 허브축을 가진 바퀴부(300)가 배치되어 있다. 다리 연결부(250)는 전방 다리부(210)와 후방 다리부(22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보행 보조기 전체의 내구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몸을 지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리 연결부(250)는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의 견고성을 더하는 기능을 살리는 범주 안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보관의 편의를 위해 접히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방 다리부(21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손잡이(110)의 앞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길이는 평균인의 허리부터 발끝까지의 길이로 한다. 한편, 전방 다리부(210)는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신장이나 사용조건에 맞추어 보행 보조기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230, 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230, 232)는 전방 다리부(210) 및 후방 다리부(220)에 배치된다. 전방 다리부(210) 및 후방 다리부(220)에 배치된 높이 조절부(230, 232)는 구조가 동일하므로 전방 다리부(210)에 포함되는 높이 조절부(230)에 관하여 대표로 설명한다. 속이 빈 원통형의 전방 다리상부(212)에 전방 다리하부(214)가 끼워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전방 다리하부(214) 중 전방 다리상부(212)에 삽입되는 부분은 표면에 요홈(216)이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stopper; 234)가 요홈(216)에 고정되면서 전방 다리상부(212)와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높이를 결정한다. 이때, 스토퍼(234)를 조정하는 스토퍼 조정부(140)는 다리부(200)에 둘 수 있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손잡이부(100) 등 원격 조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여 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스토퍼 조정부(140)로부터 스토퍼(234)의 연결구조는 생략하였다.
스토퍼(234)는 스토퍼 조정부(140)에 의해 전방 다리하부(214)의 요홈(216)에 끼워지거나 벗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 조정부(140)를 임의의 방향, 예컨대 다리부(200) 방향으로 당기면 스토퍼(234)가 벌어져서 요홈(216)을 벗어나고, 스토퍼 조정부(140)를 놓아 원래의 위치로 두면 스토퍼(234)가 좁아져서 요홈(216)에 끼워진다. 이때, 스토퍼(234)가 벌어져서 요홈(216)을 벗어나면 전방 다리하부(214)는 전방 다리상부(212)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다리상부(212)의 하단에 설치된 제1 턱(213)에 전방 다리하부(214)의 상단에 설치된 제2 턱(215)이 걸릴 때까지 전방 다리하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방 다리하부(214)가 전방 다리상부(212)로부터 노출되는 길이 조절에 의한 다리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스토퍼 조정부(140)를 당겨 스토퍼(234)를 벌어지게 함으로써 전방 다리하부(214)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한다. 이어서, 적절한 다리부(200)의 높이에 맞추어 전방 다리하부(214)의 노출된 길이를 조절하고, 당겼던 스토퍼 조정부(140)를 놓아 원래의 위치에 둠으로써 스토퍼(234)를 요홈(216)에 끼워지게 한다. 물론 상술한 전방 다리하부(214)의 노출되는 길이 조절방법은 본 발명의 범주에 비추어 제시하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상기 범주에 포함되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 다리부(220)도 앞서 설명한 전방 다리부(210)와 같은 원리로 높이 조절부(232)를 배치한다. 경우에 따라 전방 다리부(210)와 후방 다리부(220) 중 어느 하나에 높이 조절부(230, 232)를 배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 구조가 보다 단순한 후방 다리부(220)에만 높이 조절부(232)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계단을 오르내릴 때 전방 다리부(210)에 부착되어진 바퀴부(300)가 진행방향(a)의 다음 계단에 도달할 것이므로 사용자는 후방 다리부(22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 환경 특히, 계단을 오르내리는 경우 전방 다리부(210)와 후방 다리부(220)의 높이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으므로, 스토퍼 조정부(140)는 전방 다리부(210) 또는 후방 다리부(220)의 길이를 각각 조정할 수 있도록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다리하부(224)의 말단 즉, 바닥과 닿는 부분은 합성고무 등의 신축성 있는 소재로 된 커버(260)를 씌워 지면에 닿는 감각을 부드럽게 하고, 나아가 후방 다리부(220)의 말단이 지면에 직접 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방 다리부(210)는 굴절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세 개의 바퀴로 이루어진 바퀴부(300)는 하나의 바퀴로 이루어진 것보다 보행 보조기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크기 때문이다. 또한, 전방 다리부(210)의 굴절된 형태는 계단을 오를 때 사용자가 가한 힘에 의해 바퀴부(300)를 위의 계단으로 진행시키는 데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다리하부(214)를 구부러진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즉, 구부러진 전방 다리하부(214)에 장착된 바퀴부(300)는 사용자의 몸쪽 방향(b)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바퀴부(300)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바퀴부(300)는 세 개의 바퀴(310a, 310b, 310c)가 삼각형을 이루고, 중심에 바퀴부(300)의 삼각형의 바퀴 허브축(3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바퀴(310a, 310b, 310c)는 개별적으로 회전축(312)을 가지며 개별 회전축(312)들은 바퀴 허브축(322)과 각각 연결되고, 연결부분은 외부로부터의 오염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320)를 씌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중심축을 가지는 삼각형의 바퀴 허브축(322)을 가진 바퀴부(30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바퀴로 구성된 바퀴부를 제시했으나, 보행을 용이하게 하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바퀴의 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바퀴부를 이루는 바퀴의 크기도 서로 달리하여 보행의 편의를 기할 수 있다.
