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685B1 -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685B1
KR101313685B1 KR1020110012011A KR20110012011A KR101313685B1 KR 101313685 B1 KR101313685 B1 KR 101313685B1 KR 1020110012011 A KR1020110012011 A KR 1020110012011A KR 20110012011 A KR20110012011 A KR 20110012011A KR 101313685 B1 KR101313685 B1 KR 101313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functional chair
support frame
pedestal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907A (ko
Inventor
양희정
Original Assignee
양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정 filed Critical 양희정
Priority to KR102011001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68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52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connected only by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seat and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판(10); 좌판(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0); 지지프레임(20)을 떠받치는 하부프레임(30); 일측은 지지프레임(20)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좌판(10)의 하면에 연결되는 받침대(40); 및 좌판(10)과 지지프레임(20) 사이에 위치하며 좌판(10)을 전, 후로 틸팅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되, 좌판(10)은 전, 후가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받침대(40)의 타측과 힌지결합되거나, 절첩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FUNCTIONAL CHAIR FOR ELASTIC OF SEAT BOARD}
본 발명은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되도록 하여 장시간 착석시에도 몸의 피로가 풀어지게 되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른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척추를 중심으로 한 적절한 움직임은 뇌의 각성 상태 유지와 집중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자는 좌판이 단순히 인체의 둔부와 대퇴부를 안치하기 위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동 없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의자에 착석하게 되면 허리 및 둔부와 대퇴부에 심한 통증이 생기게 되고 이때마다 수시로 자세를 움직여 몸의 피로를 풀어주게 되면서 지속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은 물론, 뇌의 각성상태가 깨지거나, 집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세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몸이 비스듬하게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좌판의 끝단에 걸터앉는 등의 불안정한 자세를 지속하게 되면서 척추가 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허리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심한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의자에 장시간 착석시에도 신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되도록 하여 몸의 피로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은 물론, 항상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되도록 하여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이다.
셋째, 기능성 좌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판; 좌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떠받치는 하부프레임;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좌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받침대; 및 좌판과 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좌판을 전, 후로 틸팅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좌판은 전, 후가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받침대의 타측과 힌지결합되거나, 절첩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은 받침대는 좌판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가스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받침대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전,후방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는 외측으로 일단은 상기 좌판의 하면 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후방부에 연결되는 안전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커버는 일단은 좌판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위차하는 상부커버와, 일단은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커버로 인입되는 하부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커버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조절부는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 또는 상부커버와 하부커버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과; 탄성부재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며 양 단부가 각각 가이드공으로 돌출되는 가압편; 및 상부커버 또는 하부커버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가압편을 승,하강시켜 탄성부재가 수축 또는 이완되도록 하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되, 상부커버의 외주면 또는 하부커버의 외주면과 가이드편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조절부는 일측은 좌판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안전커버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가이드축과; 하부커버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과; 탄성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 단부가 각각 가이드공의 일측과 타측으로 돌출되는 가압편과; 하부커버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가압편을 승,하강시켜 탄성부재가 수축 또는 이완되도록 하는 가이드편을 포함하되, 탄성부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축은 한 쌍의 탄성부재 사이에 가이드판이 구비되며, 하부커버의 외주면과 가이드편의 내주면에는 나사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는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좌판은 하면 전방부에 상기 좌판의 팅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는 일단은 좌판의 하부와 래칫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좌판의 전, 후 방향으로 회동되어 받침대와 이격되거나, 접하는 고정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는 손잡이와; 일측은 손잡이에 연결되고 타측은 좌판의 하부에 공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좌판의 하면에 형성되며, 회전축이 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편; 및 일측은 회전축에 결합되며 타측은 회전축의 공회전에 의해 전, 후 이동하여 받침대와 이격되거나, 접하는 각도조절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는 전면으로 다수개의 단턱이 형성되거나, 다수개의 거치돌기 또는 다수개의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는 전면으로 다수개의 단턱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다수개의 거치돌기 또는 다수개의 거치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은 