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553B1 -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 Google Patents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553B1
KR101899553B1 KR1020180046730A KR20180046730A KR101899553B1 KR 101899553 B1 KR101899553 B1 KR 101899553B1 KR 1020180046730 A KR1020180046730 A KR 1020180046730A KR 20180046730 A KR20180046730 A KR 20180046730A KR 101899553 B1 KR101899553 B1 KR 10189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support
fixing groove
protrus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연
Original Assignee
김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연 filed Critical 김기연
Priority to KR1020180046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5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2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3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e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가 개시된다.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는, 애완 동물의 몸통부의 측면을 따라 긴 길이로 설치되며 애완 동물에 착용된 하니스부에 지지되는 서포트부와, 서포트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PETS}
본 발명은 장애가 있는 애완 동물의 안정적인 보행을 보조하는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의 경우 좁은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운동부족에 따른 비만이나 관절염 등에 의해 다리의 힘이 약해지거나, 사고에 의해 사지가 마비되는 등과 같이 애완동물 스스로 보행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애완 동물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장애가 있는 다리 위치에 주행휠을 설치한 보행 보조기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보행 보조기는 애완 동물의 몸통의 측면에 지지대를 통해 연결되고, 주행휠은 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로 바닥면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전술한 보행 보조기는 애완동물의 몸통 길이 또는 다리 길이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가변된 상태로 착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보행 과정에서 바닥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6824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애완 동물의 몸통 길이 또는 다리 길이에 대응하여 착용 위치 및 크기의 변경이 가능하고, 충격 흡수가 용이한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애완 동물의 몸통부의 측면을 따라 긴 길이로 설치되며 애완 동물에 착용된 하니스부에 지지되는 서포트부와, 서포트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휠을 포함한다.
서포트부는, 애완 동물의 몸통부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서포트 바와, 서포트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돌출되며 하니스부에 걸리는 복수개의 돌기부와, 복수개의 서포트 바의 양측을 서로간에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부와, 연결 돌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저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연결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복수개로 배치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 돌부는 다른 하나의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 돌부가 서포트부에 삽입 고정되고 하측의 고정홈에는 회전 휠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 동물의 몸통 길이에 대응하여 서포트부의 설치된 위치를 가변하여 회전 휠의 설치된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애완 동물의 보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포트부에 설치되는 회전 휠이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에 의해 길이 조절된 상태로 연결되는 바, 애완동물의 키와 다리 길이 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치 가능하고 보행 충격 완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부가 복수개로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의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100)는, 애완 동물의 몸통부의 측면을 따라 긴 길이로 설치되며 애완 동물에 착용된 하니스부(11)에 지지되는 서포트부(10)와, 서포트부(1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20)와, 연결부(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휠(35)을 포함한다.
하니스부(11)는 애완 동물의 몸통에 착용되는 것으로 벨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니스부(11)는 애완 동물의 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를 달리하여 착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착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하니스부(11)가 착용되는 것은 후술하는 서포트부(10)를 애완 동물의 몸통의 측면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하니스부(11)에는 서포트부(10)가 지지될 수 있다.
서포트부(10)는, 애완 동물의 몸통부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서포트 바(12)와, 서포트 바(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돌출되며 하니스부(11)에 걸리는 복수개의 돌기부(14)와, 복수개의 서포트 바(12)의 양측을 서로간에 연결하는 연결바(16)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바(12)는 하니스부(11)에 걸림 지지되는 것으로 하니스부(11)에 걸림 고정되는 위치를 변경한 상태로 지지되어 애완 동물의 몸통부의 측면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바(12)는 다각 형상의 긴 길이로 형성된 상태로 애완 동물의 몸통부의 측면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서포트 바(12)는 다각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형의 막대 형상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 바(12)의 측면에는 돌기부(14)가 돌출될 수 있다.