이때, 바퀴 허브축(322)과 개별 회전축(312)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완충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장치는 바닥에 개별 바퀴(310a, 310b, 310c)가 부딪히며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여 보행시에 덜컹거림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연결부는 압축스프링과 같은 탄성체인 제1 완충장치(324a)일 수 있다. 또는 연결부는 링 형태로 연결하고, 개별 회전축(312)은 링 형태의 연결부인 제2 완충장치(324b)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완충장치(324b)의 형태는 경우에 따라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바퀴부(300)를 구성하는 허브축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완충장치의 기능을 살리기 위하여 반경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도 4a는 보행보조기가 계단을 오르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b는 굴절부(240)를 더 포함하는 보행보조기가 계단을 오르는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4a와 도 4b는 굴절부(240)의 구비 여부에 차이가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로 계단(400)을 오르는 경우 삼각형을 이루는 바퀴부(300)는 계단을 오르는데 필요한 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보행 보조기의 기울어짐을 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바퀴부(300)가 계단(400)의 제1 상단면(410) 위에 안착하여 제1 바퀴 (310a)및 제3 바퀴(310c)를 제1 상단면(410)에 접촉하고 있을 때, 제1 바퀴(310a)가 계단의 측면(420)에 닿으면 진행방향(a)으로 힘을 가한다. 이때, 제 1바퀴(310a)는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삼각형의 허브축이 돌아가면서 제 2바퀴(310b)가 제 2상단면(430)으로 올라가 안착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사용자는 바퀴부(300)의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보행보조기가 기울어지지 않으며 계단(400)을 오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 보조기는 계단을 오르는 과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힘에 의해 삼각형의 허브축이 회전하여 제2 바퀴(310b)가 제2 상단면(430)에 도달하기에 용이하도록 전방 다리부(210)에 굴절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바퀴부(300)는 진행방향(a)으로 힘을 받아 제1 바퀴(310a)가 측면(420)에 닿고, 전방 다리부(210)는 굴절된 형상을 하고 있으므 로 전방 다리부(210)를 통해 전달되는 힘의 방향이 삼각형의 허브축이 제2 상단면으로 회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제2 바퀴(310b)는 굴절부(240)를 구비하지 않을 때(도 4a)에 비하여 사용자의 힘에 의해 계단 측면(420)에 접촉하여 제2 상단면(430)으로 쉽게 올라갈 수 있다. 또한, 굴절부(240)는 바퀴부(300)에 배치되어 있는 완충장치(도 3a 및 도 3b의 324a, 324b)와 더불어 계단의 측면(420)에 부딪히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굴절부(240)의 장치를 외부로부터의 오염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242)를 씌울 수 있다.