상면 전방으로 중앙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자에 장시간 착석시에도 신체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됨으로써 몸의 피로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은 물론, 항상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유도됨으로써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의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탄성부재에 의해 완충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1실시예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서 하부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제 1실시예에서 받침대와 좌판의 결합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서 좌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2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제 2실시예에서 안전커버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서 안전커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3실시예에서 탄성조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9a 및 9b는 제 3실시예에서 탄성조절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3실시예에서 탄성조절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a 및 11b는 제 3실시예에서 탄성조절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4실시예의 측면도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3a 및 13b는 제 4실시예에서 받침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a 및 14b는 제 4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1실시예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에서 하부프레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제 1실시예에서 받침대와 좌판의 결합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제 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이하 "기능성의자" 라 한다)(1)는 좌판(10),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을 떠받치는 하부프레임(30),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좌판(10)의 하면에 연결되는 받침대(40) 및 상기 좌판(10)과 상기 지지프레임(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좌판(10)을 전, 후롤 틸팅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좌판(10)은 둔부와 대퇴부가 거치되며,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0)은 상기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중심지지대(31)와, 상기 중심지지대(31)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되고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다리(32)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30)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좌판(10)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죄판(10)은 상기 받침대(40)의 타측과 상, 하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0)의 하면에 한 쌍의 지지편(1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편(11) 및 상기 받침대(40)의 타측에는 힌지축(12)이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공(11a,40a)이 형성된다.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받침대(40)의 타측이 상기 한 쌍의 지지편(11) 사이로 끼워진 후, 상기 힌지축(12)에 의해 상,하 회동되도록 연결된다.
또는,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0)의 하면과 상기 받침대(40)의 타측이 절첩구(6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좌판(10)이 상기 받침대(40)와 힌지결합되거나, 절첩구(6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좌판(10)의 전, 후가 상, 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50)는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가스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40)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전,후방에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이러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둔부와 대퇴부를 거치하기 위한 좌판의 기울기는 사람의 체형에 따라 조금의 차이가 있으나 전면으로 6도~16도 기울어져 있을 때 허리가 곧게 펴지면서 가장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생활참선시에는 신체가 전면으로 10도 기울어진 각도에서 가장 이상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5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좌판(10)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0)이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전방으로 기울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척추가 자연스럽게 "S"자 형태의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장시간 상기 기능성의자(1)에 착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좌판(10)에 착석하는 과정에서의 충격이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완충되면서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기능성의자(1)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변화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상기 좌판(10)이 전, 후로 틸팅되면서 몸의 피로가 자연스럽게 풀어지는 것은 물론, 뇌의 각성(覺醒)상태 유지와 집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1실시예에서 좌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좌판(10)의 상면 전방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중앙돌출부(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좌판(10)은 상기 중앙돌출부(13)의 좌, 우측으로 대퇴부거치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돌출부(13)의 후방으로 둔부거치홈(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좌판(10)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 좌판(10)의 하면에 설치된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상기 좌판(10)이 전방으로 기울지게 되면서 신체가 전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중앙돌출부(13)로 인해 상기 좌판(10)에 착석한 사용자가 전방으로 미끄러짐 없이 편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좌판(10)에 착석한 사용자의 둔부와 대퇴부가 상기 둔부거치홈(15)과 상기 대퇴부거치홈(14)에 자연스럽게 거치됨으로써 늘어진 둔부가 안쪽으로 모아지면서 볼륨 있는 라인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둔부거치홈(15)과 상기 대퇴부거치홈(14)에 의해 퍼진 둔부의 골반부가 항시 바른 자세를 취하게 되면서 골반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좌판(10)은 상기 중앙돌출부(13)의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1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좌판(10)에 착석하면 상기 중앙돌출부(13)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다수개의 돌기(16)에 의해 회음부 주위의 혈이 부드럽게 자극되면서 혈액 순환 및 성기능 개선과, 호르몬 분비촉진으로 인한 피부 노화 및 성장기 아동의 발육에 효과가 있다.
