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753B1 - 치질 치료용 기구 - Google Patents

치질 치료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753B1
KR102251753B1 KR1020200092526A KR20200092526A KR102251753B1 KR 102251753 B1 KR102251753 B1 KR 102251753B1 KR 1020200092526 A KR1020200092526 A KR 1020200092526A KR 20200092526 A KR20200092526 A KR 20200092526A KR 102251753 B1 KR102251753 B1 KR 10225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rrhoids
adjustment unit
tilt adjustment
treating hemorrhoid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홍
Original Assignee
이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홍 filed Critical 이제홍
Priority to KR102020009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93Rectal devices, e.g. for the treatment of haemorrho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5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 A61H2201/1647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the anatomy of a particular individu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6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서 상향 돌출되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전방 및 후방 함몰부와 전방 및 후방 함몰부를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좌측 및 우측 확장부로 이루어진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부 및 가압부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소정 각도 기울이는 경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질 치료용 기구{HEMORRHOIDS MEDICAL IMPLEMENTS}
본 발명은 치질 치료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조절을 통해 치질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치질 치료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질(또는 치핵)은 항문 질환 중 가장 많은 질환이며, 정상적인 항문관 내에는 점막하 조직 평활근과 탄성을 지닌 결체조직의 분리된 덩어리로 구성된 혈관조직으로 특별한 쿠션조직이 있다.
이 조직은 대개 좌측부, 우전, 우후 세 방향에 존재하며, 이 조직이 비정상적 또는 증상을 나타낼 때를 치질(또는 치핵)이라 한다.
치질(또는 치핵)의 원인은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중력, 지속적으로 힘을 쓸 때, 불규칙한 배변 습관 등으로 항문쿠션이 아래로 내려와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선천적으로 항문관 점막이 약한 유전적 요인, 오랜 설사, 심한 기침, 변비로 인한 잦은 관장으로 복강 내 압력이 높아져 발생하는 경우, 임신 출산 시 복강 내압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치핵의 발병 시, 주로 수술 요법, 즉, 혈전절제수술, 점막하 치핵절제술, 초음파 혹은 조절전기에너지와 통고수술 등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환자들의 수술에 대한 두려움, 수술 후 고통 및 재발 등의 문제로 인하여 많이 망설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치핵의 발병 시 수술요법을 이용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는 의료기기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이 특허등록을 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0148과 10-1370155에는 각각 '항문 접촉 부위가 볼록한 치질치료용 시트'와 '항문 접촉 부위가 오목한 치질치료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0148과 10-1370155는 치질을 수술 없이 치료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장치로서 입증은 되었지만, 치질 개선이나 치료에 있어서 좀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장치의 개선이 필요하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1.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0148 2.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7015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경사조절을 통해 치질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치질 치료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향 돌출되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전방 및 후방 함몰부와 상기 전방 및 후방 함몰부를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좌측 및 우측 확장부로 이루어진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소정 각도 기울이는 경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부착되고,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확장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확장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좌측 체결부; 및 우측 체결부; 일측이 상기 좌측 및 우측 체결부에 각각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치질 치료용 기구가 안착되는 상대물의 상면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부는 소정 길이로 연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 일측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치질 치료용 기구가 안착되는 상대물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의 후단부에 체결되되, 전방으로 절첩되고 후방으로 소정 각도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함몰부의 중앙에 소정 폭 및 깊이를 가지고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소정 각도를 갖는 제1 경사 조절부와, 상기 제1 경사 조절부의 소정 각도 보다 큰 각도를 갖는 제2 경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소정의 제1 각도 및 상기 제1 각도 보다 큰 각도의 제2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치질 치료용 기구의 경사조절을 통해 착석 시 안정감을 향상시켜,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착석할 수 있어 치질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증상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경사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어 장기간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치질 치료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치질 치료용 기구에 착석 시 통증이 수반되는 특정부위와 치질 치료용 기구간 접촉을 회피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인체 공학적 형상을 적용하여 치질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가압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지지부의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가 변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경사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경사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효과를 살펴본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는 베이스부, 가압부, 경사 조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부는 상대물에 직접 안착되고, 이때 상대물은 변기나 좌훈기를 포함한 의자형태의 물체일 수 있다.