도 5는 도 4b의 굴절부(240)에 대한 측면도로서 커버(242)를 생략한 모습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굴절부(240)는 전방 다리하부(214)에 부착된 바퀴부(300)에서 일정 간격 위에 배치되며 굴절축(244)을 중심으로 하여 몸쪽 방향(b)으로 꺾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기를 구성하는 굴절부(240)는 몸쪽 방향(b)에 압축 탄성부(246)를 구비한다. 보행 보조기가 진행방향(a)으로 힘을 받으면 압축 탄성부(246)는 압축되어 길이가 수축되고, 수축이 많이 일어날수록 굴절되는 각은 커진다. 이때, 압축 탄성부(246)의 손상을 막고, 지나치게 굴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 탄성부는 적절한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체를 선택하고, 과도하게 굴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 다리하부(214)의 몸쪽 방향(b)에 굴절축(244)을 중심으로 제1 굴절방지부(245a)를 두어 제1 굴절방지부(245a)를 이루는 턱이 닿을 때까지를 굴절의 한계로 할 수 있다. 또는, 압축 탄성부(246)의 내부에 두 개의 바(bar)로 이루어진 제2 굴절방지부(245b)를 배치하여 지나치게 굴절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시한 굴절방지부 외에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굴절부(240)의 지나친 굴절을 막는 모든 형태의 굴절방지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굴절축(244) 내부에 설치하거나, 압축 탄성부(246)의 외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코일(coil)형 압축 스프링을 탄성부의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다른 여러 형태의 탄성체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굴절부에 포함되는 탄성부는 인장탄성체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장 탄성부에 의해 지나치게 굴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턱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용자가 큰 힘을 갑자기 주는 경우에도 굴절이 급속하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변형의 정도에 따라 탄성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코일형보다는 변형의 정도가 커질수록 탄성력이 증가하는 정도가 커지는 비선형의 특성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기의 구조와 기능을 참조하여 이의 사용방법을 살펴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서 있는 자세로 손잡이부(100)가 이루는 ㄷ자의 공간에 진행 방향(a)을 바라보고 선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신장이나 사용 상태에 따라 다리부(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손잡이부(100)에 장착되어 있는 스토퍼 조정부(140)를 누르면 다리하부(214, 224)는 다리상부(212, 222)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져나오고 적정한 높이에서 스토퍼 조정부(140)를 원래 위치로 놓으면 스토퍼(234)가 다리하부(214, 224)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216)에 걸리면서 다리의 길이가 고정된다. 보행 보조기의 높이가 조정된 후, 편의에 따라 측면 손잡이(110) 또는 정면 손잡이(120)를 손으로 잡거나 팔꿈치로 의지한다.
자세를 잡으면 보행보조기와 함께 보행을 시작하며 원칙적으로는 보행기를 진행방향(a)으로 일정거리에 놓고 몸을 지탱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인 계단을 오르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계단의 제1 상단면에 봄 발명의 보행보조기가 도달하면 제1 바퀴(310a)가 계단의 측면(420)에 닿게 된다. 사용자는 진행방향(a)으로 계속하여 힘을 가하고 이 힘에 의해 삼각형의 허브축이 회전하면서 제2 바퀴가 제2 상단면(430)으로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굴절부(240)를 더 구비한 보행보조기는 삼각형의 허브축이 회전하면서 제2 바퀴가 제2 상단면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힘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바퀴부(300)의 완충장치는 압축 스프링이나 링 형태의 연결부 외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모든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굴절부(240)의 완충장치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형태도 직선형이 아닌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곡선의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리길이 조절부도 상기 설명한 형식 외에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높이 조절부의 측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바퀴부 일측의 커버를 제거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바퀴부 일측의 커버를 제거한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는 굴절부를 갖지 않는 보행보조기가 계단을 오르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굴절부를 갖는 보행보조기가 계단을 오르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버를 제거한 굴절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손잡이부 110: 측면 손잡이
120: 정면 손잡이 130: 손잡이 커버
140: 스토퍼 조정부 200: 다리부
210: 전방 다리부 212: 전방 다리상부
214: 전방 다리하부 220: 후방 다리부
222: 후방 다리상부 224: 후방 다리하부
230: 전방 높이 조절부 232: 후방 높이 조절부
234: 스토퍼 240: 굴절부
242: 굴절부 커버 244: 굴절축
245a: 제1 굴절방지부 245b: 제2 굴절방지부
246: 압축 탄성부 250: 다리 연결부
260: 다리 커버 300: 바퀴부
310a: 제1 바퀴 310b: 제2 바퀴
310c: 제3 바퀴 312: 개별바퀴 축
320: 바퀴 커버 322: 바퀴 허브축
324a: 제1 완충장치 324b: 제2 완충장치
400: 계단 410: 제1 상단면
420: 계단 측면 430: 제2 상단면

Claims (10)

  1. 손으로 잡아 몸을 지탱할 수 있는 손잡이부;
    앞으로 전진하는 방향의 전방 다리부와 상기 전방 다리부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 배치되는 후방 다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부와 연계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지지하는 다리부; 및
    복수개의 바퀴가 일체화되어 상기 전방 다리부의 하단에 부착되는 바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가 계단의 측면에 닿았을 때, 상기 바퀴부로부터 일정 간격 위에 위치한 상기 전방 다리부의 일부가 상기 후방 다리부 쪽으로 굴절되도록 하는 탄성체가 장착된 굴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세 개의 바퀴로 구성되며, 각각의 바퀴는 회전축을 갖고, 상기 바퀴부의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들과 연결되는 삼각형의 허브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바퀴의 회전축과 상기 삼각형의 허브축은 완충 장치로 연결되고, 상기 각 바퀴의 회전축은 반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다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전방 다리부 및 상기 후방 다리부의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상기 다리부의 하부의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리부의 하부 중 상부에 삽입되는 부분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상기 요홈에 고정되면서 높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상기 전방 다리부의 일부가 상기 후방 다리부 쪽으로 굴절되어, 상기 바퀴부가 계단의 측면에 접촉 시 상기 삼각형의 허브축이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전방 다리 상부의 어느 한 곳에 상기 스토퍼의 움직임을 조정할 수 있는 스토퍼 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조정부는 상기 다리부의 길이를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선형 또는 비선형 탄성 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는 상기 굴절부가 과도하게 굴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굴절 방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기.