특히, 수험생에게는 집중력을 높이는데 큰 효과가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2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제 2실시예에서 안전커버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며, 도 7은 제 2실시예에서 안전커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a, 6b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기능성의자(1)는 상기 탄성부재(50)의 외측으로 일단은 좌판(10)의 하면 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면 후방부에 연결되는 안전커버(52)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코일스프링(5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커버(52)는 상기 탄성부재(51)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접히고 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안전커버(52)는 상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로 절첩되는 자바라 형태로 형성된다.
또는,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안전커버(52)가 일단은 상기 좌판(1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53)와,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커버(53)로 인입되는 하부커버(5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 좌판(10)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50)가 수축되면서 상기 좌판(10)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10)의 하강과 동시에 상기 좌판(10)에 연결된 상기 상부커버(53)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좌판(10)으로부터 기립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50)는 이완되면서 상기 좌판(10)은 원위치로 회귀하고, 상기 상부커버(53)는 승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탄성부재(50)의 외측으로 상기 안전커버(52)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50) 사이로 손가락이나, 옷이 끼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3실시예에서 탄성조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중앙 종단면도이며, 도 9a 및 9b는 제 3실시예에서 탄성조절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보면, 기능성의자(1)는 안전커버(52)에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조절부(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탄성조절부(70)는 상기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53)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71)과, 상기 탄성부재(50)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공(71)으로 돌출되는 가압편(72)과, 상기 상부커버(53)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며 상기 가압편(72)을 승,하강시켜 상기 탄성부재(50)가 수축 또는 이완되도록 하는 가이드편(73)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커버(53)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편(7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탄성조절부(70)는 상기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커버(53,54)의 양 측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공(71)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탄성조절부(70)는 상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커버(54)의 양 측면에 상기 가이드공(7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50)의 하측에 상기 가압편(7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편(73)은 상기 하부커버(54)의 외주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코일스프링(5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도 8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편(73)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가이드편(73)은 상기 상부커버(53) 또는 상기 하부커버(5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가압편(72)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편(72)의 승, 하강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50)는 수축 또는 이완되면서 탄성력이 조절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가이드편(73)을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회전시켜 상기 탄성부재(50)를 압착하면 상기 탄성부재(50)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탄성부재(50)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기능성의자(1)에 착석하면 상기 좌판(10)은 전,후 방향으로 완충되는 정도는 줄어든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가이드편(73)을 회전시켜 압축된 상태의 상기 탄성부재(50)가 이완되도록 하면 상기 좌판(10)은 전,후 방향으로 완충되는 정도가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가이드편(73)을 조절하여 상기 탄성부재(50)를 압축하거나, 이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좌판(10)이 전,후로 완충되는 알맞은 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a,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3실시예에서 탄성조절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 내지 11b를 참조하여 보면, 기능성의자(1)는 탄성조절부(70)가 일측은 상기 좌판(1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안전커버(52)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가이드축(74)과, 상기 하부커버(54)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가이드공(71)과, 상기 탄성부재(50)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가이드공(71)의 일측과 타측으로 돌출되는 가압편(72)과, 상기 하부커버(54)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편(72)을 승,하강시켜 상기 탄성부재(50)가 수축 또는 이완되도록 하는 가이드편(73)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축(74)은 한 쌍의 탄성부재(50) 사이에 가이드판(75)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커버(54)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편(7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코일스프링(51)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커버(54)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턱(76)이 형성되며, 대응되는 상기 상부커버(53)의 내주면에는 이탈방지편(7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방지편(77)은 상기 이탈방지턱(76)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축(74)의 타측이 접하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축(74)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좌판(10)이 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편(72)의 상측에 위치한 탄성부재(50)가 상기 가이드판(75)에 의해 수축되면서 완충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10)이 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53)의 내측 상부면과 접하는 탄성부재(50)가 상기 가이드판(75)에 의해 압착되면서 완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가이드편(73)을 회전시켜 승,하강시키면, 상기 가이드판(75)의 상측에 위치한 탄성부재(50)는 상기 상부커버(53)와 상기 가이드판(75) 사이에서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탄성력이 조절된다.