가압부는 베이스부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되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전방 및 후방 함몰부와 전방 및 후방 함몰부를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좌측 및 우측 확장부로 이루어진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는 전방 함몰부의 중앙에 소정 폭 및 깊이를 가지고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부는 사용자가 치질 치료용 기구에 착석했을 때 체중에 의해 통증이 수반되는 특정부위(전립선 또는 회음부)와 가압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치질 치료용 기구에 착석하도록 할 수 있다.
가압부는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부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다.
경사 조절부는 가압부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가압부 또는 베이스부를 소정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즉, 경사 조절부는 베이스부와 가압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치질 치료용 기구일 경우 베이스부의 하부에, 베이스부로부터 가압부가 탈부착되는 분리형 치질 치료용 기구일 경우 가압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치질 치료용 기구를 실시 예 1 및 2를 통해, 일체형 치질 치료용 기구를 실시 예 3 및 4를 통해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가압부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지지부의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가 변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가압부(200)와 체결되는 제1홀(110) 및 이송 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제2홀(1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홀(110)은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 형성된 계단 형상일 수 있다.
즉, 가압부(200)는 제1홀(110)의 상부로 삽입되고, 제1홀(110)의 하부에 의해 하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상대물(500)의 일측에 걸림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경사 조절부는 가압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부(220)와, 일측이 체결부(220)와 체결되고 타측이 치질 치료용 기구가 안착되는 상대물(500)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20)는 좌측 확장부(214)의 하측에 형성된 좌측 체결부와, 우측 확장부(213)의 하측에 형성된 우측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300)는 좌측 체결부와 체결되는 좌측 지지부와, 우측 체결부와 체결되는 우측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체결부는 후방 함몰부(212)와 인접한 좌측 및 우측 확장부(214, 213)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되, 관통부(2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는 체결 위치가 다를 뿐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체결부와 우측 체결부 역시 배치 위치가 다를 뿐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좌우 구분 없이 지지부(300)와 체결부(220)로 기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300)의 일측에는 돌출부(3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무패드(330)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10)는 체결부(2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300)를 가압부(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고무패드(330)는 사용자가 치질 치료용 기구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 하중에 의한 상대물(500)의 표면 손상 및 가압부(2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일한 베이스부(100)와 가압부(200)를 포함하는 치질 치료용 기구에 높이가 다른 지지부(300', 300”)를 적용함으로써 가압부(200)의 경사가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 예 1에 따르면 사용자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 지지부(300)를 교체 적용하는 것만으로 증상에 알맞은 치질 치료용 기구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 예 2
실시 예 2는 실시 예 1과 비교하여 경사 조절부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 예 2를 설명함에 있어 경사 조절부를 제외한 기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경사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경사 조절부는 가압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부(220')와, 일측이 체결부(220')와 체결되고 타측이 치질 치료용 기구가 안착되는 상대물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220')는 좌측 확장부의 하측에 형성된 좌측 체결부와, 우측 확장부의 하측에 형성된 우측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600)는 좌측 체결부와 체결되는 좌측 지지부와, 우측 체결부와 체결되는 우측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체결부는 후방 함몰부(212)와 인접한 좌측 및 우측 확장부(214, 213)의 하측에 각각 형성되되, 관통부(2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지지부와 우측 지지부는 체결 위치가 다를 뿐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체결부와 우측 체결부 역시 배치 위치가 다를 뿐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 설명에서는 좌우 구분 없이 지지부(600)와 체결부(220')로 기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체결부(220')는 소정 깊이를 갖는 내측면이 탭 가공된 홀이고, 지지부(600)는 일측에 나사부(620)가 형성되고 타측에 머리부(610)가 형성된 볼트 형태일 수 있다.