돌기부(14)는 서포트 바(12)의 측면에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14)가 서포트 바(12)의 측면에 돌출되는 것은, 하니스부(11)가 서포트 바(12)에 걸림 고정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걸림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바(16)는 서포트 바(12)의 일단의 양측을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바(16)는 애완동물의 엉덩이 위치에서 서포트 바(12)의 양단을 서로간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 바(12)는 애완 동물의 몸통의 측면 위치에 내구성이 향상된 상태로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서포트 바(12)에는 회전 휠(35)의 설치를 위한 연결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결부가 복수개로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는, 서포트부(1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성력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부(20)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부(21)와, 연결 돌부(21)의 하부에 연결되며 저면에는 고정홈(23a)이 형성되는 연결 링(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20)는 서포트 바(12)와 회전 휠(35)의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링(23)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애완 동물의 보행 과정에서 회전 휠(35)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링(23)의 상측에는 연결 링(23)의 고정을 위한 연결 돌부(21)가 돌출될 수 있다.
연결 돌부(21)는 연결 링(23)의 상측으로 다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돌부(21)의 측면에는 연결 돌부(21)가 서포트 바(12)에 삽입된 상태의 고정을 위한 걸림 돌기(21a)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돌부(21)는 서포트 바(12)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바, 분리 가능한 착탈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링(23)의 하부에는 고정홈(23a)이 형성되는 바, 고정홈(23a)에 회전 휠(3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홈(23a)은 사각형 형상으로 연결 링(23)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 회전 휠(35)이 고정홈(23a)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휠의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휠(35)은, 고정홈(23a)에 삽입되며 측면에는 고정홈(23a)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돌기(31a)가 돌출된 커넥터 돌부(31)와, 커넥터 돌부(31)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회전 휠(35)의 설치를 위한 설치홀(33a)이 형성된 휠 플레이트(33)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 돌부(31)는, 연결 링(23)에 형성된 고정홈(23a)에 삽입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돌부(31)의 측면에는 커넥터 돌부(31)가 고정홈(23a)에 삽입된 상태를 걸림 고정하는 걸림 돌기(31a)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돌부(31)를 고정홈(23a)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걸림 돌기(31a)의 걸림 고정 작동에 의해 착탈 가능한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돌부(31)에는 휠 플레이트(33)가 연결될 수 있다.
휠 플레이트(33)는 상측에 돌출되는 커넥터 돌부(31)에 의해 연결부(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중심 위치에 회전 휠(35)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휠 플레이트(33)는 커넥터 돌부(31)가 돌출되는 가장자리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을 향하는 측면은 편평한 형태를 이루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휠 플레이트(33)는 바닥면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로 회전 휠(35)을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100)는, 애완 동물의 몸통 길이에 대응하여 서포트부(10)의 설치된 위치를 가변하여 회전 휠(35)의 설치된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서포트부(10)에 설치되는 회전 휠(35)이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20)에 의해 길이 조절된 상태로 연결되는 바, 애완동물의 키와 다리 길이 등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설치 가능하고 보행 충격 완화가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서포트부 11....하니스부
12...서포트 바 14...돌기부
20...연결부 21...연결 돌부
21a..걸림 돌기 23...연결 링
31...커넥터 돌부 33...휠 플레이트
33a..설치홀 35...회전 휠

Claims (4)

  1. 애완 동물의 몸통부의 측면을 따라 긴 길이로 설치되며 애완 동물에 착용된 하니스부에 지지되는 서포트부;
    상기 서포트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지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탄성력을 갖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휠;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부; 및