KR1020090002154A 2009-01-12 2009-01-12 보행 보조기 KR100969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54A KR100969461B1 (ko) 2009-01-12 2009-01-12 보행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154A KR100969461B1 (ko) 2009-01-12 2009-01-12 보행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461B1 true KR100969461B1 (ko) 2010-07-14

Family

ID=4264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154A KR100969461B1 (ko) 2009-01-12 2009-01-12 보행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4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04B1 (ko) 2009-07-15 2011-06-01 김성진 수평유지 바와 연동하는 제동기를 구비한 보행보조기
WO2014129691A1 (ko) * 2013-02-25 2014-08-28 (주)스마트이지 보행보조기
KR20180077481A (ko) * 2016-12-29 2018-07-09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단턱 승강이 용이한 보행 보조 장치
KR101899553B1 (ko) * 2018-04-23 2018-09-17 김기연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CN109498378A (zh) * 2018-11-06 2019-03-22 丽水市人民医院 一种用于骨科术后护理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891A (en) * 1980-12-02 1983-06-14 Knochel E Stanley Walker
US6609719B2 (en) 2000-08-03 2003-08-26 Troy A. Heien Walker and wheel assembly therefor
KR20050013087A (ko) * 2004-12-21 2005-02-02 김근호 수동 전동 겸용 휠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7891A (en) * 1980-12-02 1983-06-14 Knochel E Stanley Walker
US6609719B2 (en) 2000-08-03 2003-08-26 Troy A. Heien Walker and wheel assembly therefor
KR20050013087A (ko) * 2004-12-21 2005-02-02 김근호 수동 전동 겸용 휠체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104B1 (ko) 2009-07-15 2011-06-01 김성진 수평유지 바와 연동하는 제동기를 구비한 보행보조기
WO2014129691A1 (ko) * 2013-02-25 2014-08-28 (주)스마트이지 보행보조기
KR20180077481A (ko) * 2016-12-29 2018-07-09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단턱 승강이 용이한 보행 보조 장치
KR101892616B1 (ko) * 2016-12-29 2018-08-28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단턱 승강이 용이한 보행 보조 장치
KR101899553B1 (ko) * 2018-04-23 2018-09-17 김기연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CN109498378A (zh) * 2018-11-06 2019-03-22 丽水市人民医院 一种用于骨科术后护理的装置
CN109498378B (zh) * 2018-11-06 2021-07-09 丽水市人民医院 一种用于骨科术后护理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461B1 (ko) 보행 보조기
JP3830486B2 (ja) 運動補助具
KR20170030565A (ko) 엘리베이팅 워커 체어
DK3145367T3 (en) TURNING PLATFORM
US9283136B2 (en) Walking aid
KR101763214B1 (ko) 보행 훈련 보조 장치
KR101061563B1 (ko) 보행 보조기
JP2010142353A (ja) 体重支持装置
US20140116484A1 (en) Ergonomic crutch
KR102043282B1 (ko) 보행보조기
KR101278720B1 (ko) 브레이크가 설치된 보행보조기
KR102003953B1 (ko) 목발
KR200466991Y1 (ko) 보행보조기
KR20120022474A (ko) 보행보조장치
KR101313685B1 (ko)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KR102546625B1 (ko) 보행보조기
CN115054493A (zh) 一种医疗护理用助行装置
KR101961561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발
KR101389575B1 (ko) 완충 지팡이
KR20210012458A (ko) 목발
KR101206514B1 (ko) 완충성이 우수한 목발
KR101978087B1 (ko) 보행 강화용 지팡이
JP4675507B2 (ja) 衝撃吸収性に優れた杖
KR20190123918A (ko) 기능성 목발
JP6644391B1 (ja) 衝撃吸収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