지지부(600)는 머리부(610)를 조이거나 풀어 체결부(220')에 삽입된 나사부(620)의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일한 구성(베이스부(100), 가압부(200'), 경사 조절부)의 치질 치료용 기구라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600)를 적용함으로써 가압부(200')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 예 2에 따르면 사용자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 지지부(6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증상에 알맞은 치질 치료용 기구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머리부(610)에 별도의 부재를 체결하여 지지부(600)와 상대물(500)간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상대물(500)의 표면의 좁은 영역에 하중이 집중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머리부(610)의 하면 또는 머리부(610)에 체결되는 별도의 부재의 하면에 고무패드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가압부(2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경사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3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이송 시 손잡이 역할을 하는 제2홀(120)을 포함하고,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상대물의 일측에 걸림되도록 하향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경사 조절부는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30)와, 일측이 체결부(130)와 체결되고 타측이 치질 치료용 기구가 안착되는 상대물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30)는 베이스부(100')의 하부의 후단, 즉 가압부(900)의 좌측 확장부의 뒤쪽에 형성된 좌측 체결부와, 베이스부의 하부의 후단, 즉 가압부(900)의 우측 확장부의 뒤쪽에 형성된 우측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체결부는 관통부(9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700)의 일측에는 돌출부(7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무패드(730)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710)는 체결부(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700)를 베이스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돌출부(710)는 좌측 체결부와 체결되는 좌측 돌출부와, 우측 체결부와 체결되는 우측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패드(730)는 사용자가 치질 치료용 기구에 착석했을 때 사용자 하중에 의한 상대물의 표면 손상 및 치질 치료용 기구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형 치질 치료용 기구(실시 예 1, 실시 예 2)의 경우, 지지부(300, 600)가 가압부(200, 200')의 하면에 체결되어 가압부(200, 200')의 경사를 직접 조절하는 반면, 일체형 치질 치료용 기구(실시 예 3, 실시 예 4)의 경우, 지지부(700, 800)가 베이스부(100')의 하면에 체결되어 치질 치료용 기구 전체를 기울임으로써 가압부(900)의 경사를 기울이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700, 800)의 체결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일체형 치질 치료용 기구의 가압부(900)의 하부 내면은 빈 형상으로 형성하여 치질 치료용 기구의 무게를 줄이되, 가압부(90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소정의 폭을 가지고 가압부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부를 다수 개 배치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일한 베이스부(100')와 가압부(900)를 포함하는 치질 치료용 기구에 높이가 다른 지지부(700', 700”)를 적용함으로써 치질 치료용 기구의 경사가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 예 3에 따르면 사용자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 지지부(700)를 교체 적용하는 것만으로 증상에 알맞은 치질 치료용 기구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 예 4
실시 예 4는 실시 예 3과 비교하여 경사 조절부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 예 4를 설명함에 있어 경사 조절부를 제외한 기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4에 따른 치질 치료용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경사 조절부는 베이스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부(150)와, 일측이 체결부(150)와 체결되고 타측이 치질 치료용 기구가 안착되는 상대물(500)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50)는 베이스부(100”)의 하부의 후단, 즉 가압부(900)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800)는 체결부(150)에 체결되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절첩 가능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 각도로 전개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지지부(800)는 체결부(150)에 의해 소정의 제1 각도와, 제1 각도 보다 큰 각도의 제2 각도로 전개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각도는 베이스부(100”)와 지지부(800)간 각도로, 도 14의 (a)는 지지부(800)가 제2 각도로 전개된 상태를, 도 14의 (b)는 지지부(800)가 제1 각도로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일한 구성(베이스부(100”), 가압부(900), 경사 조절부)의 치질 치료용 기구라도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지부(800)를 적용함으로써 치질 치료용 기구의 경사를 변경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실시 예 4에 따르면 사용자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 지지부(8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증상에 알맞은 치질 치료용 기구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0', 100”: 베이스부
200, 200', 900: 가압부
500: 상대물
300, 300', 300”, 600, 700, 700', 700”, 800: 지지부
110: 제1홀
120: 제2홀
130, 150, 220, 220': 체결부
210, 910: 관통부
211: 전방 함몰부
212: 후방 함몰부
213: 우측 확장부
214: 좌측 확장부
310, 710: 돌출부
610: 머리부
620: 나사부
330, 730: 고무패드

Claims (10)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향 돌출되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전방 및 후방 함몰부와 상기 전방 및 후방 함몰부를 기준으로 좌우에 배치되는 좌측 및 우측 확장부로 이루어진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소정 각도 기울이는 경사 조절부; 및
    상기 전방 함몰부의 중앙에 소정 폭 및 깊이를 가지고 전후방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를 포함하는, 치질 치료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탈부착되고,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확장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치질 치료용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확장부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좌측 체결부; 및 우측 체결부;
    일측이 상기 좌측 및 우측 체결부에 각각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치질 치료용 기구가 안착되는 상대물의 상면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 및 우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질 치료용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지지부는 소정 길이로 연장 또는 수축되는, 치질 치료용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치질 치료용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부;
    일측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치질 치료용 기구가 안착되는 상대물의 상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치질 치료용 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의 후단부에 체결되되, 전방으로 절첩되고 후방으로 소정 각도 전개되는, 치질 치료용 기구.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소정 각도를 갖는 제1 경사 조절부와, 상기 제1 경사 조절부의 소정 각도 보다 큰 각도를 갖는 제2 경사 조절부를 포함하는, 치질 치료용 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소정의 제1 각도 및 상기 제1 각도 보다 큰 각도의 제2 각도로 조절되는, 치질 치료용 기구.