또한,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가이드편(73)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승,하강시키면, 상기 가이드판(75)의 하측에 위치한 탄성부재(50)가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탄성력이 조절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연령, 신체조건 및 체중 등에 따라 알맞은 탄성력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4실시예의 측면도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13a 및 13b는 제 4실시예에서 받침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보면, 기능성의자(1)는 상기 좌판(10)의 팅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부(80)는 손잡이(81)와, 일측은 상기 손잡이(8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공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축(82)과, 그리고 일측은 상기 회전축(82)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회전축(82)의 공회전에 의해 전, 후 이동하여 상기 받침대(40)와 이격되거나, 접하는 각도조절대(8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좌판(1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82)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85)이 형성된 한 쌍의 체결편(8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82)의 타측에는 상기 체결공(8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돌출편(8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손잡이(81)를 좌, 우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축(82)에 연결된 상기 각도조절대(83)가 전, 후로 이동되며 상기 받침대(40)와 접하거나, 이격된다.
상기 받침대(40)는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각도조절대(82)의 타단과 접하는 전면에는 상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턱(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받침대(40)는 전면에 상기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거치돌기(42)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개의 거치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의자(1)는 상기 받침대(40)의 전면에 상기 다수개의 단턱(41)이 형성되거나, 다수개의 거치돌기(42) 또는 다수개의 거치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도조절대(83)의 타단이 상기 받침대(40)에 쉽게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10)의 전,후가 상,하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각도조절대(83)는 타단이 상기 받침대(40)에 형성된 단턱(41) 또는 거치돌기(42) 또는 거치홈으로 인입되면서 미끄러짐 없이 일정한 위치에 접하며 회동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손잡이(81)를 조절하여 상기 각도조절대(83)의 타단과 상기 받침대(40)가 접하도록 하면 상기 좌판(10)은 전방으로 틸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손잡이(81)를 조절하여 상기 각도조절대(83)의 타단과 상기 받침대(40)가 이격되도록 하면 상기 좌판(10)은 상기 각도조절대(83)와 상기 받침대(40)와의 이격된 간격만큼 전방으로 틸팅된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81)를 조절하여 상기 각도조절대(83)가 상기 받침대(40)와 접하지 않도록 하면 상기 좌판(10)은 전방으로 틸팅되는 각도가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상기 각도조절부(8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손잡이(81)를 조절하여 상기 좌판(10)이 전방으로 틸팅되는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좌판(10)이 틸팅되는 알맞은 한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4a 및 14b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에 대한 제 4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4a 및 14b를 참조하여 보면, 기능성의자(1)는 상기 각도조절부(80)가 일단은 상기 좌판(10)의 하부와 래칫(86)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은 회동되어 상기 받침대(40)와 이격되거나, 접하는 고정대(8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좌판(10)의 하부에는 상기 래칫(86)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공(88a)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편(88)이 형성되며, 상기 래칫(86)은 중공(86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래칫(86)에 형성된 중공(86a)과 상기 고정편(88)에 형성된 고정공(88a)으로 볼트와 같은 결합구(89a)를 인입한 후, 나사와 같은 결합부재(89b)로 결속한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대(87)는 상기 좌판(10)의 하부에 전,후 회동될 수 있게 고정된다.