    상기 연결 돌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저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된 연결 링;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복수개로 배치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 돌부는 다른 하나의 고정홈에 삽입 고정되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측으로 돌출된 연결 돌부가 상기 서포트부에 삽입 고정되고 하측의 고정홈에는 상기 회전 휠에 고정되는,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애완 동물의 몸통부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개의 서포트 바;
    상기 서포트 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돌출되며 상기 하니스부에 걸리는 복수개의 돌기부; 및
    복수개의 상기 서포트 바의 양측을 서로간에 연결하는 연결바;
    를 포함하는,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돌부는, 상기 연결 링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4. 삭제
KR1020180046730A 2018-04-23 2018-04-23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KR10189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30A KR101899553B1 (ko) 2018-04-23 2018-04-23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30A KR101899553B1 (ko) 2018-04-23 2018-04-23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553B1 true KR101899553B1 (ko) 2018-09-17

Family

ID=6372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730A KR101899553B1 (ko) 2018-04-23 2018-04-23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5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053A (ko) * 2020-02-25 2021-09-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견용 맞춤형 재활 보조기 제작 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용 맞춤형 재활 보조기 제작 방법
KR20210110168A (ko) * 2020-02-27 2021-09-07 이은재 동물용 보행 보조기구
CN113425564A (zh) * 2021-07-01 2021-09-24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宠物狗用辅助行走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4233B2 (ja) 2006-08-01 2009-03-25 延行 島岡 ペット用車椅子
JP2009095349A (ja) * 2007-10-18 2009-05-07 Wheels For Pets Llc ペット用調節可能車椅子
KR100969461B1 (ko) * 2009-01-12 2010-07-14 이진교 보행 보조기
JP2013208397A (ja) 2012-03-30 2013-10-10 Kyushu Univ 歩行運動補助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4233B2 (ja) 2006-08-01 2009-03-25 延行 島岡 ペット用車椅子
JP2009095349A (ja) * 2007-10-18 2009-05-07 Wheels For Pets Llc ペット用調節可能車椅子
KR100969461B1 (ko) * 2009-01-12 2010-07-14 이진교 보행 보조기
JP2013208397A (ja) 2012-03-30 2013-10-10 Kyushu Univ 歩行運動補助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053A (ko) * 2020-02-25 2021-09-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견용 맞춤형 재활 보조기 제작 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용 맞춤형 재활 보조기 제작 방법
KR102381731B1 (ko) 2020-02-25 2022-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반려견용 맞춤형 재활 보조기 제작 시스템을 이용한 반려견용 맞춤형 재활 보조기 제작 방법
KR20210110168A (ko) * 2020-02-27 2021-09-07 이은재 동물용 보행 보조기구
KR102546405B1 (ko) 2020-02-27 2023-06-23 이은재 동물용 보행 보조기구
CN113425564A (zh) * 2021-07-01 2021-09-24 山东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宠物狗用辅助行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553B1 (ko) 애완 동물 보행 보조기
JP5385584B2 (ja) ペット用調節可能車椅子
KR20220124136A (ko) 슬라이딩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586645B1 (ko) 보행 보조 장치
DE69700890T2 (de) Rollschuh mit Stossdämpfer
KR101637120B1 (ko) 사람과 애완동물 겸용 런닝머신
FR2778070B1 (fr) Boucle pour le couplage d'une paire de sangles, comprenant une douille avec une partie d'actionnement formee separement de la douille
JP2008035708A (ja) ペット用車椅子
US11172652B2 (en) Multiple dog attachment apparatus
US7007632B1 (en) Milking parlor stall shoulder bumper
JP2011206366A (ja) 歩行支援器具
US20210001238A1 (en) Robot
JP2014135929A (ja) ペット用歩行補助車
US20210289754A1 (en) Cart for assisting animals in movement
JP7492305B1 (ja) 四足動物用車椅子
CN101371809A (zh) 一种后躯残疾宠物助步轮椅车
KR200246798Y1 (ko) 환자용 보행 보조장치
KR20210009231A (ko) 조명 장착 장치
WO2024018940A1 (ja) 四足動物用車椅子
JP6296896B2 (ja) ペット用車椅子
JP2005080894A (ja) 乳幼児用シート
KR102278530B1 (ko) 운동 보조 기구
ES2185275T3 (es) Sistema de conector.
KR102546405B1 (ko) 동물용 보행 보조기구
US11751539B2 (en) Horse to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