KR1020200092526A 2020-07-24 2020-07-24 치질 치료용 기구 KR10225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26A KR102251753B1 (ko) 2020-07-24 2020-07-24 치질 치료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526A KR102251753B1 (ko) 2020-07-24 2020-07-24 치질 치료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753B1 true KR102251753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526A KR102251753B1 (ko) 2020-07-24 2020-07-24 치질 치료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75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8700B2 (ko) * 1973-01-30 1980-12-08
CN2707117Y (zh) * 2004-06-12 2005-07-06 孟铁军 一种保健坐垫
CN2910152Y (zh) * 2006-07-10 2007-06-13 上海交通大学医学院 多功能护理垫
KR101313685B1 (ko) * 2011-02-10 2013-10-02 양희정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KR101370155B1 (ko) 2011-11-24 2014-03-04 정봉규 항문 접촉 부위가 오목한 치질치료용 시트
KR101370148B1 (ko) 2011-11-24 2014-03-04 정봉규 항문 접촉 부위가 볼록한 치질치료용 시트
KR20200056653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오조 항문 부위의 압력과 혈류를 개선한 치질 시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8700B2 (ko) * 1973-01-30 1980-12-08
CN2707117Y (zh) * 2004-06-12 2005-07-06 孟铁军 一种保健坐垫
CN2910152Y (zh) * 2006-07-10 2007-06-13 上海交通大学医学院 多功能护理垫
KR101313685B1 (ko) * 2011-02-10 2013-10-02 양희정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KR101370155B1 (ko) 2011-11-24 2014-03-04 정봉규 항문 접촉 부위가 오목한 치질치료용 시트
KR101370148B1 (ko) 2011-11-24 2014-03-04 정봉규 항문 접촉 부위가 볼록한 치질치료용 시트
KR20200056653A (ko) * 2018-11-15 2020-05-25 주식회사 오조 항문 부위의 압력과 혈류를 개선한 치질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75664B2 (en) Height-adjustable work chair
KR20080042033A (ko) 기립가능한 휠체어
US5790998A (en) Leg positioning device
KR930009576A (ko) 누웠을 때는 척주 전만을 감소시키고 착석했을때는 허리곡선을 지지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7044502A (ja) スタンディング式車いす
KR101370148B1 (ko) 항문 접촉 부위가 볼록한 치질치료용 시트
KR101370155B1 (ko) 항문 접촉 부위가 오목한 치질치료용 시트
US5522098A (en) Parturition bed
US8291533B2 (en) Patient treatment apparatus
KR20200056653A (ko) 항문 부위의 압력과 혈류를 개선한 치질 시트
JP2009219506A (ja) 椅子用姿勢改善補助椅子
WO2005030088A3 (en) Ankle-foot orthosis
KR102251753B1 (ko) 치질 치료용 기구
US20180325338A1 (en) Adjustable footrest with book holder
CN107822555A (zh) 一种孕妇家居专用可调节坐便器装置
KR101244935B1 (ko) 고정 및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휠체어용 발판
CN209751004U (zh) 一种可调式检眼用支撑装置
CN215459592U (zh) 下肢骨折患者用抬高垫
US20020183664A1 (en) Tilt type jin-luo massaging device
KR101723509B1 (ko) 자전거 안장
JP4646851B2 (ja) 足用マッサージ機
CN108403275A (zh) 正骨复位椅
US5725280A (en) Surgeon's perch
AU2010358605A1 (en) Anococcygeal support
TWM477245U (zh) 符合人體工學的馬桶坐墊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