상기 래칫(86)은 폴(86b)의 조절에 따라 정, 역회전되는 일반적인 래칫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고정대(87)를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고정대(87)의 타단과 상기 받침대(40)가 접하도록 하면 상기 좌판(10)은 전방으로 틸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대(87)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대(87)의 타단과 상기 받침대(40)가 이격되도록 하면 상기 좌판(10)은 상기 고정대(87)와 상기 받침대(40)와의 이격된 간격만큼 전방으로 틸팅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대(87)를 조절하여 상기 고정대(87)의 전면 또는 후면과 상기 좌판(10)의 하면이 접하도록 조절하면 상기 좌판(10)은 전방으로 틸팅되는 각도가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의자(1)는 상기 각도조절부(8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기능성의자(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용도, 신체조건, 취향 등에 따라 상기 좌판(1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능성의자 10 : 좌판
13 : 중앙돌출부 14 : 대퇴부거치홈
15 : 둔부거치홈 16 : 돌기
20 : 지지프레임 30 : 하부프레임
31 : 중심지지대 32 : 다리
40 : 받침대 41: 단턱
42 : 거치돌기 50 : 탄성부
51 : 탄성부재 52 : 안전커버
53: 상부커버 54 : 하부커버
60 : 절첩구 70 : 탄성조절부
71 : 가이드공 72 : 가압편
73 : 가이드편 74 : 가이드축
75 : 가이드판 80 : 각도조절부
81 : 손잡이 82 : 회전축
83 : 각도조절대 87 : 고정대

Claims (13)

  1.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좌판;
    상기 좌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을 떠받치는 하부프레임;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좌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받침대; 및
    상기 좌판과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좌판을 전, 후로 틸팅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좌판은 전, 후가 상,하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의 타측과 힌지결합되거나, 절첩구에 의해 결합되고, 그 하면 전방부에 상기 좌판의 팅틸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좌판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판스프링, 가스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의 전방 또는 후방 또는 전,후방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외측으로 일단은 상기 좌판의 하면 후방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후방부에 연결되는 안전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커버는 일단은 상기 좌판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커버와,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커버로 인입되는 하부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의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10012011A 2011-02-10 2011-02-10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KR101313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11A KR101313685B1 (ko) 2011-02-10 2011-02-10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11A KR101313685B1 (ko) 2011-02-10 2011-02-10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907A KR20120091907A (ko) 2012-08-20
KR101313685B1 true KR101313685B1 (ko) 2013-10-02

Family

ID=4688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011A KR101313685B1 (ko) 2011-02-10 2011-02-10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53B1 (ko) * 2020-07-24 2021-05-13 이제홍 치질 치료용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0248A (zh) * 2020-01-19 2020-05-15 竺坊建筑设计咨询(上海)有限公司 一种姿态可调节躺椅
KR102280504B1 (ko) * 2021-03-12 2021-07-22 주식회사 현원 자세 교정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34Y1 (ko) * 1993-04-14 1995-10-16 김태호 회전의자의 높이조정장치
US5704689A (en) * 1995-02-15 1998-01-06 Kim; Moung Sook Chair having separable back
JPH11244099A (ja) * 1998-02-27 1999-09-14 Yukie Takahashi 着座具
KR20030025668A (ko) * 2001-09-22 2003-03-29 안남기 자세 교정용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34Y1 (ko) * 1993-04-14 1995-10-16 김태호 회전의자의 높이조정장치
US5704689A (en) * 1995-02-15 1998-01-06 Kim; Moung Sook Chair having separable back
JPH11244099A (ja) * 1998-02-27 1999-09-14 Yukie Takahashi 着座具
KR20030025668A (ko) * 2001-09-22 2003-03-29 안남기 자세 교정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753B1 (ko) * 2020-07-24 2021-05-13 이제홍 치질 치료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907A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33069A (ja)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CN202908286U (zh) 一种可调角按摩沙发
JP2004508891A (ja) 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椅子およびこの椅子で脊椎骨の異常整列を矯正するための方法
KR101140009B1 (k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CN201958277U (zh) 一种多段式椅背框架
US20070252419A1 (en) Seating Mechanism and Chair
CN104323615A (zh) 一种反重力家用休闲养生椅
KR101313685B1 (ko)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KR102358047B1 (ko) 척추 스트레칭용 의자
JP6080036B2 (ja) 腰痛改善器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KR20170016063A (ko) 의자 설치용 허리보호대
KR101071058B1 (ko) 의자의 접철식 서포터 장치
KR101022764B1 (ko) 의자
WO2009061125A1 (en) Chair for protecting pelvis enabling to set displacement angle of a seat
KR200357018Y1 (ko) 허리 교정용 의자
KR101374075B1 (ko) 자중에 의해 허리지지력이 강화되는 의자
KR20120003933U (ko) 재활용 의자
KR10132004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의자
KR101311814B1 (ko) 기능성 의자
KR100787165B1 (ko) 척추교정용 의자
CN110638241A (zh) 一种舒适型座椅
KR20120004988U (ko) 두뇌 활성화를 위한 기능성 의자
KR20090048281A (ko) 변위 각도 설정 기능을 갖는 골반 보호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